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친구인가에서 Union&Find 알고리즘 질문있습니다.
Union 함수에서if (fa != fb) unf[fa] = fb; 해주는 부분이 있는데왜 unf[fb] = fa 를 쓰는 것과의 차이가 있을까요?다른 웹사이트에서 찾아보니깐 fa < fb 일때 unf[fb] = fa하고이외에는 unf[fa] = fb 를 해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길래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OrderResponse에 List<ProductResponse> 를 추가하는게 적절한가 에 대해 의문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질문 드리기에 앞서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제가 강의를 수강하면서 의아한 부분이 있었는데요,바로 OrderResponse에 List<ProductResponse> 를 추가하신 부분 입니다.이에 따라 OrderResponse의 of() 메소드 안에서 order.getOrderProducts() 를 호출할 수 밖에 없게 되었는데요,이때 페치조인을 하지 않는 이상 쿼리가 나가게 될 것 같습니다 (지연로딩)저는 바로 이 측면이 개인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데요,JPA는 어떤 쿼리가 어느 타이밍에 나가는지를 파악하기 어려워서, 최대한 이 측면을 명확하게 해주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그래서 저의 경우는 서비스 로직에서 사용되는 repository 메소드 들에서만 쿼리가 나가는 경우로 명확하게 제한을 해주는 편 인데요,이런식으로 서비스 로직이 아닌(정확히는 그 안에서 사용되는 repository메소드) 다른 곳에서 지연로딩으로 인해 쿼리가 나간다면 - 어느타이밍에 어떤 쿼리가 나가는지를 코드만 보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된다고 생각합니다.그래서 결론적으로 저는 OrderResponse 안에서 order.getProducts()를 호출하여 List<ProductResponse>를 만드는게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데요, 이부분에 대해 강사님의 생각을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
deque 코드 오류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l, r = map(int, input().split()) graph=[]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direction =0 def bfs(): dq = deque() dx = [1, 0, -1, 0] dy = [0, 1, 0, -1] visited = [[0]*n for _ in range(n)] visited[0][0]=1 move=[] move.append((0, 0)) dq.append((0, 0)) while True: x, y = dq.popleft()x, y = dq.popleft() ^^^^^^^^^^^^IndexError: pop from an empty deque dq가 비었다고 나오는데 분명 dq.append((0,0))으로 넣어줬는데 empty deque으로 뜨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ㅜㅜ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
.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를 위하여 , OrderService의 createOrder의 파라미터로 registerDateTime을 추가한 측면
안녕하세요! 먼저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다름이 아니라,저는 제목대로 , 테스트를 위해서 OrderSerivce의 createOrder의 파라미터로 registerDateTime을 파라미터로 받게 추가한 측면이 개인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질문글을 작성하였습니다.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결국 외부로 부터 값을 받는다는 전제가 깔려있다고 생각하고, 이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요청값으로 시간 값을 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그렇게 생각을 했을때 개인적으로 2가지 정도의 의아한 점이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클라이언트로 부터 넘겨받는 시간이 과연 등록 시간이라고 할 수 있는가? (network delay가 있을것 이기 때문)그렇다고 Controller에서 now() 를 호출한 시간이라는 일종의 고정값을 받을거면 - 파라미터를 선언하는 의미가 있는가? 결론적으로 저는 createOrder의 파라미터로 registerDateTime을 선언하는것이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tdd로써 테스트를 위해 외부로 값을 추출하였는데 -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므로, tdd 개발론이 과연 적절한 production code를 만드는게 기여하는가? 라는 측면에서 의문이 듭니다.나아가 당연히 저의 미숙한 탓 이겠지만, 강의를 진행해주신 방식대로 온전한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지 않고 , 테스트 - 개발 - 테스트 - 개발... 이런 플로우로 개발을 하는것이 과연 도움이 되는가? 도 조금 의아한 것 같습니다.어쨌든 여기까지는 저의 순수한 개인적 생각인데요, 이런 부분에 대해서 강사님 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말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에러는 아닌데, run 실행 시 무한 로딩?
