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프론트엔드 세션과 백엔드 세션 / queryClient.getQueryCache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항상 강의를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세션에 대한 질문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첫번째 질문입니다! 현재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로그인 요청 시, auth.js를 사용해서 프론트측 세션을 생성하고, 그것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상태에 대한 분기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고, 백엔드에서도 API 허가를 위한 세션을 받아 connect.sid 라는 쿠키를 생성하여 총 2개의 쿠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제가 궁금한 것은 현재 2개로 나누어진 세션을 백엔드에서 주는 세션으로 생성한 쿠키 1개만 사용해도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각각 따로따로 세션을 생성해서 처리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혹시 프론트엔드 입장에서 next-auth (auth.js)가 제공해주는 기능(CSRF, useSession, signin 등의 메서드... )들이 편리해서, 이것을 사용하신것이고 강의에서 언급하신대로 백엔드 세션과 통합하는 과정이 아직 불완전하여 따로 둔 상태로 둔 것이며, 만약 next-auth가 주는 장점이 굳이 없었다면 처음부터 백엔드 세션 1개를 이용해서 로그인 과정을 구현했을 것 이다. 라고 제가 감히 예상을 해도 될까요.. ? 🤔 두번째 질문입니다.[재게시, 답글기능 zustand로 만들어보기] 강의 17분 40초 부근에서 queryClient.getQueryData 보다 getQueryCache를 사용하는게 더 정확하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패러랠 라우트 질문(로그인 모달 관련)
로그인모달을 패러랠 라우트 방식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default.tsx 강의 타임라인 0:34에서app/(beforeLogin)/@modal 폴더에 있던 page.tsx와 login.module.css파일을 복사해서app/(beforeLogin)/i/flow/login로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거기에다가 page.tsx와 login.module.css파일로 넣으셨는데요.URL이 http://localhost:3000/i/flow/login이면@modal 하위에도 그 url 경로대로 폴더 구조를 맞춰서 넣어줘야 하는 것이죠? 패러랠방식에 대해서 아직 감이 안잡힙니다. (beforeLogin)폴더 자식으로 @modal폴더와 layout.tsx에 가 있고 laytout.tsx에서 modal을 props로 가져옵니다.그럼 그 modal이라고 이름지은 것은 같은 뎁스에 있는 "@자기이름"인 @modal을 탐색해서 가져오는건가요? import { ReactNode } from "react"; import styles from "@/app/page.module.css"; type Props = { children: ReactNode; modal: ReactNode; };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BeforeLoginLayout({ children, modal }: Props) { return ( <div> <div className={styles.container}> {children} {modal} </div> </div> ); }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인터셉팅 라우트 버그?..
게시하기 버튼 클릭하면 인터셉팅 라우트가 되지 않네요 ㅜ회원가입, 로그인에서는 인터셉팅 라우트가 잘 됬었는데 왜이러는걸까요?.. 아직 넥스트가 불안정 한건지.. 검색해도 잘 안나오네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google font fetchError 가 나는데요...
섹션1까지 들은 수강생입니다 🙂 프로젝트 실행시 아래와같은 에러가 나오는데요..어떻게 해결해야할지 ㅠㅠFetchError: request to https://fonts.gstatic.com/s/inter/v13/UcC73FwrK3iLTeHuS_fvQtMwCp50KnMa2pL7W0Q5n-wU.woff2 failed, reason: self-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at ClientRequest.<anonymous> (C:\simjieun\study\next.js\twitter_clone_nextjs\node_modules\next\dist\compiled\node-fetch\index.js:1:65756) at ClientRequest.emit (node:events:514:28) at TLSSocket.socketErrorListener (node:_http_client:501:9) at TLSSocket.emit (node:events:514:28) at emitErrorNT (node:internal/streams/destroy:151:8) at emitErrorCloseNT (node:internal/streams/destroy:116:3) at process.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82:21) { type: 'system', errno: 'SELF_SIGNED_CERT_IN_CHAIN', code: 'SELF_SIGNED_CERT_IN_CHAIN' } ⨯ Failed to download `Inter` from Google Fonts. Using fallback font instead. Failed to fetch `Inter` from Google Fonts.} FetchError: request to https://fonts.gstatic.com/s/inter/v13/UcC73FwrK3iLTeHuS_fvQtMwCp50KnMa1pL7W0Q5n-wU.woff2 failed, reason: self-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at ClientRequest.<anonymous> (C:\simjieun\study\next.js\twitter_clone_nextjs\node_modules\next\dist\compiled\node-fetch\index.js:1:65756) at ClientRequest.emit (node:events:514:28) at TLSSocket.socketErrorListener (node:_http_client:501:9) at TLSSocket.emit (node:events:514:28) at emitErrorNT (node:internal/streams/destroy:151:8) at emitErrorCloseNT (node:internal/streams/destroy:116:3) at process.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82:21) { type: 'system', errno: 'SELF_SIGNED_CERT_IN_CHAIN', code: 'SELF_SIGNED_CERT_IN_CHAIN' } ....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nextjs 버전
