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컬렉션 둘 이상에 페치 조인
안녕하세요.강의 마지막에 컬렉션 페치 조인을 둘 이상 사용하지 말라고 하셨는데,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말씀하신 상황이 제가 생각한 항목 중 어떤것이 맞을까요?1 : N : NTeam(1) : Member(N) : Order(N)1 : N / 1 : NPost(1) : Comment(N) Post(1) : Attachment(N)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 메서드와 연관관계 주인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ublic static OrderItem createOrderItem(Item item,int orderPrice, int count)강의 중 생성메서드를 구현하는 부분 중OrderItem 생성메서드를 생성할때 파라미터로 Order order를 추가하지 않은 것에 대한 이유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OrderItem 엔티티에서 order필드가 연관관계의 주인이기에 null이 되면 안된다 생각하였고 그렇기에생성메서드 파라미터에도 Order order를 꼭 넣어줘야 하는게 아닌지 궁금점이 들어 질문드립니다!!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Spring Authorization Server 1.0 관련
https://spring.io/projects/spring-authorization-serverSpring Authorization Server 1.0이 정식으로 출시되었고 강의는 만들어진 시간으로 보아 0.31 기반인거 같은데 1.0(0.4)에 대한 보강 계획은 있으신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BatchSize의 조회 대상 우선순위(?)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BatchSize에 관해서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BatchSize를 사용하면 특정 Entity에서 조회 쿼리가 필요한 필드를 초기화 할 때, 1차 캐시로부터 같은 종류의 Entity id값을 @BatchSize에 지정한 size값만큼 가져와 IN에 넣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함께 조회하고 초기화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근데, 이 때 단순히 1차 캐시에서 랜덤으로 id값을 가져와서 IN에 넣으면 원하지 않는 Entity에 초기화가 잘못 이뤄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있었지만, 당연하게도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알아서 최적화를 해 둔 것 같았습니다. 예를 들면 JPQL의 결과로 조회된 Entity컬렉션 내부에서 하나를 집어 Entity 필드를 지연 로딩 초기화할 경우 같은 컬렉션 내부의 Entity들이 우선순위를 갖고 함께 초기화되는 것 같았습니다.하지만 이것이 정확히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 지는 알 수가 없었습니다..ㅠㅠ JPQL로 조회한 컬렉션에 대해서 따로 영속성 컨텍스트가 참조하고 있다거나 하는 식으로 동작하는 것일까요? 이런 원리를 모르다 보니 @BatchSize가 IN에 넣을 Entity를 결정하는 우선순위를 알 수가 없었습니다.@BatchSize의 size값이 JPQL로 조회한 컬렉션의 size보다 클 때에는 1차 캐시에서 부족한 만큼의 Entity id를 더 끌어와서 IN에 추가하는데, 이 때 함께 초기화될 Entity가 어떤 Entity일 지 예측이 안 됩니다. 이런 것들도 우선순위가 따로 존재하나요? 크게 중요한 내용은 아닌 것 같은데, 그냥 같은 컬렉션에 있는 Entity들이 IN의 우선순위가 된다고 이해하고 사용하는 정도면 문제가 없을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OAuth2 로그인 구현 - Authorization Code 요청하기 - OAuth2AuthorizationRequest 객체 세션 저장 문제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질문 드릴께 있습니다. OAuth2 로그인 구현 - Authorization Code 요청하기26:25분내용을 보면 첫번째 인증 단계! (response type = code)OAuth2AuthorizationRequest 객체 담아서인가 서버 (keyclack 서버) 에 전달 하게 되는데요이것과 동시에 OAuth2AuthorizationRequest 객체를 sesstion 에 저장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가 서버 (keyclack 서버) 로그인을 성공적으로 해결된다면 미리 지정된 redirect url 통해Authorization Code 값을 전달해주는데요!그런 후 미리 OAuth2AuthorizationRequest 객체를 sesstion 저장된것을 가져오는데 만약 해당 서버가 1개 라서 다행이지만scale out 경우 그러니깐 서버가 2대 이상이라면 맨처음 OAuth2AuthorizationRequest 객체 저장할때가 1번 서버라면 OAuth2AuthorizationRequest 객체를 가져올때가 2번 서버라면 이때 각각 다른 서버이기 때문에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나요? 이때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OAuth2AuthorizationRequest 객체를 외부 세션 서버로 저장 할수 있도록 다시 로직을 재구현 해야 하는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포폴 데이터모델링, jpa설계하다가 질문 !!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김영한님 JPA강의 덕에 포폴 순항하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이팅하세요 !!궁금한점을....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예를들어서 블로그 포스팅 domain을 아래와 같이 만들었습니다...id: ~~~~content: ~~~~tags: ~~~ (일대다 관계)comments: ~~~(일대다 관계)그런데 !!! 여기서 궁금한점 !!제 생각으로는...아 그냥 편하게 포스팅한번에 끌고와서(tags, comments) 응답해주고 싶은뎅...그런데 영한님께서는 이 강의에서 일대다 관계를 두번이상하면 안된다고 하셔서...ㄷㄷ;;;;그래서, 오랜 고민끝에 포스팅 (id,content,tags)를 응답해주고 comments는 다대일 방법으로 응답을 해줬거든요??.... (이게 옳은방법일까...ㄷㄷ;;)그러니까 요청을 두번 보내는거에요..포스팅 한번... 포스팅에 연관관계있는 comments 한번..저의 이러한 판단과 설계과 괜찮은 걸까요??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잘 이해하셨을라나...ㄷㄷ;ㅠㅠ)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userinfo 요청 시 403에러
