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Querydsl
dto로 바로 가져오는것에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듣기전에는 dto를 select절에서 바로 받는방법이 아닌 , 그대로 뽑아온뒤에 서비스단에서 dto도메인에 만들어둔 생성자펙터리메서드를 사용해서 반환받았습니다 . 리스트 같은경우에는 스트림맵을 사용했었고요 , 혹시 서비스단에서 반환하는방법이 단점이 있어서dto로 바로 받는방법을 사용해야하는건지 , 아니면 그저 선택 ?의 문제인지 알고싶습니다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em.persist(member) 를 하게 되면 DB에 저장이 바로 되는건지, 영속성 컨텍스트에만 저장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DB 연결이 안되어 있는 상황에서 em.persist(member) 를 하게 된다면 어디에 저장이 되는 건지도 헷갈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안녕하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실무에서 스프링 시큐리티를 주로 사용하는지, 로그인 세션 기능 같은 부분들은 직접 구현을 하는지 아니면 스프링 제공 기능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 생성 질문
앞과정까진 되다가ApplicationTest를 돌리면 이렇게 에러가 나는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SpringBootTest class JpashopApplicationTests { @Test void contextLoads() { }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8'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1'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Implementation("org.junit.vintage:junit-vintage-engine") { exclude group: "org.hamcrest", module: "hamcrest-core" }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자바버전은 11이고 스프링부트는 2.7.8로 설치했습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파일들의 내용이 자꾸 과거로 돌아가는데 혹시 이런 현상 아시나요?
사용 환경은 맥, intellij입니다spring config 시작한 뒤로 이러는데yml파일이나 xml(메이븐)파일을 수정해놔도 어느 순간 이상해서 보면 수정 전으로 돌아가있습니다 ㅜㅜ인텔리제이 캐시도 초기화해봤고 git에도 올려서 커밋까지 했는데 왜이러는지 모르겠어요..강의랑은 무관한 질문인 것 같아서 망설이다가 이것 때문에 전혀 진도를 나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여쭤봅니다혹시 모르신다면 제가 알아서 잘 해결해보겠습니다! 불필요한 질문 드려 죄송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스프링부트 내에서 JPA 1차 캐시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질문입니다.
항상 강사님의 강의 덕에 많이 배웁니다..이번에 복습을 하다가 생긴 궁금증입니다.만약 스프링부트에서 Spring Data JPA를 사용을 하고 있다라고 가정하겠습니다.그러면 영속성 관리 pdf의 그림처럼 entity manager와 영속성컨텍스트가 1:N인 상황이라 이해했습니다.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해당 영속성 컨텍스트 내의 1차 캐시의 경우, 비지니스 로직의 수많은 트랙잭션에 의해 공유되는 것으로 이해하는게 맞을까요?또한 해당 1차 캐시 내에 있는 엔티티들이 save()를 통해 영속화 되는것은 이해하였는데, 엔티티들이 1차캐시에서 비워지는경우(비영속화라고 이해했습니다)는 해당 객체를 삭제하거나,detach()가 될 경우에 캐시가 비워지는게 맞나요?정리하자면 첫번째 질문은 단순히 1차 캐시가 수많은 트랜잭션들이 공유하는게 맞는지이고 두번째 질문은 그렇게 공유된 1차 캐시가 비워지는 시점(clear)이 궁금합니다!항상 많이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RequiredArgConstructor를 붙이면 클래스 캐스트 예외가 발생하고 붙이지 않으면 발생하지 않습니다
저처럼 습관적으로 RequiredArgConstructor 붙이시다가 초반부터 못 넘어가는 분 계실까봐 글 남깁니다생성자 따로 만들어도 저게 있으면 Enviroment만 있는 생성자로 빈을 만들기 때문에 계속 에러납니다.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다른서버를 사용하면 lb://MAIN-SERVICE가 작동을 안합니다
예제를 따라하면서 API-GATEWAY와 EUREKA 는 LOCALHOST로 서버를 열고,MAIN-SERVICE라는 서비스만 AWS EC2에서 실행하였습니다.직접 주소를 넣었을때는 잘 작동하는데배운대로 lib://MAIN-SERVICE 의 형태로 하면 작동을 안합니다!..혹시 방법이 있을까요?참고로 모든 서버를 LOCA에서 돌렸을때는 lib이 정상 작동 하였습니다
-
미해결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스프링부트 기반의 API 템플릿 프로젝트 구현
패키지 구성 질문 (api와 domain)
