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G 재귀
http://boj.kr/7a4cd7062f27488eb2b897aae623f48e위와 같이 재귀로 모든 경우를 탐색하돼 백트래킹을 넣어 어차피 더 해봤자 의미 없는 경우는 제외를 해줬는데 메모리 초과가 나왔습니다.위처럼 재귀로 해결하면서 따로 백트래킹으로 예외 처리를 해주는 것 보다 bfs를 쓰는 것이 더 효율적인가요? 아니면 재귀와 bfs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예외 처리를 visited로 안해줘서 생기는 차이인가요? 어디서 차이가 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큰돌 선생님!!+ visited 배열로 예외처리를 하면 효율적으로 이미 간 곳은 못 가게 되니 속도가 빨라지는 것까지 알겠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다른 경로로 같은 이동 횟수를 가지면서 같은 지점에 도착한 경우'에는 visited 조건 문에서 제외가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면 최솟값이 나온 경우가 몇가지인지 알 수가 없죠.그래서 큰돌 선생님께서 위의 코드를 통해 그 수를 세어주신 것 같은데 어떻게 세어주는 개념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위 그림처럼 이미 못가는 곳이 저렇다고 가정하면위 그림처럼 이전의 값들을 참고, 참고, 참고... 이렇게 참고 해가면서 현재의 경우의 수까지 나오는 것이라고 보면 될까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DTO가 DTO를 가지고 있을 때의 Projections.bean() 혹은 @QueryProjection 사용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영한님공부한 내용을 복습할겸 호출한 외부 api의 데이터를 Projections.bean() 혹은 @QueryProjection을 이용하여 DTO로 바로 조회하여 저장하는 연습을 하고 있었습니다.DTO가 일반적인 객체타입이나 원시타입만 가지고 있었을 때에는 큰 상관이 없었으나 DTO가 DTO를 내부적으로 또 가지고 있으니 위의 방법으로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DTO안에 DTO가 포함된 관계성은 api 제공 사이트측에서 정한것이라 이를 수정하지는 못했습니다.리포지토리와 2개의 DTO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NoArgsConstructor @Getter @Setter public class MatchDTO { private InfoDTO info; @QueryProjection public MatchDTO(InfoDTO info) { this.info = info; } }@Getter @Setter public class InfoDTO { private Long gameDuration; private String gameMode; private List<ParticipantDTO> participants; }public class MatchQueryRepositoryImpl implements MatchQuery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query; public MatchQueryRepositoryImpl(EntityManager em) { this.em = em; this.query = new JPAQueryFactory(em); } @Override public Page<MatchDTO> search(MatchSearchCond searchCond, Pageable pageable) { List<MatchDTO> content = query .select(new QMatchDTO(match.info)) .from(match) .where(gameDurationLoe(searchCond.getGameDuration())) .offset(pageable.getOffset()) .limit(pageable.getPageSize()) .fetch(); return new PageImpl<>(content); } private BooleanExpression gameDurationLoe(Long gameDuration) { return gameDuration != null ? match.info.gameDuration.loe(gameDuration) : null; } }이렇게 코드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컴파일 오류가 query.select()절에서 발생하였습니다.Required type: Expression<? extends practice.secondapi.dto.match.InfoDTO>Provided: QInfo 엔티티가 Q객체로 바뀌는 과정에서 타입 불일치가 일어난 듯 싶은데 구체적인 해결책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코드에 넣지는 않았지만 심지어 InfoDTO는 ParticipantDTO를 리스트로 가지고 있기도 해서... 어떻게 야매로 해결한다해도 또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것 같아서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7강 실습
react-create-app이 안돼서 vite를 사용해서 실습하고 있는데 코드를 똑같이 작성했지만 빈화면만 뜹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컴포넌트 부모 태그
안녕하세요! 좋은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 :)props로 컴포넌트를 받는 Container 컴포넌트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JSX 규칙 중에 모든 컴포넌트는 부모 태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아래 코드처럼 Container는 부모 태그가 없이도 잘 동작하기에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function App() { const counterprops = { a : 1, b : 2, c : 3, d : 4, initialVaule : 5, }; return ( // HTML을 반환 <Container> <div className="App"> <Counter {...counterprops}/> </div> </Container> ); }또한 function App() { const counterprops = { a : 1, b : 2, c : 3, d : 4, initialVaule : 5, }; return ( // HTML을 반환 <div className="App"> <Container> <Counter {...counterprops}/> </Container> </div> ); }이렇게 코드를 짜면 동작하지 않더라구요! 왜 첫번째 코드는 동작하고, 두번째 코드는 동작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공공데이터로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작하기
(수정) Seaborn으로 히트맵 그릴 때 문제해결 공유합니다
sns.heatmap에서 100 이상의 수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해결방법year_month_new = year_month.round(0).astype(int)sns.heatmap(data=year_month_new, cmap="Blues", annot=True, fmt="d")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 이후 뜨는 빨간색 글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스프링 부트로 프로젝트 생성했는데 build.gradle, gitignore등에 빨간색이 생겨요 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젠킨스에서 service healthy check를 하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이 사이트에서 교안 내용을 무단 사용중인지 의심됩니다.
