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기한 연장 문의 드립니다.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상반기 취업준비 때문에, 강의 수강기한이 이번달이라는 걸 까먹고 있었네요 ㅠㅠ혹시 수강기한 연장 가능하시다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6-6강 질문
안녕하세요! 카일님. 주말이나 휴일에 틈틈이 카일님 강의 수강 중입니다 ㅎㅎ 강의 내용이 알찬 게 많아서 도움이 정말 많이 되네요 ㅎㅎFoodie Express의 새 기능 로그 설계 파트에서 궁금증이 생겨 댓글을 남기게 되었는데요,CTR과 CVR을 메인 지표로 로그설계를 하고, 차후에 해당 지표들을 분석할 때, CTR의 경우는 '높다', '낮다'를 어떻게 판단하나요?CVR의 경우는, 이전 결제 전환율을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 CTR의 경우 이전에 없던 기능이다 보니, 클릭율이 5%라고 하면, 그게 높은 건지 낮은 건지 그 기준을 어떻게 판단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편하실 때 답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
자바스크립트 진짜 기초 질문..
알고리즘 문제 푸는데 질문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ㅠ우선 진짜 기초적인 질문이라.. 어이없을 수도 있지만 궁금해서 여쭈어보아요두 번째 코드 줄에서 let sum을 통해 sum을 0으로 변수로 지정해줘야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그리고 function함수를 사용하면 return함수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지만 값이 반환되는걸까요?미리 감사합니다..ㅠ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C 복습 !
안녕하십니까 큰돌님복습하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안전영역 최대값을 구하기 위해 ret 을 1로 초기화하는데3중 반복문의 첫 번째 for문이 무조건 1부터 100까지 돌면서 잠기지 않는 지역이 있을 수 있어도(이때, 최소값은 1)영역 높이가 최대 100이고 반복문 d값이 100까지 가면 결국 마지막에 100 이하의 높이인 영역은 잠기므로 무조건 최소값은 0으로 되는 거 아닌가요 ?? 그래서 ret 을 0으로 초기화 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뭔가 어렵네요ㅜ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쿼드트리 메모리 초과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ㅎㅎ맞은 코드 : http://boj.kr/1b7e6a102d7a4a3893e9e95d35517735틀린 코드 (메모리 초과) : http://boj.kr/8e21367e52314b8585922b74a0fabad8둘의 차이는 재귀함수의 기저사례만 다릅니다. 하지만 둘의 차이가 왜 메모리 초과를 발생시키는지는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b1 - 트랜잭션 매니저 강의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트랜잭션 매니저 관련 강의를 듣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private final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이렇게 해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주입받는다고 했는데 이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된것도 아닌데 어떻게 주입받는건가요??
-
해결됨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sonarQube강의가 안 보여요
실습26) Jenkins를 이용하여 Ansible 서버에 배포하기 순서상으로 이 강의 다음에 보여야되는데 강의가 안 보이는데어떤 강의를 수강해야될까요?aws로 sonarQube를 실행하는 강의를 듣고 싶은데 ㅠ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L 주몽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변수 선언하는데 있어서 main위에 선언하는 것과 main안에서 선언하는게 무슨 차이가 있나요??int n, m, num[15001], cnt;해당 부분을 main 안에서 선언한 경우 틀렸다고 나오고, main위에다가 선언해야 맞았다고 나오는데, 그 차이를 이해하기 어려워서요!확인부탁드립니다.http://boj.kr/0068cf0a6ca54091a5b44ac723c2ff4d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깃주소
깃주소 알려주세요, 뭐 다 들어야 깃 주소를 아는건지 왜 찾을수가 없나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1-10 가장 짧은 문자거리 문제에서 어디가 틀린걸까요?
