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Windows 시스템 프로그래밍 - 기본
파일 매핑 객체와 memcpy를 활용한 파일 복사 중, 왜 READ와 WRITE가 동시에 필요한가요?
안녕하십니까,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메모리 맵 강의에서 소개해주신 숙제를 수행하던 중에 접근 모드를 설정하는 부분에 사소한 의문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작성한 코드의 흐름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CreateFile()src파일과 dst파일의 핸들을 획득.GetFileSizeEx()src파일의 크기를 획득SetFilePointer()dst파일의 크기를 설정, 2번의 값을 활용CreateFileMapping()각 파일의 매핑 객체 생성MapViewOfFile()각 파일 매핑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획득memcpy()각 파일에 대한 매핑 객체의 포인터와 파일의 크기로 파일의 복사첫 시도에서 다음과 같이 1번과 4번을 수행했습니다.<실패>// 1번. dst 파일 생성 HANDLE hDst = CreateFile( TEXT("복사 대상 파일의 절대 경로"), GENERIC_WRITE, 0, NULL, CREATE_ALWAYS, FILE_ATTRIBUTE_NORMAL, NULL );HANDLE hDstMap = CreateFileMapping(hDst, NULL, PAGE_WRITECOPY, 0, llFileSize.LowPart, NULL); if (hDstMap == NULL) { wprintf(L"Failed to create Dst file mapping obj [ERROR CODE: %d]\n", ::GetLastError()); CloseHandle(hSrcMap); CloseHandle(hSrc); CloseHandle(hDst); return 0; }수행 결과, Dst파일에 대한 맵뷰 객체를 생성하는데 실패했고, ERROR_ACCESS_DENIED에러 코드를 받았습니다.MSDN에서 CreateFileMapping()에 대해서 찾아본 결과, PAGE_WRITECOPY플래그가 PAGE_READONLY와 동일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실행에 성공했습니다.<성공>HANDLE hDst = CreateFile( TEXT("복사 대상 파일의 절대 경로"), GENERIC_WRITE | GENERIC_READ, // 왜 GENERIC_WRITE만 설정하면 ERROR_ACCESS_DENIED인가요? 0, NULL, CREATE_ALWAYS, FILE_ATTRIBUTE_NORMAL, NULL );HANDLE hDstMap = CreateFileMapping(hDst, NULL, PAGE_READWRITE, 0, llFileSize.LowPart, NULL); if (hDstMap == NULL) { wprintf(L"Failed to create Dst file mapping obj [ERROR CODE: %d]\n", ::GetLastError()); CloseHandle(hSrcMap); CloseHandle(hSrc); CloseHandle(hDst); return 0; }MSDN에서 문제를 해결했지만, dst 파일에는 복사한 내용을 써넣기만 하는데 왜 dst파일에 대한 READ가 필요한지 의문이 들어서 이에 질문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웹 입문 (Inflearn Original)
친구와의 프로젝트 고민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회원가입</title> <meta name = "keyword" content = "회원가입, html"> <link rel = "stylesheet" type = "text/css" href = "style/project.css"> </head> <body> <header> <h1>회원가입</h1> <hr/> </header> <form action = "project.html" method = "POST"> <fieldset> <legend> 계정 정보 </legend> <div class = "id"> <label for = "id-account" id = "id">아이디(*)</label> <input type = "text" name = "login_id" id = "id-account" required = "required"> </div> <div class="alert-container"> <span class="alert-message" id="account-alert">TEST</span> </div> <button type = "submit" id = doublecheck-button>중복 확인 </button> <div class = "password"> <label for = "id-password">비밀번호(*)</label> <input type = "password" name = "password" id = "id-password" required = "required"> <span class = "alert-message">TEST</span> </div> <span class = "alert-message">TEST</span> <div class = "repassword"> <label for = "id-repassword">비밀번호 확인(*)</label> <input type = "password" name = "repassword" id = "id-repassword" required = "required"> <span class = "alert-message">TEST</span> </div> <div class="required-text">(*은 필수 입력 항목입니다.)</div> </fieldset> <fieldset> <legend>개인 정보</legend> <div class="form-item"> <label for = "id-name">닉네임(*)</label> <input type = "text" name = "nickname" id = "id-nickname" required = "required"> </div> <div class = form-item> <label>이메일(*)</label> <div class = email-inputs> <input class="box" name = "email" id="domain-txt" type="text"/> <span class="at-symbol">@</span> <input class="box" name = "email_select" id="domain-txt1" type="text"/> <select class="box" name = "email_select" id="domain-list"> <option value="type">직접 입력</option> <option value="yu.ac.kr">yu.ac.kr</option> <option value="naver.com">naver.com</option> <option value="gmail.com">gmail.com</option> </select> </div> </div> <div> <label>대학, 학과(*)</label> <select name = "department" id = "university" onchange = "changeDepartment()" required = "required"> <option> 대학 선택 </option> <option> 문과대학 </option> <option> 인문대학 </option> <option> 자연과학대학 </option> <option> 공과대학 </option> <option> 기계IT대학 </option> <option> 소프트웨어융합대학 </option> <option> 사회과학대학 </option> <option> 경영대학 </option> <option> 의과대학 </option> <option> 약학대학 </option> <option> 생명응용과학대학 </option> <option> 생활과학대학 </option> <option> 사범대학 </option> <option> 음악대학 </option> <option> 예술대학 </option> </select> <select name = "department_select" id = "department" required = "required"> <option> 학과 선택 </option> </select> </div> <div> <label>성별(*)</label> <input type = "radio" name = "gender" id = "id-gender-male"/ required = "required" value = "male"> <label for = "id-gender-male">남</label> <input type = "radio" name = "gender" id = "id-gender-female"/ required = "required" value = "female"> <label for = "id-gender-female">여</label> </div> <div class="required-text">(*은 필수 입력 항목입니다.)</div> </fieldset> <fieldset> <legend>선택 입력 사항</legend> <div class = "phone"> <label>휴대전화 번호</label> <select name = "memberPhone_sub"> <option> 010 </option> </select> <input type = "text" name = "memberPhone" id = "memberPhone"> </select> </div> </fieldset> <div> <input type = "checkbox" name = "agree" id = "id-agree"/ required = "required"> <label for = "id-agree">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 </label> </div> <button type = "submit">가입하기 </button> </form> </body> <script type ="text/javascript" src = "scripts/project.js"></script> </html> h1 { text-align: center; font-size: 25pt; font-weight: 500; } legend { text-align: center; font-weight: 300; position: relative; } fieldset {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margin-bottom: 10px; /* 각 항목 사이의 간격 조정 */ } div{ font-weight: 300; line-height: 250%; padding: 5px; } fieldset { line-height: 500%; } .required-text{ font-size: 100%; color: #FF0000; font-weight: bold; } .phone{ justify-content: center; } fieldset { display: flex; flex-wrap: wrap; } .alert-message { color: #FF0000; font-size: 14px; font-weight: 900; } .alert-container {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 .submit-button { width: 100px; } .id, .password, .repassword {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margin-right: 1100px; } .id label, .password label, .repassword label { flex: 1; } .id input[type="text"], .password input[type="password"], .repassword input[type="password"] { flex: 1; } select.box { flex: 0;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margin-right: 800px; } .id-nickname{ margin-right: 500px; } option { font-size: 8px; } .info .box#domain-list option { font-size: 8px; background-color: #ffffff; } .at-symbol { margin: 0 5px; } .form-item label[for="id-name"] { margin-right: 5px; } .form-item {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margin-bottom: 10px; /* 각 항목 사이의 간격 조정 */ } .email-label {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 .email-inputs {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 /*중복확인 기능 버튼*/ button[type="submit"] { width: 100px; /* 적당한 가로 길이로 지정 */ }window.addEventListener('load', function() { clearMessages(); var formElem = document.querySelector('form'); formElem.onsubmit = submitForm; }); function clearMessages(){ var messages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alert-message'); for(var i = 0; i < messages.length; i++){ messages[i].style.display = 'none'; } } function showMessage(inputElement, message){ var messageElem = inputElement.parentNode.querySelector('.alert-message'); messageElem.style.display = 'block'; messageElem.innerText = message; inputElement.focus(); } function submitForm() { //acount info var account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login_id"]'); var password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password"]'); var passwordConfirm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repassword"]'); var nickName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nickname"]'); //select, radio. checkbox var departmentInput = document.querySelector('select[name="department"]'); var departmentSelectInput = document.querySelector('select[name="department_select"]'); var telephoneInput = document.querySelector('select[name="memberPhone_sub"]'); var telephone2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memberPhone"]'); var radio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gender"]:checked'); var check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agree"]'); var emailIdInput = document.querySelector('#domain-txt'); var emailDomainInput = document.querySelector('#domain-txt1'); var emailDomainSelect = document.querySelector('#domain-list'); console.log("아이디:", accountInput.value); console.log("비밀번호:", passwordInput.value); console.log("비밀번호 확인:", passwordConfirmInput.value); console.log("닉네임:", nickNameInput.value); console.log("대학 선택:", departmentInput.value); console.log("학과 선택:", departmentSelectInput.value); console.log("휴대전화 번호 앞자리:", telephoneInput.value); console.log("휴대전화 번호:", telephone2Input.value); console.log("성별:", radioInput.value); console.log("동의여부:", checkInput.checked); var emailDomain = emailDomainSelect.value === 'type' ? emailDomainInput.value : emailDomainSelect.value; var email = emailIdInput.value + '@' + emailDomain; console.log("이메일:", email); var success = true; if (accountInput.value.length < 6) { showMessage(accountInput, '다시 설정해주세요.'); success = false; } if (passwordInput.value.length < 8) { showMessage(passwordInput, '다시 설정해주세요.'); success = false; } if (passwordConfirmInput.value !== passwordInput.value) { showMessage(passwordConfirmInput, '비밀번호를 동일하게 입력해주세요.'); success = false; } return success; } const domainInputEl = document.querySelector('#domain-txt1') const domainListEl = document.querySelector('#domain-list') // select 옵션 변경 시 domainListEl.addEventListener('change', (event) => { // option에 있는 도메인 선택 시 if(event.target.value !== "type") { // 선택한 도메인을 input에 입력하고 disabled domainInputEl.value = event.target.value domainInputEl.disabled = true } else { // 직접 입력 시 // input 내용 초기화 & 입력 가능하도록 변경 domainInputEl.value = "" domainInputEl.disabled = false } }) function changeDepartment() { // 첫 번째 select 요소의 값을 가져옵니다. var university = document.getElementById("university").value; // 두 번째 select 요소의 값을 초기화합니다.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innerHTML = ""; // 대학 소속에 따라 다른 학과 종류를 보여줍니다. if (university === "문과대학") { // 대학1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1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text = "중국언어문화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 } else if (university === "인문대학") { // 대학2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2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text = "국어국문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 var option3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text = "일어일문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 var option4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text = "영어영문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 var option5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text = "유럽언어문화학부";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 var option6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text = "철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 var option7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7.text = "역사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7); var option8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8.text = "문화인류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8); } else if (university === "자연과학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9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9.text = "수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9); var option10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0.text = "통계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0); var option11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1.text = "물리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1); var option12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2.text = "화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2); var option13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3.text = "생명과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3); } else if (university === "공과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14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4.text = "건설시스템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4); var option15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5.text = "환경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5); var option16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6.text = "도시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6); var option17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7.text = "건축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7); var option18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8.text = "신소재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8); var option19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19.text = "화학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19); var option20=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0.text = "파이버시스템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0); } else if (university === "기계IT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21=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1.text = "기계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1); var option22=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2.text = "전기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2); var option23=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3.text = "전자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3); var option24=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4.text = "컴퓨터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4); var option25=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5.text = "정보통신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5); var option26=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6.text = "미래자동차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6); var option27=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7.text = "로봇기계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7); var option28=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8.text = "로봇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8); var option29=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29.text = "파이버시스템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29); } else if (university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30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0.text = "소프트웨어융합학부";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0); }else if (university === "사회과학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31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1.text = "정치외교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1); var option32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2.text = "행정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2); var option33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3.text = "심리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3); var option34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4.text = "사회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4); var option35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5.text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5); var option36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6.text = "경찰행정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6); var option37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7.text = "군사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7); }else if (university === "경영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38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8.text = "경제금융학부";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8); var option39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39.text = "경영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39); var option40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0.text = "무역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0); var option41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1.text = "회계세무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1); var option42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2.text = "항공운송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2); var option43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3.text = "산업경영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3); }else if (university === "의과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44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4.text = "의예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4); }else if (university === "약학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45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5.text = "약학부";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5); }else if (university === "생명응용과학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46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6.text = "식품경제외식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6); var