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커리큘럼 목록체크
영상 볼때 옆에 툴바에 커리큘럼 누르면 동영상 목록뜨고 수업 들으면 자동으로 체크 되자나요. 이거 체크 해제 어떻게 하나요. 만약 체크해제 기능이 없으면 유저들을 위해서 만들어 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기초부터 고급까지
수업 때 쓰셨던 txt file 공유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나라 이름, 도시 같은 것들은 영상 아래 강의 노트에서 복붙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원활한 답변을 위해, 자세한 질문 사항 부탁드려요 :D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추가로 공부하면 좋은 알고리즘 관련
안녕하세여! 추가로 공부하면 좋은 알고리즘 비트-마스킹, 위상 정렬 등은 말씀주신 기준에 따르면 코테가 어려운 대기업에 붙으려면 해야하는 사항일까요?? 추가로 공부하면 좋은 알고리즘 관련해서 혹시 백준에서 어떤 문제들을 풀면 좋을지 추천 문제 리스트만이라도 노션에 올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
해결됨[자바/Java] 문과생도 이해하는 DFS 알고리즘! - 입문편
graph 만들때 boolean[][] 으로 만드는 경우랑 int[][] 나 ArrayList<Integer>[] 로 만드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강의 영상마다 질문이 있으면 언제든 그리고 바로 질문 남겨주세요! 질문할 때 가장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해당 영상과 관련된 질문들을 해주실 때 제가 가장 정확히 답변 드릴 수 있습니다!취업 전반의 상담이나, "제 코드가 왜 틀렸는지 알려주세요"와 같이 광범위한 질문은, 질문자의 상황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는 멘토링 항목으로 별도 제공하고 있으니, 다음 링크를 참고해주세요!이 링크를 통해서는 본인의 코드가 왜 틀렸는지 모를 때 질문을 주셔도 좋고, 취업 전반(면접 준비, 자소서, CS 면접 등)에 관련한 질문을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이 질문은 해도 되나?"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우선 남겨주세요! 제가 답변 드리기 어려운 건 멘토링에 올려 달라고 재요청 드리겠습니다 🙂 graph 만들때 boolean[][] 으로 만드는 경우랑 int[][] 나 ArrayList<Integer>[] 로 만드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unique paths 코드 시간복잡도에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우선 강사님께서 풀어주신 top-down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class Solution(object): def uniquePaths(self, m, n): memo = {} def dfs(r, c): if (r, c) == (0, 0): # 출발점에 도달한 경우 return 1 if (r, c) not in memo: # 메모이제이션에 값이 없는 경우 계산 paths = 0 if r - 1 >= 0: # 위쪽 셀에서 오는 경우 paths += dfs(r - 1, c) if c - 1 >= 0: # 왼쪽 셀에서 오는 경우 paths += dfs(r, c - 1) memo[(r, c)] = paths # 결과 저장 return memo[(r, c)] # 결과 반환 return dfs(m - 1, n - 1)이 코드는 grid에 해당하는 함수만 호출하고, 중복되는 호출은 memo에 저장하기 때문에 총 O(M*N)이 됩니다. 다음은, 디스코드의 다른 사람이 올려주신 코드를 참고해서 조합론을 적용한 코드입니다.class Solution(object): def uniquePaths(self, m, n): memo = {} def fact(x): if x <= 1: return 1 if x not in memo: memo[x] = fact(x - 1) * x # factorial의 결과값을 메모리에 저장 return memo[x] return fact(m + n - 2) / (fact(m - 1) * fact(n - 1)) # fact(m + n - 2) 부분만 호출하고, 분모는 캐싱하므로 시간복잡도는 O(M+N)분자에 해당하는 부분만 함수를 호출하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는 O(M+N)이 됩니다. 우선 제가 궁금한 것은 2가지입니다.1) 위의 두 코드를 비교했을 때, 수학적으로 접근한 코드가 시간복잡도가 더 낮은데요 항상 dfs, bfs를 먼저 쓰는게 좋은 것은 아닌가요?2) 강의에서는 조합론을 이용한 방법이 198C99 = 약 2*10^58이여서 완전탐색은 안된다고 하셨는데, 실제로 제출했을 때는 제출이 됬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한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Hashset 자료구조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김영한 멘토님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질문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HashSet 자료구조를 사용해 객체를 저장할때, HashCode와 equals를 재정의 해야한다고 말씀해 주셨는데요. 정말 멘토님 말대로 재정의 하지 않으면 값이 중복되어서 저장되었습니다. 근데 궁금한것은 HashSet 자료구조이기에 HashCode를 사용하는것은 아는데, 그 이전에 자료구조가 Set의 기반의 자료구조인데 Set은 원래도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왜 HashCode를 재정의해야 그때서야 값이 중복되어서 저장되지 않는것인가요? 애초에도 Set 기반의 자료구조인데 말입니다.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고생했던? 케이스에 대해 선생님의 코드가 어떻게 들어맞는 지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ㅠ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계신 여러분!