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Unit5 @Test(expected = ) 미지원하는데 테스트 코드 작성 방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JUnit5를 사용하여 테스트 코드를 작성 중인데, JUnit4와는 다르게 @Test(expected = ) 사용이 불가하더라고요.다음과 같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 될까요? @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약()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kim");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kim"); //when memberService.join(member1); assertThrows(IllegalStateException.class, () -> { memberService.join(member2); }); }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Spring Security 의 ProviderManager (AuthenticationManager) 도 옵저버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우선 양질의 강의 잘 듣고 있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Spring Security 에서 AuthenticationProvider 를 찾아서 인증을 위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ProviderManger 도 옵저버 패턴을 사용하고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ProviderManager (AuthenticationManager) 에서 AuthenticationProvider 들을 가져온후 이들을 순회하며 인증위임을 시키는 코드입니다단순히 supports() 를 통해 인증을 위임시킬 AuthenticationProvider 들을 골라내는 것뿐, 이것도 옵저버 패턴이 적용된 예인지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Q파일 생성 위치 질문
안녕하세요현재 프로젝트 세팅 및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spring boot가 3이상으로 제한된 상황속에서 진행중이며, 강의 내용을 따라하고 있습니다! build.gradle은 https://docs.google.com/document/d/1j0jcJ9EoXMGzwAA2H0b9TOvRtpwlxI5Dtn3sRtuXQas/edit#heading=h.vfy9wirpglmx를 복/붙 하였습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0'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 롬복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질문은 크게 3가지입니다. build/other/compileQuerydsl은 표기가 안되는데 다른 답변을 보니 springboot3으로 올라가며 compileQuerydsl은 표기가 안된다고 하신 것 같은데 맞을까요?정확한 Q파일의 생성 위치가 궁굼합니다.!강의상에서는 src/main에 둬도 괜찮지만, 버전관리 시스템(git)에는 추가 되지 않는게 좋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 맞나요?build에만 Q파일이 생성되는게 좋나요?올려주신 google doc의 build.gradle로 진행하면, Q파일이 build/annotationProcessor아래 생성됩다... 뭐가 문제일까요? docs에 올려주신 build.gradle에서 build clean을 진행할 때 'src/main/generated'의 폴더를 삭제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현재 저는 Q파일을 build/ 아래 관리하고있는데, src/main/generate 아래 Q파일을 생성하시는 분들에만 해당 되는 내용인가요?)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엔티티 변경 후 일대다
@JoinColumn(name = "MEMBER_ID) List<AddressEntity> addressHistory = ..다대일이 아닌 일대다로 매핑한 이유가 있을까요?앞에서 다쪽에 @JoinColumn하는 것을 추천하셨는데 일쪽에 연관관계 주인을 잡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생각한대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제 프로젝트 압축파일입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CsFmsNczcupxGIQTMM_-uA7EQFzu3KRq/view?usp=sharing JpaMain에서Movie movie = new Movie(); movie.setDirector("aaa"); movie.setActor("asdf"); movie.setName("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movie.setPrice(10000); em.persist(movie); em.flush(); em.clear();에 의해 movie가 insert되어야하는데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의 MOVIE테이블을 조회해보면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에러로그가 뜨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YCpr2ZBFSC84lw3wvn5wks22DVx1GHAM/view?usp=sharing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단축키 질문
