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id 값은 String 으로 하면 오류가 생기고 long 타입으로 하면 실행이 됩니다. 찾아보니 h2 버전 문제라는 부분도 있어서 버전도 1.4.200으로 바꾸기도 했는데요 그래도 String 타입은 안돼서 그냥 long 타입으로 써야 할까하는데 괜찮을까요? 그리고 버전은 1.4.200을 그대로 사용해도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양방향 연관관계에대하여 질문있어서 글 남깁니다! 질문1. 양방향 연관관계를 최대한 쓰지 않아야 하는 이유중 하나가 A,B 엔티티가 있고, 양방향 연관관계를 통해 A엔티티에서 B엔티티의 리스트를 가지고 있어야하는 상황에서, A엔티티 가 가지고 있는 B엔티티 데이터의 리스트 원소 갯수가 엄청나게 많아질 경우 그 리스트를 담고있어야할JVM 메모리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위험성 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에 대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질문 2. 양방향 연관관계를 굳이 맺어야하는 이유가 잘 와닿지 않습니다. 강의 예시에서 해당 Team 의 Member 들을 알고 싶기 때문에 양방향 관계를 맺는 데 , 해당 Team 의 Member 들을 알고 싶으면 Member 도메인의 컨트롤러에서 호출 하는게 이점이 더 있지 않을까 하여 질문드립니다. 결론은 제가 생각하기에 단방향 관계로 다 설계 할 수 있을거같아서 , 양방향 관계가 실제 실무에서 쓰이게 된다면, 어떤 상황과 이유에서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의 setter
1. 엔티티에서 setter는 지양하라고 말씀하셨는데 예를 들면 Order의 연관관계 메서드를 작성 시 OrderItem의 setter가 사용됩니다. 이 때 setter를 사용하지 않고 양방향 연관관계 세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2. 양방향값 세팅은 양방향연관관계일 때 필수적인 건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Item 엔티티에 대해
엔티티의 기본생성자는 public 아니면 protected 만 허용한다 하셨는데 OrderItem 엔티티에서 protected의 기본생성자를 만든 이유가 생성메서드로만 만들 수 있게 하기 위함에 더해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이유도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태그를 입력할때 insertBefore 에러
저런 에러가 발생하고, 하단에 단어가 추가되지 않습니다.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tags.html의 구성은 강사님과 똑같이 하였습니다.) 단어를 추가하려고 할때마다 박스 아래에 단어는 추가되지않고, 같은 에러가 계속 추가됩니다.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api 응답으로 map 사용을 지양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호돌님유쾌하고 유익한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중 api 응답 값으로 map<String ,String>을 넘겨주는 대신에 내부 클래스나, ErrorResponse등 클래스를 넘겨주는 방식을 사용하셨는데요제목처럼 응답 값으로 map의 사용을 지양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무튼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양방향 연관관계에서 양쪽 값.
양방향 연관관계에서는 양쪽에 값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1. OrderItem의 경우 Item을 생성 메서드의 orderItem.setItem(item)을 통해 값을 설정해 준 것인가요? 2. 일대다 에서 일에서 다로 가는 단방향 연관관계에서는 '다' 쪽이 외래키를 가지므로 '다' 쪽에서 '일'쪽의 값을 설정해 주어야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하이버네이트 버전 찾을 수 없다고 합니다.
5.3.10.final 버전은 찾을 수 없다고 하는데 6.1.2.Final 버전을 사용해도 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findMemberDto에서 setTeam하는 방법에 대해
안녕하세요 수업을 듣다 의문이 들어 질문 남깁니다. findMemberDTO() 작성시 team을 set하는 부분에서 아래와 같이 하셨는데 (테스트코드 크게 신경쓰시지않고 하신걸로 생각되는데..) Member m1 = new Member("AAA", 10);m1.setTeam(team);아래와 같이 연관관계편의 메소드(changeTeam)를 통해 작성된 생성자 (3rd param이 team 주입)를 사용하는게 양방향 정합성 측면에서 나은게 아닌지 생각되어 질문드립니다. Member m1 = new Member("AAA", 10,team); 연관관계편의메소드 사용과 setter 사용이 항상 좀 헷갈리네요. 의견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메서드에서요 ~!
