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ello JPA -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다름 아니라 [Hello JPA -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를 따라가면서 하고 있는데, 강의와 다르게 나옵니다ㅠㅠ이런 식으로 id 1L인 member를 먼저 등록한 다음, 드래그 한 부분의 id를 2L로 바꿔주고 다시 서버를 띄우면강사님께서는서버를 다시 띄워도 이렇게 1L과 2L이 나오는데 저는 서버를 다시 띄우면2L만 나옵니다. rollback을 안 했는데도 id 2만 등록되어있습니다. 그리고이렇게 했을 때 강사님께서는 위에 아이디 1과 2의 member가 등록되어있는 상태에서 돌리셨기 때문에System.out.println("findMember.id = " + findMember.getId()); System.out.println("findMember.name = " + findMember.getName());이 부분이 잘 출력되는데 저는 rollback이 되어출력이 안 됩니다.. 무슨 차이일까요?강사님께서 제공해주신 <최신 프로젝트 설정하기>로 다운로드 받아 진행하였습니다.
-
미해결PZM기반 실무중심 백엔드 부트캠프(프리트레이닝)
13:00 에 만드는 apply가 deprecated 됐다고 나오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렇게 뜹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인텔리제이 String 오류?
가끔 String 쓰면 실행은 되는데 이렇게 오류나거나, 실행도 안 되고 오류가 뜰 때가 있는데 왜 그런건 가요? 같은 프로젝트 파일에서도 될 때가 있고 갑자기 안 될 때가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ain 함수 실행이 안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spring-io에서 만들어서 intellj에서 실행했는데 실행이 되지가 않습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상속 구조 내에서 Querydsl로 특정 타입의 엔티티에만 조인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이런식으로 지점(branch)명에 맞는 공간(space)중 미팅룸 리스트를 보여주고해당 미팅룸의 해당 날짜의 예약들도 보여주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Override public List<Reservation> findReservationListByDateAndBranchName(LocalDateTime startDatetime, LocalDateTime endDateTime, String branchName) { return queryFactory .select(reservation) .from(reservation) .join(reservation.space, space).fetchJoin() .join(space.branch, branch) .where(branch.branchName.eq(branchName), reservation.reservationStartDateTime.between(startDatetime, endDateTime), space.dtype.eq("MeetingRoom") ) .fetch(); }이런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연관관계 때문에Reservation Entity@Getter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Table(name = "reservation") public class Reservation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reservation_id") private Long reservationId; @Column(name = "reservation_start_date_time") private LocalDateTime reservationStartDateTime; @Column(name = "reservation_end_date_time") private LocalDateTime reservationEndDateTime; @OneToMany(mappedBy = "reservation") private List<MemberReservation> memberReservations = new ArrayLis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space_id") private Space space; }Space Entity@Getter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JOINED) @Table(name = "space") @DiscriminatorColumn public abstract class Space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space_id") private Long spaceId; @NotNull @Column(name = "space_name") private String spaceName; @NotNull @Column(name = "space_floor") private int spaceFloor;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branch_id") private Branch branch; @OneToMany(mappedBy = "space") private List<Reservation> reservations = new ArrayList<>(); @NotNull @Column(name = "dtype", 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String dtype; }Space를 상속받는 FocusDesk, MeetingRoom, RechargingRoom@Getter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Table(name = "focus_desk") public class FocusDesk extends Space { //추후에 해당 엔티티에 맞는 필드들 추가 } @Getter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Table(name = "meeting_room") public class MeetingRoom extends Space { @Column(name = "meeting_room_capacity") @Positive private int meetingRoomCapacity; } @Getter @Entity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Table(name = "recharging_room") public class RechargingRoom extends Space { //추후에 해당 엔티티에 맞는 필드들 추가 } select