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섹션 4. 회원 도메인 개발-회원서비스 개발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섹션 4. 회원 도메인 개발-회원서비스 개발에 대해 질문있습니다.테스트 junit으로 테스트 실행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옵니다.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No tests found for given includes: [jpabook.jpashop.Service.MemberServiceTest](filter.includeTestsMatching)package jpabook.jpashop.Service;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import jpabook.jpashop.domains.Member; import jpabook.jpashop.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junit.Test;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메모리db로 test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Equals;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public void 회원가입()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kim"); //when Long savedId = memberService.join(member); //then assertEquals(member, memberRepository.findOne(savedId)); } // @Test // public void 중복회원예외() throws Exception { // //given // // //when // // //then // // } }에러 사항을 찾아보니 디렉토리 위치가 다를 경우에 에러가 날 수 있다고 하여 디렉토리 위치를 비교해봐도 같습니다. junit테스트도 동일합니다. 어느 부분이 틀린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어떤 경우 cascade 를 적용해도 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스프링 cascade 활용도 측면에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영한님 - 인프런 (inflearn.com)이 질문을 남겼었던 수강생입니다! 잠깐 상황을 요약하면 Program 과 Review 그리고 User 가 다대 1 1대 다 로 묶여 있는 상황입니다. program 에서 program.addReview 메서드를 활용하기 위해 cascade type 을 적용하였었습니다. 하지만 영한 님은 이부분의 코드는 별로 좋은 코드가 아니다! cascade 옵션 질문 - 인프런 (inflearn.com)를 참고해서 보아라. 라고 하셨습니다. 위 질문의 요약은 강의에서 Order 는 OrderItem 을 개인 소유 하나, Order 와 Delivery 는 Delivery 가 여러 곳에서 참조할 수 있으므로 개인 소유 하지 않는다. 라고 읽었습니다. 참조 하는 것과 Cascade Type .all 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6줄요약하면: Delivery 와 Review 는 여러 곳에서 참조할 수 있으므로 CascadeType all 을 붙이지 말라고 하신 것 같은데 여러 곳에서 참조가능성이 있으면 CascadeType all 을 왜 붙이지 말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단순히 계속 코드를 보며 추적해야 하는 것 때문인가요?? 이 부분이 와닿지 않습니다. 혹시 실제 예를 들어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3.2버전 gradle 설정에 대한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이게 현재 프로젝트 이고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3'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runtimeOnly 'com.mysql:mysql-connector-j'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test 롬복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1.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5.1.0: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querydsl 추가 시작 def querydslDir = file('build/generated/querydsl') querydsl {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 } sourceSets { main.java.srcDir querydslDir } 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compileQuerydsl {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현재 gradle설정인데 Querydsl 설정과 검증 부분에서 막혔어요클린해서 q파일 지우고 테스트 코드 런하면 아래 에러가 나타나고error: Attempt to recreate a file for type study.querydsl.entity.QHello 이후에 q파일이 생성 된 후에는 error: Could not find class file for 'study.querydsl.entity.Hello'. 에러가 반복되네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086099 다른분들 설정파일 따라해도 안됩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부트스트랩, css
프로젝트를 받아서 실행시켜보니 이런 메시지가 뜨면서 css가 적용되지 않은것을 확인 했습니다. 해결해 보기 위해서 링크도 추가해보고 했지만 여전히 바뀌지가 않네요 이럴경우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성 참조에 관해 질문 있습니다.
