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변경감지를 통한 데이터 변경에 대해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김영한님 JPA강의를 모두 듣고 개인프로젝트를 하던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김영한님께서 데이터의 업데이트는 변경감지를 통해서 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하셨던 게 기억이 나는데요. 물론 변경감지만을 이용하라는 말씀은 아니시겠지만 변경감지를 통한 업데이트를 어디까지 사용해야 하는 가에 대해서 좀 의문이 생겼습니다.예를 들어 이런 경우입니다.회원이 게시판을 조회하면 조회수를 조회수를 증가시키는 로직인데요. (조회수 증가와 게시판 조회를 서로 다른 트랜잭션으로 했음)이럴 때에 변경감지를 통해서 조회수를 증가시킬 경우에 변경감지를 통해 변경된 값이 그대로 update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인데, 이럴 경우 요청이 한 번에 많이 들오면 update순서가 보장되지 않아 정확한 조회수 증가가 이뤄지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LOCK을 걸자니 조회수 하나 때문에 게시판 조회까지 LOCK이 걸려 조회 속도를 낮추는 것도 문제인 듯 하였습니다. 생각해 보면 이러한 조회수 증가는 쿼리를 UPDATE .. SET column = column +1 이런 식으로 만들고 처리하면 현재 컬럼의 값을 기준으로 1씩 증가하기 때문에 LOCK을 걸 필요도 없고 순서에 상관없이 일관된 값이 보장될 것 같은데 변경감지를 통해 값을 업데이트 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현재 조회된 Entity의 조회수 값에 1을 추가하고 그 값으로 직접 UPDATE되는 형태라서 문제가 된 것이 아닐까 싶었습니다.이런 경우 UPDATE쿼리를 따로 날려 주는 방식이 더 효율적인 방식이 맞을까요?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을 취하고 있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odelAttribute 질문
@PostMapping("/members/new") public String create(@Valid @ModelAttribute MemberForm form, BindingResult result) { if (result.hasErrors()) { return "members/createMemberForm"; } Address address = new Address(form.getCity(), form.getStreet(), form.getZipcode());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form.getName()); member.setAddress(address); memberService.join(member); return "redirect:/"; }@GetMapping("/members/new") public String createForm(Model model) { return "members/createMemberForm"; }이런식으로 @ModelAttribute를 사용하여 코드를 짜보려고 하니 에러가 나왔고, 아마 html에서 memberForm 객체가 없어서 이용하지 못했고, 결국 매핑에 문제가 생겨 출력(?)을 하지 못해서 그런 것 같은데 예전 스프링 MVC강의에서는 @ModelAttriute를 이용해 코드를 잘 작성했던 거 같은데 왜 이번 강의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PostMapping("/members/new") public String create(@Valid MemberForm form, BindingResult result) { MemberForm이 어떻게 파라미터로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미 Model에 객체가 있으면 파라미터로 받듯이 받을 수 있는 건지?) 위의 코드를 이용해서 웹페이지를 만드려면 createMemberForm.html 에서<form role="form" action="/members/new" th:object="${memberForm}" method="post">이부분 대신 html 파라미터를 넘겨주는 식으로 고쳐야하는 것 일까요? html을 잘 몰라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Service에서는 find 메서드를 만들지 않은 이유가 따로 있나요 ?
ItemService에서는 ItemRepository의 기능을 위임받아 저장 및 검색 기능을 구현했는데OrderService에서는 검색기능을 구현하지 않았더라구요. ItemService에서 위임 받는 것 처럼 하면 간단할 것 같은데 굳이 만들지 않고 OrderRepository의 findOne기능을 사용하는 이유가 따로 있는 것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est/resources/application.yml이 없으면
main/resources/application.yml 을 따라가게 되는 건가요 ? 자바에서는 디비를 사용하고 싶고, test에서만 메모리 DB를 사용하고 싶다면 아무런 내용이 없는 application.yml를 test/resources 아래 생성만 하면 되는 건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메서드와 CASCADE의 관계
//==연관관계 메서드==// 가 주석으로 달린 메서드들이 연관관계에 있는 객체에 값을 넣어줄 때 반대편에도 자동으로 값을 넣어주는 역할을 하는 메서드가 맞나요? 이렇게 따로 메서드를 구현해주는 이유가 있나요? CASCADE 옵션을 사용하면 어차피 알아서 다 해주지 않나요 ?? 기본편에서 설명해주셨다고 했는데 어떤 강의를 다시 수강해보면 될까요 ? 지연로딩에서 ***ToMany의 디폴트는 Lazy고, ***ToOne의 디폴트는 Eager인 이유가 ***ToMany같은 경우 하나만 불러와도 기본적으로 수많은 값이 따라오기 때문에 스프링 측에서 Lazy로 해놓았고, (Member의 Order을 조회하면 수많은 Order이 자동으로 따라오기 때문에 디폴트가 Lazy) ***ToOne의 경우 객체 하나만 조회하면 쿼리문을 하나밖에 더 날리지 않기 때문에 Eager로 해놓았지만, 실무에서는 테이블 전체를 조회할 때가 있기 때문에 디폴트값인 Eager를 쓰지 않고 Lazy를 사용한다 이게 맞을까요? (Order하나만 조회하면 Member 1개만 따라오기때문에 디폴트가 Eager지만, select o from Order o 와 같은 쿼리문으로 Order를 전체 조회했을 때는 Order에 따른 멤버가 전부 따라오므로 그냥 Lazy 옵션을 준다)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와 테이블 설계 및 Category 클래스 질문입니다
기본편에서 관계에 따른 연관관계 설정하는 방법은 공부했는데, 위와 같은 기능 목록을 보고 기능목록을 보고 위와 같이 어떤 도메인을 써야 할지, 도메인끼리 1:N인지, N:N인지, 1:1인지 단방향인지, 양방향인지(실무에서는 N:N과 양방향은 지양하라고 하셨지만) 등 도메인 모델과 테이블 설계가 어렵다면 무엇을 참고하는 것이 좋을까요 ? ( 영한님이 분석해 놓은 회원 엔티티와 회원 테이블을 보고 코드를 작성할 순 있는데 스스로 회원 엔티티와 테이블을 분석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Category 클래스 안에서 스스로 일대다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위해 만든건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tegory - Item 관계