r1_0.reservation_id, r1_0.created_date, r1_0.last_modified_date, r1_0.reservation_end_date_time, r1_0.reservation_start_date_time, s1_0.space_id, s1_0.dtype, s1_0.branch_id, s1_0.space_floor, s1_0.space_name, s1_2.meeting_room_capacity from reservation r1_0 join (space s1_0 left join focus_desk s1_1 on s1_0.space_id=s1_1.space_id left join meeting_room s1_2 on s1_0.space_id=s1_2.space_id left join recharging_room s1_3 on s1_0.space_id=s1_3.space_id) on s1_0.space_id=r1_0.space_id join branch b1_0 on b1_0.branch_id=s1_0.branch_id where b1_0.branch_name=? and r1_0.reservation_start_date_time between ? and ? and s1_0.dtype=?이런 쿼리가 나가게 됩니다.처음에는 dtype 없이 MeetingRoom 만 join 하고 싶었지만reservation.meetingRoom 이불가능하여(reservation은 space랑 매핑 되어있으니까)불가능하여 이방법 밖에는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위의 쿼리처럼 쓸모없는 테이블들을 강제로 조인한 후에 다시 where절의 dtype으로 구분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Query("SELECT new com.example.sabujak.reservation.dto.ReservationQueryDto(r.reservationStartDateTime, r.reservationEndDateTime, s.spaceId, s.spaceFloor, s.spaceName, m.meetingRoomCapacity) " + "FROM Reservation r " + "JOIN r.space s " + "JOIN MeetingRoom m ON m.spaceId = s.spaceId " + "JOIN s.branch b " + "WHERE b.branchName = :branchName " + "AND r.reservationStartDateTime BETWEEN :startDateTime AND :endDateTime")이런식의 jpql로는 해결이 가능하지만추후에 정렬조건을 동적으로 받아야 하기에 querydsl을 사용해서 최대한 좋은 방향으로 사용하고 싶은데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섹션6 날짜와 시간 - 문제와 풀이2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섹션6 날짜와 시간 문제풀이2번째에서 막혀서 질문을 드립니다.현재 저의 코드 상태가그림으로 보시는 봐와 같이 이런 상태이고,지금 이 상태 에서, 월요일이 첫 시작 일 때(2024년 1월 1일기준),월요일에서 날짜를 넣는 방법을 모르겠더라고요. 이럴 때 에는 문제와 풀이2 해석을 보는게 나은지? 아니면 검색을 해서 라도 푸는게 나은지 알고 싶습니다.답변 부탁 드립니다.참조한 클래스는 TestLoopPlus, TestAdjusters 이 두개를 참조 했습니다.(클래스 이름 +import는 pdf에서 봄)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갑자기 개념이 혼동됩니다..ㅠ
@RestController JSON형식으로 응답본문에 나오는것도 알겠고 @RequesyBody은 요청본문은 자바객체로 매핑하는것도 알고있습니다.근데 @Controller로 진행하면서 모델에담고 return을 뷰로 전달하는 형식으로하다가 갑자기 REST API?형식으로 진행하게되서 뭔가 갑자기 햇갈려졌는데..이유를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LinkedHashSet 구조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LinkedHashSet은 HashSet과 같은데 Node를 추가해서 입력 순서를 유지한다 들었습니다.그럼 만약에 HashIndex가 같은 경우(해시 충돌) Node도 HashSet과 같이 List 형식으로 저장이 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Pessimitic Lock 과 Optimitic Lock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몇가지 질문이 생겼습니다.1. Pessimitic Lock와 Optimitic Lock 는 select 구문(@Query("select ...) 나 find 쿼리메서드)에서만 @Lock을 적용하는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2. Pessimitic Lock 과 Optimitic Lock 의 벌크 수정 쿼리는 어떻게 처리가 되는건가요? 2-1. Pessimitic Lock 은 select 절로 데이터를 가져오지 않는다면 어떻게 벌크 수정이 되는건가요?2-2. Optimitic Lock 은 벌크 연산에서 직접 버전을 수정하는게 맞을까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다운로드
자바중급편끝내고 스프링 다운 받으려고 하는데주의 사항보고 다운받고있는데 다운받기전에 패키지 이름 바꿔야한다는 소리인가요?? 혹시 주의 사항 더 알려주실만한게 있나요 ?환경구축하는게 어렵네요 ㅠ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의 ON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SQL의 ON절과 QueryDsl의 ON절 간에 차이가 있어보여 질문드립니다. SQL의 ON절에서는 테이블과 테이블 간에 어떤 컬럼을 기준으로 조인될 것인가를 명시하는 기능을 하는데 비해, QueryDsl에서는 join메서드가 그 기능을 포함하고 on메서드가 마치 sql의 where절의 역할을 하는 것(그렇기 때문에 QueryDsl에서는 SQL과 달리 on 메서드와 where 메서드를 함께 사용할 수 없음)으로 보이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entity manager와 스프링 빈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Repositorypublic class MemberRepository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m; ....} 위 코드에서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EntityManagerFactory가 스프링 빈으로 디폴트로 등록이 되고 위 em에다가 entitymanager를 만들어서 주입을 해 주는 것인지,아니면 EntityManager가 스프링 빈으로 아예 등록이 되고 저 위에다가 주입이 되는 것인지(아닐 것 같기는 합니다!)궁금합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코드 오류?
