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Response 클래스
안녕하세요! Response 클래스가 필요하다는 것은 잘 이해했습니다.그런데 Response 클래스를 서비스가 아닌 컨트롤러에서 변환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비스에서는 리포지토리에서 엔티티를 반환받아서, 컨트롤러에 엔티티를 전달하고 컨트롤러에서 엔티티를 Response로 변환하여 리턴하는 식으로 현재 개발을 해봤는데요. 생각을 좀 해보니까, 엔티티를 Response로 변환하는 것을 비즈니스 로직이라고 생각하면 서비스에 포함시키는게 맞는것 같고..뭔가 Response는 화면UI 에 따라 자주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으니까 차라리 서비스는 항상 엔티티만 리턴하고 컨트롤러에서 UI에 맞게 변환만 해서 반환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는데요. 혹시 어떤 방법이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강제초기화 후, hibernate5Module 미주입시 오류에 대해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Jpashop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JpashopApplication.class, args); } //@Bean //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 Hibernate5Module hibernate5Module = new Hibernate5Module(); // return hibernate5Module; // } }hibernate5Module을 의존성 추가하지 않고강제초기화를 해보았는데 오류가 나더라구요.강제 초기화를 했고 sql문은 나갔을텐데 오류가 나는게 의아하더라구요.@GetMapping("/api/v1/simple-orders") public List<Order> ordersV1() { List<Order> all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 for (Order order : all) { order.getMember().getName();//강제 초기화 order.getDelivery().getAddress(); } return all; }디버깅을 해보았는데Member와 Delivery의 sql이 나가고return에서 오류가 나더라구요.order->프록시->영속성컨택스트로 이어지고강제초기화를 해서 Member와 Delivery는 영속성 컨택스트에 담겼지만return에서 Order의 Member와 Delivery에는 프록시값이 가리키는 영속성컨택스트가 아닌, 프록시까지만 json으로 변환하기때문에 오류가 난다고 생각하는게 맞는 걸까요?그리고 그 프록시를 영속성컨택스트로 바꿔서 변환해주는게 hibernate5Module의 역할이라고 보면 될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양방향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생성 메소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16235의 답변을 보면 setter를 외부에 노출을줄이기위해Entity의 setter의 사용을 지양하는거로 이해했고, 워낙 복잡하게 엔티티들을 사용하실텐데강의 예제에서 사용하는 Member와 Order, OrderItem의 엔티티를 실무에서 사용하는거처럼 연관관계메소드랑 생성메소드를 임의로 작성해봤습니다.@Entity @Gette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member") private List<Order> orders = new ArrayList<>(); @Builder private Member(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생성 메소드 == / public static Member createMember(String name) { return Member.builder().name(name).build(); } } @Entity @Getter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주문 회원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Builder private Order(Member member) { /== 연관관계 메소드 ==/ this.member = member; member.getOrders().add(this); } /== 생성 메소드 == / public static Order createOrder(Member member) { return Order.builder().member(member).build(); } } @Entity @Table(name = "order_item") @Getter public class Order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tem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주문 @Builder private OrderItem(Order order) { /== 연관관계 메소드 ==/ this.order = order; order.getOrderItems().add(this); } /== 생성 메소드 == / public static OrderItem createOrderItem(Order order) { return OrderItem.builder().order(order).build(); } } 제가 예제를 실무에서 setter를 제거하고 builder를 사용하는 방법인거처럼 생각하고 바꿔보았는데,연관관계 메소드를 저렇게 변경하는게 맞는방법인가요?@OneToMany를 가진엔티티에서 생성자에 아무것도 안해줘도 되는것인지?아니면 어떻게 setter를 제거하고 연관관계메소드를 정의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중복회원예외 test fail