패키지 구성시 질문이 있습니다.member의 경우 api와 domain 두군데로 나누어 관리하게 해두셨는데,api 는 즉 user request를 처리하는 application 라고 생각하고 (controller와 dto 를처리), domain은 핵심 도메인 로직 (db entity, repository와 repository를 이용한 service 등)를 넣는 다고 생각하면 될까요?그러면 현재는 없는 infra는 어떤 용도로 생각하면 될까요?혹시 잘 구분해놓고 참고할만한 프로젝트 소스가 있을런지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mysql.server start 명령어의 의미
따로 디비를 설치하는 것 없이 그냥 mariadb client를 주입받고 바로 해당 프로젝트에서 터미널로 mysql.server start를 하셨는데요이건 client를 주입받으면 해당 폴더에서 알아서 디비가 깔리는 구조인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강의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블로그에 항상 그날 공부한것을 포스팅하는중인데 수업자료를 과도하게 노출하지 않는선에서 블로그를 작성하는건 괜찮을까요?? 포스팅하기전에 혹시 몰라서 질문드려봅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안녕하세요
이 부분에서 em.persist(team) 을 한 후 회원 저장 구현을 한 후 em.persist(member) 를 했는데 회원 구현 이후에 em.persist(team) 를 해도 되나요? 회원 저장 구현 전에 em.persist(team) 를 해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MSA 각 서비스 분리시에, 공유되는 클래스는 어떻게?
안녕하세요.강의에서 , UserService 와 OrderService 가 서비스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UserService 에서 OrderService API 호출해서 데이터를 가져올때,ResponseOrder 클래스를 UserService 프로젝트안에 만드셨던데,실제 현업에서는 ResponseOrder 를 UserService 와 OrderService 에 중복으로클래스를 생성하지는 않을 거 같은데요.서로 다른 프로젝트(UserService 와 OrderService) 에서 공유되는 클래스는 어떻게관리를 해야하나요.. 프로젝트에 각각 중복해서 클래스를 만들어서사용하나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join table.as() 테이블 이름을 수정 할 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querydsl 공부중인 김준엽 입니다.chatRoom에 member1 member2 연관 관계가 있다면은 querydsl에 .select(chatRoom) .from(chatRoom) .join(chatRoom.member1, member) .join(chatRoom.member2, member) .fetch(); 있다면 .join(chatRoom.member1, member.as(member1) ) 해서 select에 member1.namemember2.name구분 지어서 표현이 가능한가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4 : 48초에 쿼리 날라가는 거 질문입니다.
제가 셋팅을 다르게 한 건지 모르겠는데콘솔창에 create, insert쿼리는 뜨는고업데이트 쿼리는 따로 안 뜨는데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try { Address address = new Address("city", "street", "zipcode");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member1"); member1.setHomeAddress(address); member1.setWorkPeriod(new Period());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Username("member2"); member2.setHomeAddress(address); member2.setWorkPeriod(new Period()); member1.getHomeAddress().setCity("newCity"); em.persist(member1); em.persist(member2); tx.commit();이건 똑같이 작성했씁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과 JPQL의 성능차이가 존재하나요?
영한님 안녕하세요!Querydsl 관련해서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같이 공부하고 있는 스터디원 분들께서 Querydsl을 사용하면 JPQL에 비해 성능이 좋아진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저는 강의를 듣고 Querydsl을 사용하면 JPQL로 변환되어 쿼리가 나간다고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Querydsl은 결국 JPQL로 변환되어서 DB에 쿼리가 나간다" 가 맞는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또한 Querydsl의 가장 큰 장점은 컴파일 시점에 에러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성능적인 부분에서의 장점도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임베디드 타입에서 어떻게 Entity를 쓰는 건가요?
