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코드 효율성 질문드려요
http://boj.kr/2711088b44d64f2ca315c5f8d4e2f5c8 이런 코드로 작성해도 효율적인가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문제 번호 변경
포켓몬스터 이다솜은 1165에서 1620으로 변경된 거 같아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쇼핑몰 사이트 만들기[전체 리뉴얼]
is defined but never used 에러가 발생해요ㅠㅠ
[plugin:vite-plugin-eslint] /Users/--/Desktop/fullstack-app/frontend/src/layout/Footer/index.jsx 1:8 error 'React' is defined but never used no-unused-vars ✖ 1 problem (1 error, 0 warnings) 라는 에러가 계속 발생하여 구글링해서main.jsx 첫번째 줄에import React from 'react' //eslint-disable-line no-unused-vars 과 같이 주석을 달았는데도 오류가 해결이 안되어서 질문 올립니다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request.attribute 에 null 만 나옵니다
package hello.exception.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Slf4j @Controller public class ErrorPageController { //RequestDispatcher 상수로 정의되어 있음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EXCEPTION = "jakarta.servlet.error.exception";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EXCEPTION_TYPE = "jakarta.servlet.error.exception_type";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MESSAGE = "jakarta.servlet.error.message";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REQUEST_URI = "jakarta.servlet.error.request_uri";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SERVLET_NAME = "jakarta.servlet.error.servlet_name";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STATUS_CODE = "jakarta.servlet.error.status_code"; @RequestMapping("/error-page/404") public String errorPage404(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log.info("errorPage 404"); printErrorInfo(request); return "error-page/404"; } @RequestMapping("/error-page/500") public String errorPage500(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log.info("errorPage 500"); printErrorInfo(request); return "error-page/500"; } private void printErrorInfo(HttpServletRequest request) { log.info("ERROR_EXCEPTION: ex=", request.getAttribute(ERROR_EXCEPTION)); log.info("ERROR_EXCEPTION_TYPE: {}", request.getAttribute(ERROR_EXCEPTION_TYPE)); log.info("ERROR_MESSAGE: {}", request.getAttribute(ERROR_MESSAGE)); // ex의 경우 NestedServletException 스프링이 한번 감싸서 반환 log.info("ERROR_REQUEST_URI: {}", request.getAttribute(ERROR_REQUEST_URI)); log.info("ERROR_SERVLET_NAME: {}", request.getAttribute(ERROR_SERVLET_NAME)); log.info("ERROR_STATUS_CODE: {}", request.getAttribute(ERROR_STATUS_CODE)); log.info("dispatchType={}", request.getDispatcherType()); } }2023-08-13T23:49:48.327+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errorPage 500 2023-08-13T23:49:48.327+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ERROR_EXCEPTION: ex= 2023-08-13T23:49:48.327+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ERROR_EXCEPTION_TYPE: null 2023-08-13T23:49:48.328+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ERROR_MESSAGE: null 2023-08-13T23:49:48.328+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ERROR_REQUEST_URI: null 2023-08-13T23:49:48.328+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ERROR_SERVLET_NAME: null 2023-08-13T23:49:48.328+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ERROR_STATUS_CODE: null 2023-08-13T23:49:48.328+09:00 INFO 11300 --- [nio-8080-exec-6] h.exception.servlet.ErrorPageController : dispatchType=REQUEST// WebServerCustomizer package hello.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er.ConfigurableWebServ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er.ErrorPag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er.WebServerFactoryCustomizer;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WebServerCustomizer implements WebServerFactoryCustomizer<ConfigurableWebServerFactory> { @Override public void customize(ConfigurableWebServerFactory factory) { ErrorPage errorPage404 = new ErrorPage(HttpStatus.NOT_FOUND, "/error-page/404"); ErrorPage errorPage500 = new ErrorPage(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error-page/500"); ErrorPage errorPageEx = new ErrorPage(RuntimeException.class, "/error-page/500"); factory.addErrorPages(errorPage404, errorPage500, errorPageEx); } }// ServerExController package hello.exception.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java.io.IOException; @Slf4j @Controller public class ServletExContoller { // Exception (예외) @GetMapping("/error-ex") public void errorEx() { throw new RuntimeException("예외 발생!"); // HTTP Status 500 – Internal Server Error 발생 } // response.sendError(HTTP 상태 코드, 오류 메시지) @GetMapping("/error-404") public void error404(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sendError(404, "404 오류!"); } @GetMapping("/error-500") public void error500(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sendError(500); } }스프링부트 3.1.2 버젼으로 생성해서 String 상수의 "javax"를 "jakarta"로 변경한 것 외엔 강의에서 사용된 코드와 동일하게 작성하였습니다.그런데 /error-ex 로 접속할땐 상수값에 담긴 정보가 정상적으로 나오지만 /error-page/500, /error-page/404 로 접속하면 상수에 담긴 정보가 모두 null 로 나옵니다./error-page/500, /error-page/404 로 접속할땐 request.getAttribute() 에 아예 값이 안들어가는 것 같은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iocp 질문
iocp 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메인 쓰레드에서 CreateIoCompletionPort 함수로 cp 에 소켓을 넣고 WSARecv 를 해주면 그 다음부터는 다른 쓰레드에서 WSARecv를 해줘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그 소켓은 cp 에 게속 있으면서 이벤트를 받는건가요?