order(주문)을 넣을떄 생성메소드를 만들어 줬는데 1)주문 엔티티에서 왜 생성자를 쓰지 않고 생성메소드를 써서 만드나요 이것도 도메인 설계로 엔티티에 다 넣어주려고 그런건가요?? 2) 생성메소드를 static으로 만든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PostConstruct 지정 함수 @Transactional 지정 시 컨텍스트 관리가 안되는 경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역시 백문이 불여일타!! 강의 보고 혼자 샘플작성하다 막 터집니다. 강의 볼때는 '음~ 그렇지~' 하고 보던게 안보고 혼자 작성해보니 강사님이 말씀하시는 "이거 분명이 개발할 때 문제 발생합니다." 하는거 다 터지네요. [질문 내용] InitDB.java 샘플 따라하다가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시 초기 데이터를 넣기 위해 @PostConstruct 로 코드를 작성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Caused by: javax.persistence.TransactionRequiredException: No EntityManager with actual transaction available for current thread - cannot reliably process 'persist' call" 결론은 영속성 관리가 안되는 문제인거 같습니다. 근데 @Transactional을 붙였고 내부 함수 호출도 아닌데 왜 관리가 안되냐해서 디버깅을 해봤습니다. PostConstruct 하는 부분을 따라가 보니 해당 함수를 invoke하는 클래스가 프록시가 아니더군요. InitDB의 내부 맴버는 프록시인데. 질문: PostConstruct를 호출되는 대상 클래스도 spring container에 있는 bean같은데 왜 저넘은 프록시가 아닌거죠? 다른 bean의 맴버로 주입되는 bean만 프록시인 건가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단일 DB 연결을 위한 Kafka 사용 이유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너무 좋은 강의 잘 수강하고 있어 감사합니다. kafka 강의를 듣던 중 질문이 생겼는데요, 서로 다른 DB를 사용하는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에서 데이터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afka를 사용한다는 것은 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동일한 DB를 사용하는 같은 마이크로서비스에서는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에 서로다른 h2 DB가 연결되도록 하지 않고 동일한 mariadb로 설정해둔다면 데이터 동기화 문제는 없을 것 같은데 굳이 동일 마이크로서비스 내에서 서로 다른 인스턴스 사이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 kafka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잘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게시판을 여러 개 만들 때
1. 예를들어 자유게시판, 건의게시판 이렇게 여러개가 있고 기능은 거의 똑같지만 건의에는 사진업로드 기능이 추가로 존재할 때 자유게시판 컨트롤러, 레파지토리, 모델, ... 건의게시판 컨트롤러, 레파지토리, 모델, ... 이렇게 다 각자 만들어줘야 하나요? 아니면 컨트롤러 레파지토리 모델 자유,건의 게시판 통합해서 만드나요? 2. DB에서 테이블도 자유, 건의 게시판 따로 만들어서 개발하나요? ( title, content 이런 것들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enum에 관하여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JPA에서 enum을 활용할 때 질문드리겠습니다. 요일을 enum 타입으로 만들어 (0~6, 일~월 이런 형식) 체크 박스로 입력을 받아, 체크를 선택한 요일은 매장의 휴무일로 지정하는 로직을 구현하는 중입니다. @ElementCollection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처리하려고 했으나, 추천하시는 방식이 따로 있길래 어떤 식으로 로직을 작성해야 하는지가 너무 궁금해졌습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21303 1. 위에서 영한님께서 해주신 답변 중, 2번의 경우를 추천하셨기에 2번으로 진행하려고 하였습니다! 혹시 이 경우, 2번 방법을 추천하신 이유가 무엇인지가 궁금합니다!!! 2. 위 링크의 2번 로직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다대다 엔티티 매핑이 발생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에 요일과의 매핑은 단순히 요일과 요일에 엮여있는 매장 ID값만 알면 되는 것 같아 @ManyToMany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는 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대로 사용을 해도 좋은지 아니면 1 : N, N : 1로 풀어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또, 이렇게 요일을 처리하는 구현을 Enum보다 추천하실만한 방법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방식인지도 말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날씨가 많이 더운데 더위 조심하시고 폭우 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코드 회원가입 오류 질문