public class Animal { public void sound(){ System.out.println("동물 울음 소리"); } } public class Dog extends Animal{ @Override public void sound() { System.out.println("멍멍"); } } public class BabyDog extends Dog{ public void sound() { System.out.println("낑낑"); } } public class AnimalPolyMain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g dog = new Dog(); BabyDog babyDog = new BabyDog(); soundAnimal(dog); soundAnimal(babyDog); } private static void soundAnimal(Animal animal){ System.out.println("동물 소리 테스트 시작"); animal.sound(); System.out.println("동물 소리 테스트 종료"); } }안녕하세요. 강의 중 추가적으로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그림에 따르면 코드에 만약에 제가 BabyDog클래스를 만들어서 Dog를 extends 한 후 오버라이딩을 하지 않고 매서드를 생성하면 "낑낑"이 아닌 매서드 오버라이딩이 된 "멍멍"이 출력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efault_batch_fetch_size 쿼리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select oi1_0.order_id, oi1_0.order_item_id, oi1_0.count, oi1_0.item_id, oi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i1_0 where oi1_0.order_id 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의 4-4 페이징과 한계돌파 들으면서 똑같이 yml에 배치사이즈 100으로 하고 하던중확인해보니 in문에 강의처럼 order 데이터 2개 있으니 '?' 2개로 보여야하는데배치사이즈 설정한 수만큼 '?' 가 100개 이고 ,p6spy 보면 나머지 98개가 null로 들어갑니다..org.hibernate.orm.jdbc.bind: trace 하고 확인해봐도 여전한데하이버네이트나 머 다른게 업데이트후 저렇게 쿼리문 나가는게 정상이에요?아니면 다른 문제이면서 저렇게 쿼리문 나가는건 성능에 안 좋은 영향 있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중급편 완강 후 스프링
방금 중급편 오픈 예정 글을 보고 왔습니다!혹시 중급편에서 예외처리와 제네릭 컬렉션에 관해서 공부 후에 고급편 듣지 않고 바로 스프링으로 넘어가도 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편의메서드 개인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있긴한데 좀 다릅니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연관관계 편의메서드와 관련된 질문입니다.public void setMember(Member member) { this.member = member; member.getOrders().add(this);}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add(orderItem); orderItem.setOrder(this);}public void setDelivery(Delivery delivery) { this.delivery = delivery; delivery.setOrder(this);}공부하던 도중 일대다, 다대일, 일대일 연관관계 매서드가 모두 다른 것을 발견했습니다. 제 궁금증은 다대일에서는 왜 meber.getOrders().add(this)로 세팅하고 일대일이나 다대일에서는 orderItem.setOrder(this)로 세팅하는지 궁금한 것 입니다.커뮤니티에 관련 질문을 찾던 도중 jpa 기본편을 보시라고 하셨는데 위치를 못 찾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추가로 제가 자바의 List의 메소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모르는가 싶기도 한데 그게 맞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세타 조인이 안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내용과 그대로 세타조인을 따라 했는데 query나온 것을 보니 cross join이 없어요그리고 left join도 처음 sql에서는 left join이 나오는데번역된 sql에서는 left join이 생략되는데 jpa가 최적화를 한 것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와 도메인 서비스의 구성
안녕하세요.OSIV 강의 후반부 내용에서 규모가 비교적 큰 프로젝트에서는 도메인 계층과 더불어 그 앞단에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추가하는걸 고려해보라고 말씀주신 내용이 있었는데요. 이게 제가 찾고 있는 해답이 아닐까 싶어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어 질문 드립니다. 질문이 조금은 장황해도 너그러히 이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최근에 개인 프로젝트를 수행해보면서 제가 학습해온 개념들(JPA, DDD, MSA)이 중점적으로 다루는 내용이 다르다보니 프로젝트 구성에서 혼란을 겪어오고 있습니다.현재 개인 프로젝트 패키지 구조는 제가 느끼기에 가장 와닿았던 controller - application - domain - repository로 나뉘어 개발하고 있습니다.이때 application 계층의 역할은 하나의 요구사항(가입, 해지 등)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하위 계층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을 호출하는 facade를 구성합니다. 또, domain에서는 도메인 객체와 더불어 해당 도메인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비즈니스적 처리를 추상화하여 표현하고, 데이터 핵심 데이터 처리를 repository에 위임하도록 구성했습니다.다만 이해가 안 갔던건 트랜잭션을 처리 계층에 대한 내용인데요. 제가 본 msa 도서에서는 facade에서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각각이 서로 다른 도메인 처리이므로 application 계층이 아닌, domain 메소드 단위로 트랜잭션이 구성되어야한다더라구요.