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로퍼티와 메서드의 초기화 질문입니다.
public class student { public int score; public int getScore() { return this.score; } }위와 같은 코드가 있고 연관관계 매핑이 되어있어 현재 프록시 상태라고 가정했을 때점수를 얻기 위해 student.score를 사용 하면 영속성 컨텍스트로부터 초기화를 받지 못하고, student.getScoret()를 하면 초기화를 받는 건가요 ? 만약 프로퍼티 접근을 사용했을 때 초기화를 받지 모한다면 studnet.score 안에는 무슨 값이 들어있게 되는 건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fetch join 과 EAGER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제가 이해한게 맞을까요?일단 기본적으로 type을 LAZY 로 하는 이유는 조회할때 한 방에 다른 엔티티까지 쿼리가 나가고 그거에 연관된 엔티티까지 쿼리가 나가면 비효율 적이다. 그래서 LAZY 를 쓰는데 조회할때 다른 Entity 의 값도 가져오려면 LAZY 타입이니 쿼리가 많이 나가서 fetch JOIN 으로 한 쿼리로 연결 시킨다. 그러면 EAGER 바꾸면 될 것같지만, EAGER 는 예측할 수 없는 문제도 있고, 다른곳에서 조회할때는 또 다른 엔티티의 값이 필요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기본은 LAZY로 해두고 다른 엔티티의 값이 필요한 특수한 경우에만 fetch JOIN 을 한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와 진짜 대박이네요 디폴트 파라미터 하나로 이렇게 편해질수가 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자바 스프링에서는 테스트용 생성자 메서드가 있어도, 매번 일일히 null을 넣어준다거나 하는 문제점들이 있어서 결국 Builder를 사용했었는데코틀린에서는 롬복 Builder가 지원되지 않는다고 해서 엄청 고민 중이였습니다근데 이번 강의 보니까 그냥 온전한 객체 만들어주는 팩터리 메서드 하나 만들어놓고 테스트용으로 필요한 인자 값들만 설정해주면 되는 거였군요진짜 미쳤다.. 갓틀린..잘 배워갑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관관계 메서드의 위치는 핵심적으로 컨트롤 하는 쪽이 무슨 말일까요?
24분 30초부터 연관관계 메서드에 관련해서 설명해주시는데연관관계 메서드의 위치는 핵심적으로 컨트롤 하는 쪽에 있는 것이 좋다 이게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ㅠ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updateItem질문입니다.
@PostMapping("/items/{id}/edit") public String updateItem(@PathVariable Long id, @ModelAttribute Item item) { Item findItem = itemService.findById(item.getId()); //더티 체킹 findItem.setId(item.getId()); findItem.setName(item.getName()); findItem.setPrice(item.getPrice()); findItem.setStockQuantity(item.getStockQuantity()); findItem.setAuthor(item.getAuthor()); findItem.setIsbn(item.getIsbn()); return "redirect:/items"; } 강의를 보지 않고 스스로 코드를 짜보고 있는데 이렇게 하니까 수정내역이 반영 되지 않더라구요 스스로 생각해봤을 때는 다음 2가지 이유 중 하나일 것 같은데 이유가 이유가 무엇인가요 ㅠㅠ? findItem은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지 않는 객체가 된 것이다. 따라서 더티체킹이 되지 않는다.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엔티티는 맞지만 Controller에는 트랜잭션이 없어서 반영이 안되는 것이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aram의 존재 이유>?
@EntityGraph(attributePaths = "team") List<Member> findEntityGraphByUsername(@Param("username")String username);이번 강의를 복습하다 보니까 강사님께서 @Param을 사용하셨더라구요.(강의 20:59)findByAge(), findOptionalByUsername()과 같은 메소드는 @Param 애노테이션 없이도 잘 동작 했는데 따로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일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fetchResult() deprecated
됐던데 앞으로는 강의의 searchPageComplex와 같은 방법 (content따로, total따로)으로만 구현하고 사용하면 되는 건가요 ?searchPageSimple 부분은 필요가 없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tuple자료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 건가요 ?
