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 메서드 질문! Static을 왜 붙이는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생성메서드의 용도가 갑자기 까먹었는데그냥 생성자로 넣어주려는걸로 아는데Static으로 정적으로 왜쓰는건가요?Static 빼면 안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jdk 버전 21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에서는 21버전 Oracle OpenJDK를 사용하라고 하셨는데 제 화면에는 (21버전) OracleGraalVM 만 뜨는데 이걸로 사용해도 무방한가요? 상관없어보이지만 혹시나 해서 궁금한 마음에 여쭤봅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부모(Item) 클래스의 생성자 및 메서드의 접근 제어자가 public인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해당 강의에서 부모 클래스인 Item의 생성자 및 print(), getPrice()메서드에 대한 접근제어자를 public으로 설정하셨습니다.제 생각에는 ShopMain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에 접근할 때에는 모두 Item의 자식(book, album, movie)을 통해서만 접근하는 상황이고 이러한 접근 방식이 옳다고 판단되어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 및 메서드의 접근 제어자를 protected로 설정하였습니다(당연하게도 해당 예제에서 실행 결과는 public으로 했을 때와 동일합니다).이 경우에 언젠가는 자식 클래스를 통해 접근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public으로 설정을 하신 걸까요? 아니면 protected로 설정하는 것이 조금 더 논리에 맞는 걸까요?package extends1.ex; public class Item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rotected Item(String name, int price) { this.name = name; this.price = price; } protected void print() { //이름과 가격은 모든 자식에서 동일하게 수행하는 기능이므로 부모에 구현 System.out.println("이름:" + name + ", 가격:" + price); } protected int getPrice() { return price; } }
-
미해결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ngrinder쪽에 스크립트 클릭시 오류
실습도중 Script 클릭시 해당 오류가 납니다. 컴퓨터 스펙은 m1 입니다.. 2024-03-25 14:53:51,833 ERROR FileEntryRepository.java:192 : Error while fetching files from SVN for admin 다른 버전으로 설치해도 동일한 이슈가 나서 혹시 해결하셨던 내용이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실행중 테스트는 잘 되는데 오류가 한 줄 계속 발생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이 오류는 무엇인가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P 자바 기저조건 질문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혹시 기저조건에if (price >= answer) { return; }해당 조건을 추가해주지 않으신 이유가 있을까요?해당 조건 없이도 시간복잡도 관련해서 영향이 적기 때문일까요..?감사합니다! 아래는 저의 답안입니다!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answer = Integer.MAX_VALUE; static int[][] arr;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Map<Point, Integer> map = new HashMap<>(); static int[] dy = {-1, 0, 1, 0}; static int[] dx = {0, 1, 0,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 = new int[n][n]; visited = new boolean[n][n]; for (int i = 0; i < n; i++) { String[] s = br.readLine().split(" "); for (int j = 0; j < n; j++) { int price = Integer.parseInt(s[j]); arr[i][j] = price; map.put(new Point(i, j), price); } } go(0, 0); System.out.println(answer); } private static void go(int count, int price) { if (count == 3) { answer = Math.min(price, answer); return; } for (int i = 1; i < n - 1; i++) { for (int j = 1; j < n - 1; j++) { Point point = new Point(i, j); if (check(point)) { go(count + 1, price + flower(point)); wither(point); } } } } private static void wither(Point point) { visited[point.x][point.y] = false; for (int i = 0; i < 4; i++) { int ny = point.x + dy[i]; int nx = point.y + dx[i]; visited[ny][nx] = false; } } private static int flower(Point point) { visited[point.x][point.y] = true; int temp = arr[point.x][point.y]; for (int i = 0; i < 4; i++) { int ny = point.x + dy[i]; int nx = point.y + dx[i]; visited[ny][nx] = true; temp += arr[ny][nx]; } return temp; } private static boolean check(Point point) { for (int i = 0; i < 4; i++) { int ny = point.x + dy[i]; int nx = point.y + dx[i]; if (ny < 0 || nx < 0 || ny >= n || nx >= n || visited[ny][nx])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모임참가 취소 할때 로직 질문