-
미해결MERN STACK 커뮤니티 : 시작부터 배포까지 알려주는 React
마지막에 "" 로 채워주는 이유가 있을까요?
마지막에 setContent("")로 해주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MERN STACK 커뮤니티 : 시작부터 배포까지 알려주는 React
React-router-dom을 설치하고 react app이 크롬에서 실행되지 않습니다.
똑같은 버전 설치하고, 코딩을 따라서 입력했는데 BrowserRouter을 사용한 후로 크롭에서 실행되지 않습니다.해결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기본편
네이버 쇼핑 검색 input type text 클릭 안되는 부분
강의에서는 네이버 -> 쇼핑 버튼 클릭 시 현재 창이 네이버 쇼핑으로 전환되어 예제가 정상 동작하고 있었습니다.현재 시점에서 네이버 -> 쇼핑 버튼 클릭 시 새 탭이 생기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습니다.https://www.naver.com 이 실행되어있는 첫번째 탭에서 두번째 탭에 있는(네이버 쇼핑) input type text에 해당하는 selector를 검색하고 있으니 어떤 동작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해당 소스 내에서 활성화된 탭을 마지막 탭으로 이동시키는 소스를 집어넣으면 나머지 뒷 부분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 같습니다.강의 들으시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해결됨유니티 머신러닝 에이전트 완전정복 (기초편)
Start와 awake 함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스크립트 설명 강의에서 Start와 awake 함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ElasticSearch Essential
레플리카 샤드에 대해
6, 7강을 듣고 의문점이 있는데요."number_of_replicas"를 2 이상으로 설정하고 노는 데이터 노드가 없는 상태라면 각 노드에 여러 개의 replica 샤드가 있는 상태가 되나요? 만약 그렇다면 이는 비효율적이라 생각하는데 어떻게 처리하나요?모든 노드가 색인과 검색을 처리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각 노드에 primary, replica shard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 좋다는걸 의미하나요? 아니면 클러스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각 노드에 적어도 하나의 shard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나요?데이터 노드를 늘리고 number_of_replicas를 늘리면 7-12페이지 처럼 남는 노드에 replica 샤드가 들어가는 건 정해진 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프로메테우스에서 Tomcat Threads 메트릭 안보일 때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7572370/monitoring-springboot-2-0-tomcat-server-thread-utilization application.yml 아래처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server: tomcat: mbeanregistry: enabled: true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iew와 ReturnValueHandler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저희가 handler를 통해 ModelAndView를 반환한다고 배웠잖아요. 그러면 ReturnValueHandler를 거치는 것은 결국 최종적으로 ModelAndView가 되기 위한 어댑팅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아니면 그 상위에 있는 무언가..?결국 view를 처리하기 위한 무언가가 되어야 하는데, 그러니까 결국엔 view를 처리할 수 있는 무언가가 되는건가요?그럼 또 view에서도 어댑팅으로 처리하게 되는건가요?이게 viewResolver의 과정..이겠죠?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현재 깃허브는 셋팅이 완료되있는 상태인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름 아니라 현재 세팅하기 부분 강의 듣고있는데,화면과 다른게 제가 클론해온 파일은 alecture 폴더에 셋팅이 다 완료되어있는것같아서 문의드립니다.https://github.com/zerocho/sleact/tree/master여기서 클론 해왔구요그러면 현재 셋팅하는 강의는 다 건너뛰고 바로 회원가입 파트로 넘어가면 되는지요?