@Test public void tupleProjection() throws Exception { List<Tuple> result = queryFactory .select(member.username, member.age) .from(member) .fetch();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for (Tuple tuple : result) { String username = tuple.get(member.username); Integer age = tuple.get(member.age); System.out.println("username = " + username); System.out.println("age = " + age); } } result = [[member1, 10], [member2, 20], [member3, 30], [member4, 40]]username = member1age = 10username = member2age = 20username = member3age = 30username = member4age = 40 출력값이 위와 같은데 .get()메소드로 꺼내는 걸로 보면 Map과 같은 자료구조인건가 싶기도 하면서, 통째로 출력하면 List<List<>>와 같은 자료구조의 모습이더라구요tuple은 어떤 자료구조인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join메서드 궁금증입니다 ..
List<Member> result = queryFactory .selectFrom(member) .join(member.team, team) .where(team.name.eq("teamA")) .fetch();위의 QueryDSL문을 sql문으로 번역하면 select * from member as m join team as t on m.team_id = t.team_id where t.name='teamA' 가 맞나요? 관계형DB를 객체 다루듯이 사용하기 위해 Member안에는 Team 클래스가 있고, Team 클래스 안에는 Member 클래스가 있지만 실제로는 .join(member.team, team)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면 내부적으론 DB의 테이블에 가서 외래키와 기본키를 비교해서 값을 가져오는 건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제공되는 html 파일을 사용해도 될까요?
QueryDSL까지 강의를 다 듣고 난 이후에 게시판이나 쇼핑몰 같은 포트폴리오를 만들기전에 자그맣게 배운걸 써보고 싶은데 html,css,js를 모르다보니 view쪽을 처리할 수가 없더라구요.그래서 혹시 활용1편에 제공되는 HelloShop view단 파일을 사용해도 될지 궁금합니다. 깃허브에 올리려고 하고 백엔드단 코드는 전부 스스로 짤 생각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지연로딩과 fetchJoin 성능 차이
즉시로딩을 사용하면 Member 객체를 불러 올 때 1+N문제가 발생하고 Lazy로딩을 사용하면 Team 객체를 사용할 때 쿼리문이 나가서 즉시로딩이든 지연로딩이든 결국 1+N 문제가 생기는 게 맞나요 ? 이 1+N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fetchJoin이 나온 것 같은데 지연 로딩, 즉시 로딩보다 무조건 fetchJoin이 이점이 있는 것 아닌가요? 왜 디폴트값으로 지연로딩으로 설정하고 fetchJoin을 선택해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기본적으로 fetchJoin을 사용하고 연관관계에 있는 객체를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경우에만 지연로딩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게 더 편하지 않나요?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가져오는 fetchJoin의 쿼리문 몇 줄이 성능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2분 정도에 이 코드는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Team teamA = new Team("teamA"); Team teamB = new Team("teamB"); teamRepository.save(teamA); teamRepository.save(teamB);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1", 10, teamA));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2", 10, teamB)); 강의에서 이렇게 한번에 하려다가 Member를 생성해주고 따로 save를 해주던데 한번에 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age 자료구조에 관해 질문입니다.