여러분의 학습을 돕기 위해 질문 안내를 드리고자 합니다. 1. chatGPT를 이용해보기단순한 의문은 chatGPT를 이용해도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2. 강의의 어떤 부분에 대한 질문이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명확히 알려주세요!강의의 어느 파트에서 의문을 느끼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를 명확히 제시해 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됩니다!자신은 어떻게 이해했는지 또한 적어주면 좋습니다! ex) 섹션5의 '그래프 순회 (DFS & BFS) [개념]' 강의에서 DFS와 BFS 모두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라고 하셨고 시간 복잡도 또한 똑같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DFS와 BFS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구별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요? 어느 파트섹션5의 '그래프 순회 (DFS & BFS) [개념]' 강의자신은 어떻게 이해했는지DFS와 BFS 모두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라고 하셨고 시간 복잡도 또한 똑같다고 이해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DFS와 BFS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구별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요?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백준 1461 그리디 마지막 문제에 대한 질문이 있는데요. 보기 전에 풀어보긴 했는데,두더지 잡다가 어떻게 된 느낌이긴 해요..음,, 아직 습관이 안 고쳐지기는 했는데 정의하고 분석하고 따져보고 그려본 다음에 해야 하는데,, 그 제가 처음 푼 방식은리스트 요소를 지워가며 해결하는 방식인데요양/음수가 m으로 떨어지지 않는 나머지 경우를 먼저 따져 합계에 더하고, 제거한 뒤먼 데부터 다녀오는데, 최댓값을 계속 갱신해서가장 먼 거리를 나중에 빼주는 방식으로 했어요..m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한 처리를 나중에 추가했는데요선생님의 코드가 어떻게 그 경우도 잘 처리하는 지 분석이 잘 안되어서..설명 부탁 드려요.. 아! 저번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더불어 약간 공부하는 루틴?이랄까? 그런 것도 말씀해 주실 수 있는 게 있다면 혹시 말씀 부탁드려요..(코테 공부도 그렇고 다른 것도 그렇고..) 아래는 제가 처음 정답 받은 코드입니다.(코드가 지저분함에 죄송해요..)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방향을 결정하고 상자 들고 다음에 처음 갈 책 위치를 반환합니다. def getPos(arr): global direction maximum = max(map(abs, arr)) if maximum in arr: if len(arr) > m: direction = False if min(arr) >= 0: direction = True return 0 for i in range(len(arr) - 1, -1, -1): if arr[i] < 0: return i else: direction = True for i in range(len(arr)): if arr[i] >= 0: return i else: if len(arr) > m: direction = True if max(arr) < 0: direction = False return len(arr) - 1 for i in range(len(arr)): if arr[i] >= 0: return i else: direction = False for i in range(len(arr) - 1, -1, -1): if arr[i] < 0: return i return -1 n, m = map(int, input().rstrip().split()) arr = list(sorted(map(int, input().rstrip().split()))) cnt = 0; direction = True; reach = 0; plusCount = 0; minusCount = 0 #양수/음수 따로 헀어야 좋았는데, 하다보니 개수 세는 걸 만들었어요.. def count(): global plusCount, minusCount for i in arr: if i >= 0: plusCount += 1 elif i < 0 : minusCount += 1 count() #양수 m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경우에 대한 처리입니다. if plusCount % m != 0: mini = min(i for i in arr if i >= 0) idx1 = arr.index(mini) idx2 = min(arr.index(mini) + (plusCount % m), len(arr)) reach = arr[idx2 - 1] for i in range(idx1, idx2): arr.remove(arr[idx1]) cnt += reach * 2 #음수 m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경우에 대한 처리입니다. if minusCount % m != 0: maxi = max(i for i in arr if i < 0) idx1 = arr.index(maxi) idx2 = max(arr.index(maxi) - (minusCount % m), -1) far = abs(arr[idx2 + 1]) for i in range(idx1, idx2, -1): arr.remove(arr[idx2 + 1]) cnt += far * 2 reach = max(reach, far) # 이럴 필요 없는데, 돌면서 먼 데 구하고 그 안쪽? 지우는 방식으로 했어요.. while arr: pos = getPos(arr) far = abs(arr[min(len(arr) - 1, pos + m - 1) if direction else max(0, pos - m + 1)]) for i in range(m): if not arr: break arr.remove(arr[pos]) if not direction or pos == len(arr): pos = max(pos - 1, 0) cnt += far * 2 reach = max(reach, far) print(cnt - reach)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2차원 dp 11:45분에서 하상좌우 순서에 의미가 있나요?
