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SwapChain이 만들어질때 생성되는 버퍼 생성 영역
강의를 보다 렌더링 될때 입력될 Vertex 데이터가 그래픽 카드 내부에 있는 VRAM 내부에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니다.그래서 궁금한게 생겼는데 혹시 Swap Chain이 만들어질때 생성되는 백 버퍼들또한 VRAM 내부에 만들어지는 건가요? 아니면 RAM에 만들어지는 건가요?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ETCD 백업 파일 복원 명령
저는 GCP에서 vm을 띄워서 실습을 진행 중입니다. vmware의 스냅샷처럼 동일하게는 진행하지 않았지만 snapshotdb 백업파일을 제외한 모든 리소스를 지우고 복원 명령을 실행했습니다. 아래는 코드입니다.sudo ETCDCTL_API=3 ./etcdctl --endpoints=127.0.0.1:2379 \--cacert /etc/kubernetes/pki/etcd/ca.crt \--cert /etc/kubernetes/pki/etcd/server.crt \--key /etc/kubernetes/pki/etcd/server.key \--data-dir /var/lib/etcd-restore \--initial-cluster='master=https://127.0.0.1:2380' \--name=master-1 \--initial-cluster-token this-is-token \--initial-advertise-peer-urls https://127.0.0.1:2380 \snapshot restore ~/snapshotdb 아래와 같이 에러메세지가 나오네요...Error: couldn't find local name "master-1" in the initial cluster configuration 각 etcd 멤버는 etcd 클러스터 내에서 고유한 이름을 가져야 한다고해서. 현재 컴퓨팅 인스턴스의 호스트 이름과 일치하도록 etcd 이름을 설정했습니다. ETCD_NAME=$(master-1 -s) 그런데도 에러메세지가 나오네요..Command 'master-1' not found, did you mean: command 'master1' from deb pvm-examples (3.4.6-2build2)Try: apt install <deb name>잘 해결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질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config 수정 후, vivado 설치 직전 과정
The value specified in the configuration file for EnableDiskUsageOptimization (null) is not valid.라고 계속 에러가 뜹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E유형 레이아웃 관련 질문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철길마을</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type="text/css">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div class="main-con"> <div class="left"> <header> <div class="header-logo"></div> <div class="navi"></div> </header> </div> <div class="center"> <div class="banner"></div> <div class="news"></div> <div class="gallery"></div> <div class="shortcut"></div> </div> <div class="right"> <div class="slide"> <div class="slide-cons"></div> </div> </div> </div> <footer> <div class="footer-logo"></div> <div class="footer-con"> <div class="link"></div> <div class="copy"></div> </div> <div class="family"></div> </footer> </div> <!-- JS --> <script src="js/jquery-1.12.4.js"></script> <script src="js/script.js"></script> </body> </html>@charset "utf-8"; body { font-size: 15px; margin: 0; padding: 0; color: #333; background-color: #fff; } a { color: #333; text-decoration: none; } /* rayout */ .main-con { border: 1px solid #000; display: flex; } .left { width: 200px;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 .center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width: 400px; } .right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flex: 1; } /* header */ header { position: relative; z-index: 10; } header > div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 .header-logo { height: 100px; } .navi { height: 350px; } /* banner */ .banner { border: 1px solid #000; height: 150px; box-sizing: border-box; } /* news */ .news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height: 200px; } /* gallery */ .gallery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height: 200px; } /* shortcut */ .shortcut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height: 150px; } /* slide */ .slide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width: calc(100vw - 600px); height: calc(100vh - 120px); } /* footer */ footer { display: flex; height: 120px; } footer > div { border: 1px solid #000; box-sizing: border-box; height: 120px; } .footer-logo { width: 200px; } .footer-con { flex: 1; } .footer-con > div { border: 1px solid #000; height: 60px; box-sizing: border-box; } .link {} .copy {} .family { width: 230px; }위와 같이 레이아웃만 짰을 때 이 사진처럼 .left와 .footer-logo의 너비 값이 같은 200px을 가지는데 레이아웃에선 footer-logo의 너비 값과 같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계속해서 수정해본 결과 main-con의 너비값을 100vw로 주니 해결은 되는데 창에 조금의 스크롤이 생기는데 시험때 창에 스크롤이 생기면 감점 요인이 되는거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lf4j 모듈 찾기 오류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이번에 인텔리제이를 처음 사용합니다.모듈안에서 찾을 수 없다고 해서 pom.xml에서 의존성을 선언하였습니다. 의존성을 선언해도 오류가 발생됩니다...(구글링을 통해 버전 확인을 해봤지만 찾지 못함)<질문 요약>1) Slf4j 버전 확인하는 법2) pom.xml 에서 dependcy가 밑줄 이유, 해결방법3) 의존성 선언을 하였지만 선언 실패감사합니다.
