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Spring MVC 뽀개기 기초
질문있습니다
선생님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dispatcherServlet 만들기하고난뒤web.xml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된다고 하셨는데web.xml파일이 아무런 변화도 없는데 이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강의하신데로 빠짐없이 하나하나 등록하고 입력했는데web.xml파일이 자동으로 생성이 안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커넥션을 사용한다는 개념
안녕하세요. 강의 자료중에, " MemberRepository는 JPA를 통해 회원을 저장하는데, 이때 JPA는 트랜잭션이 시작된 con1을 사용해서 회원을 저장한다 " 라고 되어있는데요.이 부분에 대해 영한님께서 "em.persist()를 호출할때 내부적으로 JPA는 트랜잭션이 시작된 con1을 사용한다" 고 하셨는데, em.persist()를 호출할때,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커밋은 아직 하지 않지만 con1을 사용해서 회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것인가요? "LogRepository도 트랜잭션C와 관련된 con2를 사용한다" 라고 강의자료에 나와있는 부분도, 위 내용과 동일한걸까요?con1과, con2를 사용한다는 개념이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프론트단 질문 검증 오류뜰시 태그를 추가하는데 alert창을 띄우는 방식으로 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프론트단 질문 검증 오류뜰시 태그를 추가하는데 alert창을 띄우는 방식으로 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를들면 검증해서 문제가 있으면 bindingresult에 담고 템플릿에 넘겨주는데 지금방식은 문제가 잇으면 input태그밑에 오류를 표시해주는데 alert창으로 표시를 하고 싶다면 프론트에서 코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고싶네요.자바스크립트코드에 오류가 있을시에 alert창에 ${에러문구} 이런식으로 넣어주면 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th:fied 가 바인딩 실패시 값을 넣어주는것을 아는데 타임리프말고 다른 템플릿은 어떻게 오류값을 넣는건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h:fied 가 바인딩 실패시 값을 넣어주는것을 아는데 타임리프말고 다른 템플릿은 어떻게 오류값을 넣는건지?new FieldError("item", "itemName", item.getItemName(),....)위에 3번째 파라미터가 들어가는거같은데템플릿에서 3번째 파라미터를 어떻게 꺼내는건지 알고싶네요.
-
미해결ASP.NET Core MVC +ASP.NET Core +REST API +.NET 8.0
SqlConnection관련 질문
SqlConnection이 deprecated 되었다고 뜨는데 이 부분은 상관없나요?아니면 제가 잘못...선택을 한건지...ㅠqlConnection이 deprecated 되었다고 뜨는데 이 부분은 상관없나요? 이후 강의를 들으면서 따라가는데 차질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가 생성되려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Repository가 붙은 클래스는 예외 변환 AOP의 적용 대상이 된다."는 내용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의 @Transactional를 주석 처리하고, @Import로 설정도 수정해서, JPA 대신 MyBatis나 JdbcTemplate을 적용해 봐도log.info("repository = {}", itemRepository.getClass());테스트의 이 코드를 실행하면 itemRepository가 프록시로 생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JPA가 아니라 해도 @Repository가 적용되면 프록시 객체로 생성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전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 편 강의에서 사용했던 core 프로젝트에서도 한번 테스트해 봤는데//@Component @Repository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 . . } class OrderServiceImplTest { @Test void createOrder() {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System.out.println(memberRepository.getClass()); . . . } } 이 테스트를 실행해 보면 memoryMemberRepository는 @Repository가 적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록시 객체로 생성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이유가 무엇인가요?@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 객체를 만드는 기능은 JPA 라이브러리가 있어야(JPA를 사용하지 않고 MyBatis를 사용하더라도) 적용되는 건가요? +) 그런데 스프링 DB 1편 강의에서 사용한 프로젝트에서도 테스트해 봤는데, 여기선 JPA 라이브러리를 받지 않았는데도 @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 객체가 생성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Transactional도 주석 처리했습니다.@Slf4j @Repository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V5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JdbcTemplate template; . . . } @Test void AopCheck() { log.info("memberService class = {}", memberService.getClass()); log.info("memberRepository class = {}", memberRepository.getClass());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Service)).isTrue();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Repository)).isFalse(); }@Transactional을 주석 처리했으므로 memberService는 프록시 객체가 아니고,@Repository가 적용된 memberRepository는 CGLIB 관련 내용이 출력됩니다. @Repository를 통해 프록시 객체가 생성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boot에서 빈값이 들어왔을때 Integer와 int로 받을때 질문 그리고 주로 뭘 사용하는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만약에 쿼리파라미터로price="" //빈값price=" " //한칸띈 빈값이렇게 들어오고Integer로 받으면 그냥 null이 들어가나요?int는 그냥 0이 들어가는건가요?테스트 해보니 그런거 같아서요.이유가 뭔가요? 자동으로 컨버터가 되는건가요? 만약에 쿼리파라미터로 price를 넣지 않으면 그냥 자동으로 null이 들어가는건가요? 그리고 숫자가 들어올때 Integer나 int 중에 주로 현업에서는 무엇으로 받는게 좋나요?뭔가 이런 사소한게 선택장애가 있어서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실행이 안돼요 ㅠㅠ
최신버전으로 다운 받았는데도 실행이 안돼서 강의를 진행할 수 없습니다. ㅠㅠ 어떻게 해야하나요.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실행이 안돼요 ㅠㅠ
최신 버전으로 다운받고 했는데 실행이 안돼요.. 공부를 진행하고 싶어도 이거때문에 시간만 보내고 진행이 안돼네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부 내부 트랜잭션 질문
