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3:15초 명시적 호출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13:15초에서 자식 호출 이전에 부모 호출을 통해 Constructor of A가 출력되는데 제가 궁금한 점은 B상속 이후 그러니까class B extends A public B() { super.paint() //해당부분에서 왜 명시적 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지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는 super.paint()에 대한 매개변수가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public B() { 에 void가 추가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라고 생각되는데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단축키 툴팁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단축키가 밑에 초록색으로 툴팁 생성되잖아요어떤 걸 설치하거나 설정하면 뜰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 not 연산자
a = True if not a:print("a는 거짓입니다")else:print("a는 참입니다") 위 부분에서 a는 true인데, if not a 구문이 a 가 False 일때 실행되고, else 가 True일때 실행돼서 "a는 참입니다" 값이 나오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oracle openjdk가 없어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oracle openjdk가 없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나도! 스프링으로 인공지능을 할 수 있다(인프1탄)
.getText()와 .getContent()질문입니다.
.getResult() .getOutput() .getText(); } .getoutput 다음 getContent가 있어야 하는데 gettext만 있습니다. getContent는 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똑같이 수업보면서 했는데 왜그런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결과값은 설명하신 대로 똑같이 나오는기는 하는데 차이가 없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J,JS차이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는 J만 떠있는데 저는 JS가 떠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문제가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소스코드 실행방법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현재 저는 윈도우이며 현재 소스코드를 하는중인데 자꾸 저 화면처럼 안된다고 뜨는데 어떻게 하나요? java-start이름도 바꿔봤는데 안되네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과제를 위한 초기세팅
안녕하세요 과제를 하나씩 만들고있는데 4일차 과제인 api만들기를 하려고합니다! 그전까지는위처럼 기존 강의 초기세팅 된곳에 hw폴더를 만들어서 하고있는데 이렇게 말고 강의초반에 배운대로 spring.io에서 초기세팅을 새로해서 과제를 위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고싶은데요..! 혹시 현재 강의 초기세팅과 같이 하려면 어떻게해야될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1~2강 초기세팅 강의에서 spring.io로 처음부터 만드는걸 배울때 자바나 스프링부트 버전설정이런건 설명이 있었는데 그다음 의존성 이런건 나중에 설명이 나온다했던거같아서 정확히 모르겠습니다.강의에 혹시 있다면 어디를 참고하면 될지만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안녕하세요. 토비님! 도메인의 다양한 업데이트 요구사항을 Web API 계층에서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를 들으며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습니다.강의를 완강한 후에도 내면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조심스럽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생성과 관련된 설계는 강의에서 잘 이해가 되었지만, 업데이트(update)와 관련된 내용은 직접적으로 다뤄지지 않아 고민이 생겼습니다. 특히, 제 고민은 다음과 같습니다."도메인의 비즈니스 규칙이 Web API 설계에 어느 정도까지 직접적으로 드러나야 하는가?"현재 도메인 로직에서는 사용자의 여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비즈니스 규칙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비밀번호 변경 기타 세부정보 변경비즈니스적으로는 각각의 규칙이 잘 정의되어 있고, 각각의 변경 로직도 Member 객체 내에 명확히 메서드로 존재합니다.여기서, 이러한 비즈니스에 대해서 API에 어떻게 노출시켜야 하는가에 대해서 두 가지 선택지가 고려됩니다.1. 비즈니스 정의를 역할 별로 구성한다.POST /api/v1/members/{id}/change-password POST /api/v1/members/{id}/change-nickname생각이 나는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장점: 비즈니스에 따라 API를 관리하여 클라이언트가 이해하기 용이합니다.단점: 수정 가능한 필드가 많아질수록 API의 개수가 증가하며,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고, Restful 규칙에 위배됩니다.2. 하나의 update API로 통합한다.PATCH /api/v1/members/{id} { "password": "originalPassword123!", // nullable "detailRequest": { // nullable "email": "user@example.com", "nickname": "nickname123", "password": "newPassword456!" } }장점: API가 간결하여 확장이 용이하며,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값만 상황에 따라 요청하면 됩니다.단점: API가 비즈니스 책임에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결론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비즈니스 로직이 도메인 레이어에 잘 분리되어 있는 경우, API 계층에서도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좋은가요?도메인의 역할만 명확하다면 API는 통합해서 update 형식으로 만들어도 괜찮은가요?만약, 후자로 처리를 한다면 어디서 처리를 하는게 좋아보이시나요?서비스 계층도메인 계층// MemberModifyService public void update(Long memberId, MemberUpdate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memberId); if (request.password() != null) { member.changePassword(request.password()); } if (request.detailRequest() != null) { member.updateInfo(); } } -------- // MemberModifyService public void update(Long memberId, MemberUpdate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memberId); member.update(request); } // Member public void update(MemberUpdateRequest request) { if (request.password() != null) { changePassword(request.password()); } if (request.detailRequest() != null) { updateInfo(); } }뭔가, 이런 고민이 계속 드는 이유가 외부 계층에 종속적이지 않고 도메인에 의존하여 개발을 하더라도 실제로 저희가 처한 상황은 대부분 WebAPI 계층에서의 요청이 많다보니 외부의 행위 또한 도메인에 종속되어야 하는가 하는 고민이 생긴 것 같습니다. 양질의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8:20 static 기출 질문드립니다.
