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4-D 질문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문제를 보고 DFS로 더 간단하게 풀 수 있을것 같아서 시도해봤는데 오답이 나왔습니다.제가 어느 부분을 놓쳤는지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http://boj.kr/93bc347be5074e999271416f69842831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http 서블릿 response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사님께서 강의에서 작성하시는 이 부분은response를 사용하고 싶을 때 마다, 이런 기능을 다 직접 코드를 작성해야하나요?request를 요청하면 response 관련 정보가 들어있는 객체가 따로 자동 생성되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함수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덕분에 파이썬에 재미를 붙이고 있어요.이건 사소한 궁금증인데요, 함수를 사용하다보면 어떤 함수는 함수를 적용하려는 인자 앞에 붙여서 사용하고, 어떤 함수는 함수를 적용하려는 인자 뒤에 붙여서 사용하더라고요. 이 둘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둘 다 함수라고 지칭하는 것이 맞긴한가요? 어떻게 검색해야 할지 모르겠어서 여기에 질문드립니다.예시)적용하려는 인자 앞에 붙여 사용하는 함수: print(), str(),...적용하려는 인자 뒤에 붙이는 함수(?):readlines(), rstrip(),....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해당 강의의 프로젝트 폴더 구조에 타입스크립트 api 관련 개발을 같이 넣을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백엔드로 api 만들때의 프로젝트 폴더를 별도로 사용했었는데현재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리액트+타입스크립트로 프론트를 만들고해당 폴더에 백엔드인 nestJS + 타입스크립트 api도 같이 위치시키고 싶은데 어떤식으로 폴더안에 폴더를 만들고 위치 시키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그 구조를 이미지나 간단하게라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src 폴더안에 front / back 이런식으로 분리시켜서 만들기도 하나요?그리고 리액트 프레임워크와 nestJS 프레임워크를 하나의 프로젝트 폴더 안에 같이 설치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나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Qhello와 EntityManager 오류 질문
버전은 3.0.9를 사용하였습니다.https://docs.google.com/document/d/1j0jcJ9EoXMGzwAA2H0b9TOvRtpwlxI5Dtn3sRtuXQas/edit#heading=h.iayahq64el0u 이거의Querydsl 부트 3.x 설정을 따라하여build.gradle은 이렇게 설정하였습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9'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2'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build->clean을 하고 build->compileJava를 하니이런식으로 build에 Hello와 QHello가 같이 생겼습니다. (QuerydslApplication 까지) 그후 테스트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는데package study.querydsl; import com.querydsl.jpa.impl.JPAQueryFactory;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ontext;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udy.querydsl.entity.Hello;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QuerydslApplicationTests { @PersistenceContext EntityManager em; @Test void contextLoads() { Hello hello = new Hello(); em.persist(hello); JPAQueryFactory query = new JPAQueryFactory(em); QHello qHello = new QHello("h"); Hello result = query .selectFrom(qHello) .fetchOne(); assertThat(result).isEqualTo(hello); //lombok 동작 확인 (hello.getId()) assertThat(result.getId()).isEqualTo(hello.getId()); } }여기서 첫번째 질문은 @Autowired를 사용하였을 때EntityManager em; 에서 em에 빨간줄이 뜨며 자동 주입을 할 수 없습니다. 'EntityManager' 타입의 bean을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 합니다. @Autowired대신 @PersistenceContext를 사용하면 해당 오류가 뜨지 않습니다. 왜 이런건가요?두번째 질문은 심볼 'QHello'을(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빌드에서 QHello와 Hello가 같이 생겨서 그럴까요?다른분들 질문들에 달린 답변들을 보고 따라해보았지만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ㅜ
-
해결됨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강의와 크게 상관은 없지만 공부의 방향성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저는 올해 4월에 입사해서 이제 막 4개월차 주니어 개발자 입니다.퇴근 후에 공부를 하려고 하다가 매번 생각이 많아지는 주제인데요.저의 주요 업무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 기반의 jsp사이트를 ui유지보수하는 업무입니다.더 좋은 회사를 합격하지 못해서 아쉽긴하지만 그래도 신입받아주는 회사들이 많이 없어서 일단은 기분좋게 다니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회사 업무를 하는 데 앞서서 공부를 하려고 하다보면 자꾸만 그런생각이 들더라구요. jsp/mybatis 를 이렇게 까지 공부해야하나?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어차피 다른 서비스 기업으로 이직하게 되면 안쓸텐데 굳이 이렇게 공부해야할까 하고요.그래서 회사기술스택에 맞춰서 해야할지 지금듣고 있는 김영한님 스프링강의를 들으면서 개인 포트폴리오를 보강하는 것이 나은지 둘다 하면 되지않냐고도 할수 있지만 그게 정말 맞는 방법인지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최우선적으로 뭘 중점적으로 해야하는지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b1 - 스프링과 문제해결 예외처리,반복 강의 관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 예외 추상화 이해 파트 부분 강의에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예외 변환기 부분에서 test 코드 짜실때 DataSource dataSource;@BeforeEachvoid init(){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이런 식으로 작성하셨는데 @BeforeEach 안쓰고 @Test 코드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클래스 상위에 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이런식으로 작성하는건 안되나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레딧 사이트 만들기(NextJS)(Pages Router)
Next 13으로 작업 중 Login 실행에서 경고를 받았습니다.