안녕하세요 게터 세터를 다 작성하고 런타임을 돌려보니 밑의 사진처럼 113,117행에 ; 가 없고 117에는 식의 개시가 올바르지 않다고 확인이 됩니다.. 써주신 코드랑 비교해도 틀린게 없는것으로 보이는데 뭐가 잘못된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I 와 전반적인 구조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네[질문 내용]1. 회원 서비스를 테스트할 때, DI를 하는 이유를 저는 아래처럼 이해했는데 이것이 맞는 이해인지 궁금합니다. MemberService() 를 실행하는 순간 MemoryMemberRepository가 new로 생성되고, 그 다음줄에서 MemoryMemberRepository를 새롭개 new로 생성한다.현재의 코드에서는 Store가 static하게 선언되었으므로 그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MemberService와 MemoryMemberRepository가 서로 다른 레포지토리 인스턴스를 가지게된다. 위 내용이 맞다면, 모듈 테스트를 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해당 부분 뒤에 나오는 스프링 통합 테스트를 할 때는 이미 스프링 컨테이너에 레포지토리가 등록되어 있으므로 생성자를 활용한 의존성 주입이 필요없는 것이 맞나요? 아래 그림은 최종적으로 제가 구조를 이해한 것을 구조화 한 것인데 혹시 틀린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더 큰 숫자 찾기 문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더 큰 숫자 찾기문제에 int max = (a > b) ? a : b;가 아닌 String status = (a > b) ? "10" : "20";는 틀린 답인가요? 이유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익명클래스 지역클래스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익명 클래스는 이름이 없는 지역 클래스라고 하셨는데 익명 클래스를 메소드 파라미터로 넘기는 부분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지역 클래스라고 하는건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변경 감지 메커니즘에서 4. flush, 5. commit 의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사진에서 4. flush, 5. commit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Transactional 과 Lazy Loading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겨 질문 드립니다. package ShopProject.myShopProject.Domain; import ShopProject.myShopProject.Domain.Item.Item; import ShopProject.myShopProject.Domain.Order.Order;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jakarta.validation.constraints.NotEmpty; import jakarta.validation.constraints.NotNull; import lombok.Data;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Embedded private Address address; @OneToMany(mappedBy = "member",cascade = CascadeType.REMOVE) private List<Order> orders = new ArrayList<>(); private String loginId; private String password; @OneToMany(mappedBy = "member") private List<LikedItem> likedItems = new ArrayList<>(); } package ShopProject.myShopProject.Domain; import ShopProject.myShopProject.Domain.Item.Item;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LikedIte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likedItem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Item item; } 보시는 것처럼 멤버와 좋아요 상품은 Lazy 관계에 있습니다. OneToMany는 기본이 Lazy이므로 명시하지 않았습니다.따라서 좋아요 상품은 직접 조회될 때만 DB에서 조회되고, 다른 경우는 프록시 형태로 존재합니다. //아이템 상세 정보 @GetMapping("item") public String itemDetail(@RequestParam("itemId") Long itemId, @SessionAttribute(name = "loginMember") Member loginMember, Model model) { log.info("item 호출"); Item item = itemService.findOne(itemId); log.info(loginMember.getLoginId() + " " + loginMember.getName()); // 좋아요 여부 추가 model.addAttribute("isLiked", memberService.isliked(loginMember, item)); //이 부분입니다!! model.addAttribute("item", item); model.addAttribute("member", loginMember); if (item.getCategory().equals("Book")) { return "items/item/book"; } if (item.getCategory().equals("Album")) { return "items/item/album"; } if (item.getCategory().equals("Movie")) { return "items/item/movie"; } return "items/item"; } 위 컨트롤러를 호출하면, isliked라는 매소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좋아요 여부를 확인하는 메소드입니다. //좋아요 아이템이 아니면 false 반환 @Transactional public Boolean isliked(Member member, Item item) { log.info("좋아요 확인 메서드 실행"); // log.info("멤버 정보" + member.getName() + " " + member.getLoginId()); for (LikedItem likeditem: member.getLikedItems()) { //여기에서 lazyinitializationError 발생 if (likeditem.getItem().getName().equals(item.getName())) { log.info("좋아요인 경우"); return true; } } log.info("좋아요 아닌 경우"); return false; } 그런데 여기에서 맴버의 좋아요 목록을 불러오면 lazyinitialization 에러가 발생합니다... 정말 많이 원인도 구글링해보았는데, 영속성 컨텍스트가 종료 된 후 접근할 때 발생하는 것을 알았습니다.영속성 컨텍스트의 생명주기는 트렌잭션과 거의 동일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만약 위 메소드에 트렌젝션 어노테이션이 없다면 member.getLikedItems() 의 결과를 초기화해주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따라서 트렌젝션 어노테이션을 넣으므로서, member.getLikedItems()를 가져오고, 직접 DB에서 불러오는 과정을 한 트랜젝션 안에서 수행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이 메서드에서 계속 LazyinitializatoinError가 발생합니다. 이 부분의 원인을 전혀 못 찾겠습니다.. 해결책으로는 DTO를 사용하거나, fetch Join을 사용해서 멤버와 같이 조인하여 한번에 가져옴으로 해결할 수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해결책은 알았지만, 위 코드의 무슨 오류가 있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따라서 이 코드의 오류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저의 이해에 오류가 있다면 그 부분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애초에 없는 파일이라 뜨는데 뭐가 잘못된건가요??
-
미해결PZM기반 실무중심 백엔드 부트캠프(프리트레이닝)
117번 동영상이 안올라온거 같아요
그런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