IllegalStateException 오류가 나는데,yml에 MVCC도 제거했고, h2도 켰는데도 그러네요@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여기에서 왜 빨간줄이 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이상해서 MemberRepository와 MemberService도 pdf에서 복사해서 붙여넣어도 그렇습니다(@Service, @Repository 도 되어있습니다)Unit4로 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 개발 협업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스프링 기본편부터 querydsl까지 들으면서 혼자 프로젝트를 진행했었고 이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다른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협업해보고 싶습니다. 구글링을 해도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질문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보통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백엔드(저)는 제 pc로, 프론트엔드 개발자분은 그 분의 pc로 개발하게 될텐데, 제가 api 개발을 마치고 깃허브에 코드를 올려놓으면 프론트분이 제 코드를 clone해서 프론트분의 로컬 환경에서 api를 테스트하는 메커니즘인가요? 또한 만약 이렇게 테스트하게 된다면, 프론트분은 db이 어떻게 접근하는지, 보통 백엔드는 api만 개발하고 테스트는 하지 않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부끄럽지만 아래 글을 읽고도 PostEditor의 목적을 잘 모르겠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아래 글의 답변을 읽고 이해한 바로는 반드시 title과 content를 모두 가져오기 위해 (해당 프로젝트에서 그렇게 하기로 협의가 되어있으므로) PostEditor를 사용해서 title과 content를 강제하는 목적으로 만들었다는 뜻으로 이해했는데요 그게 그냥 response용으로 만든 Edit이라는 DTO 객체에 NotEmpty를 쓰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요? 오히려 분산함으로써 관리만 더 번거로워진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아니면 해당 예제는 간단하게 만든 것이라 별다른 차이를 느낄 수 없는 것이고 추후 확장성을 고려해서 요구사항이 늘어날 때 Post 엔티티를 오염시키거나 서비스 - 레파지토리 사이의 DTO에 대한 역방향 의존성을 주지 않고 도메인 계층에서 로직을 해결하기 위해서 분리한 건가요? 아직 아는 게 별로 없어서 질문의 핀트를 잡지 못해 다소 장황하게 질문 드린 점 죄송합니다 ㅜ 짧은 답변이라도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NUM 타입 조회가 안됩니다
실습 도중 여러가지를 해보다 문제가 발생하여 질문드립니다. SQL 쿼리를 통해 조회할 경우 값이 보이나 JPQL을 실행할 경우 ENUM 컬럼 자체를 조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P.S. SELECT concat('', o.status) FROM Order as o JPA 쿼리를 위와 같이 비틀어서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출력됨을 확인하였으나, 엔티티 자체를 select 하거나 new 키워드를 통해 VO, DTO 클래스 생성자로 매핑하는 방식은 불가능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데이터 jpa 강의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스프링 데이터 jpa 강의를 따라 코딩 중에,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생성 후에 회원가입 테스트를 실행하였는데 자꾸 이런 에러가 뜹니다. 구글링 하면서 비슷한 사람들을 찾아 수정을 해봤는데 아직 오류를 못찾겠어서 질문 드립니다ㅜㅜ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에러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32
[질문 내용]강의 내용 중 "JPA와 DB 설정 동작 확인"의 20분 경부터 나오는 ./gradlew clean build 를 실행하다가 -> 아래 화면 캡처와 같이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32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Test 파일 2개 모두 동일한 에러 메시지입니다. 커뮤니티의 답변 및 구글 검색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해결하지 못해 문의드립니다. (커뮤니티 답변에서 저와 동일한 에러를 만난 경우는 진도가 더 나간 상태에서 발생한 에러였으며, 구글링에서는 대부분 AWS배포와 관련되어 이 에러가 발생하고 그것을 해결한 케이스였습니다.) Test 파일 2개는 아래와 같이 작성되었습니다. 커뮤니티 답변을 모두 확인한 것은 아니었기에, 혹시 저와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에러가 해결된 경우가 있다면 링크를 부탁드립니다. (혹, 답변을 위해 더 공유해야 할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