TCP/IP 4계층, 3-way, 4-way handshake (oopy.io)교안 내용에 관해 추가적으로 구글링하며 공부하다가 찾은 사이트입니다.강사님 본인의 사이트가 아니거나 허락받은게 아닌경우 제보 드려야할거 같아 올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1:N 양방향 매핑시에 컬렉션 필드 초기화가 안되는 문제..
안녕하세요. 강의 코드를 참고하며 1:N 양방향 매핑을 시도하고 있습니다.다른 테이블에서는 성공적으로 해서 정말 다른거 없이 똑같이 매핑해서 테스트를 진행중이었는데정말 이유를 모르겠는게 객체가 생성되면서 멤버 변수가 초기화가 되어야 하는데 되지 않아 null값이 들어가있고.null 값이 들어간 List에 add를 하려고 하니 NullPointerException이 나고 있습니다.같은 로직, 같은 OneToMany 매핑을 한 다른 엔티티 에서는 잘 되었는데 해당 부분에서 어떤 이유로 생성될때 멤버변수가 초기화가 되지 않는지 도무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유를 아시는분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정상적으로 진행된 매핑 및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Entity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JOINED) @DiscriminatorColumn(name = "dtype") @DiscriminatorValue("my") @Table(name="my_wallets") @Getter @Setter public class MyWallet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wallet_id") private Long id; private Integer balance=0; //cascade = Persist 속성을 명시해줌으로써, 영속성 전이를 사용하였음. //orphanRemoval = true 를 사용해서 고아 객체를 자동으로 제거 함. @OneToMany(mappedBy = "wallet", cascade = CascadeType.PERSIST,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Transactions> transaction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Transactions(Transactions transaction){ this.transactions.add(transaction); transaction.setWallet(this); } ------------------------------------- @Entity @Table(name = "transactions") @Getter @Setter @ToString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class Transactions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transaction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wallet_id") @Setter private MyWallet wallet; private Long counterId; private Timestamp transactionDate; private String transactionType; private Integer amount; private String location; private Integer balance; private Boolean success; } ----------------------테스트 부분 Transactions t = Transactions.builder() .amount(100) .balance(200) .success(Boolean.TRUE) .build(); MyWallet m1 = createMyWallet(); m1.addTransactions(t); em.persist(m1);컴파일 에러도 없고, 정상적으로 h2 db에 들어가는것을 확인 했습니다.그런데 같은 로직으로 진행한 연관관계 메서드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문제가 되는 코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lombok.*;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Table(name = "article") @Getter @Setter @ToString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class Article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article_id") private Long id; private Long walletId; private Long imageId;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transaction_id") private Transactions transaction; @OneToMany(mappedBy = "article",cascade = CascadeType.PERSIST,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Comments> comments = new ArrayList<>(); // List<Commnets> comments = new ArrayList 를 해주었음에도 null이 들어가있음. public void addComment(Comments comment){ //따라서 null 에 add 를 하려고 하니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합니다.. comments.add(comment); comment.setArticle(this); } } import lombok.*; import javax.persistence.*; import java.sql.Timestamp; @Entity @Table(name = "comments") @Getter @ToString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Builder @Setter public class Comments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comment_id") private Long comment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 = "article_id") @Setter private Article article; private Long writerId;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Timestamp postedDate; } 이 아래는 실행해봤던 테스트 코드중 발생하는 위치의 코드입니다.. Article article = Article.builder() .imageId(99L) .walletId(1L) .imageId(-99L) .build(); em.persist(article); Comments comment = Comments.builder().content("컨텐츠1").writerId(123L).build(); System.out.println("comment = " + comment.toString()); em.persist(comment); article.addComment(comment); //이 부분이 문제..persist를 안해줘서 그런가 싶어서 앞뒤로 옮기며 확인해봤는데 여전히 필드 초기화가 되지 않아서 정말 의문입니다 제가 기본적으로 무엇을 놓치고 있는걸까요 ㅠㅠ 테스트 코드에서 무언가 잘못했을까 싶어 전체 코드도 남겨봅니다.