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rlth 가 뭔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h2 db 설치 연결 확인 후,home 에 test.mv.db 파일을 확인해야 된다면서llll -arlth 이렇게 들어가시는데 이게 뭔가요?여기서 막혀서 답답하네요.맥 써본 적도 없고 실무도 윈도우로 하는데 어지럽네요.ll 이 dir 이라는건 아는데 -arlth 는 처음 봐요.home이 어딜 말하는건지 모르겠어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현업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기능을 운영 장비에서 사용하지 않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부분 강의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 생성된 DDL은 개발 장비에서만 사용해야 하며, 운영 장비에서는 사용하면 안 된다.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생성된 DDL은 운영서버에서는 사용하지 않거나, 적절히 다듬 은 후 사용 이라고 강의 자료에 나와 있는데요.그렇다면, 실제 현업에서는 운영 서버에 새로운 테이블을 create 하거나, 기존 테이블을 update(칼럼 추가 혹은 변경 등...) 하는 경우에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강의 내용 + 서칭에 따르면, 로컬에서 DB 스키마 자동 생성 -> 검증 및 정제 -> 최종 스키마를 DB 툴을 이용해서 추출 -> 최종 스키마인 "create table ~~"을 테스트 DB에 적용(이 때, JPA 를 통해서가 아닌, 스키마 자체를 적용해야 함) -> QA 진행 , 검증 및 정제 -> 최종 스키마를 DB 툴을 이용해서 추출 -> 최종 스키마인 "create table ~~"을 테스트 DB에 적용(이 때, JPA 를 통해서가 아닌, 스키마 자체를 적용해야 함)을 운영 장비에 적용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걸까요? (물론, 여건에 따라, 테스트 서버도 JPA DB 스키마 자동 생성 기능으로 처리할 수도 있을 듯 합니다.)create 뿐만 아니라, update 또한 운영서버에 적용하면 안되며, update 또한 테스트서버에 적용하는 것은 지양한다고 하셨습니다. 운영 서버의 소스코드가 (JPA DB 자동 스키마 생성기능을 통해) 테스트 서버, 운영 서버의 DB create, update 권한을 가진다는 것 자체에 대해 우려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DB 관련하여 컨트롤하는 기능 중, JPA 에서 설정하지 못하는 것이 있어서 그런건가요? 말씀해주신 결과적인 사건들을 통해 위험하다 는 것은 알겠는데, 그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하라고 한다면, 아직 정확하게 말 할 수 없을 듯 하여, 질문 남깁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코드에서 엔티티 set과 builder패턴 사용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테스트코드 작성중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 @Setter 어노테이션을 자주 사용하게 되면 어디서 변경될지 모르기때문에 사용을 하지말라고 알고 있는데 김영한 강사님께서는 테스트 코드 작성시 set을 사용하셔서요 테스트코드에서만 setter를 사용한다면 문제가 없을까요? 이에 관련하여 구글링을 해보았는데 테스트코드 한정으로 setter를 사용한다고 하는 분들도 있네요 저 같은경우는 테스트코드에서도 @Builder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set을 대체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좀 귀찮은면이 있어서... 엔티티에 @Setter를 선언하고 테스트 코드에만 사용하는것이 더 좋을지 그래도 @Setter의 위험성을 생각해서 사용하지말고, @Builder를 사용하는것이 더 좋을지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각각 sort해서 계산하는 것과 계산한 뒤 모아서 sort하는 것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3-2 공통 원소 구하기(two pointers algorithm) 문제입니다. public List<Integer> solution(int n, int[] arr1, int m, int[] arr2) { List<Integer> answer = new ArrayList<>(); Set<Integer> set = new HashSet<>(); for(int i= 0 ; i<n; i++) { set.add(arr1[i]) } for(int i= 0 ; i<m; i++) { if(!set.add(arr2[i])) answer.add(arr2[i]); } answer.sort((o1, o2) -> {if(o1 < o2) return -1; else if(o1 == o2) return 0; else return 1;}); return answer; }위는 제가 수업 전에 작성한 코드입니다.1. HashSet으로 중복된 것을 거르고 List로 넣은 후에2. List를 오름차순으로 정렬순으로 코드를 작성했는데 마지막 테스트 케이스에 시간초과가 발생했습니다. [ 질문 ] sort때문에 시간 초과가 나는 것 같은데, 강사님 방법처럼 갖고있는 모든 원소를 sort하는 것보다 중복된 원소만 모아둔 뒤 sort하는 것이 덜 부담될 것이라 생각했는데 왜 시간초과가 나는 것인가요?여기서 시간초과가 날 것이라는 것을 사전에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
미해결
극초보 코린이 인텔리제이 빌드 직후 질문
인텔리제이 사용중인 코린이 입니다. 혼자 게시판 만들기 위해서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는데 이렇게 왼쪽에 보시는것과 같이 빨간색이 뜨는데 왜뜨는지 해결방법이 무엇인지 도와주세요..ㅜㅜ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백엔드 뉴비입니다. 뷰도 만들고 싶은데 SSR말고 CSR 하는게 좋을까요?