강사님이 설명해주신 방법이랑 조금 다르게 풀었는데, 계속 오답이 나와서 문의드립니다.어느 부분이 틀린 건지 못찾겠습니다도와주세요..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tr, char c){ int tmp=0; int[] answer = new int[str.length()]; for(int i=0; i<str.length(); i++) { if(str.charAt(i)!=c) { tmp++; } else { tmp=0; } answer[i] = tmp; } for(int i=0; i<answer.length-1; i++) { if(answer[i]!=0 && answer[i+1]==0) { int arrayTmp = answer[i]; for(int j=0 ; j<arrayTmp/2 ; j++) { answer[i-j] = 1 + j; }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scanner.next(); char c =scanner.next().charAt(0); for(int a : T.solution(str, c)) { System.out.print(a+ " "); } }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inputStream.close() 작성 하여도 UncheckedIOException 에러 발생
다른 분들이 올리신 글 보고 inputStream.close()를 추가해주었는데도 UncheckedIOException 에러가 발생합니다. 버전문제일까요..?현재 사용중인 버전은 2.7.14 입니다.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SpinLock 구현 과정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SpinLock 에 사용되는 특의 함수,atomic 키워드와compare_exchange_strong() 메소드를 쓰면서 구현을 하는 과정에 대해서 들었는데,의문점이void Add(), Sud() 메소드에순서상의 lock_guard() 를 먼저 실행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thread1,thread2두 개의 쓰레드가 하나의 locked 부울 데이터를 공유한 상태에서 동시에 lock_guard() 를 할 수 있는 경우에서 locked 부울을 동시 접근하는 경우도 있겟지만,=> 이러면 deadlock 이 발생하겠죠.같은 말로,thread t1(Add);thread t2(Add);같은 경우도 위에 deadlock 발생하는 같은 이치라고 보시면 될꺼 같습니다.결국에는 locked 부울 데이터를 공통적으로 사용한다는 부분에서 생기는 문제니까요.즉, thread 1 또는 thread 2 가 동시적으로 접근하지 않는 이상 deadlock 은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며,add 메소드에서 lock_guard() 를 했기에, 모든 작업을 다 끝내고 그 다음 add() 메소드를 실행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하지만 main 에서 Add(), Sub() 를 순차적으로 실행했기에 Add() 에 먼저 thread1, thread2 가 동시에 수행을 한다해도 결국에는 Add() 메소드에서 lock_guard 를 둘 중 하나가 먼저 수행하기 때문에 Add() 메소드를 먼저 접하는 thread 가 수행을 하고,그 뒤의 Sub() 메소드 또한 실행을 하지만,이 또한 thread 1 또는 thread 2 둘 중 하나가 lock_guard() 를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스레드가 _locked 부울에 접근을 하지 못하는 이유로 deadlock 이 발생하지 않고 원하는 값이 출력되지 않을까 생각했고, 실제로도 0 값이 나오기는 했습니다.좀 더 정확하게는,멀티스레드가 순차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동시 다발적으로 실행이 된다면 종류는 아마,1. A thread Add() 실행B thread Sub() 실행 2. B thread Sub() 실행A thread Add() 실행3. A, B thread Add(), Sub() 동시 실행같은 경우의 수가 더 있을 수도 있지만 현재는 여기 까지 밖에 볼 수 없었습니다.만약 main() 함수에서 3번 경우에서 두 메소드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처리를 수행한다면 deadlock 이 테스트를 하면서 운이 좋게 안 뜬걸로 볼 수있지만,순차적으로 Add() -> Sub() 식이라면, 즉 1번 경우라면 SpinLock 을 처음 방식처럼 구현하는 상태에서,lock_guard() 메소드를 순서를 바꿔서 처리하는 방법도 옳은 방법으로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int32 sum;class SpinLock{public:void lock(){ while (_locked){}_locked = true;}void unlock(){_locked = false;}private:bool _locked = false;};void Add(){lock_guard<SpinLock> guard(spinLock);for (int32 i = 0; i < 10'000; ++i){sum++;}}void Sub(){lock_guard<SpinLock> guard(spinLock);for (int32 i = 0; i < 10'000; ++i){sum--;}}void main(){thread t1(Add);thread t2(Sub);t1.join();t2.join();cout << sum << endl;}.. 생략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itemName에 null
public class ServletUploadControllerV2 { @Value("${file.dir}") private String fileDir; @GetMapping("/upload") public String newFile() { return "upload-form"; } @PostMapping("/upload") public String saveFileV1(HttpServletRequest request)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log.info("request={}", request); String itemName = request.getParameter("itemName"); log.info("itemName={}", itemName); Collection<Part> parts = request.getParts(); log.info("parts={}", parts); for (Part part : parts) { log.info("==== PART ===="); log.info("name={}", part.getName()); Collection<String> headerNames = part.getHeaderNames(); for (String headerName : headerNames) { log.info("header {}: {}", headerName, part.getHeader(headerName)); } //편의 메서드 //content-disposition; filename log.info("submittedFileName={}", part.getSubmittedFileName()); log.info("size={}", part.getSize()); //part body size //데이터 읽기 InputStream inputStream = part.getInputStream(); String body = StreamUtils.copyToString(inputStream, StandardCharsets.UTF_8); log.info("body={}", body); //파일에 저장하기 if (StringUtils.hasText(part.getSubmittedFileName())) { String fullPath = fileDir + part.getSubmittedFileName(); log.info("파일 저장 fullPath={}", fullPath); part.write(fullPath); } } return "upload-form"; } } <로그>2023-08-15 18:53:08.744 INFO 11860 --- [nio-8081-exec-7] h.u.c.ServletUploadControllerV2 : request=org.apache.catalina.connector.RequestFacade@46f8d0d2023-08-15 18:53:08.744 INFO 11860 --- [nio-8081-exec-7] h.u.c.ServletUploadControllerV2 : itemName=null2023-08-15 18:53:08.744 INFO 11860 --- [nio-8081-exec-7] h.u.c.ServletUploadControllerV2 : parts=[]2023-08-15 18:53:08.747 DEBUG 11860 --- [nio-8081-exec-7] o.a.coyote.http11.Http11InputBuffer : Before fill(): parsingHeader: [true], parsingRequestLine: [true], parsingRequestLinePhase: [0], parsingRequestLineStart: [0], byteBuffer.position(): [0], byteBuffer.limit(): [0], end: [926]2023-08-15 18:53:08.747 DEBUG 11860 --- [nio-8081-exec-7] o.a.coyote.http11.Http11InputBuffer : Received []2023-08-15 18:53:08.747 DEBUG 11860 --- [nio-8081-exec-7]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Socke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7e5a37d:org.apache.tomcat.util.net.NioChannel@72e2ee37:java.nio.channels.SocketChannel[connected local=/0:0:0:0:0:0:0:1:8081 remote=/0:0:0:0:0:0:0:1:50696]], Status in: [OPEN_READ], State out: [OPEN]2023-08-15 18:53:16.474 DEBUG 11860 --- [nio-8081-exec-8] o.a.coyote.http11.Http11InputBuffer : Before fill(): parsingHeader: [true], parsingRequestLine: [true], parsingRequestLinePhase: [0], parsingRequestLineStart: [0], byteBuffer.position(): [0], byteBuffer.limit(): [0], end: [926]2023-08-15 18:53:16.474 DEBUG 11860 --- [nio-8081-exec-9] o.a.coyote.http11.Http11InputBuffer : Before fill(): parsingHeader: [true], parsingRequestLine: [true], parsingRequestLinePhase: [0], parsingRequestLineStart: [0], byteBuffer.position(): [0], byteBuffer.limit(): [0], end: [0]2023-08-15 18:53:16.474 DEBUG 11860 --- [nio-8081-exec-8]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Error parsing HTTP request headerjava.io.EOFException: null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fillReadBuffer(NioEndpoint.java:1347)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read(NioEndpoint.java:1234)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fill(Http11InputBuffer.java:785)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parseRequestLine(Http11InputBuffer.java:348)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service(Http11Processor.java:2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cessorLight.process(AbstractProcessorLight.java: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ConnectionHandler.process(AbstractProtocol.java:926)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SocketProcessor.doRun(NioEndpoint.java:17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SocketProcessorBase.run(SocketProcessorBase.java:52)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59)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askThread$WrappingRunnable.run(TaskThread.java:6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na:na]2023-08-15 18:53:16.474 DEBUG 11860 --- [nio-8081-exec-9]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Error parsing HTTP request headerjava.io.EOFException: null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fillReadBuffer(NioEndpoint.java:1347)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read(NioEndpoint.java:1234)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fill(Http11InputBuffer.java:785)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parseRequestLine(Http11InputBuffer.java:348)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service(Http11Processor.java:2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cessorLight.process(AbstractProcessorLight.java: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ConnectionHandler.process(AbstractProtocol.java:926)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SocketProcessor.doRun(NioEndpoint.java:17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SocketProcessorBase.run(SocketProcessorBase.java:52)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59)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askThread$WrappingRunnable.run(TaskThread.java:6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na:na]2023-08-15 