안녕하세요이부분에서 event.removeEnrollment(enrollment);이 메서드를 타고 들어가면이 메서드가 실행되는데 이때 106라인->enrollment.setEvent(null);이 코드는 꼭 필요 한건가요 ??첫번째 사진 보시면 어차피enrollmentRepository.delete(enrollment);이걸 실행 하는데 왜 있는건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 =================두번째 질문===========이 부분에서 취소를 하면 대기하던사람이 자동 확정 하는 로직인데대기 하던 사람들 중 제일 먼저 신청을 해놓은 사람들을정렬해서 true 처리 해야하는데 이건 안되있는거 아닌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 초기화하는 방법(@PostConstruct)
제 문제 해결 접근이 맞는것인지 질문드립니다! 테스트할 때마다 회원, 상품을 새로 등록해야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기본편에서 배운 초기화 콜백을 이용해 우선 Item을 초기화해보려고 했습니다. // ItemService.java @PostConstruct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Data() { Book book1 = new Book(); book1.setName("book1"); book1.setPrice(1000); book1.setStockQuantity(10); book1.setAuthor("Steven"); book1.setIsbn("10000"); itemRepository.save(book1); }위와 같이 ItemService에 초기화 메서드를 추가했는데 계속 해서 에러가 났습니다. 검색해보니 아무래도 초기화 콜백과 트랜젝션 처리를 initData()하나로 동시에 처리하려다보니 발생한 문제 같았습니다. 초기화 콜백을 확실히 완료하고나서 트랜젝션 처리를 해야 트랜젝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단순히 코드상으로 이를 보장할 방법이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이 때 떠오른게 DB2편의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인데, ApplicationReadyEvent가 스프링 컨테이너 초기화를 완전히 마치고 발생하는 이벤트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니 초기화가 잘 됐습니다. 이처럼 선언적 트랜젝션을 적용하는 상황에서 초기화를 하기 위해서는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를 적용하는 것이 맞는 접근법일까요?@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Data() { Book book1 = new Book(); book1.setName("book1"); book1.setPrice(1000); book1.setStockQuantity(10); book1.setAuthor("Steven"); book1.setIsbn("10000"); itemRepository.save(book1); }정상 작동한 최종 코드입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수업들으며 곰곰히 생각하다가 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동적쿼리 - builder 사용편 강의를 들으며return query .select(new QMemberTeamDto( member.id.as("memberId"), member.username, member.age, member.team.id.as("teamId"), team.name.as("teamName"))) .from(member) .leftJoin(member.team, team) .where(builder) .fetch();이 쿼리를 따라 치고 생각해보았습니다.원래 jpa라면 member객체를 조회해와서 member.getTeam()이나 팀 객체에 액세스 할때 지연로딩이 일어난다고 학습하였습니다.위 쿼리에서 fetch 조인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쿼리가 한방에 조회가 됐나 갑자기 의문이 들었습니다.제가 도출해낸 결과는 반환값이 dto이고 team 객체와 join해서 필요한 값만(team 포함) select 하기때문에 teamId, teamName까지 한방쿼리로 조회가 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h:object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MVC2편에서 배웠던 것 같지만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 ItemController /** * 상품 수정 */ @PostMapping("/items/{itemId}/edit") public String updateItem(@ModelAttribute("form") BookForm form) { // updateItemForm.html <form th:object="${form}" method="post"> th:object="${form}" 에서 괄호 안에 form을 참조하여 컨트롤러의 @ModelAttritube("form")을 했을 때 요청 파라미터를 바인딩해서 BookForm 객체에 넘겨준다고 이해했는데, @ModelAttritube("form1") 이런식으로 바꿔도 정상적으로 작동했습니다.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DB TCP 연결이 안됍니다
test 접속하면 연결이되고 db도 생깁니다.하지만 tcp로 연결이 안됩니다.db파일 삭제 여러번 해봤습니다.자바 17,. 스프링 부트 3,x , h2 2.2.224 버전입니다.