백엔드 뉴비입니다. 뷰도 만들고 싶은데 SSR말고 CSR 하는게 좋을까요?혼자 프로젝트 연습중인데요! 타임리프보다는 Vue.js같은 걸 하는게나중에 협업할때 좋을 것 같아서요.이왕 공부하는거 타임리프보다Vue.js 공부할까요?정말 고민이에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flutter doctor 실행 했을 때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java 관련 경고가 나타납니다.
flutter doctor 실행 했을 때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java 관련 경고가 나타납니다.에러가 아닌 경고라서 진행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만 해결하고 싶어서 구글에 검색을 해봐도 해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 강의를 듣고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이번에 백엔드 단기간 취업 목적으로 JPA 활용 1, 2 를 들어서 포트폴리오에 첨가할 프로젝트를만들 계획이 있습니다.부수적인 CS, 언어, 데이터베이스 등등의 지식이뒷받침된다는 전제하에 만들 수 있나요?MVC 강의가 있던데 이것을 듣지 않는다면 불가능하거나 혹은 지장이 많나요?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stockservice 함수의 saveandflush 질문이 있습니다
stockservice 클래스의 decrease의 saveandflush를 synchronized를 위해 사용한 것은 이해가 갔습니다.근데 jpa를 사용할 때 값을 update할 때 더티체킹에 의해서 update가 확인이 되어 repository를 통해 save를 하지 않아도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실무에선 save나 saveandflush를 사용하지 않고 decrease 메서드만 사용해도 될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v1/simple-orders로 api호출을 하면 자꾸 InvalidDefinitionException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강의를 보면서 따라서 하고 있는 도중에 api/v1/simple-orders로 접근을 하면 invalidDefinitionException이 발생합니다.혹시 오타가 있나해서 몇번이고 다시 확인하고 orderRepository클래스도 붙여넣고 initDB클래스도 붙여넣었는데도 안되네요...찾아보니까 jackson 라이브러리가 객체를 JSON타입으로 바꾸면서 생기는 오류라고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아래는 압축한 파일일 있는 링크입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FGTNqcXxTkw2l-UeVN50kW6v12b4oGQj/view?usp=sharing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서비스와 리포지토리의 차이
MemberService의 메소드를 보면 findMembers와 findOne같은 경우 Repository의 메소드를 (이름만 바꿔주는 식으로?) 한번 더 호출해주는 역할만 하고 join만 중복 회원 검증이라는 추가 적인 일을 하고 있는데요 이렇다면 굳이 Service단을 만들어서 코드를 입력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findMembers가 필요하다면 그냥 findAll을 사용하면 되고, findOne이 필요하다면 findById를 사용하면 되지 않나요? 차라리 save 메소드에 중복회원을 검증하는 로직을 추가하는게 더 효율적이지 않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tatic 선언 이유
static을 붙여서 생성하면 클래스 변수기 때문에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때 붙인다고 알고 있는데 sequence와 store에 static을 붙인 이유가 무엇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실습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java.lang.NullPointerException: Cannot invoke "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join(hello.hellospring.domain.Member)" because "this.memberService" is null 테스트케이스에서 실행했는데 오류가 뜹니다 this.memberService 가 null이라 오류인건 알았는데왜 그런건가요? 강의코드 복붙해도 그러네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querydsl 의존성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queryprojection 어노테이션이 쿼리 디에스엘에 의존성에 대한 얘기를 해주셨는데요. 레포지토리에서 쓰는 쿼리디에스엘도 같은 의존성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요 ? 극단적인 예로 치명적인 버그로 쿼리디에스엘을 급히 밀어야 되는 문제라던가 다른걸로 대체를 해야 할때레포지토리에서 사용했던 쿼리펙토리도 모두 바꿔줘야 하는 부분이 아닌가 해서요.