카테고리 : 과일, 빨강, 노랑 // 아이템 : 사과, 배, 체리이렇게 존재할 때==================과일 -> 사과 배 체리빨강 -> 사과 체리노랑 -> 배==================사과 -> 과일 빨강배 -> 과일 노랑체리 -> 과일 빨강==================사과(아이템)같은 경우 과일과 빨강이라는 카테고리에 속해있고,과일(카테고리)같은 경우 사과 배 체리라는 아이템이 속해있기 때문에다대다 관계가 맞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tatic/index.html 은 Mapping을 안해줬는데도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GetMapping("/") public String index() { return "index"; } 이런 소스 없이 자동으로 localhost:8080 들어가면 Index.html로 연결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첫번째 querydsl테스트 코드 에서 nullpointexception이 터졌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q타입을 생성하고 import를 해주었습니다. package study.querydsl; import com.querydsl.jpa.impl.JPAQueryFactory;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udy.querydsl.entity.Member; import study.querydsl.entity.Team;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static study.querydsl.entity.QMember.*;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public class QuerydslBasicTest { @Autowired EntityManager em; JPAQueryFactory queryFactory; @BeforeEach public void before() { Team teamA = new Team("teamA"); Team teamB = new Team("teamB"); em.persist(teamA); em.persist(teamB);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10, teamA);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20, teamA); Member member3 = new Member("member3", 30, teamA); Member member4 = new Member("member4", 40, teamA); em.persist(member1); em.persist(member2); em.persist(member3); em.persist(member4); } @Test public void startJPQL() { String qlString = "select m from Member m" + " where m.username = :username"; Member findMember = em.createQuery(qlString, Member.class) .setParameter("username", "member1") .getSingleResult();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1"); } @Test public void startQuerydsl() { Member findMember = queryFactory .select(member) .from(member) .where(member.username.eq("member1")) .fetchOne(); Assertions.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1"); }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질문입니다.
3:58초 경에 findMember.setAge(20)으로 결과가 바뀌면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가 되는 거고, 안바뀌면 관리가 되지 않는다라는데 이유가 뭔가요 ?JPA가 DB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수정하고 작성,삭제 할 수 있다 =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한다 같은 말일까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다 관계에서의 값타입 질문입니다.
@OneToMan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Order order; @OneToMan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ist<Order> orders; 두개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일대다 관계라면 컬렉션을 안써도 되지 않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Integer 타입 질문입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eger a = Integer.valueOf(10); Integer b = a; a = 20; System.out.println("a = " + a); System.out.println("b = " + b); }=======출력값 ========a = 20b = 10이렇게 하면 값이 변경되는데 PPT에서 변경X라는 말이 무슨 말일까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즉시로딩과 지연로딩의 성능 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Member와 Team을 예로 생각했을 때즉시로딩 -> Member만 필요해도 Team과 쿼리문이 같이 나감지연로딩 -> Member만 불러오고, Team은 프록시 객체로 불러와서, Team이 필요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에 연결을 요청하고 요청 쿼리문이 나가는 것이 맞나요 ? Member.getTeam().getName()을 1번 수행한다고 했을 때 즉시로딩(Member + Team 쿼리문 같이)의 성능이 지연로딩( Member 쿼리문 따로, Team 쿼리문 따로)보다는 좋지만 강의에서 나온 여러가지 문제로 웬만해서는 지연로딩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이것이 맞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상품 등록
<BookForm>@Getter @Setter public class BookForm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rivate int stockQuantity; private String author; private String isbn; } <Controller>@PostMapping("/items/new") public String create(BookForm form){ Book book = new Book(); book.setName(form.getName()); book.setPrice(form.getPrice()); book.setStockQuantity(form.getStockQuantity()); book.setAuthor(form.getAuthor()); book.setIsbn(form.getIsbn()); itemService.saveItem(book); return "redirect:/"; } <Service>@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class ItemService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public void saveItem(Item item){ itemRepository.save(item); } public Item findOne(Long itemId){ return itemRepository.findOne(itemId); } public List<Item> findAll(){ return itemRepository.findAll(); } } <Repository>@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Item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void save(Item item){ if(item.getId() == null){ log.info("item={}", item); em.persist(item); //신규등록 }else{ em.merge(item); } } public Item findOne(Long id){ return em.find(Item.class, id); } public List<Item> findAll(){ return em.createQuery("select i from Item i", Item.class) .getResultList(); } } <Log>2023-04-21 15:08:16.380 INFO 7536 --- [nio-8080-exec-2] j.jpashop2.repository.ItemRepository : item=Book(author=qwe, isbn=1234)<Test>로그에 찍히는거 보면 값이 다 전달이 되고 테스트 코드에서도 성공으로 떠서 저장이 되야 될거 같은데 h2 db에 가면 값이 저장이 안되어 있네요아예 디비랑 연동이 안되나 싶었는데 멤버는 정상적으로 회원가입이 되는데 아이템만 저장이 안되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ddl-auto 는 create로 되어있구요 h2 db 버전은 1.4.2 입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Item - OrderItem 관계 및 양방향관계?