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apache.tomcat.jni.Address;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awt.print.Book;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initDb { private final InitService initService;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initService.doInit1(); // initService.doInit2(); } @Component @Transactional @RequiredArgsConstructor static class InitService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void doInit1() { Transactions t = Transactions.builder() .amount(100) .balance(200) .success(Boolean.TRUE) .build(); MyWallet m1 = createMyWallet(); m1.addTransactions(t); em.persist(m1); MoimWallet moim = createMoimWallet(1000); em.persist(moim); System.out.println("2차 테스트"); moim.setBalance(100); //Mywallet으로 업 캐스팅 ok MyWallet moim2 = createMoimWallet(2000); em.persist(moim2); User user = new User(null, m1, 1L, "ansik_id", "1234", "안식_name", "981212-121212", "010111", UserType.Parent, null); // user.getUsername("안식씨"); em.persist(user); WalletsAndMember wam = new WalletsAndMember(null, moim, user); em.persist(wam); WalletsAndMember wam2 = new WalletsAndMember(null, (MoimWallet) moim2, user); em.persist(wam2); Article article = Article.builder() .imageId(99L) .walletId(1L) .imageId(-99L) .build(); em.persist(article); Comments comment = Comments.builder().content("컨텐츠1").writerId(123L).build(); System.out.println("comment = " + comment.toString()); em.persist(comment); System.out.println("comment = " + comment.toString()); // comment.setArticle(article); article.addComment(comment); // article.getComments().add(comment); em.persist(article); em.flush(); em.clear(); } private static MyWallet createMyWallet() { MyWallet myWallet = new MyWallet(); return myWallet; } private static MoimWallet createMoimWallet(int amount) { MoimWallet moimWallet = new MoimWallet(); moimWallet.setTarget_amount(amount); return moimWallet; } } } 아래에 에러 로그를 남겨봅니다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2023-08-10 00:59:32.985 ERROR 47056 --- [ restartedMain] o.s.boot.SpringApplication : Application run failed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initDb':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postProcessBeforeInitialization(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java:160)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applyBeanPostProcessorsBeforeInitializatio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440)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796)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20)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42)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5)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3)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8)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955)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20) ~[spring-context-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83) ~[spring-context-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7) ~[spring-boot-2.7.13.jar:2.7.1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31) ~[spring-boot-2.7.13.jar:2.7.1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08) ~[spring-boot-2.7.13.jar:2.7.1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07) ~[spring-boot-2.7.13.jar:2.7.1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03) ~[spring-boot-2.7.13.jar:2.7.1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292) ~[spring-boot-2.7.13.jar:2.7.13] at team.ServerApplication.main(ServerApplication.java:12) ~[classes/: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62)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6) ~[na:na] at org.springframework.boot.devtools.restart.RestartLauncher.run(RestartLauncher.java:50) ~[spring-boot-devtools-2.7.13.jar:2.7.13] Caused by: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null at team.entities.Article.addComment(Article.java:33) ~[classes/:na] at team.initDb$InitService.doInit1(initDb.java:74) ~[classes/:na] at