안녕하세요 MemberServiceTest실행 도중에 계속 이러한 에러가 발생하여 질문 드립니다!제 memberservicetest 코드입니다감사합니다!import jpagroup.jpashop.domain.Member; import jpagroup.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junit.Assert; import org.junit.Test;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public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EntityManager em; @Test public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assertEquals(member, 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 @Test(expected = IllegalStateException.class) 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kim");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kim"); //when memberService.join(member1); try { memberService.join(member2); //예외가 발생해야 한다!!! } catch (IllegalStateException e) { System.out.println("test실패"); return; } //then Assert.fail("예외가 발생해야 한다.");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의존성 주입의 개념이 헷갈리는데
예전에 스프링 완전정복 로드맵 강의에서 의존성주입과 함께 @Autowired, @RequiredArgsconstrucor 등을 설명해주셨는데 오래돼서 그런지 개념이 헷갈리는데요어떤 강의를 봐야 이 부분을 확실하게 잡고 넘어갈 수 있을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rderQueryRepository를 따로 만드는 이유
controller가 repository를 참조하게 되어서라고 하셨는데 ㅌ제가 배경지식이 없어 ㅠㅠ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조금더 구체적으로 설명 가능할까요?왜 controller가 repository를 참조하게 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OrderQueryRepository를 따로 떼어내면 1번의 문제가 왜 해결되는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fail() 예외를 try -catch로 잡아도 에러 발생
예외를 try -catch로 잡아도 에러 발생하는데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20분경에
컨트롤러에서 엔티티를 생성하지 않고update 서비스를 만들어서변경할 값만 dto를 만들던지, 파라미터를 전달하여 서비스에서update를 하셨는데saveItem을 사용하면 merge가 돼서save를 사용하지 않고 update를 만들어서 변경감지를 사용한다는것까진 이해가 됐는데요update를 만들때 왜 꼭 dto를 만들거나 변경할 파라미터만 넘기는건지는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좀 더 명확하게 지정하여 유지보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함뿐인건가요? 그 외에 merge가 실행됐을때 같은 오류가 생기는건 아닌거죠??그렇게 웹사이트를 만들다보면 dto가 엄청 많이 만들어질거 같은데 그게 맞는건가요?저도 모르게 편의성을 위해 객체 자체를 넘길거 같아서 정확한 이유를 알기 위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과 상품(물품)의 관계
"주문" -"상품(물품)" 에서"주문"입장에서 1개의 주문에 여러가지 상품이 있을 수 있으니까 1:N 의 관계고 "상품"입장에선 1개의 상품이 여러가지 주문에 들어갈 수 있으니까 1:N, 서로 1:N 관계니까 다대다 관계 맞나요 ?근데 다대다 관계는 잘 사용하지 않으므로 "주문상품" 이라는 엔티티를 추가함으로서 "주문" - "주문상품" 1: N, "주문상품" - "상품(물품)" N:1 관계로 만들었다는건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mbeddable 클라스는 보통 마스터 테이블로 쓰이는건가요?
지속적인 추적이,,필요하지 않을땐 @Embeddable 쓰인다고 하는데 테이블의 대부분 데이터는 고정이고 가끔 한두개의 칼럼만 변경될떄 @Embeddable 쓰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안녕하세요.. 이때까지 강의 듣다 고민이 있어 질문드려봅니다..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jpa 강의를 들으면서 api 개발 고급 파트에 오니 나중에 뒤에 가면 갈수록 직접 api를 만들어 봐야, 언제 이걸 쓰는지 직접 상황을 맞닥뜨려봐야 진짜 공부가 되고 체득이 될것 같이 느껴집니다.제가 정확히 잘 몰라서 그런데 api를 실무에서 사용하는것이 다른 프론트나 어플 또는 다른 프로젝트(같은 프로젝트 안에서라도) 끼리 api를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그런데 개인적으로 학습하고 만들어 보는데 있어서, api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나 다른 방법이 어떤게 있을지 궁금합니다. 답변자님은 api 학습을 어떻게 하셨는지.. 어떤 방법이 효과적이였는지 궁금합니다.또한 api를 현재 내보내는 방식을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데, 다른 외부 api를 가져와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것을 학습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조금 과한 질문일수도 있으나, 다소 막막해서 여쭤봅니다..항상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DTO는 목적마다 여러개 생성해서 사용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DTO관련해서 의문점이 하나 생겨서 문의드립니다.API Controller에서 요청 데이터를 받는 것도 DTO, 응답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것도 DTO를 사용하라고 하셨는데, 데이터 조회에도 DTO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셨습니다.그럼 DTO를 목적마다 다 생성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은 설계인건가요?? 아니면, 이용하는 필드가 같은 경우,~ 예를 들어 "DB조회에 이름, 나이 조회" & "요청 데이터에 이름, 나이 입력" 인경우 ~에는 DTO를 공용으로 사용하는걸까요? DTO를 언제, 어떻게 만들어서 사용해야 할지 잘 감이 안옵니다 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따라하다가 생긴 의문점인데요.