안녕하세요.라인 여러 줄 복사할 때 범위 지정 후 ctrl d 하는 거는 이해했는데 라인 맨 앞으로 이동 후 범위 지정할 때는 어떻게 쓰나요?이전 영상에서 설명해 주셨는데 따로 필기 안 하고 지나가서 찾아보려니까 못 찾겠네요ㅜㅜ윈도우 기준 home 키 써서 라인 맨 앞으로 간 다음에 ctrl w 하신 건가요? 영상 보니 라인 전체 복사가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 같아 궁금해서 질문 남겨 봅니다. 미리 답변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DB 테이블 생성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H2 DB 테이블 생성이 안되는데, 스프링부트를 실행하면 에러도 안납니다. H2 연결되어 있습니다.처음에 jpashop.mv.db 도 잘 생성되었습니다.스프링부트를 실행하면 어떤 에러도 없지만, DB테이블이 만들어 지는 문구가 하나도 없습니다H2 콘솔창도 DB 테이블 한개도 없이 아주 깨끗합니다.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____ _ __ _ _ /\\ / ___'_ __ _ _(_)_ __ __ _ \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1.7) 2023-12-31T15:17:34.731+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 Starting JpashopApplication using Java 21.0.1 with PID 13760 (C:\Users\dqk86\Downloads\jpashop\out\production\classes started by dqk86 in C:\Users\dqk86\Downloads\jpashop) 2023-12-31T15:17:34.734+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 2023-12-31T15:17:34.825+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Devtools property defaults active! Set 'spring.devtools.add-properties' to 'false' to disable 2023-12-31T15:17:34.825+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e.DevToolsPropertyDefaultsPostProcessor : For additional web related logging consider setting the 'logging.level.web' property to 'DEBUG' 2023-12-31T15:17:35.417+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 2023-12-31T15:17:35.437+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Finished Spring Data repository scanning in 12 ms. Found 0 JPA repository interfaces. 2023-12-31T15:17:36.132+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initialized with port(s): 8080 (http) 2023-12-31T15:17:36.147+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 : Starting service [Tomcat] 2023-12-31T15:17:36.148+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 : Starting Servlet engine: [Apache Tomcat/10.1.17] 2023-12-31T15:17:36.213+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embedded WebApplicationContext 2023-12-31T15:17:36.214+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w.s.c.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 : Root WebApplicationContext: initialization completed in 1387 ms 2023-12-31T15:17:36.254+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 2023-12-31T15:17:36.443+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conn0: url=jdbc:h2:mem:8b0a757c-2d15-4737-adab-1dbaee374f3e user=SA 2023-12-31T15:17:36.445+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 2023-12-31T15:17:36.455+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s.b.a.h2.H2ConsoleAutoConfiguration : H2 console available at '/h2-console'. Database available at 'jdbc:h2:mem:8b0a757c-2d15-4737-adab-1dbaee374f3e' 2023-12-31T15:17:36.698+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default] 2023-12-31T15:17:36.806+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2.17.Final 2023-12-31T15:17:36.809+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rg.hibernate.cfg.Environment : HHH000406: Using bytecode reflection optimizer 2023-12-31T15:17:37.052+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 2023-12-31T15:17:37.941+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 2023-12-31T15:17:37.984+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3-12-31T15:17:38.027+09:00 WARN 13760 --- [ restartedMain]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 2023-12-31T15:17:38.195+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s.b.a.w.s.WelcomePageHandlerMapping : Adding welcome page: class path resource [static/index.html] 2023-12-31T15:17:38.552+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s.b.d.a.OptionalLiveReloadServer : LiveReload server is running on port 35729 2023-12-31T15:17:38.576+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o.s.b.w.embedded.tomcat.TomcatWebServer : Tomcat started on port(s): 8080 (http) with context path '' 2023-12-31T15:17:38.587+09:00 INFO 13760 --- [ restartedMain]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 : Started JpashopApplication in 4.164 seconds (process running for 4.578)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주문조회 V3.1 실행 후 Query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V3.1 실행 후 콘솔창에 뜨는 쿼리문이 다음과 같이 뜹니다.springboot version 3.2.1 이고 Hibernate5JakartaModule로 설정했습니다.application.properties도 아래와 같이 설정했습니다.