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자소서 첨삭] 8년차 e커머스 개발자가 알려주는 백엔드 웹 개발 신입 취업노하우
이력서 첨삭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유용한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강의를 보고 우선 이력서를 작성해봤는데 간단한 첨삭이 가능한가요?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prim 맵만들기에 질문있습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서는 priorityqueue를 설정해줄때 greater로 해서 작은 간선먼저 찾아주도록 했는데 prim알고리즘을 이용한 맵만들기에서는 왜 greater설정을 안하고 큰간선을 먼저 이어주는건가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제가 만든 포트폴리오의 코딩수준을 알 수 있는방법이 있을까요?
제가 만든 포트폴리오가 취업에 무리없는 수준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학원에서 유니티 수업만 듣고 포트폴리오를 만들긴 만들었는데 피드백도 받아본적도 없고, 받을 사람도 없기도 하고, 기능은 구현했지만 이런식으로 코드를 짜도 되는건가, 디자인패턴같은 것도 적용해야하는건가 하는것들이 있습니다.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국비지원학원...
안녕하세요 국비지원 학원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혹시 선생님이 추천해주실만한 학원 리스트가 있을까요? 코로나 이슈로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면 학원의 의미가 있을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영상을 보고 생각이 깊어졌습니다
먼저 영상 감사히 잘 봤다는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다른일을 하다 이제막 공부를 시작해 게임산업에 정보가 부족했는데 그런 부분들을 많이 알려주셔서 대단히 알려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그러나 많은 정보만큼 많은 취업에대해 많은 고민이 생겼습니다 저는 VR관련해서 국비학원을 다니다가 이제 수료를 앞두고 취업을 하려고 이력서를 넣고 있는 중에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말씀해주신 부분에서 공부를 1년더 하더라도 중견기업 이상에서 취업을 시작하는게 좋다고 하신 부분과 취업을 위해서 언리얼,C++ 공부하는게 좋다고 하신 부분이 계속 머리속에 맴돌았습니다 VR산업을 취업을 하려고 찾아보니 중견기업이상의 기업에선 한군대 에서 채용을 보았고 나머지 대부분은 중소기업 중 스타트업 이거나 성장한 중소기업에서 새롭게 사업을 하는 형태들이 대부분 이였습니다 (제가 잘못 찾아본거 라면 죄송합니다...) 그리고 언리얼과 유니티을 사용하는 회사 비율이 1:3정도로 유니티로 계발하는 회사가 더 많았습니다 고민중인 부분이 게임 프로그래머의 시작에 대한 부분인데 취업 방향을 1. 새롭게 언리얼,C++ 공부를 하면서 중견기업이상급 회사에 이력서를 넣어가며 취업을 하다가 2~3년후 이직하면서 VR산업에 경력직으로 시작하는 방법 2. 중소기업이라도 VR쪽에 취업을 해서 일을 시작하며 경력을 쌓아가는 방법 3. VR쪽에 일을 시작하면서 언리얼,C++ 공부를 하다가 중견기업 이상쪽에서 다시 신입으로 시작하고 VR산업에 경력직으로 가는게 좋을지 고민중입니다 이와 동시에 MMORPG 경력을 쌓은 사람이 VR산업으로 넘어갈수 있을지도 걱정이 됩니다 중소기업으로 시작하면 그곳에 머무른다고 하신 부분이 계속 맘에 걸려서 게임 프로그래머로서 어덯게 시작하는게 좋을지 루키스님의 조언이 필요하여 질문을 남깁니다 (그리고 이분법적 사고를 깨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명심하며 공부하겠습니다)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DirectX 공부 필수? 선택?
안녕하세요. 덕분에 궁금했던 점이 많이 풀렸습니다 ㅎㅎ... 프로그래밍 공부에 대한 태도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저는 먼저 2년의 시간을 가지고 중견이상의 회사의 취업을 목표로 공부 하려고 합니다. [독학vs게임 학원]강의를 보고 학원을 가는게 맞겠다고 생각이 들어서 학원상담을 받았습니다. 이미 저는 C# MMORPG 시리즈를 완강하고 거기에 퀘스트, 레이드, 전직 등등 컨텐츠 들을 붙여 나름 포트폴리오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c++과 STL은 따로 서적을 사서 공부를 어느정도 했고, 유명 학원의 커류큘럼을 보니 다음은 DirectX를 공부하는게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방에 새로 생긴 스브스아카데미학원을 갓습니다. 거기서는 기존에 나와있는 언리얼, 유니티 엔진이 너무 잘 되어있기 때문에 엔진을 공부하는 것 아니면 DirectX를 굳이 공부를 안 해도 된다고 하더군요. 그 시간에 언리얼, 유니티 숙련도를 늘려서 취업하는게 전략적이라구요. 그 학원의 커류큘럼에는 DirectX는 없었습니다. 인터넷을 좀 찾아보니 이부분도 약간 분분하더군요. 쥬신과 다른 학원의 포트폴리오를 보면 대부분 DirectX이던데, DirectX에 대한 지식이 전무해서 이게 맞는 말인지... 장사를 하는건지 판단이 안서서 루키스님 의견은 어떤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DirectX과정이 있는 학원을 다니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질문 드립니당
현재 강의와 관련된 질문은 아니라서 죄송합니다 ㅠㅠ 다름이 아니라 혹시 C++ 강의를 완강했다면 나머지 알고리즘, 서버, directx, 언리얼 강의의 순서는 크게 상관이 없나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신입 개발자 연봉
안녕하세요.올려주신 강의덕에 궁금한점을 많이 알아갔습니다.한가지 궁금한게 중간에 금융치료 기사를 첨부해주셨는데요.다른곳에서 보기론 일반적으로 2천~3천 정도 받는다고 알고 있었는데중견기업 신입으로 들어간다면 5천 이상 받는게 일반적인가요?민감한 질문같지만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개발 방향성..