-
미해결[유니티 3D] 실전! 생존게임 만들기 - Advanced
navigation bake한 후 오류
navigation bake한 후에 돼지를 때리는데 돼지를 raycast의 hitinfo로 가져오지 못하네요 왜 그런 걸까요?closeWeaponController의 CheckObject()메소드입니다layerMask에는 player랑 ignoreRaycast만 체크해제 되어 있어요 protected bool CheckObject() { if (Physics.Raycast(transform.position, transform.forward, out hitInfo, currentCloseWeapon.range, layerMask)) { Debug.DrawRay(transform.position, transform.forward * 15, Color.red); Debug.Log("raycast 체크 오브젝트" + hitInfo.transform.name); return true; } return false;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git Repository 주소를 제 Repository 주소로 바꿔야 하나요 ?,자동 build 실패
자동 build에 실패 했습니다 git Repository 주소를 제 Repository 주소로 바꿔야 하나요 ?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안녕하십니까 큰돌선생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가장 미래에 참조되는 것을 빼야한다고 하셨는데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ㅠㅠ 혹시 테스트 케이스로 예시를 보여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Bloc 응용] 실전 앱 만들기 (책 리뷰 앱) : SNS 로그인, Firebase 적용, Bloc 상태 관리, GoRouter
개남님 초기 페이지 연결하기 부분 질문입니다!
개남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현재 초기 페이지 연결하기까지 진행했습니다. 조금 오류가 있는 것 같은데 순수하게 궁금해서 여쭙니다! main.dart에서 AppDataLoadCubit을 lazy:false로 뒀잖아요? 그럼 앱을 처음 다운 받았을 때 init page가 보여지고 lazy가 false이기 때문에 스플래시 화면에 도달하기 전 이미 데이터를 로드해서,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스플래시 화면에 도달했을 때면, 바로 로그인 체크 중 입니다..가 보여야 하는 것 아닌가요?? 제 에뮬레이터에는 데이터 로드 중 입니다..가 보이길래 영상을 다시 돌려봤는데 개남님도 같은 현상이십니다. 그리고 시작하기 버튼을 통해 init -> splash에 도달했을 때 새로고침하지 않으면 데이터 로드 중 입니다..에서 로그인 확인 중 입니다..로 바뀌지 않습니다. 단순 오류인가 해서 앱을 지워 hydrated bloc을 초기화하고 다시 확인해 보았지만 같은 현상이 일어납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ubuntu 에서 새로운 verilog 타이핑을 세팅하는 법
=================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해당 강의 5:57초 와 같은 화면을 생성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예를 들어 cd chapter_1 을 하고나면 vi로 열 수 있는 파일이 tb_clock_generator인데, 이 것을 열면 이미 모든 정답 코드가 작성되어있어서요.전 직접 작성해보고싶은데, 5:57과 같이 기본적인 Verilog 포맷(////와 함께 timescale이 입력되어있는 상황)을 시작하는 방법이 뭔가요?또한 꼭 verilog포맷이 아니더라도 그냥 아무때나 빨리 새로운 메모장을 열고싶을 때의 단축키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장고 설계철학으로 시작하는 파이썬 장고 입문
파이참에서 db.sqlite3에서 main에 테이블 안 나옴
파이참 프로페셔널 버전 사용하고 있습니다.강의 내용 하나씩 따라가면서 진행하고 있는데venv로 migrate도 정상적으로 되었구요, db.sqlite3 더블 클릭하여 설정까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데,데이터베이스 탭에서 db -> main 을 클릭하면 auth_group같은 테이블이 나와야 할텐데 이 테이블이 나오질 않네요.심지어 db콘솔에 "select * from auth_user;"라고 작성했을 때 파이참이 auth_user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을까요? 의심할만한 부분이 있을까요?같은 증상 겪어보신 분들 있나요?
-
미해결윤재성의 Kotlin 기반 안드로이드 앱 개발 Part2 - 메뉴와 4대 구성요소
29강 예제 질문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강의 수강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app1과 app2를 강사님께서 강의해주신대로 진행해 봤지만app2의 버튼을 눌렀을 때 app2에서는 토스트 메시지가 나오지 않습니다그렇다고 TestReceiver.kt 에 접근을 못하는가 싶어서 Log.d("test", "br 확인")을 통해 확인해보니 app2의 버튼을 눌렀을 때 Log가 찍힙니다app1 에서는 버튼을 눌렀을 때 토스트 메시지가 나오는데 app2 에서는 토스트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기기는 갤럭시 21이고요, SDK는 31 이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그리고 OS는 13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