-
미해결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1부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소스코드는 어디서 다운로드받을수있나요?깃허브에 effective-java인가요??...과제도 따로있다면어떻게 제출하고 진행하는지 방법알수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dto로 만들어 바로 조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프로젝션을 보고 있던와중에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남깁니다. dto로 반환해주고 싶은데 dto가 private final 일 경우 기본 생성자를 만들지 못하는데 이럴땐 final을 풀고 기본생성자를 사용해주는 방법으로 가는게 맞을까요 ? 다른방법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JdbcTemplate 생성자 만드는데 에러나요. JdbcTemplate 타입의 bean을 찾을 수 없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JdbcTemplate 생성자 만드는데 에러나요. JdbcTemplate 타입의 bean을 찾을 수 없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강의를 더 보니까 19강에서 설명해주고 계신 build.gradle 때문인거 같은데요.저는 해당 파일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것 같아요.위 캡쳐처럼 코드가 알록달록(주황, 보라, 노랑..) 하지 않고, 모두 회색으로 보이는데 그래서 일까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코루틴의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강사님, 강의 내용에는 코루틴이 없어 학습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아래 코드의 실행 순서를 제가 정리 해봤습니다.제가 코루틴의 suspend, resume을 잘 이해한게 맞나 궁금해서요.물어볼 곳이 없어서, 죄송스럽게도 강사님께 문의를 하게 되었습니다.강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어 답변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지만, 답변이 안달리다도 괜찮습니다.감사합니다. println("Coroutine Outer") 이 실행된다.A 코루틴에서 delay를 만나, B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간다.B 코루틴도 delay를 만나, A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준다.1초가 지나고 A코루틴의 println("Coroutine A, Si")을 실행한다.반복문에 의하여 A코루틴의 2번째 delay를 만나, 다시 B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준다.B 코루틴도 1초가 지난 상태여서, 바로 println("Coroutine B, Si")을 실행한다.반복문에 의하여 B코루틴의 2번째 delay를 만나, 다시 A 코루틴으로 실행권을 넘겨준다.그 다음 4~7을 반복문이 끝날 때 까지 반복 후 코루틴이 종료된다.fun main() = runBlocking { // A 코루틴 launch { repeat(5) { i -> delay(1000L) println("Coroutine A") } } // B 코루틴 launch { repeat(5) { i -> delay(1000L) println("Coroutine B") } } println("Coroutine Outer") } fun <T> println(msg: T) { kotlin.io.println("$msg [${Thread.currentThread().name}]") }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리팩토링
필드를 감추는 것이 중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강사님레코드 캡슐화 설명을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강의에서, 퍼블릭 필드를 감추는 용도로 퍼블릭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로는 퍼블릭 필드(ex, String name) 와 퍼블릭 메서드(ex, String setLastName()) 의 이름이 완전히 동일하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위 문장을, 퍼블릭 메서드는 퍼블릭 필드를 감추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고 이해했습니다.궁금한 점은, 그렇다면 필드를 감추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클라이언트단에서 데이터 클래스의 필드에 무작위적인 접근을 방지하기 위함인가요? 무작위적인 필드의 접근은 데이터를 쉽게 수정할 수 있게 때문이라고 추측했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송아지 찾기 문제
package dfs_and_bf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Solution_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positions[] = br.readLine().split(" "); int S = Integer.parseInt(positions[0]); int E = Integer.parseInt(positions[1]);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int levels[] = new int[10001]; boolean[] visited = new boolean[10001]; queue.offer(S); levels[S] = 0; visited[S] = true; int[] dis = {1, -1, 5}; while(!queue.isEmpty()) { int pos = queue.poll(); if(pos == E) { System.out.println(levels[pos]); break; }else { for(int i = 0; i < dis.length; i++) { int newPos = pos + dis[i]; if(newPos >=1 && newPos <= 10000 && !visited[newPos]) { queue.add(newPos); levels[newPos] = (levels[pos] + 1); visited[newPos] = true; } } } } } } 혹시 이런 식으로 구현하게 되면 levels 라는 배열이 필요하게 되는데 맞나요? 채점 사이트에서는 맞았다고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