option47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7.text = "원예생명과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7); var option48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8.text = "식품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8); var option49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9.text = "생명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9); var option49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49.text = "의생명공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49); var option50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0.text = "조경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0); var option51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1.text = "산림자원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1); }else if (university === "생활과학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52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2.text = "가족주거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2); var option53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3.text = "주거환경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3); var option54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4.text = "식품영양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4); var option55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5.text = "체육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5); var option56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6.text = "의류패션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6); var option57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7.text = "휴먼서비스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7); }else if (university === "사범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58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8.text = "국어교육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8); var option59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59.text = "영어교육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59); var option60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0.text = "한문교육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0); var option61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1.text = "수학교육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1); var option62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2.text = "유아교육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2); var option63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3.text = "특수체육교육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3); }else if (university === "음악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64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4.text = "음악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4); var option65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5.text = "성악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5); var option66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6.text = "기악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6); }else if (university === "예술대학") {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67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7.text = "회화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7); var option68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8.text = "트랜스아트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8); var option69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69.text = "시각디자인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69); var option70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70.text = "산업디자인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70); var option71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71.text = "생활제품디자인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71); var option72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72.text = "음악학과";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72); }else{ // 대학3의 학과 종류를 추가합니다. var option73 = document.createElement("option"); option73.text = ""; document.getElementById("department").add(option73); } } 제가 input창을 margin-right 1100px로 아이디, 비밀번호, 비밀번호 input 입력 창을 동일한 위치에 두었는데요. 화면을 줄이면 이 input 입력 창이 왼쪽으로 밀려서 아이디(*)와 같은 label이 세로로 바뀌는데요.. 이 해결책을 알려주셨음 좋겠어요.그리고 빨간색 alert-message가 나와도 1번과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부탁 드립니다.그리고 중복 확인 기능을 추가 시키려 하는데 js으로 만들 수 있나요? 만들 수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ssertions import를 static으로 바꾸는 이유
@Test void 회원가입()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hello"); //when 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 우리가 save한게 repository에 있는 것이랑 같아?를 찾는 로직)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One(saveId).get(); 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 //Assertions.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 } 위 회원가입 테스트 코드에서 처음에는 static으로 import 안해서(1) >>>>Assertions.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이렇게썼다가다시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하면서 아래 로직으로 바꾸는 이유가 궁금합니다.(2) >>>>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굳이 바꾸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오로지 가독성때문에 그러는것인가요?그렇다면 처음부터 import static~으로는 import가 불가능한것인지도 궁금합니다!(1)처럼 쓴다음에 (2)로 다시 바꾸면서 import를 static으로 변경하는 방법만 있는지 궁금해서요.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기초부터 고급까지
자바와 파이썬은 상속문법이 서로 원래 달라서 그런건가요?
자바를 배울때는 circle에 부모클래스의 함수인 .set_scale()을 써도 circle을 반환하지 부모객체는 반환을 안했는데.. 저건 파이썬만의 특징인가요?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기초부터 고급까지
python 3.11 실습 환경설정?
꼭 pyenv를 설치해야지만 실습이 가능한가요? 그러니까 replit이나 3.9나 3.10이 깔려있는 환경에서는 실습이 안되는거죠??pyenv가 앞서 전 강의시간에 나온 파이썬 가상환경 virtualenv와 같나요? 그러면 설정방식과 해제 방식도 같나요???
