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해당 강의의 곱셈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널널한 개발자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해당 강의의 컴퓨터가 곱셈을 하는 법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8*2로 예를 들자면, 십진수 8을 이진수로 표현하면 1000인데, 여기서 왼쪽으로 한칸 밀면 10000에서 오버플로우 된 부분은 버리면 0000이라 십진수로 표현하면 16이 아닌 0이 되잖습니까? '오버플로우는 버린다'의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곱셈에서도 오버플로우는 버리는 게 맞는 건지가 헷갈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필독] 강의 200% 활용법- 사운드 작아요
다른 영상은 정상적인 사운드인데 해당 영상만 소리가 작게 들려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추상화 + API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현재 섹션 0까지 완강한 상태인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Q. 추상화란 무엇인가요? ★★★] 강좌에서 프로세스 추상화를 설명하실 때 "어떠한 내부 프로세스를 숨기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설명하셨는데요 그러면 만약에 CS 면접시에 추상화에 대한 설명을 해보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프로세스 추상화를 설명하면서 API의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도 맞는걸까요?? "프로세스 추상화는 내부 프로세스를 숨기는 것을 말합니다. 내부의 세세한 로직을 알 필요 없이 단순한 명령어로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는데요, API 또한 프로세스 추상화의 대표적인 예시로 말할 수 있습니다(사용자는 해당 API의 내부 로직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잘 몰라도 API 명세서에 정의한 메서드들만 호출하면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이런식으로 설명하면 될 것 같은데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DMA를 통해 프로세스에서 NIC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질문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어느 한 부분이 아니라 몇 분대인지 짚지 못해 죄송합니다 ㅠ..DMA를 이용해서 프로세스의 버퍼에 있는 데이터를 NIC으로 바로 보낸다고 하셨는데,그 말은 DMA가 데이터를 패킷까지 만들어서 보낸다는 뜻일까요?만약 그렇다면 DMA의 역할은 소켓부터 IP계층의 데이터 분할 과정을 대신 한 다음 곧바로 NIC으로 보내는 것일까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온프레미스/오프프레미스는 자사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냐 안 했냐 차이일 뿐인가요?!
오프프레미스 얘기 해주시면서 AWS 얘기 해주셨는데, AWS처럼 남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건 아마존이 네트워크 선 깔고, 서버, 데이터베이스 설치 다 하고 서비스하는거잖아요. 오프프레미스라고 해도 어딘가 물리적 실체가 있으니 서비스를 하는걸텐데, 온프레미스랑 실질적인 차이는 '자사 서비스인가 아닌가' 밖에 없는게 맞나여??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생각하면 카카오도 자기네 데이터센터가 있긴 한거 같은데, 카카오도 자기네 데이터 센터가 있다면 온프레미스 방식을 쓰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맞을까용?!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강의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해서 올려도 될까요?
강사님 안녕하세요!강의 내용을 개인필기로 정리해서 복습차원으로 블로그에 업로드해도 될까요?출처는 꼭 표기하겠습니다.
-
해결됨FreeRTOS 프로그래밍
포팅작업 요청드립니다.