team.initDb$InitService$$FastClassBySpringCGLIB$$48d5c178.invoke(<generated>) ~[classes/:na] at org.springframework.cglib.proxy.MethodProxy.invoke(MethodProxy.java:218) ~[spring-core-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CglibMethodInvocation.invokeJoinpoint(CglibAopProxy.java:793) ~[spring-aop-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proceed(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63) ~[spring-aop-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CglibMethodInvocation.proceed(CglibAopProxy.java:763) ~[spring-aop-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Interceptor$1.proceedWithInvocation(TransactionInterceptor.java:123) ~[spring-tx-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AspectSupport.invokeWithinTransaction(TransactionAspectSupport.java:388) ~[spring-tx-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Interceptor.invoke(TransactionInterceptor.java:119) ~[spring-tx-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proceed(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86) ~[spring-aop-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CglibMethodInvocation.proceed(CglibAopProxy.java:763) ~[spring-aop-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DynamicAdvisedInterceptor.intercept(CglibAopProxy.java:708) ~[spring-aop-5.3.28.jar:5.3.28] at team.initDb$InitService$$EnhancerBySpringCGLIB$$3cdef9a7.doInit1(<generated>) ~[classes/:na] at team.initDb.init(initDb.java:22) ~[classes/: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62)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6) ~[na:na]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LifecycleElement.invoke(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java:389)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LifecycleMetadata.invokeInitMethods(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java:333) ~[spring-beans-5.3.28.jar:5.3.2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postProcessBeforeInitialization(InitDestroyAnnotationBeanPostProcessor.java:157) ~[spring-beans-5.3.28.jar:5.3.28] ... 23 common frames omitted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RedissonClient null
TC에 문제가 있어 디버깅을 해보니RedissonClient가 null이네요.기본 url에 port인데 왜 이럴까요? ㅠㅠ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JAVA
union 코드에 질문 있습니다.
union 메소드 구현할 때 저는 find(a)와 find(b) 중 더 작은 수로 통일하기 위해 static void union(int a, int b) { int a_rep = find(a); // a의 대표값 int b_rep = find(b); // b의 대표값 int min = a_rep<b_rep ? a_rep:b_rep; parent[a] = min; parent[b] = min; } 이렇게 코드를 짰는데요.이렇게 하니 에러가 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ㅠ 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메소드 오버로딩 강의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파이썬 기본 문법 강의부터 잘 들었던 학생입니다 ㅎㅎ메소드 오버로딩 강의를 듣다가 메소드 오버로딩의 목적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구글링을 해보았는데요,TCP 스쿨 문서에 '이러한 메소드 오버로딩을 사용함으로써 메소드에 사용되는 이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또한, 메소드를 호출할 때 전달해야 할 매개변수의 타입이나 개수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고 호출할 수 있게 됩니다.메소드 오버로딩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중 하나인 다형성(polymorphism)을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라고 답변이 나와있어 몇가지 질문드립니다.메소드 오버로딩은 메소드에 사용되는 이름을 절약하는 것이 있고 다른 목적이 또 있을까요?여기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중 하나인 '다형성'이라고 나오는데 다형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메소드 오버로딩의 대표적인 예로는 println() 메소드를 들 수 있다고하는데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창시할때 println()을 만들었을시, 해당 함수를 의미하는 것일까요?항상 너무 감사하게 잘 듣고있습니다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태풍 조심하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안녕하세요. 강사님 듣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ref.watch를 작성하게 되면 ref 값이 변하게 되면 빌드를 다시하는거고ref.listen은 값이 변할때 빌드는 다시하지 않지만 값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벤트를 실행해주는 것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알 수 없는 컴파일러 옵션 moduleDetection,,,,,에러 발생합니다.
typescript 최신 버전입니다.구글링하는데 다른 해결 방법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10.4 토큰테스트에는 표시되지만 api 서버에는 유효하지 않다고 나와요.