상하좌우 순서 고쳐주셨다고 하셔서 그냥 순서 바꿔서 해봤더니 값이 다르게 나오네요.. 이해가 안됩니다 센세 ㅠㅠ흑흑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질문
이런 문제들 너무 너무 좋은데, 혹시 영한님이 직접 손수 만드신 문제인가요?아니면 이런 문제들 풀 수 있는 전문적인 사이트라던가 참고할수 있는 링크나 문제집이나 강의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기본 3강부터 막혀 멍청해서 화가납니다 ㅠㅠ
제곱수의 합문제요..6일 경우 제곱이 되려면 루트6밖에 안되는데왜 2가 2로 떨어지는 약수의 개수로 카운팅되는지 이해를 못하겠네요…또 3의 제곱 5의 제곱은 왜 고려안하는지도…( 이미 이해 다 됐다고 가정해서 말씀하신건지도 모르겠습니다.ㅠㅠ )바보도 알고리즘 천재로 만들어주신다고 들어서 잘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안녕하세요. 강사님께서 제공해주신 코드로 다른 문제를 풀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께서 제공해주신 이분탐색 1번 2번 코드중 2번 코드로 새로운 문제를 풀려고 합니다.1번 코드(left와 right 설정)으로는 잘 풀리는데 2번 코드(cur과 step 설정)로는 잘 안풀리네요. 백준 2343번 기타문제를 강사님께서 제공해주신 코드로 풀려고 아래와 같이 코드를 짜보았습니다. 하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는데요. 어떤 부분이 잘못된건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nums, blue_nums = map(int, input().split())bluelay_length = list(map(int, input().split())) def check(length): count = 1 current_length = 0 for i in bluelay_length: if current_length + i <= length: current_length += i else: current_length = i count += 1 return count == blue_nums cur = 0steps = 10000+1 while steps > 0: while cur + steps <= 10000+1 and check(cur + steps): cur += steps steps //= 2 print(cur)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해당 코드는 삽입정렬인가요?
package collection.compare;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public class SortMai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eger[] array = {3, 2, 1};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ay)); System.out.println("Comparator 비교"); Arrays.sort(array, new AscComparator()); System.out.println("AscComparator: " + Arrays.toString(array)); } static class AscComparator implements Comparator<Integer> { @Override public int compare(Integer o1, Integer o2) { System.out.println("o1=" + o1 + " o2=" + o2); return (o1 < o2) ? -1 : ((o1 == o2) ? 0 : 1) ; } } }이 코드는 삽입정렬이 사용되어 배열의 첫 번째 요소가 정렬된 것으로 간주하고 시작하는게 맞을까요...?o1=2 o2=3o1=1 o2=2이렇게 두 단계만 거치는 이유와 o1, o2를 잡는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저.. 시간복잡도 관련 질문입니다.(로직 거의 비슷한 거 같은데, 시간초과가 나서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계신 여러분!여러분의 학습을 돕기 위해 질문 안내를 드리고자 합니다. 1. chatGPT를 이용해보기단순한 의문은 chatGPT를 이용해도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2. 강의의 어떤 부분에 대한 질문이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명확히 알려주세요!강의의 어느 파트에서 의문을 느끼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를 명확히 제시해 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됩니다!자신은 어떻게 이해했는지 또한 적어주면 좋습니다! 강의 중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마지막백준 1342번 행운의 문자열 문제입니다.순열로 접근한 처음 코드 시간 초과 후선생님 강의 설명을 들으면서 백트래킹으로 수정했는데요,근데,, 로직은 거의 차이가 없고다만 초기화나 선언 등 순서의 차이 같은데,저는 시간 초과를 해결 하지 못했고,선생님 코드를 복붙,,, 했더니 성공하더라구요 😓그래서 어떤 차이 분석을 할 수 있을지 질문 남깁니다.코드는 아래와 같고 풀이2번을 참고하였습니다.(시간초과 코드입니다)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s = input() choice = [] dic = dict() chars = set() cnt = 0 for l in s: chars.add(l) if l not in dic: dic[l] = 0 dic[l] += 1 def dfs(level): global cnt, choice, dic if level == len(s): cnt += 1 return for l in chars: if dic[l] == 0: continue if (not choice) or (choice[-1] != l): dic[l] -= 1 choice.append(l) dfs(level + 1) dic[l] += 1 choice.pop() dfs(0) print(cnt)
-
미해결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수업 자료 솔루션 코드와 강의 중의 코드를 일치시켜주세요
저는 강의를 한번 다듣고나서 강의 도중 강사님께서 코드 작성하신것을 바탕으로 백준 문제에 대한 풀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그러다 보니 문제 풀이가 기억이 안나거나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때 수업 자료의 솔루션 코드를 참고하고자 하는데, 그럴때마다 수업 도중 본 코드와 상이하여 당황스럽습니다.강의 중 짠 코드를 바탕으로 수업자료 끝의 솔루션 코드를 작성해주시면 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교안에 잘못된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컬렉션 프레임워크 / Collections 정렬 관련 메서드 에서reverse 메소드에 대한 설명이 "정렬 기준의 반대"로 컬렉션을 정렬한다고 되어있는데단순히 reverse메소드는 현재 컬렉션이 정렬되어 있는 것을 뒤집어 주는 메소드 인 것 같습니다