ORDERS와 ORDER_ITEM의 관계는 하나의 주문 안에, 주문된 여러가지 아이템(book,album,movie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1:N인 것 이 맞나요 ?OrderItem과 Item의 관계가 잘 이해 가지 않아서 찾아보다가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ORM-JPA-Basic&unitId=21699&category=questionDetail&tab=community&q=805804 이 답변을 보고 헷갈리는 부분이 있는데요. Book을 n번 주문할 수 있기 때문에 1:N이라고 하셨는데 이 말은 즉, Book이라는 아이템 안에서도 주문된 여러가지 책(일본 책, 독일 책, 한국책) 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1:N이라는 말일까요?어떤 Member가 어떤 주문을 했는지 Order를 참고하는 것과 어떤 Order가 무엇을 구매했는지 Order_Item을 참고하는 것이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하는데 전자는 잘못된 설계고 후자는 괜찮은 설계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외래키의 위치?에 관해 질문입니다.
public class Team2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TEAM_ID") private int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public class Member2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One(mappedBy = "members") private Team team; } 강의를 듣다가 외래키를 Team에 두면 안되는 것인가? 하고 혼자 코드를 작성해보았는데요.@ManyToOne은 mappedBy옵션을 지원하지 않는 걸로 봐서 1:N에서 N쪽이 외래키가 있어야하고, 연관관계의 주인이 되어야하는 것 같은데연관관계의 주인이 되는 외래키는 어떤 방식으로 설정해주나요 ?
-
해결됨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정답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다름이 아니라 제가 작성한 코드가 정답처리가 되었는데 이 코드는 정답이 되면 안되는 코드가 아닌가 해서 여쭤보고 싶어서 질문글 남깁니다.예를들면 첫번째 문제에서는 CBA 순서로 무조건 짜야하지만제 코드에서 str1 은 꼭 순서를 지켜야 하는 값이고str2는 C의 순서를 알 수 없는데 정답처리가 되어서 제가 작성한 코드가 제대로 정답이 맞는건지 궁금해서 질문글을 남깁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NotNull과 nullable의 차이 및 EnumType 질문
둘 다 null을 허가하지 않는 다는 의미로 쓰이는 것 같은데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 @EnumType 애노테이션을 제거하고 멤버를 추가해도 @EnumType.Ordinal 옵션을 적용 한 것처럼 Integer로 컬럼을 만들고 user = 0, admin=1 으로 잘 저장하던데 @EnumType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요? EnumType.String이 필수로 써야할만큼 EnuType.Ordinal은 안좋은 옵션같은데 Default가 String이 아니라 Ordinal인 거는 따로 무슨 이유가 있는 건가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의 성능적 이점이 있나요 ?
1차 캐시, 쓰기지연, 더티체킹(스냅샷), 지연로딩영속성 컨텍스트의 특징이 이정도인 거 같은데 더티체킹은 엔티티(객체)를 컬렉션에서 관리하듯이 도와줘서 수정측면에서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긴 한데 1차캐시나 쓰기지연 로딩은 디비에 데이터 몇 번 덜 접근한다고 해서 큰 차이 없을 것 같은데 성능적인 측면에서 많이 도움 되나요?실무를 해본 적이 없어서 제가 잘 모르는 것일까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ven을 많이 사용하나요 ?
DB 접근 2편이나 활용1편에서는 Gradle을 사용해서application.properties를 통해 h2를 설정하고 build.gradle을 통해서 라이브러리를 받아왔던 것 같은데 이번 강의에서는 xml파일들을 사용해서 상당히 어색한데요.최근에 Gradle을 많이 사용한다면 xml로 설정하는 방법을 따로 공부할 필요는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