18:53:16.474 DEBUG 11860 --- [nio-8081-exec-8]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Error state [CLOSE_CONNECTION_NOW] reported while processing requestjava.io.EOFException: null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fillReadBuffer(NioEndpoint.java:1347)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read(NioEndpoint.java:1234)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fill(Http11InputBuffer.java:785)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parseRequestLine(Http11InputBuffer.java:348)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service(Http11Processor.java:2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cessorLight.process(AbstractProcessorLight.java: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ConnectionHandler.process(AbstractProtocol.java:926)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SocketProcessor.doRun(NioEndpoint.java:17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SocketProcessorBase.run(SocketProcessorBase.java:52)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59)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askThread$WrappingRunnable.run(TaskThread.java:6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na:na]2023-08-15 18:53:16.474 DEBUG 11860 --- [nio-8081-exec-8]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Socke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45100ea6:org.apache.tomcat.util.net.NioChannel@3f9eb895:java.nio.channels.SocketChannel[connected local=/0:0:0:0:0:0:0:1:8081 remote=/0:0:0:0:0:0:0:1:50697]], Status in: [OPEN_READ], State out: [CLOSED]2023-08-15 18:53:16.474 DEBUG 11860 --- [nio-8081-exec-9]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Error state [CLOSE_CONNECTION_NOW] reported while processing requestjava.io.EOFException: null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fillReadBuffer(NioEndpoint.java:1347)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read(NioEndpoint.java:1234)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fill(Http11InputBuffer.java:785)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InputBuffer.parseRequestLine(Http11InputBuffer.java:348)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service(Http11Processor.java:2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cessorLight.process(AbstractProcessorLight.java:63)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ConnectionHandler.process(AbstractProtocol.java:926)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SocketProcessor.doRun(NioEndpoint.java:17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net.SocketProcessorBase.run(SocketProcessorBase.java:52)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9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59)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askThread$WrappingRunnable.run(TaskThread.java:61) ~[tomcat-embed-core-9.0.78.jar:9.0.78]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na:na]2023-08-15 18:53:16.475 DEBUG 11860 --- [nio-8081-exec-9]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Socke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NioSocketWrapper@7e5a37d:org.apache.tomcat.util.net.NioChannel@72e2ee37:java.nio.channels.SocketChannel[connected local=/0:0:0:0:0:0:0:1:8081 remote=/0:0:0:0:0:0:0:1:50696]], Status in: [OPEN_READ], State out: [CLOSED] itemName에서부터 null이 들어가서 오류가 나는 것 같은데 강사님 소스 그대로 붙여넣기 해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ㅠㅠitemName 파라미터를 왜 못 가져올까요,,
-
미해결