-
미해결즐거운 자바
Socket의 InputStream
부부개발단 단톡방 : https://open.kakao.com/o/gcbnd3Ie먼저 질문을 올리기 전에 직접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지 고민해보세요.구글 등에서 먼저 궁금한 부분을 찾아보세요.구글 검색등을 통해서도 답변을 찾기 어려웠다면 단톡방에서 함께 공부하고 있는 분들과 토론해보세요. (단톡방에 저도 틈틈히 답변을 드립니다.)그래도 궁금증이 해결이 안된다면 인프런에 질문을 올려주세요. (인프런은 며칠에 한번씩 제가 방문해서 답변을 달것 같아요.) 네트워킹 프로그래밍 1/2 강의에서 Socket으로 부터 getInputStream을 호출하고 BufferedReader를 사용하여 request 정보를 한줄씩 읽어들어왔었습니다.InputStream in=socket.getInputStream();BufferedReader buf=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in));String firstline=buf.readLine();String line=null;while(!(line= buf.readLine()).equals("")){System.out.println(line);}요청 정보를 한줄 씩 읽어 들였습니다. 첫 줄은 요청 정보 요약 그 줄 이후엔 header 정보를 출력했습니다. 그런데 채팅 프로그램 만들기 1/2에선 똑같은 코드로 접속한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한다고 하셨고 cmd로 명령을 실행시켜 입력을 하면서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입력된 메시지가 출력되는걸 보여주셨는데 어느 때에는 입력한 값이 나오고 어느 때에는 요청 정보 및 header가 나오는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핸들러매핑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스프링에서 핸들러매핑에 저장되는 게 url 과 컨트롤러(핸들러) 의 관계를 저장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히는 url 과 연결된 컨트롤러의 메서드를 저장하고 있다고 하면 되나요??
-
미해결문과생도, 비전공자도, 누구나 배울 수 있는 파이썬(Python)!
아니콘다 설치 오류입니다.
아나콘다 설치하면서 아래와 같은 알림창이 나옵니다.웹 검색을 해보니까, 로그인할때 사용자이름이 한글으로 되어있어서 아나콘다가 깔리지 않는다고 나옵니다.제 노트북의 경우에는 user 다음의 폴더이름에 한글이름으로 되어있습니다.그래서 아래와 같이 All Users로 다운받아서 진행했습니다.이렇게 All Users 버전으로 다운받아서 진행해도 문제가 없는 것인가요?
-
미해결웹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표준, Web Animations API
선생님 Section4에 제목 오타난것같습니다!
Starfiled => Starfield 인 것 같습니다!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디자인 씽킹이라는 과정이 제품출시를 위한 과정인가요?
공감하기 정의하기 부분의 설명을 보고 조금 혼동되어서 질문을 올립니다.공감하기 정의하기 부분은 Product가 나오고 나서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받고 진행하는 부분인가요?아니면 시장조사를 하고 제작자들이 이미 시중에 나와있는 페이지를 봤을때 문제점을 집어서 해당 문제를 보안하는 페이지를 만드는 것을 목표하는 부분인가요?
-
미해결SQL 개발자 (SQLD) 자격증 따기 Part.2
Truncate는 DDL아닌가요?