문제에서 get()메소드가 static 메소드인데 static이 아닌 멤머 name값을 리턴해서 오류가 발생한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main함수나 다른데서 get() 메소드를 실행하는 부분이 없는데도 오류가 발생하는건가요? 추가로 name 변수가 private static String name; 으로 선언된다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건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try catch 출력질문
publicclassArithmeticExceptionExample { publicstaticvoidmain(String[] args) {try {intresult = 10 / 0; // 여기서 ArithmeticException 발생} catch(AritheticException e) {System.out.println("에러: 0으로 나눌 수 없습니다!");}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에러 발생"); }finally { System.out.println("이 블록은 항상 실행됩니다!");}질문25년 1회시험에 이런방식의 문제가 출체되었는데,, "에러발생" 출력이되어야 하나요? 아니면 생략되어야 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병렬 프레임 병목 현상 해결책에 대해 궁금한 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Fork/Join 공용 풀(및 병렬 스트림)을 I/O 대기 작업에 사용하면 스레드 병목으로 요청이 밀려서 그 해결책으로 로직 전용 스레드 풀을 만들었잖아요.ExecutorService logicPool = Executors.newFixedThreadPool(400);다른 해결책으로 다음과 같이 공용이 아닌 그냥 Fork/Join 풀을 써도 되나요? 공용이 아니니깐 스레드 병목 현상도 없으니깐요.ForkJoinPool logicPool = new ForkJoinPool(400);아니면 이것도 여전히 안 좋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3:32 추상클래스와 추상메서드 예제2
예제2 abstract가 붙으면 재정의한 자식거 출력하고 이문제에서 stopEngine이 자식이 상속받지안호았으므로 부모것이 출력된건가요?설명 자세히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helloshop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com.helloshop이라 쓰면 그냥 패키지 하나로 뜨고 그 밑에 product를 만들어도 helloshop패키지 이름이 바뀝니다. 뭐가 문제일ㄲ?ㅏ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Snowflake처럼 동적으로 생성되는 ID, Mock 테스트가 올바른 접근법일까요?
14:42 에서 Snowflake 알고리즘으로 articleId를 생성한 후 DB에 저장된 121530268440289280L값을 사용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시는 것을 보고,실제로 Snowflake를 도입해서 Id를 생성하고 같은 방식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면 DB에 종속적이라서 반복적으로 테스트 코드를 실행할 때 테스트 코드의 유지보수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서 테스트 시에는 Mock 객체를 사용해 미리 정해진 Snowflake가 고정 ID 값을 반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게 맞는건지 궁금해서 질문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NaturalIdCache에 대한 보충 설명 및 사용법 공유
'25. 엔티티의 자연키 지정' 영상의 후반부에 적용한 @NaturalIdCache에 대해 추가로 학습한 내용이, 저처럼 해당 애노테이션을 처음 접한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글을 작성합니다. 강의에서 오해가 있을 수 있는 부분, 그리고 자연키에 캐시를 적용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강의 내용과 실제 동작의 차이점강의에서는 “같은 트랜잭션 안에서 같은 아이디 값을 가지고 여러 번 조회 시 Persistence Context 에 캐시된 값을 꺼내오는 것 처럼. @NaturalIdCache를 적용하면 이것도 영속 컨텍스트에 캐싱이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해당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Hibernate의 두 가지 캐시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1차 캐시 (First-Level Cache): 세션(영속성 컨텍스트) 범위의 캐시입니다. 같은 트랜잭션 안에서만 유효하며, 트랜잭션이 끝나면 사라집니다. Spring Data JPA에서는 기본적으로 @Id 에 대한 조회를 1차 캐시합니다. 2차 캐시 (Second-Level Cache): 세션 팩토리 범위의 캐시로, 여러 세션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적용하려면 별도의 의존성 추가 및 캐시 관련 설정(@Cache 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같은 트랜잭션 안에서 캐시된 값을 꺼내온다."는 말은 세션 범위의 1차 캐시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제가 직접 테스트해 본 결과, @NaturalIdCache는 1차 캐시가 아닌 2차 캐시와 관련이 있었으며, 1차 캐시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테스트를 통한 확인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강의에서 적용한 Member 엔티티의 @NaturalIdCache 를 제거하고, 자연키(Email)에 @NaturalId만 적용한 상황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테스트1: findByEmail 메서드를 사용한 조회Java@Test void NaturalIdFirstLevelCache() {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createMemberRegisterRequest(), createPasswordEncod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System.out.println("회원 저장 및 persistence context 초기화 완료"); // 같은 email(Natural ID)로 두 번 조회 Member findMember1 = memberRepository.findByEmail(member.getEmail()).get(); Member findMember2 = memberRepository.findByEmail(member.getEmail()).get(); assertThat(findMember1).isSameAs(findMember2); } Spring Data의 쿼리 메서드를 사용하여 이메일로 조회하는 findByEmail 메서드를 만들고, 한 트랜잭션에서 같은 회원을 두 번 조회했습니다. 