DOOD방식으로 가동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WIN에서 세가지 이미지 모두가 가동이 안되어서 DOCKER OUT OF DOCKER방식으로 가동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미해결실습으로 끝장내는 웹 크롤링과 웹 페이지 자동화 & 실전 활용
네이버 view탭 검색 결과 크롤링 2, 3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질문이 있어서 남기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질문: 네이버 view탭 검색 결과 크롤링 2를 완료한 이후 아래 코드 실행 후 손흥민을 검색했는데 검색결과가 30개가 아닌 7개가 출력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슈 때문인지 네이버 view탭 검색 결과 크롤링 3 강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습니다.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 beautiful soup 라이브러리 import base_url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 keyword = input("검색어를 입력하세요 : ") url = base_url + keyword print(url) headers = { "User-Agent"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15.0.0.0 Safari/537.36" } # dictionary req = requests.get(url, headers = headers) # GET 방식으로 naver에 요청 html = req.text # 요청을 하여 html을 받아옴 soup = BeautifulSoup(html, "html.parser") # html을 html.parser로 분석(클래스를 통한 객체 생성) total_area = soup.select(".total_area") timeline_area = soup.select(".timeline_area") if total_area: areas = total_area elif timeline_area: areas = timeline_area else: print("class 확인 요망") for area in areas: title = area.select_one(".api_txt_lines.total_tit") name = area.select_one(".sub_txt.sub_name") print(name.text) print(title.text) print(title["href"]) print() print(len(areas)) 두 번째 질문: 네이버 view탭 검색 결과 크롤링 3을 진행하면서 아래 코드처럼 작성하고 손흥민을 검색했을 때 NoneType 오류가 발생합니다. 첫 번째 질문의 이슈로 인해 그런 것인가요? .total_wrap.api_ani_send 클래스가 브라우저 상에서는 30개가 잘 나오는데 제대로 안 받아와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python_web_crawling\01_4_naver.py", line 30, in <module> print(title.text) ^^^^^^^^^^ AttributeError: 'NoneType' object has no attribute 'text' 아래는 코드입니다.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 beautiful soup 라이브러리 import base_url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 keyword = input("검색어를 입력하세요 : ") url = base_url + keyword print(url) headers = { "User-Agent"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15.0.0.0 Safari/537.36" } # dictionary req = requests.get(url, headers = headers) # GET 방식으로 naver에 요청 html = req.text # 요청을 하여 html을 받아옴 soup = BeautifulSoup(html, "html.parser") # html을 html.parser로 분석(클래스를 통한 객체 생성) items = soup.select(".total_wrap.api_ani_send") for area in items: # ad = area.select_one(".link_ad") # if ad: # print("광고입니다.") # continue title = area.select_one(".api_txt_lines.total_tit") name = area.select_one(".sub_txt.sub_name") print(title.text) print(name.text) # print(title["href"]) print() #print(len(item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Sequence 전략에서 Sequence정보를 어디에 저장하나요?
처음에는 MEMBER_SEQ를 영속성 컨텍스트의 어딘가... 에 저장할거 라고 생각했는데영속성 컨텍스트는 트랜잭션이 커밋될때 같이 종료되기 때문에, 그렇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이면 트랜잭션마다 AllocationSize만큼의 빈 공간이 생기는 사태가 발생하니까요그냥 JPA 내부 Entity의 정보를 저장하는 어딘가에 MEMBER_SEQ도 저장되고, 'call next value for MEMBER_SEQ' 를 호출할 때 마다 같이 수정된다고 보면 되나요?
-
해결됨실제 이력서 사례로 알아보는 [합격하는 이력서] 작성 가이드
혼자하는 퇴고 체크리스트 자료 어디서 받나요?
알차고 좋은 내용의 강의 감사합니다. 혼자하는 퇴고 체크리스트 자료가 어디서 받는지 모르겠네요... 혹시 빠진 것은 아닌지 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EBS 다중 연결에 대한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 EBS 다중 연결을 강의에선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 여러 개의 볼륨과 연결하는 기능으로 설명하셨는데자료 상에선 하나의 EBS 볼륨을 여러 EC2에 동시에 연결하는 기능이라고 돼 있습니다.이 두 가지를 모두 EBS 다중 연결이라고 표현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강의 소스코드 문의
강의에서 진행된 소스코드는 공유안해주시나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이중 포인터에 저장되는 것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이중 포인터에는 포인터의 주소만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동적 다차원 배열을 만들 때 이중 포인터를 정의하면int** matrix = new int* [row];이렇게 정의가 가능합니다. 제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바로 뒤에 나오는 반복문 입니다.for (int r = 0; r < row; ++r) { matrix[r] = new int[col]; }여기서 matrix에 저장되는 것이 new int[col] 인데, 이는 포인터가 가지는 행렬의 주소로 생각 됩니다. matrix[0]은 matrix 라는 이중 포인터 안에 저장되있는 첫번째 포인터를 나타내어서 저렇게 작성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