-
미해결언리얼 엔진4 입문 (C++ 기반)
UCapsuleComponent* 형식의 인수가 USceneComponent* 형식의 매개변수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제목에 있는 오류가 떴는데 이거 해결책이 프로젝트 속성 들어가서 C/C++ -> 언어 -> 준수 모드를 아니요로 바꿔주는걸로 알고있는데.. 언리얼엔진 비주얼스튜디오 프로젝트속성에 C/C++ 이 없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그냥 일반 비주얼스튜디오로 시작하면 C/C++ 이 속성에 있는데 언리얼엔진 비주얼스튜디오만 속성에 저게 없어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CreateInputLayout 도중 Offset 관련하여
강의를 듣고 있는 도중 질문이 하나 생겼습니다 강의 16:05 부분입니다.강사님께서 CreateInputLayout을 하기 위해 이전 작업으로 D3D11_INPUT_ELEMENT_DESC라는 구조체를 만드셨고 내부의 요소로 UINT AlignedByteOffset; 이러한 변수가 있었습니다.강의에서 강사님께서 이 부분은 변수가 시작되는 지점을 적는 변수라고 알려주시고 Color가 시작되는 지점이 12Byte라고 하셨는데 이 D3D11_INPUT_ELEMENT_DESC라는 구조체로 설명하려하는 것이 이 전에 선언해두었던 struct Vertex{ Vec3 position; Color color;};라는 구조체였다면 구조체의 메모리 패딩에 따라 제일 큰 변수의 메모리 크기씩 영역이 쪼개져서 16Byte씩 끊어지니깐 position은 0 ~ 12구간 그리고 12 ~ 16 구간은 메모리 패딩으로 인해 비어져 있고 16 ~ 32까지가 color가 있는 구간으로 알고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건가해서 12대신 16을 넣어봤는데 정상적인 색이 안나오지 않더라고요.제가 개념을 잘못 알고있는건가 아니면 제대로 알고 있는데 이 부분만 특수한 케이스로 12라고 입력이 된건가를 잘 모르겠어서 개념을 확실히 잡고 가야된다고 생각해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 어디가 잘못된 건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
미해결Django REST Framework 핵심사항
용어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S.M.U.V.S를 언급 하시면서satisfy에 대해 말씀하시더라고요이게 어떤 의미로 말씀하시는지 이해가 안가서 문의 드립니다.Model, Url, View, Sirialize는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카프카 네트워크 관련 에러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Error connecting to node f9ffc2ed14a4:9092 (id: 1001 rack: null)에러 메시지는 위와 같습니다.현재 m2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어 호스트가 arm64 플랫폼입니다. arm64를 지원하는 주키퍼, 카프카 이미지를 설치하였습니다.도커 컴포즈 파일입니다.version: '2'services:zookeeper:image: docker.io/bitnami/zookeeper:3.8container_name: zookeeperports:- "2181:2181"environment:ZOOKEEPER_CLIENT_PORT: 2181ZOOKEEPER_TICK_TIME: 2000ALLOW_ANONYMOUS_LOGIN: yeskafka:image: docker.io/bitnami/kafka:3.4container_name: kafkaports:- "9092:9092"environment:KAFKA_ADVERTISED_HOST_NAME: 127.0.0.1KAFKA_ZOOKEEPER_CONNECT: zookeeper:2181volumes:-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나머지 코드는 동일합니다.
-
미해결생활코딩 - HTML 기초
4강 예제 어디에 있나요?