이전 내용은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에 종속된다는 내용이였는데, 지금까지 테스트를 트랜잭션 매니저로 직접 생성해서 해주셨습니다.그런데 실무에서는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을 많이 쓰는데 디폴트 트랜잭션은 기존 트랜잭션이 존재하면 그대로 이어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가 이어 쓰는 것임에도 논리적으로 외부 내부로 구분하는 건지, 아니면 다른 옵션의 예가 따로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정리하자면 기존 트랜잭션을 이어 쓰는 REQUIRED 옵션이 이제까지 설명해주신 내부가 외부에 종속되는 트랜잭션인지 아니면 다른 옵션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st api와 messagebody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rest api 구현은 기본적으로 자원 기반 구조로 url을 설계하는걸 포함하는데 HTTP/1.1 명세(RFC 7231) 상 get 방식은 messagebody의 사용하지 않는것을 권장하고 있고 해당 강의의 messagebody 교환 방법에 아래와 같이 교안을 제공합니다.HTTP message body 에 데이터를 직접 담아서 요청 HTTP API에서 주로 사용, JSON, XML, TEXT 데이터 형식은 주로 JSON 사용 POST, PUT, PATCH그렇다면 조회시에 get방식을 사용못하는데 json 방식의 api는 모두 rest api에 위배되거나 http/1.1 명세에 따르지 않는 방식 아닌가요?도대체 무엇인지 혼동만 줍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08:55 테스트 이후에 파라미터 id 값을넣어도 에러가 뜹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JdbcTemplateMemberRepository 클래스내의메서드에 id파라미터가 없어서 에러가 떴다는 내용인데.. 그래서 넣어줬습니다.@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Id(Long id) {//리스트 형태로 반환 하기 List<Member> result = jdbcTemplate.query("select * from member where id =? ", memberRowMapper(), id);//parameter 셋팅 id return result.stream().findAny(); } 그런데도 에러메시지에 이런 내용이 뜨네요Could not detect default configuration classes for test class [hello.hello_spring.service.MemberServiceIntegrationTest]: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does not declare any static, non-private, non-final, nested classes annotated with @Configuration.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앞서 전파기본 강의와 전파예제 강의를 듣고나서 이해가 되지않는 부분이 몇가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강의 자료중에,트랜잭션매니저에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실제커넥션에 커밋하는것을 물리 커밋이라고 할수있다= 내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inner)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외부트랜잭션인 txManager.commit(outer)을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inner)를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 txManager.commit(outer)를 하는것이 물리커밋이다.이렇게 생각하는게 맞을까요??2. 1번 질문에 더해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서 txManager.commit()을 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라면, 물리적인 커밋은 코드상 어떤것인가요? 외부트랜잭션도 txManager.commit()을 통해 커밋하는거같은데, 이렇게 외부트랜잭션을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인것인가요??3. 외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이고 내부트랜잭션도 논리트랜잭션인가요? 그래서 이 두가지를 묶어서 물리트랜잭션이라고 하는것인가요?? + 위 질문에 대해서 계속 찾아보면서 생각해봤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1. 내부트랜잭션이 트랜잭션 매니저를 통해서 커밋하는것이 논리적인 커밋이고, 외부트랜잭션이 트랜잭션매니저를 통해서 커밋하는것은 실제 DB커넥션에 커밋하는것이다. 외부트랜잭션의 커밋은 논리적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이다.2. 외부트랜잭션을 커밋하는것은 논리적 커밋임과 동시에 물리커밋이다.3. 외부트랜잭션과 내부트랜잭션 모두 논리트랜잭션이고, 논리트랜잭션을 묶어서 물리트랜잭션이라고한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DispatcherServlet의 doDispatch 메서드 질문입니다.
DispatcherServlet의 doDispatch 메서드에서 매개변수로 받은 HttpServletRequest request를 바로 새로운 HttpServletRequest에 넣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렌젝션 질문입니다
트렌젝션을 서비스 클래스에 걸면 이런 문제가 없을 거 같은데, 실무에서는 트렌젝션을 메서드 단위로 거나요??저 같은 경우 서비스 클래스에 트랜젝션 readonly를 걸고create, update, delete 등이 필요한 로직에 트렌젝션을 따로 거는 편입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상품 등록 버튼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상품 등록 폼을 작성했는데, localhost:8080/basic/items 에서 상품 등록 버튼을 누르면 등록 폼으로 이동되지 않습니다...이렇게 눌렀다는 표시만 나오는데 어느 부분이 잘못 된 건지 모르겠습니다localhost:8080/basic/items/add 로 들어가면 등록 폼은 나오더라구요... 버튼 부분이 잘못된 것 같은데 강의 자료를 복붙해도 똑같습니다ㅜㅜ압축 파일 드라이브 링크로 올렸습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h8q8nJxIQ-L41Kdd0E_dqXoAqBXQciNW/view?usp=sharing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dbc 설정이후에 재접속 16:00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회원목록이 안뜹니다. org.h2.jdbc.JdbcSQLInvalidAuthorizationSpecException: Wrong user name or password [28000-232] 라는 에러가 뜨네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BasicErrorController와 국제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앞선 강의에서 스프링 메시지와 국제화 기능을 학습 했었는데 BasicErrorController가 모델로 전달해주는 에러 메세지는 상속받아 구현하지 않는 경우 따로 스프링 메시지 기능이나 국제화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순수JDBC 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다 음 메서드에서 DataSourceutils가 빨간밑줄이 뜹니다.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임포트를 임의로 넣어줘도 JDBC에만 빨간밑줄이 쳐집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Utils;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 return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n) throws SQLException {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 dataSource);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가입 테스트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테스트는 초록불이 켜지는데 콘솔창에는이런 내용이 뜹니다.. 이건 왜이런건가요? 어떻게 해결하죠?현재 build.gradle는이 상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