이유가 뭘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14분 50초 일대다 페치조인 질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System.out.println("zzzzzzzzzzzzzzzzzzzzzzzzzzzz"); //비영속 try{ Team teamA = new Team(); teamA.setName("teamA"); em.persist(teamA); Team teamB = new Team(); teamB.setName("teamB"); em.persist(teamB);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member1"); member1.setTeam(teamA); em.persist(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Username("member2"); member2.setTeam(teamA); em.persist(member2); Member member3 = new Member(); member3.setUsername("member3"); member3.setTeam(teamB); em.persist(member3); Member member4 = new Member(); member4.setUsername("member4"); member4.setTeam(null); em.persist(member4); em.flush(); em.clear(); String query ="select t From Team t join fetch t.members"; List<Team> result = em.createQuery(query, Team.class).getResultList(); for (Team team : result) { System.out.println("team= " + team.getName() + "|members=" + team.getMembers().size()); } tx.commit(); } catch (Exception e){ tx.rollback(); e.printStackTrace(); }finally { em.close(); } emf.close(); }이 코드를 실행시켰더니 14분 50초에 나오는 3줄이 나오는 것이 아닌team= teamA|members=2 team= teamB|members=1이렇게 나오는데 혹시 어떤 이유에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주문 조회V3 에서 쿼리가 4개 나온다고 하는데, 2개만 나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GetMapping("/api/v3/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V3()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Item(); for (Order order: orders) { System.out.println("order ref = " + order + " id = " + order.getId()); } List<OrderDto> result = orders.stream() .map(o -> new OrderDto(o))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result; } ... public List<Order> findAllWithItem() { return entityManager.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 " join fetch o.orderItems oi" + " join fetch oi.item i", Order.class) .getResultList(); }이렇게 한 다음 v3 에게 요청을 넣었습니다.그 결과selecto1_0.order_id,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username,o1_0.order_date,oi1_0.order_id,oi1_0.order_item_id,oi1_0.count,i1_0.item_id,i1_0.dtype,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rtist,i1_0.etc,i1_0.author,i1_0.isbn,i1_0.actor,i1_0.director,oi1_0.order_price,o1_0.statusfromorders o1_0joinmember m1_0on m1_0.member_id=o1_0.member_idjoindelivery d1_0on d1_0.delivery_id=o1_0.delivery_idjoinorder_item oi1_0on o1_0.order_id=oi1_0.order_idjoinitem i1_0on i1_0.item_id=oi1_0.item_idorder ref = jpabook.jpashop.domain.Order@801a84d id = 1order ref = jpabook.jpashop.domain.Order@7be83ead id = 2 다음과 같은 SQL 쿼리를 보냈구요.그런데 4개가 아니라 2개라서 문의를 드립니다. 그런데 H2 DB에서 해당 쿼리를 입력하면 4개가 잘나옵니다.또한 포스트맨으로 받은 요청도 2개가 출력됩니다.[ { "orderId": 1, "name": "userA", "orderDate": "2024-03-18T23:29:35.545094", "orderStatus": "ORDER", "address": { "city": "서울", "street": "1", "zipcode": "11111" }, "orderItems": [ { "itemName": "JPA1 Book", "orderPrice": 10000, "count": 1 }, { "itemName": "JPA2 Book", "orderPrice": 20000, "count": 2 } ] }, { "orderId": 2, "name": "userB", "orderDate": "2024-03-18T23:29:35.555094", "orderStatus": "ORDER", "address": { "city": "부산", "street": "2", "zipcode": "22222" }, "orderItems": [ { "itemName": "Spring1 Book", "orderPrice": 20000, "count": 3 }, { "itemName": "Spring2 Book", "orderPrice": 40000, "count": 2 } ] } ]어떠한 것이 잘못되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AddressEntity delet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강의 후반부에서 member의 addressHistory에 AddressEntity를 추가하는 것까지 알려주셨는데member의 addressHistory에서 AddressEntity 값 하나를 삭제하고 싶을때이런 방식으로 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equals와 hashCode도 잘 고친건지도 궁금합니다. //Address의 equals, hashCode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if (this == o) return true; if (o == null || getClass() != o.getClass()) return false; Address address = (Address) o; return Objects.equals(getCity(), address.getCity()) && Objects.equals(getStreet(), address.getStreet()) && Objects.equals(getZipcode(), address.getZipcode());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Objects.hash(getCity(), getStreet(), getZipcode()); } //AddressEntity의 