4강 예제 어디에 있나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4-P
제가 문제를 제대로 이해했는지 궁금합니다! 강사님의 설명을 보면 뭔가 제가 이해한 거랑 다른 것 같아서요... 이렇게 A와 B를 선택하고 둘 사이에 있는 사람들 중 키가 A보다 작거나 B보다 작은 사람들이 있으면 한 쌍이 있다고 해줍니다. 위 그림의 경우에는 제가 검정색으로 동그라미 친 경우 한 개가 A보다 작거나 B보다 작다를 만족합니다.그래서 제가 짠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론 50만까지인 n을 생각하면 해당 코드의 시간복잡도는 시도조차도해선 안될 코드지만 강사님의 설명을 보니 제가 문제의 이해를 잘 못 한 것 같아서요..!http://boj.kr/6bca539f74534117843fb4d22dee1e43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섹션1 마지막 강의 TEST 가 안 돌아갑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MemberRepositorytest이고application.yml 입니다. 아래와같이 오류가 계속 뜹니다.. 아무리 해도 해결이 안 됩니다 ㅜㅜㅜ 도와주실수있으신가요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faultTestContext.getApplicationContext(DefaultTestContext.java:12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setUpRequestContextIfNecessary(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9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prepareTestInstance(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3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prepareTestInstance(TestContextManager.java:24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createTest(SpringJUnit4ClassRunner.java:22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1.runReflectiveCall(SpringJUnit4ClassRunner.java:289) at org.junit.internal.runners.model.ReflectiveCallable.run(ReflectiveCallable.java:1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methodBlock(SpringJUnit4ClassRunner.java:29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24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97)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4.run(ParentRunner.java:331)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1.schedule(ParentRunner.java:7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Children(ParentRunner.java:32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access$100(ParentRunner.java:6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2.evaluate(ParentRunner.java:29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Class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ClassCallbacks.java:6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ClassCallbacks.evaluate(RunAfterTestClassCallbacks.java:70)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3.evaluate(ParentRunner.java:30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ParentRunner.java:41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SpringJUnit4ClassRunner.java:190) at org.junit.runner.JUnitCore.run(JUnitCore.java:137) at com.intellij.junit4.JUnit4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4IdeaTestRunner.java:69)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 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2)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5)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bConnection' defined in jpabook.jpashop.dbConnection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ot a managed type: interface org.apache.catalina.User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20)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4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93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21)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83)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31)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08)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07)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3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Internal(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4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0) ... 27 moreCaused by: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ot a managed type: interface org.apache.catalina.User at org.hibernate.metamodel.internal.MetamodelImpl.managedType(MetamodelImpl.java:583) at org.hibernate.metamodel.internal.MetamodelImpl.managedType(MetamodelImpl.java:85)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MetamodelEntityInformation.