Layout.tsx의 return을 return ( <html lang="en"> <AuthProvider> <body>{children}</body> </AuthProvider> </html> )위와 같이 수정했을 때에, 경고가 Login을 실행했을 때 발생했습니다. 무시하면 안 되는 경고인것 같아 어떻게 해결하는지 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경고 내용:Warning: Cannot update a component (`Router`) while rendering a different component (`Login`). To locate the bad setState() call inside Login, follow the stack trace as described in https://reactjs.org/link/setstate-in-render
-
미해결윤재성의 Kotlin 기반 안드로이드 앱 개발 Part2 - 메뉴와 4대 구성요소
40강 예제 수정해봤습니다
slide_xml1.xml 부터 slide_xml4.xml 까지 강사님께서 예제로 작성하신대로 할 경우 말씀하신 의도와는 다르게 animation이 발생합니다그래서 강사님께서 말씀하신 animation 효과를 받기 위해 수정한 사항입니다// slide_xml1.xml <translate android:fromXDelta="-100%" android:toXDelta="0%" android:duration="500"/> // slide_xml2.xml <translate android:fromXDelta="0%" android:toXDelta="100%" android:duration="500"/> // slide_xml3.xml <translate android:fromXDelta="100%" android:toXDelta="0%" android:duration="500"/> // slide_xml4.xml <translate android:fromXDelta="0%" android:toXDelta="-100%" android:duration="500"/>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예외 처리에 대한 rest doc 작성하기
안녕하세요!강사님 덕분에 테스트에 많은 관심이 생겨 개인 프로젝트에도 적용을 해보고 있습니다! Rest doc 작성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API의 정상 응답이 아닌 예외 발생 시의 응답도 Rest doc으로 작성하고자 합니다.예를 들어 인증, 인가 관련하여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생각했습니다.예외 케이스 별로 에러 코드를 상세하게 나누어 세밀한 응답을 전달하기 (ex. 아이디가 틀렸을 때 - 401A, 비밀번호가 틀렸을 때 - 401B, 아이디가 존재하지 않을 때 - 401C 등등..)공통 예외코드로 처리하기 (ex. 인증 실패 시 어떤 경우라도 401 코드 반환)위의 2가지 경우에 어떤 식으로 rest doc을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1번 케이스의 경우는 특정 API 문서마다 함께 적는 것이 좋을 것 같긴 한데 2번 케이스의 경우는 프로젝트 전반적인 공통 예외처리라 별도의 문서 항목으로 1개만 작성하는 게 좋을 지 고민이 됩니다. 혹시 현업에서는 예외 발생 시 응답에 대한 문서도 작성하시는 지 궁금하고 1번, 2번 케이스에 대하여 어떻게 rest doc을 작성하는 것이 다른 인원과 소통하기 편할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로젝트 빌드 및 어노테이션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om.xml을 작성하였고, META-INF도 작성하였습디ㅏ. 이제 Member를 만들어서 Entity 어노테이션을 붙이려고 하는데, 어노테이션이 뜨지 않습니다. 또한 우측 하단에 계속 Scanning files to index라고 뜨는데.. 어떻게 된 건지 알 수 있을까요??META-INF 입니다.<?xml version="1.0" encoding="UTF-8"?> <persistence version="2.2" xmlns="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persistence_2_2.xsd"> <persistence-unit name="hello"> <properties> <!-- 필수 속성 -->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driver" value="org.h2.Driver"/>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ser" value="sa"/>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password" value=""/>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rl" value="jdbc:h2:tcp://localhost/~/test"/> <property name="hibernate.dialect" value="org.hibernate.dialect.H2Dialect"/> <!-- 옵션 --> <property name="hibernate.show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format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use_sql_comments"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create" />--> </properties> </persistence-unit> </persistence>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jpa-basic</groupId> <artifactId>ex1-hello-jpa</artifactId> <version>1.0.0</version> <properties> <maven.compiler.source>11</maven.compiler.source> <maven.compiler.target>11</maven.compiler.target> </properties> <dependencies> <!-- JPA 하이버네이트 -->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groupId> <artifactId>hibernate-entitymanager</artifactId> <version>5.6.15.Final</version> </dependency> <!-- H2 데이터베이스 --> <dependency> <groupId>com.h2database</groupId> <artifactId>h2</artifactId> <version>1.4.200</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project>pom.xml입니다. 자바 11로 진행중이며, 이에 맞게 hibernate와 h2 버전을 변경하였습니다. 우측 하단에 이런 식으로 계쏙 로딩도 되고요.. 왜그런걸까요??