equals, hashCode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if (this == o) return true; if (o == null || getClass() != o.getClass()) return false; AddressEntity that = (AddressEntity) o; return Objects.equals(getId(), that.getId()) || Objects.equals(getAddress(), that.getAddress()); //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Objects.hash(getId(), getAddress().getCity(), getAddress().getStreet(), getAddress().getZipcode()); // } Member findMember = em.find(Member.class, member.getId()); List<AddressEntity> addressHistory = findMember.getAddressHistory(); addressHistory.remove(new AddressEntity("city1", "street", "zipcode"));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TML코드 및 강의 중간자료들
우선 강의중에 보여주셨던 HTML코드들에 대해서 행방을 알수가 없고 키를 강의마다 알려주신다는데 언제 알려주시는지 모르겠습니다.그래서 완성되어있던 파일에 있는 HTML파일들을 끌어다가 다시 완성시켰는데 코드자체에 CSS,Js가 적용되지 않고 에러가 뜨기도 합니다.Caused by: org.attoparser.ParseException: Exception evaluating SpringEL expression: "!hasNotification" (template: "fragments.html" - line 129, col 24) 혹시 최신화된 코드나 강의 진행도에 따른 코드 접근 방법이 있을까요...? 물론 제가 옛날 강의를 듣는것이다 보니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겠지만 하나하나 알아가다보니 강의를 듣는 시간도 늘어지고 지치기 시작하는거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는 부분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안내를 해주시거나, 주의할 부분이라던가 아니면 참고할만한 내용들을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프로젝트 첫 실행부터 계속 오류가 나요 ㅠㅠ 제발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start.spring.io에서 강의 내용 따라 그대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실행하여 첫 빌드를 하는데 계속 오류가 납니다.. 이틀 동안 너무 스트레스 받다가 도저히 혼자 해결이 안 되어 질문드려요. 제발 도와주십쇼 ㅠㅠ1번 오류 세부 내용Download 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8.6-bin.zip, took 23 s 799 ms Starting Gradle Daemon... Gradle Daemon started in 1 s 867 ms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at went wrong: Multiple build operations failed.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9b249c29-1a91-4470-b675-465ff91418e8)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d74ea8fc-73d7-4578-9c43-b8cd0558405c)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e5e2c8d8-9b10-4d94-aa86-5ed8eafd0641)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888af752-9ab7-43e9-bc4d-c9089f87eee4)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9b249c29-1a91-4470-b675-465ff91418e8)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d74ea8fc-73d7-4578-9c43-b8cd0558405c)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e5e2c8d8-9b10-4d94-aa86-5ed8eafd0641)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888af752-9ab7-43e9-bc4d-c9089f87eee4)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CONFIGURE FAILED in 14s 2번 오류 세부 내용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9b249c29-1a91-4470-b675-465ff91418e8 ->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 3번 오류 세부 내용Multiple build operations failed.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9b249c29-1a91-4470-b675-465ff91418e8)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d74ea8fc-73d7-4578-9c43-b8cd0558405c)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e5e2c8d8-9b10-4d94-aa86-5ed8eafd0641)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888af752-9ab7-43e9-bc4d-c9089f87eee4)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9b249c29-1a91-4470-b675-465ff91418e8)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a561266a2b57efc5da5664bb0d7e3fc)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d74ea8fc-73d7-4578-9c43-b8cd0558405c)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7b013786ef742a9c8c87e3aaf3d90280)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e5e2c8d8-9b10-4d94-aa86-5ed8eafd0641)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1cb4a041ffa70c8710c09b3490f08d27) > Could