Truncate는 권한과 관련이 없는데 DCL 인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아서 찾아보니 모든 문서에서 Truncate는 DDL이라고 나오네요. 이게 실수라면 너무 치명적 아닌가요;;;정말 중요한거라고 하시면서.... 갑자기 수업에 대한 신뢰가 와장창 ㅠㅜ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전체 명언 코드 버튼 눌렀을 때 팅길때 (kotlin.NotImplementedError: An operation is not implemented: not implemented)
kotlin.NotImplementedError: An operation is not implemented: not implemented오류 뜨시는분들 ListViewAdapter 클래스 안에 override 하는 부분의TODO문을 다 지우면 됩니다.. 혹시라도 저같은 분들이 계실까봐 올려봅니다.TODO("Not yet implemented")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기초부터 고급까지
import sys로 실습하기
print(float(sys.version)<(3.9))print(sys.version_info<(3.9))안되는 이유가 뭘까요?? sys.version sys.version_info가 지저분하게 여러문자열이 뒤에 붙어서 변환이 안되는건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final 구문의 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알찬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이번 강의 중 질문 사항이 생겨 여쭤봅니다. final newBlackPink = blackPink.map((x){return '블랙핑크 $x';});이 구문에서, final 과 newBlackPink 사이에 변수 타입(이 경우는 Iterable)에 대한 선언이 있어야하는 것 아닌가? 생각했는데 안 써도 정의가 잘 되더라구요. final을 선언한 이상 변수의 값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일까요? 그리고 이런 식으로 Iterable(Set, List 등도) 은 final 로 선언하는 것이 일반적인 용법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웹플로우(Webflow) 시작하기 - 코딩 없이 자유도 높은 프로토타입 만들기
pick color from page
제 웹브라우저에는 픽컬러프롬페이지가 없던데 저건 어디서 받을 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Hive, Riverpop 제너레이터 호환성 문제
안녕하세요 선생님 지난번 날씨앱에서 질문 드리고 중급강의 GoRouter 까지 무지성으로 따라가고있는 수강생입니다.중급 캐시강의를 보다가 문득 든 생각이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Hive를 사용해서 기기에 저장을 하고 휴대폰 DB에 저장된 리스트들을 Hive에 데이터가 있다면 hive에서 읽고 없다면 새로받아오는 형식으로 Riverpod을 사용해 관리하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유는 서버에서 restAPI를 통해 받아온 값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있으니 앱을 껏다 키거나 메모리가 초기화되면 캐쉬가 날아가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였구요(리스트나 자료들을 휴대폰 db에 저장 해놓고 꺼내쓴다면 재요청횟수가 줄어들어 비용절감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 그래서 당연히 생각만 가지고 있지 아직은 아무것도 할줄 모르지만 일단Hive와 Riverpod을 동시에 설치는 해보자는 생각에 인스톨 해봤는데요문제는 hive_generator의 버전은 analyzer 5.0과 호환되고 riverpop_generator와 json_serializable 제너레이터들은 analyzer 6.0과 호환되어 한프로젝트에 동시설치가 불가능 한 것 같습니다.analyzer6.0을 사용하는 다른 제너레이터들의 버전을 낮춰봐도 더 복잡하고 많은 에러가 뜨는데요. 1)그래서 캐쉬를 hive로 사용하는게 어떨까? 라는 생각이 맞는 생각인지? (예를들면 riverpod의 캐쉬를 사용하면 되는데 궂이 db를 캐쉬로 왜 사용하는가?)2)유용한 생각이라면 analyzer버전 호환문제를 해결해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3)동시 설치가 안된다면 hive외 대안이 있거나 sqflite 같은 다른sql이 대안이 되는지? (hive를 캐쉬 대용으로 사용하려고한것은 hive의 빠른속도 때문인데, sqflite를 사용하게되면 궂이 물리적인 db캐쉬가 유효/유용 한건지?) 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이런생각을 하는 이유는, 나중에 혼자 앱을 만들게 된다면 서버를 사용하는 것보다 파이어베이스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에서 트래픽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서 였습니다.아직 멋모르고 강의 열심히 따라가는 중이라 급한내용은 아니니 시간 편하실때 천천히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section 46 퀴즈 관련 질문입니다
퀴즈를 해결하려고 해당 코드를 작성했는데 로그인을 하려고 하면 Context creation failed: 토큰 만료라는 400 오류가 뜹니다. (새로 가입해서도 해봤는데 똑같은 오류가 떴습니다.)또한 useAuth를 사용했는데도 로그인 없이 성공페이지로 바로 접속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useAuth export const useAuth = ():void => { const router = useRouter() useEffect(()=>{ if(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null){ alert("로그인 ㄱ") void router.push("/z_quiz/section46/02") }},[]) }완료 코드 import { gql, useQuery } from "@apollo/client" import type { IQuery } from "../../../../src/commons/types/generated/types" import { useAuth } from "../../../../src/components/commons/hooks/useAuth" const FETCH_USER_LOGGED_IN = gql` query { fetchUserLoggedIn { email name } } ` export default function LoginSuccessPage():JSX.Element { const { data } = useQuery<Pick<IQuery,"fetchUserLoggedIn">>(FETCH_USER_LOGGED_IN) useAuth() return <>{data?.fetchUserLoggedIn.name}님 환영합니다.