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가 동작한다면, SELECT 쿼리는 한 번만 실행되어야 합니다.결과는 SELECT 쿼리가 두 번 실행되었습니다. 즉, 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가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테스트2: Hibernate의 자연키 관련 API를 사용한 조회@NaturalId를 다루는 글들을 찾아본 결과 Hibernate가 제공하는 자연키 관련 API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 커스텀 리포지토리를 구현했습니다.Java@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ustomizedMemberRepositoryImpl implements Customized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ntityManager;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NaturalId(Email naturalId) { return entityManager.unwrap(Session.class) .bySimpleNaturalId(Member.class) .loadOptional(naturalId); } } 그리고, 테스트 1과 같은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Test void NaturalIdApi() {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createMemberRegisterRequest(), createPasswordEncod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System.out.println("회원 저장 및 persistence context 초기화 완료"); Member findMember1 = memberRepository.findByNaturalId(member.getEmail()).get(); Member findMember2 = memberRepository.findByNaturalId(member.getEmail()).get(); assertThat(findMember1).isSameAs(findMember2); }결과는 SELECT 쿼리가 한 번만 실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는 @NaturalIdCache 애노테이션과 무관하게, 전용 API를 사용해야만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NaturalIdCache의 용도@NaturalIdCache Javadoc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Specifies that mappings from the natural id values of the annotated entity to the corresponding entity id values should be cached in the shared second-level cache.…중략This annotation is usually used in combination with Cache, since a round trip may only be avoided if the entity itself is also available in the cache.대략 “natural id와 상응하는 id에 대한 매핑을 2차 캐시에 저장하는 애노테이션이고, 엔티티가 캐시되어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Cache와 함께 사용된다.”라고 해석됩니다. 즉, 1차 캐시가 아닌 2차 캐시를 위한 애노테이션입니다. 정리2차 캐시 관련 설정 및 테스트를 마저 진행한 후 최종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키의 1차 캐시@NaturalIdCache 애노테이션과 관련 없습니다. 자연키에 @NaturalId만 붙이면 됩니다.반드시 Hibernate Session의 bySimpleNaturalId() 같은 전용 API를 사용해야 적용됩니다. 자연키의 2차 캐시@Cache와 @NaturalIdCache를 함께 사용해야 동작합니다.@Cache만 사용 시 @Id로 조회할 때만 2차 캐시가 동작합니다.@NaturalIdCache만 사용 시 자연키와 ID에 대한 매핑 정보는 캐시 히트되는 걸 확인했지만, ID와 엔티티에 대한 캐시가 없어서 캐시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Cache와 @NaturalIdCache 모두 사용 시 ID를 통한 조회와 자연키를 통한 조회 모두 2차 캐시가 적용됩니다. 참고 자료Hibernate6.6 공식 문서NaturalCache javadocsbaeldung: Hibernate Natural IDs in Spring BootSpring Custom Repository 글의 오류나 부족한 내용을 알고 계신 분은 코멘트를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유형8번18분30초 질문있습니다
자식앞에 스태틱을 지웠을땐 오류가발생하는건 이해했는데 어느줄에서 발생하냐고물으면 어떻게답해야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4:21 업캐스팅문제 예시 5
이해를 못해서 질문하게되어 죄송합니다. 예시5번문제는 생성자 of A생성자BB1 은 알겠는데 그다음ACBD가 아니고 CD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3:14 업캐스팅 문제예시4 질문입니다
정답이 Constructor of AACBD가 아닌가요? 어렵네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4:07 업캐스팅 예제 해섷주신거봐도 잘 모르겠어서 질문합니다
다른 분이 질문해서 해설 올려주신거 봤는데도저는 아직 이해를 못했습니다.car.start()는void start-Tesia Model3시동걸기인데 car.stop()는 왜 Tesia Model3정지가 아니고 Tesia Model3정지 및 전원끄기인가요?용기내서 질문하는거니까 귀찮으셔도 해설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