그외 부분도 강사님 코드를 그대로 복붙해도 다음과 같이 물음표가 너무 많이 뜨는데 버전 문제인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참조값 복사에 따른 인스턴스 동일성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서(12:00부분) 참조값만 복사하고 인스턴스를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는데, 결국 같은 인스턴스를 접근하게 되잖아요 그러면 위 뜻이 인스턴스가 동일해지는 것은 맞지만, 참조값을 복사하는 것이지 인스턴스를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서 잘못 인지하지 말라는 뜻인가요? 아니면 인스턴스가 달라서 참조값만 복사한 것이기에 인스턴스를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인가요? Data dataA = new Data(); // 1.Data인스턴스 생성후 dataA에 참조값 넣음 dataA.value = 10; Data dataB = dataA; // 2.dataA 참조값을 복사하고 대입함 System.out.println("dataA.value = " + dataA.value); // 10 System.out.println("dataB.value = " + dataB.value); // 10 // 3.dataB는 dataA의 인스턴스에 동일하게 접근하게됨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앞으로의 방향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도 정말 잘 들었습니다!! 저는 자바 입문, 실전 자바 기본편을 듣고 이번 스프링 입문 강의를 완강했습니다. 이전에는 자바에 대해 책으로 공부하고 강의를 통해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스프링은 처음이라 많이 헤매는 느낌을 받습니다. 궁금한 점은 헤매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자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인지 스프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인지 알고싶습니다. 또한 제 계획은 24년도 상반기에 나올 자바 중급,고급 강의를 듣고 스프링 완전정복 강의를 듣고 토이프로젝트를 통해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방향성이 괜찮은지 아니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처음 자바를 공부하고 너무나도 헷갈리고 어려운 순간들이 많았는데 김영한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나름대로 발전한 것 같아서 항상 감사하고 있습니다. 양질의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24년도 잘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3중 for문으로 변경해서 정답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멘토링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an.nextInt(); int m = scan.nextInt(); int[][] intArrArr = new int[n][m]; for(int i=0;i<m;i++){ for(int j=0;j<n;j++){ int temp = scan.nextInt(); intArrArr[temp-1][i] = j; } } System.out.println(solution(n,m,intArrArr)); } private static int solution(int n, int m, int[][] intArrArr) { int answer = 0; for(int i=0;i<n;i++){ for(int j=0;j<n;j++){ boolean flag = true; for(int k=0;k<m;k++){ if(intArrArr[i][k] >= intArrArr[j][k]){ flag = false; break; } } if(flag){ answer++; } } } return answer; } } input을 받을 때 학생이 행에 오도록 변경을 해서 등 수를 열로 변경해서 받으면 3중 for문으로도 가능합니다. 참고가 될까 싶어 올려봅니다 화이팅!!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witch 문 break vs return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witch 문을 while 문 중간에 넣었을 때 break 는 중단되지 않았습니다. return 문은 프로그램을 종료시켰습니다. 왜 break 문은 쓸 수 없는지 궁금합니다!package method.ex;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ethodEx4 { static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atic int balance = 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while (true) { switch (chooseMenu()) { case 1 -> balance = deposit(); case 2 -> balance = withdraw(); case 3 -> checkBalance(); case 4 -> { printFooter(); return; // break 대신에 return 문 쓰기 } default -> printError(); } } } static int chooseMenu()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입금|2.출금|3.잔액 확인|4.종료");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선택: "); return sc.nextInt(); } static int deposit() { System.out.print("입금액을 입력하세요: "); int depositAmount = sc.nextInt(); balance += depositAmount; System.out.println(depositAmount + "을 입금하였습니다. 