http://localhost:8080/realms/oauth2/protocol/openid-connect/userinfo포스트맨 요청 시 403 에러가 납니다 버전은 20.0.1입니다
-
미해결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2부
아이템 32. 핵심 정리 12:00 이 부분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String[] attributes = pickTwo("좋은", "빠른", "저렴한");제가 자바 기초가 약해서 이해를 못하는걸까요? .. bytecode로 확인하면pickTwo 메소드를 반환하게 된다면 Object(추상적) 형식으로 반환 해서 String(구체적) 형식으로 변환(타입 케스트) 해서 문제(ClasscastException)가 발생된다고 해주셨는데요 그러니깐구체적 -> 추상적 으로 변환 문제없음추상적 -> 구체적 으로 변환 문제 있음결론은 이것인데 Object obj = new Object(); obj = "test"; // 추상적인 Object 에 담음 String string = (String) obj; // 구체적인 String 에 담음해당 원인이라면 해당 소스는 에러가 발생해야 되는것이 아닌가요?.... 자바 기초가 약해서 그런지 조금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flush 자동 호출
jpql flush 자동 호출되는 것이 커밋까지 된다는 말씀이실까요?jpql 로 db 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려면 db 에 반영이 되어야할 것 같아서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profile email 권한페이지가 나오지 않습니다.
authorization_code 를 얻어오는 요청 보냄login 페이지가 떠서 로그인함email ,profile 등 이걸 허락하겠는가? (저는 이게 안뜹니다.)8081이 안떠있으니 에러페이지code를 복붙해서 access token 요청 -> accestoken 잘받아옴해당 access token 으로 userinfo 요청시 403 forbidden놓친 설정이 있나 확인을 여러번 하였는데 첫번째 강의에서는 Clients 설정에서 Authentication flow 에 implicit flow를 체크하셨는데 2번째 강의에는 해제 되어있길레 해제 해봤지만 결과는 동일합니다.무엇이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jwt.io에서 토큰 정보를 확인했을떄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안되길레 여러 RoleMapping을 추가해본것입니다.{ "exp": 1668576888, "iat": 1668576588, "auth_time": 1668576573, "jti": "6775c84b-9f26-4d8c-ab58-a09c136eb782", "iss": "http://localhost:8080/realms/oauth2", "aud": [ "realm-management", "account" ], "sub": "f35e128a-f3a9-48df-a784-5675ade34468", "typ": "Bearer", "azp": "oauth2-client-app", "session_state": "4b46d62b-0dbe-41ba-9901-a2465eed5f41", "acr": "1", "realm_access": { "roles": [ "offline_access", "uma_authorization", "default-roles-oauth2" ] }, "resource_access": { "realm-management": { "roles": [ "manage-users", "view-users", "query-groups", "query-users" ] }, "account": { "roles": [ "manage-account", "manage-account-links", "view-profile" ] } }, "scope": "profile email", "sid": "4b46d62b-0dbe-41ba-9901-a2465eed5f41", "email_verified": false, "name": "kakarot lim", "preferred_username": "user", "given_name": "kakarot", "family_name": "lim", "email": "user@keycloak.com" }구글링 해서 알아본 결과 authorization_code를 요청할때 헤더에 scope=openid 로 하니 잘되었습니다. 이건 버전 차이라고 보면 될까요? 저는 도커로 20 버전을 사용하였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클래스 사용 불가
2~3강의중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클래스를가 사용하는 버전이 업데이트 되면서 더이상 사용할 수 없는데 혹시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아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법 알려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V4 에서 DTO로 조회시 즉시 로딩이 되는 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V4 에서는 fetch join을 사용하지 않으셨는데 조회 쿼리는 한번만 나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dto로 조회를 하면 Lazy로딩으로 세팅해도 즉시 로딩으로 나간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AuthenticationManager
public class SecurityConfig extends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 ... @Override public AuthenticationManager authenticationManagerBean() throws Exception { return super.authenticationManagerBean(); } @Bean public FilterSecurityInterceptor customFilterSecurityInterceptor() throws Exception { FilterSecurityInterceptor filterSecurityInterceptor = new FilterSecurityInterceptor(); ... filterSecurityInterceptor.s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ionManagerBean()); return filterSecurityInterceptor; } }위 방식으로 AuthenticationManager 를 받아 와서 사용하셨는데,authenticationManagerBean() 는 단순히 AuthenticationManager 빈을 반환한다고 이해하면 되나요?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를 사용할 수 없는 5.7 이후 버전에 맞추어 구현한 아래 authenticationManager(HttpSecurity http) 를 사용해도 문제 없을까요?public class SecurityConfig { @Bean public AuthenticationManager authenticationManager(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AuthenticationManagerBuilder authenticationManagerBuilder = http.getSharedObject(AuthenticationManagerBuilder.class); authenticationManagerBuilder.authenticationProvider(authenticationProvider); return authenticationManagerBuilder.build(); } @Bean public FilterSecurityInterceptor customFilterSecurityInterceptor(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FilterSecurityInterceptor filterSecurityInterceptor = new FilterSecurityInterceptor(); ... filterSecurityInterceptor.setAuthenticationManager(authenticationManager(http)); return filterSecurityInterceptor; }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객체에 대해 질문이 잇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프록시 강의를 보고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 먼저 member객체를 생성하고 member.setUserName("hello");로 이름을 설정하고 persist(member); 하시고 바로 flush를 하셨습니다. 이후에 em.getReference(Member.class, member.getId());를 하시고 getId와 getUserName을 하실때 getId는 이미 getReference를 할때 getId(이미 있는 값이라 하셨습니다)를 사용해서 db에서 조회할 일이 없었다 라고 하셨고 getUserName은 db에서 조회해야한다 라고 하셨었는데 처음에 member객체에서 setUserName으로 값을 넣어주었고 id도 generatedValue로 값이 자동으로 설정되어서 2개의 값이 flush하기 전에 세팅이 되었는데 왜 id는 조회할때 이미 있는값이라 select문이 안나가고 userName은 값이 없어 select문이 나간건지 궁금합니다(설명을 잘 못해서 죄송합니다 ㅜ... 이해가 잘 안간탓에... 답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BooleanExpression 모든 조건이 null 일 때
이 경우 where절이 빠짐에 따라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가 나오는 건 이해했습니다. 테이블 데이터가 많을 경우 select를 많이 하느라 장애가 난다까진 알겠는데, 그렇다면 이걸 해결할 수 있는 게 페이징뿐인가요? 어떠한 사정이나 목적 때문에 페이징 적용이 되지 않은 쿼리의 경우, 이걸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컬렉션타입이라는게...정확히 뭔가요?
컬렉션타입이 었었다 라고 하시는데혹시 컬렉션타입이라는게 @Embeded 와 관련되어 Address 이런 클래스를 일컫는말인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q class 생성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Querydsl 사용 시 Q class 생성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Quarydsl 로 no-offset 페이지네이션이 구현가능할까요?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김영한님 로드맵중 실전로드맵 패키지 듣고있는데,restapi설계중에 무한스크롤을 구현해야하는 시점에강의 내용에 Quarydsl로 페이지네이션 강의가 나와서 여쭤봅니다no-offset 방식으로 페이지네이션이 구현 가능할까요 ? 가능하다면 어떤식으로 구현해야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회원 수정 API만들떄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수업중에 수정관련 API는 변경 감지를 통한 변경이라고 설명을 해주셨고 Entity는 getter외 나머지는 잘 쓰지 않는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수업중에는 setter를 통한 변경을 하였는데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temServiceTest 아이템 수정 테스트코드
@Test public void 아이템_수정() throws Exception { // 아이템을 등록하고 수정하고 조회한대로 되었는지 equal 테스트 // given Item book = new Book(); book.setName("책책"); itemService.saveItem(book); // when Item updateBook = itemService.updateItem(book.getId(), "책1", 1000, 10); Item findOne = itemService.findOne(book.getId()); // then Assertions.assertThat(findOne.getName()).isEqualTo(updateBook.getName()); } 아이템 수정 Test 코드를 작성해보았는데 이렇게 작성하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