그런데 사실 제가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MSA 구조가 아니고, 여러 에그리거트가 복합된 구조이기에 위 구조와 사상을 가지고 개발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서로 다른 도메인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간에 호출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었는데요.예를 들어, 두 user가 하나의 group을 구성하는 서비스를 만들 때도 groupService라는 group에 종속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두 사용자 정보를 불러오는 userService 주입하자니, 서로 상이한 서비스간에 불필요한 의존성이 생기고, 같은 레벨의 서비스를 참조하는 것이 어색하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facade 계층에서 두 서비스를 주입하여 그룹생성 절차를 처리하자니 한 트랜잭션에 처리되어야한다고 생각하는 그룹 생성 처리 절차에서 회원, 그룹 서비스의 트랜잭션이 분리되니 이상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드디어 본격적인 질문인데요. 혹시 영한님께서 말씀하신 애플리케이션 계층이 이렇게 도메인에 종속된 두 개 이상의 서비스가 함께 쓰여야 할 때 쓰이는 것이 맞을까요?맞다면 controller - application - domain - repository 의 계층구조에서 facade가 들어가던 application에 해당 복합(?) 서비스를 구현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dto객체정도들만 구현하면 되는걸까요? 3. 굳이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필요로 하지않은 하나의 도메인에만 종속된 기능들을 호출구조를 어떻게 가야할까요?애플리케이션 계층을 도입한 상황에서 controller에서 domain 계층을 바로 호출하는 것은 일관성이 없어보이고, 또 일관성을 맞추기위해 application 계층에서 도메인 계층으로 BYPASS하는 객체를 만드는 것도 비효율적으로 보이긴합니다. 각각의 케이스에 어떻게 가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영속성 컨텍스트 질문
9:57 보시면51 라인 Account account = accountRepository.findByEmail(email); 이 순간 account 객체는 Persistent 상태이고,이 코드 이후로 account 이건 다시 detach 상태가 되는데63라인 accountService.completeSignUp(account);이 코드로 인하여 다시 Persistent 로 상태가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왜냐하면 accountService.completeSignUp(account);에는 트랜잭션어노테이션이붙어있어서)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자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소스코드가 포함된 강의 자료 다운받으려하는데 어디에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SpringApplication 실행 시 입력상자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elloSpringApplication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입력 상자가 뜨는데 이유가 뭔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실전 예제 4번 클립에서 마지막 부분에 하신 말씀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11:03 경에 "이런 것들 json으로 말아넣자"라고 말씀하신 부분이요.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당장 이 프로세스가 필요해서는 아니지만 개념적으로라도 알고 있으려고 합니다!"이런 데이터"에 관해서도 조금 더 풀어서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어떤 성격의 데이터들은 테이블이 아니라 json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인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다시 강의를 보니 드는생각..
이메일 인증요청시간을 1시간으로 잡으셨는데인증할때마다 마지막인증요청 시간을 업데이트 쳐줘야 하는거 아닌가요 ???(/resend-confirm-email) 이 메서드를 실행 정상 했을때 마다
-
미해결
JAVA Scanner
package bufferTest;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Buffer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a = scan.next(); String[] arr1 = {"a"}; System.out.println(System.identityHashCode(a));System.out.println(System.identityHashCode(arr1[0])); }} 왜 arr[0]과 a의 주소 값이 다른가요..???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
api란 개념을 잘 모르겠습니다.그냥 controller에서 mapping하는 것이 api 인가요?1편에서 만들었던@GetMapping("/members/new")public String createForm(Model model) {...}이런 코드들도 각각 api라 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에 대해서
지난 강의 JPA 활용 1편을 듣고왔는데요,API를 개발하는 이유와 의미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
버튼 클릭 시 페이지가 로드되지 않는 문제 해결 방법 질문