'Next프로젝트 시작하기' 6:50 초에 현재는 npx create-next-app@latest명령시 14버전이 설치되는데상관이 없는건가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vanila-extract window 문제
windows 에서 vanila-extract 의 문제점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https://github.com/vanilla-extract-css/vanilla-extract/issues/1086해당 이슈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next-auth 로그인 시 unauthorized 문제
문제가 몇일째 안풀리는게 있어 문의드려요제가 next-auth를 사용해서 로그인 프로세스를 해보고 있습니다.로컬에서 별도로 배포환경 만들어서 테스트를 했을 때에는 잘 되는데 배포시에 계속 Unauthorized 에러가 발생해서요제가 작성한 [...nextauth].ts 코드입니다.import NextAuth, { User } from 'next-auth'; import CredentialsProvider from 'next-auth/providers/credentials'; import { refreshAccessToken } from 'utils/tokenRefresh'; export default NextAuth({ providers: [ CredentialsProvider({ name: 'Credentials', credentials: { userId: { label: 'UserId', type: 'text', placeholder: 'jsmith' }, password: { label: 'Password', type: 'password' }, }, authorize: async (credentials) => { const res = await fetch(`${process.env.NEXT_PUBLIC_BACKEND_URL}/api/v1/users/signin`, { method: 'POST', body: JSON.stringify({ userId: credentials!.userId, password: credentials!.password, }),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 const user = await res.json(); // 로그인 성공 시 사용자 객체를 반환하고, 실패 시 null을 반환 if (res.ok && user) { console.log('ok user', user); return user; } else { console.log('error user', user); return false; } }, }), ], secret: process.env.NEXTAUTH_SECRET, // session: { // strategy: 'jwt', // maxAge: 0, // 브라우저가 닫히면 세션 종료 // // updateAge: 24 * 60 * 60, // 24시간마다 세션 갱신 (옵션) // }, callbacks: { async jwt({ token, user }) { // 사용자 로그인 시 토큰 설정 if (user) { return { ...token, accessJwt: user.result?.accessJwt, refreshJwt: user.result?.refreshJwt, companyId: user.result?.companyId, userName: user.result?.userName, accessTokenExpires: Date.now() + 3600 * 1000, }; } // 토큰 만료 확인 및 리프레시 if (Date.now() > token.accessTokenExpires!) { const newAccessJwt = await refreshAccessToken(token.refreshJwt!); return refreshAccessToken(newAccessJwt); } return token; }, async session({ session, token }) { if (token && token.accessJwt) { const customUser = session.user as User; if (!customUser.result) { customUser.result = { accessJwt: '', refreshJwt: '', companyId: '', userName: '', }; } customUser.result.accessJwt = token.accessJwt; customUser.result.refreshJwt = token.refreshJwt; customUser.result.companyId = token.companyId; customUser.result.userName = token.userName; session.user = customUser; } return session; }, }, }); NEXT_PUBLIC_BACKEND_URL 환경변수는 별도의 백엔드를 구성한 주소이구요 배포는 도커를 사용했습니다.FROM node:20.10 as builder # pnpm 설치 RUN npm install -g pnpm WORKDIR /usr/src/app COPY package*.json ./ RUN pnpm install ARG NEXT_PUBLIC_BACKEND_URL ARG NEXTAUTH_SECRET COPY . . RUN NEXT_PUBLIC_BACKEND_URL=https://${NEXT_PUBLIC_BACKEND_URL} NEXTAUTH_SECRET=${NEXTAUTH_SECRET} pnpm run build FROM node:20.10 RUN npm install -g pnpm WORKDIR /usr/src/app COPY --from=builder /usr/src/app/package*.json ./ RUN pnpm install --prod COPY --from=builder /usr/src/app . # COPY --from=builder /usr/src/app/.next ./.next EXPOSE 3000 CMD ["pnpm", "run", "dev"]NEXTAUTH_SECRET은 프론트 주소를 도커 실행 시 넣어줘야 한대서 도커 실행 할 때 환경변수로 따로 넣어줬구요Docs, Stackoverflow, ChatGPT 등 여러 방면으로 찾아봤는데 해결이 안되더라구요..강의하고는 별개 내용이긴 한데 더이상 물어볼 데가 없어서 강사님께 여쭈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