질문1)4000/test에서는 토큰이 표시되지만, 8002/v1/test 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토큰으로 뜨는 이유가 무엇일까요?로그에서는 401코드가 뜨다가 4000/test 접속 후 새로고침을 하면 200 코드가 로그에 다시 뜹니다. api 코딩 내용 첨부합니다.app.jscontrollers/v1middleware/v1routes/v1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강의 듣는 순서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CI / CD 는 github action 써 본 경험 밖에 없는데요 Jenkins가 궁금해서 강의를 구매했습니다. 강의 목차를 보니 Ansible, k8s 등등 다양한 기술과 접목 지어서 배포 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것 같네요.현재 저는 하고 있는 간단한 개인 플젝과 관련하여 배포 관련 학습을 하는게 주목적입니다. 도커, CI / CD (AWS 상에 배포한다고 가정)만 공부하고자 한다면 Ansible, k8s 부분 등은 건너뛰고 Advanced Jenkins 그리고 그 뒤에 있는 챕터들을 학습하는 식으로 해도 괜찮을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docker mysql or mariadb 실행 에러 참고하세요
mariadb 최신버전 사용시 Dockerfile 그대로 작성시 실행 에러가 발생합니다.저는 sql 을 백업해서 스키마랑 테이블 새로 만들도록 수정해서 해결했습니다.추가로 실행후 mysql 접속도 mysql 명령어가 아닌 mariadb 로 작성하셔야 됩니다.mariadb -h127.0.0.1 -uroot -pmysqldump -u root -p mydb > mydb.sqlFROM mariadb ENV MYSQL_ROOT_PASSWORD test1357 ENV MYSQL_DATABASE mydb COPY ./mydb.sql /docker-entrypoint-initdb.d/ EXPOSE 3306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nestjs autoSchemaFile에러
import { ApolloDriver, ApolloDriverAsyncConfig as ad } from '@nestjs/apollo';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GraphQLModule } from '@nestjs/graphql';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Module({ imports: [ GraphQLModule.forRoot<ad>({ // forRoot의 데이터타입지정 <> -> 제네릭 부분 driver: ApolloDriver, autoSchemaFile: 'src/commons/graphql/schema.gql', }), ],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 import { Field, Int, ObjectType } from '@nestjs/graphql'; @ObjectType() // graphql에서 type을 의미함 예)type Board export class Board { @Field(() => Int) // Int를 import를 해서 사용해야한다 number: number; // ;을 기준으로 구분함 @Field(() => String) // graphql을 위한 용도 writer: string; @Field(() => String) title: string; @Field(() => String) contents: string; } 단순히 graphql shema를 자동생성 해주는 거만 테스트할려고했는데 경로를 잡아주니 에러가나와서 true도 해보고 playground : true도 추가해보고했는데 계속 해서 오류가 나고 계속해서 오류는 type이 존재하지않는다고해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Argument of type '{ driver: typeof ApolloDriver; autoSchemaFile: string; }'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ApolloDriverAsyncConfig'.Object literal may only specify known properties, and 'autoSchemaFile' does not exist in type 'GqlModuleAsyncOptions<ApolloDriverConfig, GqlOptionsFactory<ApolloDriverConfig>>'.ts(2345)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갑자기 이해가 안돼서 질문합니다.
if(nx>=0 && nx<n && ny>=0 && ny<n && arr[nx][ny]>=arr[i][j]) 여기서 nx >= 0, ny >= 0은 이해가 되는데, nx < n 과 ny<n 은 왜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한참 알고리즘 공부할때는 이해가 됐었는데,, 오랜만에 하니까 이해가 안되네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Firebase 이메일로그인 회원가입 실패할때
이메일 형식이 아닌 아이디만 입력했을경우회원가입이 되지 않습니다. 혹시라도 저같이 대충 이메일 안적고 아이디 적으면서 실패로 뜨시는분들을 위해 올려드립니다~ 회원가입이 되지 않는다면 이메일형식으로 시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