</> }로그인 코드/* eslint-disable @typescript-eslint/no-misused-promises */ import { gql, useMutation } from "@apollo/client" import { type ChangeEven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type { IMutation, IMutationLoginUserArgs } from "../../../../src/commons/types/generated/types" import { useRecoilState } from "recoil" import { accessTokenState } from "../../../../src/commons/stores"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const LOGIN_USER =gql` mutation loginUser($email:String!, $password:String!){ loginUser(email:$email,password:$password){ accessToken } } ` export default function LoginPage():JSX.Element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email, setEmail] = useState('') const [password, setPassword] = useState('') const [loginUser] = useMutation<Pick<IMutation,"loginUser">,IMutationLoginUserArgs>(LOGIN_USER) const [, setAccessToken] = useRecoilState(accessTokenState) const onChangeEmail = (event: ChangeEvent<HTMLInputElement>):void => { setEmail(event.currentTarget.value) } const onChangePassword = (event: ChangeEvent<HTMLInputElement>):void => { setPassword(event.currentTarget.value) } const onClickLogin = async ():Promise<void> => { try { const result = await loginUser({variables: { email, password }}) const accessToken = result.data?.loginUser.accessToken if (accessToken=== undefined) { alert("로그인 실패") return ;} setAccessToken(accessToken) localStorage.setItem("accessToken", accessToken) void router.push("./success.tsx") } catch(error) { if (error instanceof Error ) alert(error.message) } } return ( <> 이메일: <input type="text" onChange={onChangeEmail} /> 비밀번호: <input type="password" onChange={onChangePassword} /> <button onClick={onClickLogin}>로그인</button> </> ) }
-
미해결공공데이터로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작하기
지도가 갑자기 까맣게 칠해집니다..
안녕하세요 9/9강 1분20초까지 따라하던 중에 지도가 까맣게 칠해지는데 이유를 못찾겠습니다바로 이전에 그린 지도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df_vs를 output 소스코드와 비교해봐도 이상이 없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지도의 일부가 까맣게 칠해지네요..40분간 검수하고 다시 돌려보고 선생님 소스코드를 붙여넣기 해봐도 원인을 찾지 못해 질문드립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XH-qxc1iBOmgBE9UXCMSgzxMYxle0oqp/view?usp=drive_link파일의 04.스벅_이디야 파일을 봐주시면 됩니다
-
해결됨SQL 코딩테스트를 위한 첫 걸음
깃헙 데스크탑, MYSQL 워크벤치 연동
설명이 너무 생략되어 있어서 이해가 안됩니다.깃헙을 처음 써보는데중간에 생략한 부분이 많네요.윈도우 환경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1정규형과 기본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데이터베이스 정규화 과정 중에서 제1정규형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정규화과정 #3. 제 1정규형에서 나온것처럼릴레이션의 속성 값 중에서 한개의 기본키에 대해 두 개 이상의 값을 가지는 반복 집합이 있다고 했을때, 이번트 번호가 기본키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고, 당첨여부가 반복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그리고 이 때 이벤트 번호 221006-1로는 당첨여부 Y,N,Y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모르니 1정규화를 진행해야 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다가 ,로 구분된 options라는 것에 대해서도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car_id, options 컬럼이 있고 이 때 car_id는 1부터 증가하는 숫자로 options는 콤마로 구분되어 선루프, 하이패스 기능, 베이비시트 이런식으로 값이 있다고 한다면이것도 car_id라는 기본키에 반복집합이 있으니 정규화를 진행해야 할까요??그런데 만약 그렇게 한다면car_id, options1, 선루프1, 하이패스 기능1, 베이비시트이런 형식으로 다시 1이라는 기본키가 중복되어서 기본키 역할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서 다시 의아함을 가지고 있습니다.혹시 제가 어떤 부분을 놓친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