현재 잔액: " + balance + "원"); return balance; } static int withdraw() { System.out.print("출금액을 입력하세요: "); int withdrawAmount = sc.nextInt(); if (balance >= withdrawAmount) { balance -= withdrawAmount; System.out.println(withdrawAmount + "원을 출금하였습니다. 현재 잔액: " + balance + "원"); } else { System.out.println(withdrawAmount + "원을 출금하려 했으나 잔액이 부족합니다."); } return balance; } static void checkBalance() { System.out.println("현재 잔액: " + balance + "원"); } static void printFooter() { System.out.println("시스템을 종료합니다."); } static void printError() { System.out.println("잘못 번호를 입력하였습니다."); } }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변수의 값과 리터럴
변수타입 1 강의에서 7:20 쯤 설명하시는 리터럴에 대해 이해가 잘 되지 않는 점이 있습니다. 변수의 값은 변할 수 있지만 리터럴은 개발자가 직접 입력한 고정된 값이다. 따라서 리터럴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라고 강의 내용과 강의자료에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위 내용이 무슨 뜻인지이해가 잘 안됩니다.개발자가 변수에 입력한 값이 리터럴 이고,, 리터럴을 수정하면 변수 값이 변하는 것 아닌가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querydsl Projection 성능 문제
안녕하세요 Querydsl Projection 을 활용해 DTO에 담는경우 성능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Querydsl에서 Projections.constructor를 활용해서 query를 작성하는경우 fetchJoin이 되지 않더라구요.일대 다 관계에서 fetchJoin을 하지 않게되면 n+1 이슈가 발생할거 같은데Projections을 활용하는 환경에서 성능개선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성1 과목 개념정리 질문입니다
[질문 내용]제가 지금 이해한 내용으로는Parent parent = new child(); 가 있을때 메모리에는 Child를 기준으로 상위 부모 클래스만 메모리에 적재되고 (편의상 Child 메모리라고 하겠습니다),parent의 참조 주소는 생성된 Child 메모리 안의 Parent 클래스를 참조하며,parent의 멤버변수는 Parent 클래스의 멤버변수만 가질 수 있고,오버라이딩된 메소드가 존재한다면 무조건 오버라이딩된 메소드가 우선권을 가진다 라고이해했는데, 덧붙일 개념들이 혹시 있을까요?아, 그리고 만약 오버라이딩된 메소드가 부모클래스에서 실행할 수 없는 메소드라면 어떻게되는지도 궁금합니다. (혹시, 오버라이딩된 메소드가 부모클래스에서 실행되지않을 가능성은 아예 없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DL 생성기능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 16분 즈음부터 @Table(name = "MBR") 같은 것들은 런타임에 영향을 주지만 @Column(unique = true) 같은 제약조건들은 런타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이 왜 그런 건지 이해가 잘 안 가는데 조금 더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둘 다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쿼리를 날려야 하는데 하나는 런타임에 영향을 주고 하나는 그렇지 않다는 게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 3.xx버전 querydsl gradle 설정 관련 질문
QueryDSL 소개 강의 영상에서 gradle 설정하는 부분을 3이상버전 관련해서 올려주신 자료를 보면서 따라했는데 build-clean을 하고 해봐도 tasks-others밑에 compileQuerydsl파일이 생성되 지않아서 comlile.java 를 눌렀더니 generated에 파일들은 잘 생성됐습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1.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3'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Hibernate5JakartaModule 등록 (하이버네이트 모듈) 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jakarta'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QueryDsl 관련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def querydslSrcDir = 'src/main/generated' clean { delete file(querydslSrcDir) } tasks.withType(JavaCompile) { options.generatedSourceOutputDirectory = file(querydslSrcDir) } 이렇게 작성했는데 혹시 틀린 부분이 있을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로 여러 값을 가져올때 영속성 컨테스트 값 저장 형태
예를들어 id값이 20~30인 member를 가져올때 영속성 컨테스트안의 1차캐시에는 값들이 어떻게 저장이 되나요? 일단 강의에서는 em.persist 와 em.find 인 경우 1차 캐시에 값을 저장한다고 해서 위와 같이 jpql을 사용했을때 일단 영속성 컨테스트에 값이 저장되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영속성 컨테스트에 값이 저장되었다면 commit시 1.flush 발생2.스냅샷과 비교해서 변경감지. 3.변경이있었다면(setter)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UPDATE쿼리 생성 및 저장4.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있는 모든 쿼리를 실행.5.커밋(실제DB반영)위 과정이 일어나서 NAME 값이 changeMember로 변경되어야하는데 확인해보니 실제로 값이 변경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update 쿼리도 2번일어나는데 그럼 위의 예시에서executeQuery로 jpql 실행 시1차 캐시에 값이 @id Entity20 member(20,memberA)30 member(30,memberB) 이렇게 저장되는 거 같은데 맞나요??(리스트로 가져오면 , 하나씩 풀어서 저장) 그리고 commit시 위에 제가 생각한 과정대로 이해한게 맞을까요?