not move temporary workspace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888af752-9ab7-43e9-bc4d-c9089f87eee4) to immutable location (C:\Users\tjmg7\.gradle\caches\transforms-4\09e5b33217636222c215e9ce4b40ac0d)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세팅 상태start.spring.io에서 자바 17 버전으로 프로젝트 생성했었고요. 그에 맞춰서 인텔리제이 설정도 다 했습니다. 지금 정말 이해가 되지 않는 건 제 데스크톱과 노트북의 환경 세팅을 완전 똑같이 해놨는데 데스크톱에서는 프로젝트 실행이 잘 되는데 노트북에서만 이 에러가 발생한다는 겁니다.. ㅠㅠ 제 데스크톱과 노트북의 환경 차이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데스크톱은 윈도우 10이고 노트북은 윈도우 11이라는 것밖에 생각이 나질 않습니다. .gradle 안에 캐시 폴더 지웠다가 프로젝트 다시 실행도 해봤고요...gradle 폴더 자체를 지웠다가 다시 실행도 해봤습니다.인텔리제이도 여러 번 지웠다가 재설치하고 실행해봤고요. 해결 방법 좀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스프링 공부하고 싶습니다 ㅠㅠ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메모리 구조와 CPU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보통 메모리 구조라고 하면 코드, 데이터, 힙, 스택 영역으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실행 프로그램이 자바 코드로 이루어져 있다면 메모리 구조는 메서드, 스택, 힙 영역으로 이루어지는건가요?메서드 영역에 클래스 즉 코드들이 올라간다 했는데 그러면 CPU가 메서드 영역에 있는 자바 코드들을 하나씩 레지스터로 fetch해서 decode, execution 하는건가요?CPU가 클래스 코드들을 해석하면서 메서드 호출일 경우 스택 영역에 스택 프레임을 생성하고 인스턴스 생성일 경우 힙 영역에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건가요?힙 영역에 인스턴스가 생성된다고 했는데 그러면 필드 코드는 여전히 메서드 영역에 존재하지만 인스턴스가 가지고 있는 필드 값들은 힙 영역에 존재하는 건가요?감사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분산 DB 에서 비관적 락을 통한 동시성 제어
안녕하세요. 분산락을 언제 쓰는게 좋을지 고민하다가 몇 가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분산 DB 환경이 무엇을 의미하는지?흔히 분산 DB 환경에서 낙관적, 비관적 락으로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고 얘기하더라고요. 여기서 말하는 분산 DB 라는 것이 샤딩에 의해 여러 DB 서버가 있는 것인지,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서버가 여러 대 있는 환경을 의미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예를 들어, Ticket 이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동일한 ticket 데이터가 DB server 1, DB server 2 에 저장되어 있는 환경일까요??만약 분산 DB 가 샤딩인 경우 비관적 락으로도 동시성 이슈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맞을까요?아래 그림처럼 ticketId = 1 인 티켓을 예매하기 위한 요청이 동시에 올 경우 입니다. 처음 x-lock 을 잡은 요청이 끝나야 뒤늦게 온 요청이 해당 티켓의 잔여 수량을 확인하고 예매 하기 때문에 샤딩으로 인한 분산 DB 에서는 비관적 락으로 동시성 이슈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동일한 Ticket 데이터가 여러 DB 서버에 중복되어 저장된 분산 DB 환경에서는 분산락을 사용해야 될 것 같습니다.그러나, 샤딩은 동일한 Ticket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서버로 접근하기 때문에 비관적 락으로도 충분히 해결 가능할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값을 안넘겨주면 똑같이 저도 에러가 나긴 하는데 왜 콘솔창에는 warn이 안뜰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서는 warn이 뜨고 name이 없다라는 콘솔문구가 뜨는데 저는 창을 들어가보면 에러는 똑같이 나는데 warn이 안뜨네여..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Merge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정말 좋은강의 잘 듣고있습니다. Merge관련해서 질문이 하나있는데요..! 아래 두 method 모두 시작할때 persistence context가 비어있고 찾는 entity가 db에 있다고 가정할때 비슷한 (혹은 같은) flow로 진행될까요? 여기서 method parameter, Entity e,는 업데이트될 (id가 set되어있고 field가 업데이트 되어있는)객체입니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Entity(Entity e){ Entity foundEntity = em.find(Entity.class, e.getid()); foundEntity.setFieldOne("New Data");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Entity(Entity e){ em.merge(e); }Merge를 꼭 써야하는건 아니지만, 그냥 동작 메커니즘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Merge를 쓰는게 Update전에 항상 Select query로 db에서 객체를 조회하기때문에 쓰기를 지양하라고 하시는건가요, 아니면 merge를 쓸때 또 다른 downside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