-
미해결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파일을 찾을 수 없다 뜹니다..! (세팅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계신 여러분!여러분의 학습을 돕기 위해 질문 안내를 드리고자 합니다. 1. chatGPT를 이용해보기단순한 의문은 chatGPT를 이용해도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2. 강의의 어떤 부분에 대한 질문이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명확히 알려주세요!강의의 어느 파트에서 의문을 느끼고, 어떤 부분이 궁금한지를 명확히 제시해 주시면 답변에 도움이 됩니다!자신은 어떻게 이해했는지 또한 적어주면 좋습니다! ash: python: command not found[Finished in 16ms with exit code 127][shell_cmd: python -u "/Users/sindonghui/Desktop/test.py" < input.txt][dir: /Users/sindonghui/Desktop][path: /Library/Frameworks/Python.framework/Versions/3.12/bin:/Library/Frameworks/Python.framework/Versions/3.8/bin:/usr/local/bin:/System/Cryptexes/App/usr/bin:/usr/bin:/bin:/usr/sbin:/sbin:/var/run/com.apple.security.cryptexd/codex.system/bootstrap/usr/local/bin:/var/run/com.apple.security.cryptexd/codex.system/bootstrap/usr/bin:/var/run/com.apple.security.cryptexd/codex.system/bootstrap/usr/appleinternal/bin] 밑에 이렇게 떠요 ex) 섹션5의 '그래프 순회 (DFS & BFS) [개념]' 강의에서 DFS와 BFS 모두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라고 하셨고 시간 복잡도 또한 똑같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DFS와 BFS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구별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요? 어느 파트섹션5의 '그래프 순회 (DFS & BFS) [개념]' 강의자신은 어떻게 이해했는지DFS와 BFS 모두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라고 하셨고 시간 복잡도 또한 똑같다고 이해어떤 부분이 궁금한지 DFS와 BFS 중에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구별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remove 메소드 관련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에서 removeNode를 null값으로 처리하는 이유가 있을까요?removeNode를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 같은데, 해당 노드의 item과 next를 null값으로 처리해야만 GC 대상이 되는건가요? null값으로 명시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 추가 코드 public Object remove(int index) { Node removeNode = getNode(index); Object removedItem = removeNode.item; if (index == 0) { first = removeNode.next; } else { Node prev = getNode(index - 1); prev.next = removeNode.next; } removeNode.item = null; removeNode.next = null; size--; return removedItem;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문제 4번 관련 질문입니다.
public class ItemPrice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 map.put("사과", 500); map.put("바나나", 500); map.put("망고", 1000); map.put("딸기", 1000); // 코드 작성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 for (Map.Entry<String, Integer> entry : map.entrySet()) { if (entry.getValue().equals(1000)) { list.add(entry.getKey()); } } System.out.println(list); } } 여기서 entry.getValue() 의 비교를 == 으로 바꿔도 돌아가는데 상관없을까요? 객체의 경우 == 이냐, equals냐에 따라 동일성, 동등성 비교로 나뉘는거같은데 이와같이 값 비교 할 땐 둘 다 사용할 수 있는걸까요? == 을 사용해도 망고, 딸기가 출력되어 여쭤봅니다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Python
나머지 합 구하기 핵심 아이디어 문의
안녕하세요. 나머지 합 구하기 핵심 아이디어 중 첫 번째 (A+B)%C는 ((A%C) + (B%C)) % C와 같다. 는 것은 본 문제를 푸는 데에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것 같은데 어떻게 관련이 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문제가 연속된 부분의 합의 나머지를 구하는 것인데,(A[i+1] + ... + A[j])%M = (S[j] - S[i])%M이 되고, 나머지 연산이 linear 연산이기 때문에(S[j] - S[i])%M = 0이라면S[j]%M = S[i]%M 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이 경우에 핵심 아이디어 2번째, 3번째로도 문제 풀이가 가능한 것 같은데, 핵심 아이디어 1번째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이 되어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collection 디렉토리 안에 map 포함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 map 인터페이스가 속하지 않는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디렉토리를 collection에 만드신 이유가 있을까요? 검색해보니 Map을 컬렉션이라고 보기도 하지만 자바에선 컬렉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애매하게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