수학과학같은 학문처럼 선수개념이 존재해서 챕터별로 쭉 진행하는 느낌이 아니라 필요한 개념을 퍼즐 맞추듯 찾아가며 공부해야 하니 어떤방식으로 공부를 진행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언리얼 공식문서를 봐도 공식학습동영상을 봐도 여러유튜브 튜토리얼을 봐도 다 파편적으로 해당기능들 만드는 방법을 단편적으로 설명합니다. 물론 당연히 게임장르가 바뀌더라도 기본적인 기능들이 바뀌지않으니 기본적인 것들을 다 알아야겠지만 실제 제가 게임을 만들고자할때 맵만드는법부터 알아야할지? UI부터 만들어야할지? 등등 여러 강좌나 문서들이 다 파편적인 지식들이라 어떤 방식으로 게임을 개발해나갈지 조금 고민입니다. 강의만 수동적으로 들어서 그냥 따라하는거밖에 안되고 잘 와닫지가 않아 저는 강좌들으면서 실제로 제가 만들 게임에 적용해보고 게임을 완성시키고자하는데 어떻게 진행하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win api도 공부를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궁금했지만 물어볼 곳이 없던 것들을 강의로 만들어주셔서 너무 유익했어요! 강의를 보고 mmorpg를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만들수있는 실력을 목표로 잡은 대학생입니다. 궁금한 점은 게임학원 커리큘럼을 보면 win api를 배우고 directX를 배우던데 이 영상에서나 게임수학과 directX강의목록을 보면 win api에 대한 언급이 없으셔서요. win api를 안배우고 바로 directX를 공부해도 상관이 없는건가요??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인생상담, 진로상담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나이는 36살이고요. 제가 나름대로 앞으로의 계획을 세웠고, 게임개발에 대해 공부를 다시 시작하고 있는데, 강사님의 조언을 듣고 싶어서 글을 씁니다. 저는 20대때는 여러가지 아르바이트하고, 게임하면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지방에 살다가 30살에 처음 서울로 올라와서, 서울게임아카데미라는 게임학원을 다니다가 (전체 1년정도의 과정) 4개월정도만 다니다가 C++ API 수업내용을 따라가지 못하여 도중 그만두었고, 유니티러닝센터학원이라는 곳에 3개월조금넘게 다니고 수료까지 하였습니다. 유니티 기본적인 건 알겠는데, 게임개발출시까지는 못하는 실력이었고. 그렇게 게임개발공부는 접었습니다. 그리고 원래 살던 지방에 다시 내려와서 다른일(개발과는 무관한 일)을 하다가 33살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과학과에 입학했습니다. 그때 지방에도 글로벌게임센터라는 곳이 생기게 되어서 유니티 VR게임교육과정을 들었고, VR게임 인기상도 받고, 스타트업회사에 인턴으로 2개월 근무도 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에는 다시 게임개발은 하지않았었고요. 지금 36살에 다른 회사에 다니면서, 주말이나 평일 저녁에 유니티책과 이렇게 인프런강의를 듣고 있는데요, 주로 C#,유니티,게임기획을 듣고 있습니다. 일단은 처음에는 방치형게임 같은 종류의 게임을 1인개발로 직접 기획부터 유니티로 개발까지 하여 여러 개를 출시해볼 생각이고요. 그 이후에는 경기글로벌게임센터에서 스타트업과정(게임창업교육)에 지원해볼 계획입니다. 저의 목표는 게임회사를 창업하여 클래시로얄이나 하스스톤 같은 게임을 직접 게임기획부터 개발까지하여 전세계에 서비스해보고 싶은 꿈이 있는데요. 게임개발공부를 시작하게된 계기도 하스스톤이나 클래시로얄 같은 전략 게임들을 매우 좋아했고, 전략 게임을 나만의 스타일로 만들고 싶다는 욕구가 매우 강했기 때문입니다. 1인개발 이후에, 대기업취업은 당연히 불가능에 가까울것이고 스타트업같은 작은회사에 취업이 가능할 수도 있는데. 스타트업 같은 회사에서 경력을 쌓는게, 나중에 게임회사창업을 위해서 꼭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이 글을 읽고 뭔가 느끼시는점이나 조언같은거 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개발직군 관련 설명에서 서버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만약 게임회사 입장에서, '서버' 직군은 (네이버클라우드 라던지 Azure)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게 된다면 서버직군이 필요하지 않게 될 수도 있는건가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선생님 학습 방향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코딩테스트를 좀더 완벽하게 대비하고 싶은데요 이 강좌를 다 듣고나서 다음으로 어떻게 공부하는게 효율적일까요? 백준 알고리즘 사이트에서 이강좌의 목차에 해당하는 알고리즘 문제들만 풀어볼까요? 아니면 이 강좌에 나오는 알고리즘들만 처음부터 다시 구현해보면서 숙력도를 높이는게 나을까요?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RightRotate 코드 수정
영상 마지막 부분에서 코드를 수정해주셨지만 수정이 안 된 코드도 있어서 다른 수강생분들께서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다. Rookiss님이 올려놓으신 샘플 코드에는 수정본으로 올라와있습니다. void BinarySearchTree::RightRotate(Node* y) { Node* x = y->left; y->left = x->right; if (x->right != _nil) x->right->parent = y; x->parent = y->parent; if (x->parent == _nil) _root = x; else if (y == y->parent->left) y->parent->left = x; else y->parent->right = x; x->right = y; y->parent = 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