엔티티에 생성하는 비즈니스 로직서비스에 생성하는 로직리포지토리에 생성하는 로직에 대한 개념을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보면서 정리 해보고 있긴한데현재 이해한 방식은 이렇습니다.db에 직접 조회하는 로직, 가장 작은 단위의 로직은 repository에 생성서비스에선 여러가지 기능을 생성하는데기능 생성하면서 repository에 있는 기능만으로는 불가능하고 추가 로직이 필요할 때 엔티티에 기능을 생성하는건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연관관계
OneToMany 관계에서는 Many 가 연관관계의 주인이기 때문에 Many가 저장을 해야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요. 실무에서는 One에 외래키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ㅠ 이 경우에는 One, Many 각각의 repository에서 save 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One에서 Cascade를 사용해서 Many를 저장하는 방향도 괜찮을지 질문드립니다! 예로 one은 자동차 상태이고 many는 자동차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상태 이력을 저장하는 케이스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사님의 스프링과 jpa 강의를 듣고 프로젝트를 만드는 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따로 좋아요 기능을 추가해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 중인데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likeApiController' defined in file [/Users/gimnayeon/Desktop/GreenProject/GrinGreen/out/production/classes/com/grin/GrinGreen/api/LikeApiController.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likeService' defined in file [/Users/gimnayeon/Desktop/GreenProject/GrinGreen/out/production/classes/com/grin/GrinGreen/service/LikeService.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likeRepository' defined in com.grin.GrinGreen.repository.Like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QueryCreationException: Could not create query for public abstract java.util.Optional com.grin.GrinGreen.repository.LikeRepository.findBybusiness(com.grin.GrinGreen.domain.Member,com.grin.GrinGreen.domain.Business)! Reas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java.util.Optional com.grin.GrinGreen.repository.LikeRepository.findBybusiness(com.grin.GrinGreen.domain.Member,com.grin.GrinGreen.domain.Business)! At least 2 parameter(s) provided but only 1 parameter(s) present in query.;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ailed to create query for method public abstract java.util.Optional com.grin.GrinGreen.repository.LikeRepository.findBybusiness(com.grin.GrinGreen.domain.Member,com.grin.GrinGreen.domain.Business)! At least 2 parameter(s) provided but only 1 parameter(s) present in query. 라는 오류가 뜹니다. LikeRepository@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interface Like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Like, Long> { Optional<Integer> countBybusiness(Business business); Optional<Like> findBybusiness(Member member, Business business); }business entity@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ail")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business", cascade = CascadeType.ALL) Set<Like> likes = new HashSet<>();member entity@OneToMany(mappedBy = "memb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Business> business = new ArrayList<>(); @OneToMany(mappedBy = "member", cascade = CascadeType.ALL) Set<Like> likes = new HashSet<>();like entity@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like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Member member;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Business business; public Like(Business business, Member member) { this.business = business; this.member = member; } 처음에는 jparepository에서 findBy 이후 대문자를 쓴 게 문제였나 싶어 수정을 했지만 아니었고파라미터의 Id처럼 대문자로 쓰여진 게 문제인가 봤지만 해당 사항이 없었습니다..아무리 강의를 돌려봐도 감이 안 잡히는 데 어디 부분의 문제일까요?ㅠㅠ파라메터 값이 2개인데 1개만 받아졌다는 오류인 것도 같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ScriptDatabaseInitializer' 에러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ScriptDatabaseInitializer'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ql/init/DataSourceInitializationConfiguration.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method 'dataSourceScriptDatabaseInitialize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Configuration$Hikari.class]: Bean instantiation via factory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BeanInstantiationException: Failed to instantiate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Factory method 'dataSource' threw exception;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Cannot load driver class: org.h2.Driver라는 에러가 나옵니다.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에 @Getter가 필요한 이유
OrderDto, OrderItemDto 같은 DTO에 @Getter 가 필요한 이유가 궁금합니다.또, 요청을 받는 DTO는 요청 받을 필드만 선언하면 되고, 응답용 DTO는 응답하고 싶은 필드만 정의 하여 생성자를 만들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4RepositorySupport에 @Repository와 @Autowired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궁금한 점이 있습니다.Querydsl4RepositorySupport는 abstract class인데 왜 @Repository를 붙이는건가요? 실체 구체화할 부모 클래스에 @Repository를 붙이면 되는것 아닌가요? Querydsl4RepositorySupport는 abstract class라 객체로 생성이 안되는데 빈으로 등록이 가능한가요?이어서 setEntityManager에 @Autowired를 붙임으로써 의존성을 주입하고 있습니다. 그때에 entityManager라는 빈을 등록해주겠죠. 그런데 setEntityManager는 언제, 누가 호출하게 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sh 실행이 안되네요
1:07분에서 하는 것처럼 똑같이 해서터미널로 들어가서 bin폴더까지 접근해서거기서 cat h2.sh를 하면 영상처럼 똑같이 나옵니다.그래서 다음 단계인 ./h2.sh를 했는데permission denied라는 문구가 출력됩니다.그래서 sudo ./h2.sh를 할 경우 sudo: ./h2.sh: command not found 라는 문구가 출력됩니다.h2-1.4.199.jar h2.bat h2.sh h2w.bat a@aui-iMac bin % cat h2.sh #!/bin/sh dir=$(dirname "$0") java -cp "$dir/h2-1.4.199.jar:$H2DRIVERS:$CLASSPATH" org.h2.tools.Console "$@" a@aui-iMac bin % ./h2.sh zsh: permission denied: ./h2.sh a@aui-iMac bin % sudo ./h2.sh Password: sudo: ./h2.sh: command not found혹시 이럴때는 어떻게 해결해야 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에서 orderItem
주문하는 메서드에서 주문상품을 생성하는데 여러개의 상품을 주문할 때도 가능한 건가요?? 그럼 itemId가 여러 개 있어야 하는 건 아닌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