안녕하세요열심히 코드 따라치면서 하고 있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RUN 버튼 누르면, localhost에 내용 잘 보여지고 아무 에러는 아닌 것 같은데, 아래 이미지 처럼 계속 로딩 아이콘이 멈추지 않고 계속 떠 있어요혹시 이런 경우는 어떤 문제(?) 때문인가요?시금도 계속 빨간상자의 오른쪽에 있는 시간도 계속 올라가고 있어요! 에러는 아니지만 혹시나 해서 여쭤봅니다.도와주세용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몽구스 객체값 저장하기
cheerio로 가져온값을 객체로 만든다음 밖으로 보내서 최종적으로 몽구스로 저장하고싶은데문제가 생겼던게 저상태로 보내면 [object:object] 로 나오므로 JSON.stringfy()작업으로 문자열 형태로 내보내 주었습니다. 하지만 schema부분을 object로 하여도 object가 가장 상위의 데이터 타입으로 string형태로 저장된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JSON.stringfy()로 빼내고 저장하는 부분에서 JSON.parse로 하여 다시 저장할려 했지만 다시 [object:object]로 나와서 이부분을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잘찾아봐도 모르겠어서 질문 남겼습니다.// siteInfo.js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cheerio from "cheerio"; export class SiteInfo { siteInfo = async (prefer) => { console.log(prefer); const siteData = await axios .get(prefer) .then() .catch((err) => { console.log("서버 데이터 안받아와짐 오류 : " + err); }); const keys = []; const values = []; const $ = cheerio.load(siteData.data); $("meta").each((index, el) => { if ( $(el).attr("property") && ($(el).attr("property").includes("og:title") || $(el).attr("property").includes("og:description") || $(el).attr("property").includes("og:image")) ) { const content = $(el).attr("content"); const title = $(el).attr("property"); keys.push(title); values.push(content); } }); const arr = []; for (let i = 0; i < keys.length; i++) { arr.push({ [keys[i]]: values[i], }); } console.log("여기 테스트 : " + arr); return arr; }; } // signup.controller.js export class SignupController { siteInfoService; isValueService; saveDataService; emailService; constructor(siteInfoService, isValueService, saveDataService, emailService) { this.siteInfoService = siteInfoService; this.isValueService = isValueService; this.saveDataService = saveDataService; this.emailService = emailService; } singUp = async (req, res) => { const name = req.body.name; const email = req.body.email; const personal = req.body.personal; const prefer = req.body.prefer; const pwd = req.body.pwd; const phone = req.body.phone; console.log(req.body); const hasValue = this.isValueService.checkToken(phone); if (hasValue === false) { res.json("isAuth값이 false입니다"); } const siteInfo = await this.siteInfoService.siteInfo(prefer); const ttt = JSON.parse(siteInfo); console.log("여기 문제 발생 : " + typeof ttt); console.dir("여기 문제 발생 22222: " + ttt); const dataSave = await this.saveDataService.dataSave({ name, email, personal, prefer, pwd, phone, siteInfo, }); const isValue = this.emailService.checkMail(email); if (isValue === false) { res.send("이메일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 } const template = this.emailService.welcomeMessage({ name, phone, prefer }); this.emailService.sendTemplateToEmail({ template, email, }); res.send("_id : " + dataSave); }; userSearch = async (req, res) => { const searchReault = await this.saveDataService.dataSearch(); console.log(searchReault); res.send(searchReault); }; } // index.js import express from "express"; import mongoose from "mongoose"; import cors from "cors"; // import { Token, User } from "./mvc/model/schema.model.js"; import { TokenController } from "./mvc/controller/token.controller.js"; import { SignupController } from "./mvc/controller/signup.controller.js"; // 사이트 정보 가져오기 import { SiteInfo } from "./mvc/controller/service/siteInfo.js"; // 핸드폰 정보 맞는지 boolean으로 import { CheckToken } from "./mvc/controller/service/token.js"; // db저장하고 리턴값 가져오기 import { UserDb } from "./mvc/controller/service/userDb.js"; // 이메일 확인하고 보내주기 import { EmailService } from "./mvc/controller/service/email.js"; // 핸드폰 문자 보내기 import { PhoneService } from "./mvc/controller/service/phone.js"; const app = express(); const corsOptions = { origin: "http://127.0.0.1:5500", }; app.use(cors(corsOptions)); const siteInfo = new SiteInfo(); const checkToken = new CheckToken(); const userDb = new UserDb(); const emailService = new EmailService(); const phoneService = new PhoneService(); app.use(express.json()); const signUpController = new SignupController( siteInfo, checkToken, userDb, emailService ); app.post("/users", signUpController.singUp); app.get("/users", signUpController.userSearch); const tokenController = new TokenController(phoneService, checkToken); app.post("/tokens/phone", tokenController.insertdata); app.patch("/tokens/phone", tokenController.checkToken); mongoose.set("debug", true); mongoose .connect("mongodb://mongodb-file:27017/dockerconnetor") .then(() => { console.log("connect success"); }) .catch(() => { console.log("fail to connect with db"); }); app.listen(3001, () => { console.log("server open"); }); // userDb.js import { User } from "../../model/schema.model.js"; export class UserDb { dataSave = async ({ name, email, personal, prefer, pwd, phone, siteInfo, }) => { const siteInforesult = JSON.parse(siteInfo); console.log("여기 확인 : " + siteInforesult); const data = new User({ name: name, email: email, personal: personal, prefer: prefer, pwd: pwd, phone: phone, siteInfo: siteInfo, }); await data.save(); const idData = await User.findOne({ phone: phone }, { _id: 1 }).exec(); return idData._id; }; dataSearch = async (name) => { console.log("start datasearch"); const result = await User.find().exec(); return result; }; } // schema.model.js import mongoose from "mongoose"; const tokenSchema = new mongoose.Schema({ phone: String, token: Number, isAuth: Boolean, }); export const Token = mongoose.model("Token", tokenSchema); const userSchema = new mongoose.Schema({ name: String, email: String, personal: String, prefer: String, pwd: String, phone: String, siteInfo: { title: String, content: String, image: String, }, }); export const User = mongoose.model("User", userSchema);
-
미해결만들면서 배우는 프론트엔드 DO IT 코딩 (Next.js, Typescript)
const resp = await fetch(`/api/messages.list?uid=${uid}`)가 404에러가 뜹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이 쪽 부분이 에러가 뜨는데 어디를 확인해 봐야할까요? 아 그리고, 제 페이지에서도 강사님처럼 밑에 메세지 창들이 쭉 떠야하나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4-F 기저사례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수업중 질문이 있는데요, 해당문제는 기저사례가if (k < 0) 과 if (index == 26) 이렇게 두부분이라고 이해했습니다.제가 여기서 가지는 질문은 총 두가지 인데 첫번째 질문은 왜 if (k < 0)일때 0을 반환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더이상 배울게 없는 경우에는 지금까지 만들어 놓은 mask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count 함수를 호출을해서 ret 을 최대값으로 갱신해야하는것이 아닌가요?두번째 질문은 배우지 않고 넘아가는 경우에 ret 을 max 값으로갱신하는데 왜 이때 값을 갱신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우선 함수를 int 형을 반환하는것이 아닌 void형으로 반환하는것으로 수정하여 제출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면 이해가 가는데, 혹시 위의 내용들을 조금더 깊게 설명해주실수 있으실까요?http://boj.kr/4925cb61cc264f87998b901fe8800e63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답이 3이 되어야 하지 않은가요?
제가 이해를 잘 못하는건지 단순 정렬후4번째 학생을 할인 받고 누적을 구하면 29가 나옵니다.그러면 3번째 학생까지 구매를 해줄수 있는것이니 답이 3이 나와야지 않을까 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에러코드가 다음글과 같이 뜨는데 어떤 점이 문제인가요?Error: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hello.hellospring.HelloSpringApplication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hello.hellospring.HelloSpringApplication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SecurityContextHolder.clearContext()
는 최종 응답시 공통으로 실행되는데는모든 정보를 삭제하는게 아니라 현재 사용자의 로컬 쓰레드만 삭제하는것이죠 ?(다른 사용자들의 로그인 인증정보까지 삭제하면 안되니깐)제 생각이 맞는건가요?
-
해결됨[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pending 질문입니다.