<init>(JpaMetamodelEntityInformation.java:75)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EntityInformationSupport.getEntityInformation(JpaEntityInformationSupport.java:66)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RepositoryFactory.getEntityInformation(JpaRepositoryFactory.java:233)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RepositoryFactory.getTargetRepository(JpaRepositoryFactory.java:182)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RepositoryFactory.getTargetRepository(JpaRepositoryFactory.java:165)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RepositoryFactory.getTargetRepository(JpaRepositoryFactory.java:76)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RepositoryFactorySupport.getRepository(RepositoryFactorySupport.java:325)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RepositoryFactoryBeanSupport.lambda$afterPropertiesSet$5(RepositoryFactoryBeanSupport.java:323) at org.springframework.data.util.Lazy.getNullable(Lazy.java:231) at org.springframework.data.util.Lazy.get(Lazy.java:115)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core.support.RepositoryFactoryBeanSupport.afterPropertiesSet(RepositoryFactoryBeanSupport.java:329)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RepositoryFactoryBean.afterPropertiesSet(JpaRepositoryFactoryBean.java:14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vokeInitMethods(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6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0) ... 42 more
-
해결됨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PCB에 들어있는 정보
안녕하세요. 매번 기초적인 질문을 남겨드려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PCB에 들어 있는 정보를 설명하실 때,첫번째, PID 라고 하셨고,두번째, 메모리에 관한 정보를 말씀하시면서 가상메모리 이야기를 하셨는데 Stack, Heap, Code, static 이야기를 하셨습니다.그럼 PCB의 메모리에 관한 정보는 저 위에 것들 다 있다고 보면 될까요? 아니면 실행중인 기계어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만 담고 있는 건가요?? (왜 실행중인 이라는 이야기가 들어가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와 프로세스가 되는 과정 그림에서 왼쪽에 있는 사각형을 메모리라고 표현했는데 저기서의 메모리는 Virtual memory라고 해야 하나요??Process 단위로 virtual memory가 주어진다고 알고있는데 프로세스들이 같이 있어서 헷갈리네요 ㅠㅠㅠ
-
해결됨실제 이력서 사례로 알아보는 [합격하는 이력서] 작성 가이드
경력이력서 질문
안녕하세요 경력이력서 강의를 듣고 질문을 남깁니다. 먼저 제 이야기를 하자면1년 9개월 정도 일한 개발자입니다.자바 개발자로 취업을 했으나 회사에서 프론트 업무를 맡겨 최신기술이 아닌 jquery와 바닐라js 를 활용하여 개발을 하였습니다.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 했으나 3번정도 엎어져서 경험 한게 없습니다.쇼핑몰 유지보수 + admin 페이지개발 + 플랫폼개발 3 가지 정도 경험 한것 같습니다.문제는저는 개발하던중 JS가 좋아졌고 프론트보단 백엔드 개발이 잘 맞는거 같아서 node.js 개발자로 이직을 생각중인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회사를 다니던중 node 강의를 듣고 스터디를 하고 컴공 학위를 따고 자격증을 따고, 대외활동을 많이 하며 갖은 노력을 하였지만프로젝트경험이 없고, 기술스탯이 다른게 치명적으로 생각이 됩니다.경력으로 이직하긴 무리일까요?제가 알고리즘 공부는 소홀이 하여 그것도 단점이네요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WebServlet의 url 패턴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웹서블릿 url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예를 들어, test.html 이라는 웹 페이지를 만들고 이 웹페이지에서 로직을 수행하기 위한 자바 코드를 생성한다면 @WebServlet(name="test", urlPatterns="/test.html");을 이용해서 동작을 수행한다고 이해했습니다. 이때, "/test.html"이라는 url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 지는건가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아래와 같이 이해했는데 아닌거 같더라구요1../test.html이라는 url 생성 2 test.html 웹 페이지 코드 생성 3.WebServlet을 통해 해당 웹페이지에서 동작 수행그렇다면 강사님께서 강의에서 사용하시는 url은 어디서 어떻게 얻어오는 건가요?WebServlet의 url 패턴에 넣으면 자동으로 url을 생성하는 건가요?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nGrinder script
nGrinder test script도 혹시 공유가능하실까요?
-
미해결딥러닝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 (NLP) 과정 (기초부터 ChatGPT/생성 모델까지)
Simple Chatbot 만들기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Simple Chatbot 만들기' 관련하여 진행하다가 문의드립니다.새롭게 최신 학습용 zip 파일을 다운받아서, 콜랩에서 해당 실습 파일 올리고, 바로 전체 셀 실행 테스트 해도,질문에 대한 답변이, 계속 같은 답변으로만 나오고 있는 증상입니다.sentencepiece 같은 모듈 설치시, 시간이 지나, 버전 차이로 인한 문제일까요?이상입니다.
-
미해결지금 당장 데브옵스 - 테라폼 X AWS
git 테라폼 업로드 관련
업로드해주신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8개월전 내용이라서 테라폼이 업데이트 되서 변경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었지만 공식문서를 봐가면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제가 공부한 내용들을 git에 업로드해보고 싶은데 예를들어 remote: error: File .terraform/providers/registry.terraform.io/hashicorp/aws/3.71.0/darwin_arm64/terraform-provider-aws_v3.71.0_x5 is 275.08 MB 용량 오류가 발생하면서 업로드가 잘되지 않았습니다. 이에대한 문제 해결책으로git ignore의 방법과 git filter-branch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용량초과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혹시 교육자료로 사용하신 테라폼 파일을 어떻게 업로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18강 map 질문
val values = fruits.filter { fruit -> fruit.name == "사과" } .mapNotNull { fruit -> fruit.nullOrValue() } nullable한 List에서 null이 아닌 element만 가지고 오는 mapNotNull중에서.. nullOrValue()는 임의로 만드신 확장함수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ataSource 구현체를 변경하는 일이 잦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강의를 듣고 DataSource의 최대 장점이 추상화라고 이해했습니다.사용하는 입장에서는 구현부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인데요.그런데 실무에서는 과연 DataSource 구현체를 갈아끼우는 일이 잦은지 궁금합니다.여러 후보군들 사이에서 HikariCP와 같은 커넥션 풀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면, 커넥션 개수와 같은 DataSource 설정을 변경하는 일은 있을 수 있어도 DataSource 구현체 자체를 변경하는 일은 적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