- 사용하고 싶은 ST 보드명: open746I-C package B (MCU: STM32F746IGT6)- 사용하시는 컴파일러(stm32cubeide) 버젼: STM32CubeIDE Version: 1.12.1Build: 16088_20230420_1057 (UTC)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로그인 요청 시 HTTP 메소드
안녕하세요 큰돌님,로그인 시 IDPW를 HTTP 바디에 전달해야하기 떄문에 POST를 써야할 것 같은데 응답에 access/refresh token을 받으면 캐싱이 안될텐데 괜찮을까요? 아니면 쿠키로 토큰 응답을 받아서 캐싱하지 않고 이후 모든 요청 시 헤더에 바로 붙여 사용하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프로세스 생성기법 fork 질문
위의 그림에서 태그(PID,PPID)그림에 대한 질문입니다태그에 적힌 데이터는 메모리의 kernel영역에 똑같이 복제되는 부분은 메모리의 사용자 영역에 적히는 건가요?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FreeRTOS 사용 중 EIRQ 사용여부
FreeRTOS를 사용하면 EIRQ 부분이 작동을 안 하는데 당연한 건가요??제 환경은 spc5studio라서 stm32IDE와는 조금 다릅니다.다른 OS를 작동해서 원래 환경에 외부 인터럽트는 작동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만약 작동하지 않는 게 맞다면.. FreeRTOS include 시에는 어떤 함수로 외부인터럽트를 처리해야할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IPC에서 말하는 동기화 과정
꼬꼬무 문답에서 공유 메모리와 메시지 전달 모델의 장단점을 설명해달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공유 메모리는 '별도의 동기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 그리고 메시지 전달 모델은 kernel이 '동기화를 제공'해준다고 하셨는데요!여기에서 말씀하시는 동기화를 이해를 정확히 못해서 질문 남깁니다. 이전에 multi thread를 사용할 때 동기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하시면서 동기화 문제란 '서로 다른 thread가 메모리 영역을 공유하기 때문에 여러 thread가 동일한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여 엉뚱한 값을 읽거나 수정하는 문제' 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여기에서 동일한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게 되면 왜 엉뚱한 값을 읽을 수도 있는지가 헷갈렸는데요...ㅜㅜ'동기화'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메모리 맵 입출력 질문
입출력장치를 위한 주소공간의 정보들은 드라이버 설치를 통해서 메모리에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건가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MMU안에 베이스 레지스터가 있나요?
베이스 레지스터가 MMU 내부에 있는건가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교안 중 해시테이블 내용이 생략된 부분
안녕하세요?해시테이블 보고 있는데요,강의는 1분만에 끝난 반면교안을 보면 해시테이블 복잡도, 해시 충돌, 해결법.. 등등이 강의에서 생략되었습니다.중요도가 덜해서 삭제된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포팅부탁드립니다.
- 사용하고 싶은 ST 보드명 : NUCLEO H743ZI2- 사용하시는 컴파일러(stm32cubeide) 버젼: 1.12.1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주메모리가 충분해도 가상메모리가 유익한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명쾌한 강의 감사합니다.강의 들으면서 질문하나 드립니다.가상메모리를 사용하면 속도가 느려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메모리가 충분하면 가상메모리를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인가요?
-
해결됨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32비트면 42.9억 비트 아닌가요?
왜 바이트죠?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오버로딩 질문드립니다.
class family { member (a){ this.name=a console.log("member의 이름은 "+ this.name+"입니다.") } member (a,b){ this.name=a this.age=a console.log("member의 이름은 "+ this.name+"입니다.") console.log("member의 나이는 "+ this.age+"입니다.") } member (a,b,c){ this.name=a this.job=b this.age=c console.log("member의 이름은 "+ this.name+"입니다.") console.log("member의 직업은 "+ this.job+"입니다.") console.log("member의 나이는 "+ this.age+"입니다.") } } const familymember = new family(); familymember.member("승현",20); familymember.member("다연","학생",22); 위 코드를 실행시키면 오버로딩되어 첫번째 는 member의 이름은 승현입니다. member의 나이는 20입니다.위 코드를 실행시키면 오버로딩되어 두번째 는 member의 이름은 다연입니다. member의 직업은 학생입니다. member의 나이는 20입니다. 로 출력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위처럼 실행시키면 member의 이름은 다연입니다. member의 직업은 학생입니다. member의 나이는 undefined입니다.member의 이름은 다연입니다. member의 직업은 학생입니다. member의 나이는 20입니다. 로 나옵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static의 인스턴스 저장값 사용
class Family { constructor(name, age, job)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job = job; } static getJob() { console.log(`This family's job is ${family2.job}.`);} } const family1 = new Family("John", 35, "teacher"); const family2 = new Family("Kate", 28, "engineer"); static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static에 관한 좀 더 알아보고자 찾아본 것중 class에 static 된 메소드는 인스턴스에 저장값에 접근하지 못 한다고 하는데.그렇다면console.log( family1.getJob()) 의 경우"teacher" 이 찍히지 않아야 하는데찍힙니다. 제가 잘 못 이해한 걸까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JSON 강의 14:58에 이것은 자바스크립트 오브젝트이지 않나용?
14:58에 JSON으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라고 해주셔서 JSON인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JS 파일에 선언된 object인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물론 Key값이 ""로 감싸져서 string으로 보이긴 하는데, js파일에 선언되어져 있어서 헷갈리네요.이것은 object라고 불러야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