메인화면으로가는 버튼을 빠르게 반복해서 누르면 로딩중만 나오길래 개발자모드에서 network를 보면 (pending)이렇게 나오면서 응답을 못하는상태인데 왜 그러는걸까요? 모든 함수에서 mysql에 연결하고 쿼리문 사용할때 async/await 사용하고있습니다.로그인 미들웨어는 promise로 사용하고있는데 정확히 어떤점때문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저pending 오류를 어떻게해야 해결이 될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오류
TestMemberRepositoryyml오류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faultTestContext.getApplicationContext(DefaultTestContext.java:12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setUpRequestContextIfNecessary(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9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prepareTestInstance(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3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prepareTestInstance(TestContextManager.java:24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createTest(SpringJUnit4ClassRunner.java:22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1.runReflectiveCall(SpringJUnit4ClassRunner.java:289) at org.junit.internal.runners.model.ReflectiveCallable.run(ReflectiveCallable.java:1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methodBlock(SpringJUnit4ClassRunner.java:29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24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97)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4.run(ParentRunner.java:331)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1.schedule(ParentRunner.java:7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Children(ParentRunner.java:32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access$100(ParentRunner.java:6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2.evaluate(ParentRunner.java:29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Class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ClassCallbacks.java:6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ClassCallbacks.evaluate(RunAfterTestClassCallbacks.java:70)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3.evaluate(ParentRunner.java:30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ParentRunner.java:41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SpringJUnit4ClassRunner.java:190) at org.junit.runner.JUnitCore.run(JUnitCore.java:137) at com.intellij.junit4.JUnit4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4IdeaTestRunner.java:69)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 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4)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class]: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jdbc.env.spi.JdbcEnvironment]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20)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4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8)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getBea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157)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11)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8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31)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08)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07)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3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Internal(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4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0) ... 27 moreCaused by: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jdbc.env.spi.JdbcEnvironment]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84)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46)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23) at org.hibernate.id.factory.internal.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injectServices(DefaultIdentifierGeneratorFactory.java:175)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jectDependencies(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95)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initializ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52)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get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23)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init>(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73) at org.hibernate.boot.model.process.spi.MetadataBuildingProcess.complete(MetadataBuildingProcess.java:127)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metadata(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60)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94) 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createContainerEntityManagerFactory(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java:58) 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createNativeEntityManagerFactory(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65) 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buildNativeEntityManagerFactory(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409) 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396) 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4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vokeInitMethods(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6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0) ... 42 moreCaused by: org.hibernate.HibernateException: Access to DialectResolutionInfo cannot be null when 'hibernate.dialect' not set at org.hibernate.engine.jdbc.dialect.internal.DialectFactoryImpl.determineDialect(DialectFactoryImpl.java:100) at org.hibernate.engine.jdbc.dialect.internal.DialectFactoryImpl.buildDialect(DialectFactoryImpl.java:54)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138) at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initiateService(JdbcEnvironmentInitiator.java:35) at org.hibernate.boot.registry.internal.StandardServiceRegistryImpl.initiateService(StandardServiceRegistryImpl.java:101) at org.hibernate.service.internal.AbstractServiceRegistryImpl.createService(AbstractServiceRegistryImpl.java:272) ... 59 more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questMapping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RequestMapping은 클래스 혹은 메서드 단위에 붙일 수 있는데, 클래스 위에 @Controller를 붙여 (스프링빈에 등록+컨트롤러로 인식)하지 않을 경우 == 클래스 위에 @Component(스프링 빈에 등록)와 @RequestMapping(컨트롤러 인식) 각각 붙이는 경우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혹시 @RequestMapping을 클래스 단위에 붙이는 경우와 메서드 단위에 붙이는 경우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나요? 메서드는 process와 같은 메서드에만 붙이는 거겠죠?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오류 query did not return a unique result: 4
사용자 목록에서 사용자삭제를 누르는 경우에 발생합니다.다만 이름이 동일한 인원들을 삭제할때만 뜨고신규로 등록한 인원들을 삭제하는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데어떤식으로 고치면될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데이터를 사용할때와 핫스팟으로 사용할때 라우터주소
핸드폰으로 Wi-Fi말고 데이터를 사용할때의 라우터 주소는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통신사에서 사용자 사용 위치 근처에 설치한 라우터의 주소인가요?핫스팟을 켜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사용할때, 연결된 기기의 라우터 주소도 1번 상황과 동일한가요?핸드폰은 연결된 기기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하는건가요?
-
미해결SQL 개발자 (SQLD) 자격증 따기 Part.1
속성의 특징과 다중값 속성
속성의 특징에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 단위이고 하나의 값만 가진 다고 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다중값 속성 같은 것은 그것에 위배 되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하루 10분|Web Project] HTML/JS/CSS로 나만의 심리테스트 사이트 만들기
클론코딩 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어떤 웹페이지를 클론 코딩할때 검사에 들어가서 요소만 보고도 똑같이 만드는게 가능한가요? 비슷하게는 되는데 한계가 있는 거 같아서요
-
미해결실무 중심! FE 입문자를 위한 React
swr과 recoil을 같이 쓰려면 어떻게 쓰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를 다 듣고나니 recoil 과 swr을 같이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redux를 썼던 admin 페이지를 swr과 recoil 조합으로 만들어보다가 막혀서 질문드립니다.. pages/ListPage.js에서 const { data, error, mutate } = useSWR( "/surveys?_sort_id&_order=desc", fetcher, ); const [survey, setSurvey] = useCurrentQuestion(); // recoil setSurvey(data);이렇게 swr로 불러온 데이터를 set으로 넣어주고 다른 페이지에서 recoil로 데이터를 불러서 써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커스텀 훅에서 swr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