Person 클래스입니다.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Column;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vax.persistence.Id; @Entity public class Person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person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Address 클래스입니다.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 @Embeddable public class Address { private String city; private String street; private String zipcode; @OneToOne @JoinColumn(name = "person_id") private Person person; public Address() { } public Address(String city, String street, String zipcode) { this.city = city; this.street = street; this.zipcode = zipcode; } public String getCity() { return city; } public void setCity(String city) { this.city = city; } public String getStreet() { return street; } public void setStreet(String street) { this.street = street; } public String getZipcode() { return zipcode; } public void setZipcode(String zipcode) { this.zipcode = zipcode; } }제가 연관관계 매핑에 대해서 이해를 못하고 있는 건가요? person을 1:1 매핑을했다고 생각했습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SpringBoot 3.0.2 버전 QueryDSL 설정문제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수강생 김땡땡이라고 합니다.추가로 작성해주신 Spring 3.0 버전 설정을 적용해서 build.gradle을 작성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테스트 에러가 발생합니다. 먼저 강의내용과 수업자료를 통해서 Springboot 3.0 이상 버전에서 설정해야되는 부분들을 추가했습니다. javax관련 오류는 뜨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문제가 생겼는데요.. gradle >other >compileQuerydsl 을 실행하면, 문제점이 있습니다. compileQuerydsl을 통해서 생성되는 Q Class는 build 경로에만 생기고 src/main에는 생성이 되지 않는다.<build 경로 아래에는 성공적으로 Qclass 가 생성되었습니다.>하지만 src/main아래에는 생성되지 않았네요.. 그래도 build 경로아래에 QClass가 생성되어있으니 간단한 Test는 될 것 같아서 수업 내용을 따라서 작성하고 실행해봤는데.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Qclass를 찾지못해 발생하는 오류같은데..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모르겠습니다. 강사님과 똑같이 작성했는데.. 단순 버전 문제일까요? 이런경우엔 gradle 버전도 상관이 있는건가요? 현재 사용하는 gradle 버전은 확인해보니 7.6입니다. 검색을 많이 해봐도 해결방안이 나오질 않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저의 build.gradle 설정========================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querydsl 추가 시작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querydsl" querydsl {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 } sourceSets { main.java.srcDir querydslDir } 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 compileQuerydsl {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 } //querydsl 추가 끝 ======================= Hello Entity =============================package study.querydsl.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Id;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Hello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컨트롤러에서 레포지토리를 호출할 때 의존성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주문 목록 검색, 취소 강의 2분 20초 즈음에 함수위임 정도의 간단한 행동은 컨트롤러에서 직접 호출하는 것도 고려해도 괜찮다라고 하셨는데, 이는 즉 컨트롤러가 레포지토리를 바로 의존하는 상황이여도 상황에 따라서는 괜찮다고 이해하여도 괜찮을까요 ?
-
미해결실전! Querydsl
@RequestBody, @RequestParam을 사용하면 왜 에러가 뜰까요?
안녕하세요!혼자 복습 해보다가 얼떨결에 시도해본 방법인데, 매개변수에@RequestBody를 선언해주고, 포스트맨에서 Body쪽에 값을 넘겨주었는데 에러가 떴습니다.그리고 @RequestBody를 제거한 뒤에, 포스트맨에서는 Param쪽에 값을 넘겨주니 작동이 됐습니다.전 그동안 연습하면서 controller 쪽에 값을 받아올 때는 @RequestBody / @RequestParam / @PathVariable셋중 하나 반드시 넣어줘야 한다고 배웠었는데요. 강의에서 아무것도 선언해주지 않아야 작동 되는 것을 보고 크게 혼란이 왔습니다.강의의 경우 포스트맨에서 쿼리스트링으로 값을 받아오고 있으니 @RequestParam을 넣어줘야 하지 않나요? 이것도 넣으면 마찬가지로 에러가 뜹니다. 왜 그런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