개요로그인 성공 후 인덱스 페이지로 넘어갑니다.인덱스 페이지에는 "테스트 버튼" 이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test 로드하는 api 를 호출하도록 했습니다.그러나 api 요청만 진행되고, 페이지는 바뀌지 않습니다.개발자도구 메시지에 해당 페이지의 html 코드만 출력됩니다. 참고자료index.html<!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인덱스 페이지</title>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7.0.min.js" integrity="sha256-2Pmvv0kuTBOenSvLm6bvfBSSHrUJ+3A7x6P5Ebd07/g=" crossorigin="anonymous"></script> </head> <body> <h1>환영합니다!</h1> <p>성공적으로 로그인하셨습니다.</p> <button id="logoutButton">로그아웃</button> <button id="testButton">테스트 버튼</button>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 // 로그아웃 버튼 이벤트 $('#logoutButton').click(function() { // 로컬 스토리지에서 토큰 제거 localStorage.removeItem('accessToken'); //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션 window.location.href = '/login'; }); // 테스트 버튼 이벤트 $('#testButton').click(function() { // 로컬 스토리지에서 토큰 가져오기 const token =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if (token) { $.ajax({ url: '/api/test', // 요청할 서버의 URL type: 'GET', // HTTP 메서드 beforeSend: function(xhr) { // 요청 헤더에 토큰 추가 xhr.setRequestHeader('Authorization', token); }, success: function(data) { // 요청 성공 시 로직 console.log("테스트 요청 성공:", data); alert("테스트 요청 성공"); }, error: function(xhr, status, error) { // 요청 실패 시 로직 console.error("테스트 요청 실패:", xhr.responseText); alert("테스트 요청 실패"); } }); } else { alert("토큰이 없습니다. 다시 로그인해주세요."); } }); }); </script> </body> </html> 보이는 것처럼 로컬 스토리지에서 토큰을 가져온 후 요청 헤더에 다시 담아서 전송합니다.JwtAuthorizationFilter@Override protected void doFilterInternal(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FilterChain filterChain)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헤더에서 토큰 추출 log.info("헤더에서 토큰 추출"); String tokenValue = jwtUtil.getJwtFromHeader(req); log.info("토큰 : " + tokenValue); if (StringUtils.hasText(tokenValue)) { // 토큰 유효성 검사 if (!jwtUtil.validateToken(tokenValue)) { log.info("Token Error"); return; } Claims info = jwtUtil.getUserInfoFromToken(tokenValue); try { setAuthentication(info.getSubject()); } catch (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return; } } else { log.info("토큰이 없습니다."); } filterChain.doFilter(req, res); } // 인증 처리 public void setAuthentication(String loginId) { log.info("인증 성공"); SecurityContext context = SecurityContextHolder.createEmptyContext();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createAuthentication(loginId); 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 SecurityContextHolder.setContext(context); } // 인증 객체 생성 private Authentication createAuthentication(String loginId) { log.info("인증 객체 생성"); UserDetails userDetails = userDetailsService.loadUserByUsername(loginId); return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userDetails, null, userDetails.getAuthorities()); }이렇게 JwtAuthorizationFilter 가 있을 때 헤더에서 토큰이 추출되는 거까지 로그에 다 출력되고, 인증 객체까지 생성되는 걸 확인했습니다. Console2024-02-26T14:31:24.699+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JWT 검증 및 인가 : 토큰 : eyJhbGciOiJIUzI1NiJ9.eyJzdWIiOiJ0ZXN0NiIsImF1dGgiOiJPV05FUiIsImlhdCI6MTcwODkyNDY0NiwiZXhwIjoxNzA4OTI4MjQ2fQ.TLjHCc1_ZtTbzGb-2c0ueLmxgCyxQf1rUQs4DkqMv_c 2024-02-26T14:31:24.706+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JWT 검증 및 인가 : 인증 성공 2024-02-26T14:31:24.706+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JWT 검증 및 인가 : 인증 객체 생성 Hibernate: /* <criteria> */ select u1_0.id, u1_0.email, u1_0.login_id, u1_0.password, u1_0.role from users u1_0 where u1_0.login_id=? 2024-02-26T14:31:24.722+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TestController : test controller로그를 보면 test controller 를 호출하는 거까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페이지는 로드되지 않고, 메시지에 html 코드만 출력이 됩니다. 자료 Test.html<!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7.0.min.js" integrity="sha256-2Pmvv0kuTBOenSvLm6bvfBSSHrUJ+3A7x6P5Ebd07/g=" crossorigin="anonymous"></script> <title>Test Page</title> </head> <body> <h1>This is a test page.</h1> </body> </html> 정리로그인 성공 후 인덱스 페이지로 넘어감해당 인덱스 페이지에서 test 페이지로 넘어가고자 함인가 필터 모두 거치고, 토큰 값이 전달되는 거까지 확인했음test controller 까지 요청되지만, 정작 페이지는 불러와지지 않음 대체 제가 뭘 놓친 걸까요 ㅠㅠㅠㅠ 이거때문에 며칠 동안 머리 싸매고 있습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자바 스프링부트 버전 선택
스프링부트 버전이 2.7x 버전은 없는데 무엇으로 선택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