-
해결됨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29강. boardInsert 메서드 @ResponseBody 붙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boardInsert 메서드에 @ResponseBody를 붙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insert 후에 리턴 값이 없는데 왜 @ResponseBody를 붙이는 건가요? callback 함수인 loadList 때문인가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Windows 시스템 프로그래밍 - 기본
임계영역 기반 동기화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시스템 프로그래밍 수업을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임계영역 기반 동기화"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해당 예제 코드는 ThreadFunc1과 ThreadFunc2가 경쟁적으로 SetString, GetString 하는 것을 CRITICAL_SECTION 으로 해결해보려는 예제로 인지했습니다. 그런데 main함수 초반에 hHandle에 ThreadFunc1쓰레드를 실행(_beginthreadex)하고 ::CloseHandle(hThread);를 했습니다. 저는 그래서 ThreadFunc1쓰레드가 종료되었다 생각하여 ThreadFunc1을 출력할 일이 없을거라 생각했습니다.하지만 실행결과는 ThreadFunc1과 ThreadFunc2이 랜덤으로 5번 출력되는데 왜 ThreadFunc1이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제가 간과한 개념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vo 개념이 너무 헷갈립니다.
회원생성 부분에서 @PostMapping("/api/v2/members") public CreateMemberResponse saveMemberV2(@RequestBody @Valid CreateMember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request.getName()); Long id = memberService.join(member); return new CreateMemberResponse(id); }CreateMemberRequest 가 dto라고 설명하셨는데회원가입시 json값은 값 변경이 없는데 vo가 아닌가요?
-
해결됨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파이어베이스 - 채팅 어플리케이션 만들기[2023.12 리뉴얼]
강의 리뉴얼 일정을 알 수 있을까요?
"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파이어베이스"이 강의를 리뉴얼 예정이라고 하셨는데언제 완성이 될지 일정을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updatName 메소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강의에서 updateName 메소드를 domain에 작성하였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다른 기능은 userrepository의 메소드를 활용하는 것 같은데 수정 기능은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플립플롭의 1 cycle delay?
=================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20장 강의를 듣다 마지막 o_read 신호를 플립플롭에 넣어서 1cycle delay하신다고 설명하셨습니다.그것은 이해했는데 reset_n신호가 들어오면 1cycle delay 없이 바로 r_valid가 0으로 초기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여기서도 105번줄에서 i_run신호가 들어오면 num_cnt가 1 cycel delay 없이 바로 100이 되는 반면,107번 줄에서는 o_done 신호가 들어오면 1cycle delay후에 num_cnt가 0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왜 그런 것인지 알수 있을까요 선생님??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스태틱으로 만든 메서드 빨간줄 안사라짐
클래스 1번 GestureDetector( onTap: () { Schedule.onTap(context); }, ---------------------------------------------- 클래스 2번 class Schedule { static void onTap(BuildContext context) async { (데이터불러오기) return AlertDialog 입니다. 약간에 변형을 줘서 공부중인데 1번클래스에서 온탭 누르면 알림창은 문제 없이 뜨고있습니다 그러나 onTab 밑에 빨간줄이 영~신경쓰이는데 마우스 대보면 The method 'onTap' isn't defined for the type 'Schedule 이렇게 나오는데 관련 자료 부터 구글 다뒤져봐도 onTab에 빨간줄이 안사라집니다 방법좀 알려주세요 ㅠ
-
해결됨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_Quiz_10 번 문제
저는 Customer 클래스를 선언할 때 name, age를 private 으로 선언하고 Getter, Setter를 이용하여 값을 접근할려고 짯습니다. 근데 map() 을 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떠서 setName()을 그냥 String 반환값으로 고쳐서 했더니 에러가 해결이 됐습니다. 근데 왜 이런 오류가 났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public class _Quiz_1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Customer> customerList = new ArrayList<>(); customerList.add(new Customer("챈들러",50)); customerList.add(new Customer("레이첼", 42)); customerList.add(new Customer("모니카", 21)); customerList.add(new Customer("벤자민", 18)); customerList.add(new Customer("제임스", 5)); System.out.println("미술관 입장료"); System.out.println("=================="); customerList.stream() .map(x->x.getAge()>=20 ? x.setName(x.getName() + " 5000원"):x.setName(x.getName()+ " 무료")) .forEach(System.out::println); } } class Customer{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Customer(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
-
해결됨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먼저 강의 잘 들었습니다.취준 중인데도 이해가 잘 돼서 좋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동시성 제어를 할 때 redis, kafka로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은 알겠습니다. 다만, Lock으로도 동시성 제어도 할 수 있지만 줄줄이 기다리기 때문에 선착순 쿠폰 같은 이슈에 대해서는 비관적 락을 걸 경우 100명까지 순차적으로 느리게 된다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제가 이해한 것이 맞다면 락을 사용하면 많이 느릴텐데 보통 어떤 경우에 락을 통해 동시성 제어를 하고, 어떤 경우에 카프카를 쓰시나요? 같은 경우라도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예시를 조금만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잘 이해를 하지 못해서 질문 남깁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