-
해결됨Java 마이크로서비스(MSA) 프로젝트 실습
직접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동작하는데, gateway 서버로 보내면 404가 뜹니다
config-server / eureka-server / gateway-server /그리고 item-service-server 대신에 제가 만드는 rms라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띄웠습니다.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서 http 요청을 보내면 404가 뜨고직접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잘 동작하는 상태입니다.그래서 config-server의 gateway-server-local.yml 파일에서 spring.cloud.gateway 부분에 문제가 있을거라 추측하고 계속 찾아봤는데... 어떻게 변경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단 파일 전체를 공유하겠습니다.config-serverresources.application.ymlspring: application: name: config-server profiles: active: native cloud: config: server: native: search-locations: classpath:/config encrypt: enabled: false server: port: 8080 resources.bootstrap.ymlencrypt: key: IRON0000 resources.config.eureka-server-local.ymllogging: file: name: logs/eureka.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com.iron.eureka-server: debug spring: application: name: eureka-server server: port: 8761 eureka: instance: hostname: eureka-server client: serviceUrl: defaultZone: http://${eureka.instance.hostname}:${server.port}/eureka/ register-with-eureka: false fetch-registry: false 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e: include: "*" resources.config.gateway-server-local.ymllogging: file: name: logs/gateway-local.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spring: application: name: gateway-server cloud: gateway: routes: - id: rms uri: lb://rms eureka: instance: prefer-ip-address: true client: register-with-eureka: true fetch-registry: true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761/eureka resources.config.rms.ymllogging: file: name: logs/api.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server-iron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non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default_batch_fetch_size: 1000 #최적화 옵션 mybatis: mapper-locations: mybatis/mappers/*.xml springdoc: default-consumes-media-type: application/json default-produces-media-type: application/json swagger-ui: operations-sorter: alpha disable-swagger-default-url: true display-query-params-without-oauth2: true resources.config.rms-local.ymllogging: file: name: logs/rms-local3.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server-iron username: sa password: '{cipher}'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non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default_batch_fetch_size: 1000 #최적화 옵션 mybatis: mapper-locations: mybatis/mappers/*.xml springdoc: default-consumes-media-type: application/json default-produces-media-type: application/json swagger-ui: operations-sorter: alpha disable-swagger-default-url: true display-query-params-without-oauth2: true token: expiration_time: 86400000 secret: IRON0000 eureka: instance: instance-id: ${spring.cloud.client.hostname}:${spring.application.instance_id:${random.value}} prefer-ip-address: true client: register-with-eureka: true fetch-registry: true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761/eureka eureka-server.ymlresources.bootstrap.ymlspring: application: name: eureka-server profiles: active: local cloud: config: uri: http://localhost:8080 loadbalancer: ribbon: enabled: false gateway-serverresources.bootstrap.ymlserver: port: 8070 spring: application: name: gateway-server profiles: active: local cloud: config: uri: http://localhost:8080 loadbalancer: ribbon: enabled: false 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e: include: refresh, health, beans rmsresources.bootstrap.ymlserver: port: 0 spring: application: name: rms profiles: active: local cloud: config: uri: http://localhost:8080 loadbalancer: ribbon: enabled: false refresh: extra-refreshable: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e: include: refresh, health, beans build.gradle 파일들도 올려야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실제 활용 관점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던 와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실제로 그렇다면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중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게 이점일 것 같은데.대부분의 경우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고, 추상 클래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인가요 ?백엔드 개발 시에도 인터페이스 구현을 통해서만 작성하는 것 같아 여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