PageRequest pageRequest = PageRequest.of(0, 3, Sort.by(Direction.DESC, "username")); int age = 10; //when Page<Member> page = memberRepository.findByAge(age, pageRequest);PageRequest.of 코드에서 첫 번째 파라미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헷갈립니다.PageRequest.of 의 2번째 파라미터는 한 페이지의 element 개수이고(limit), 3번째 파라미터는 정렬 조건이 맞나요?List<Member> content = page.getContent(); assertThat(content.size()).isEqualTo(3); assertThat(page.getTotalElements()).isEqualTo(5); assertThat(page.getNumber()).isEqualTo(0); assertThat(page.getTotalPages()).isEqualTo(2); assertThat(page.isFirst()).isTrue(); assertThat(page.hasNext()).isTrue(); page.getContent()는 현재 페이지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메소드인가요?page.getNumber()는 현재 페이지를 가져오는 메소드인가요?Page는 책처럼 0,1,2,3 ... 이렇게 페이지가 있는 거고Content는 그 Page안에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건가요? List<List<data>> 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일까요? Page와 Content의 자료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지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Transactional 에 따른 변경감지 작동여부 질문
안녕하세요! 먼저 좋은 강의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닷!개인 프로젝트 수행 중에, 변경 감지와 관련한 이슈를 발견해서 질문드립니다.물론 개인 프로젝트 관련한 질문은 안 받아주시는 것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지만, 개념적인(?) 내용이라 혹시 도움 받을 수 있을까 싶어 질문드립니다. (사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모르겠습니다..ㅠㅠ)상황한 트랜잭션 안에서, 엔티티 객체를 만들고 이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올려 id 값을 받아와 이 id 값을 가지고 해시값을 만들어 해당 해시값을 다시 엔티티 객체에 할당하려 합니다.문제문제는 위 작업을 수행하는 메소드의 @Transactional 위치에 따라 변경감지가 될 때가 있고 안 될 때가 있다는 점입니다.위 쪽의 create(ShortUrlCreateRequest request) 메서드를 호출하여 아래에 오버로딩된 create(String originUrl, Period expirationPeriod) 를 통해 위에 서술한 작업을 하려합니다. (Repository 객체는 Data Jpa Repository를 사용하고 있습니다.)create(ShortUrlCreateRequest request) 를 호출하면,아래의 create(String originUrl, Period expirationPeriod) 메서드에 @Transactional 을 붙였음에도 아래와 같이 insert 문만 호출됩니다.이번에는 위의 create() 에 @Transactionl 붙였을 때 입니다. insert 문과 update 문 모두 의도한 대로 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트랜잭션 진입 시점이 다른 것인데 왜 이에 따라 변경감지 가 일어나고/ 안 일어나는 지 감을 잡지 못하겠습니다. 일말의 힌트를 주실 수 있을까요?항상 영한님과 서포터님들께 감사드립니닷!!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뭘 사용할지 선택에 있어서 질문입니다.
EntityManger를 주입받는 방법으로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이렇게 선언하고 @RequiredArgsConstructor로 받을 수도 있고, 이번 강의에서처럼 @PersistenceContext로 받을 수도 있는데 각각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public long count() { return em.createQuery("select count(m) from Member m", Long.class) .getSingleResult(); }또 여기서 메소드 선언문에는 long 타입을 반환타입으로 설정했는데 createQuery의 2번째 파라미터로는 Long값을 주는데 어떤 이유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GeneratedValue에 관한 질문입니다.
member = Member(id=3, username=member1, age=10)-> member.getTeam() = Team(id=1, name=teamA)member = Member(id=4, username=member2, age=20)-> member.getTeam() = Team(id=1, name=teamA)member = Member(id=5, username=member3, age=30)-> member.getTeam() = Team(id=2, name=teamB)member = Member(id=6, username=member4, age=40)-> member.getTeam() = Team(id=2, name=teamB) Team을 먼저 persist 했기때문에 team의 id가 1,2가 됐고, 그 뒤에 순차적으로 member의 id가 3,4,5,6이 된 건가요 ? Team은 Team대로, Member는 Member대로 각 엔티티마다 id를 사용하는게 낫지 않나요? 실무에서는 어떤지 궁금하고, 만약 실무에서는 각 엔티티마다 id값을 공유한다면 강의에서는 모든 엔티티가 같은 id값을 공유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활용 예와 관련해 질문 있습니다.
'마무리' 한 강 남았네요.덕분에 많이 배우고 많이 성장한 것 같습니다.그런데,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활용과 관련해서,, QueryDSL 사용 시 생성되는 엔티티의 Q파일도 어노테이션 프로세서를 활용한 기술인지 궁금합니다.짐작으로는 맡긴 한데, 관련 언급이 없었어서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11분 쯤에 프록시 관련하여 질문입니다.
지연 로딩을 사용하면 그 객체를 사용할 때 프록시 객체에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연결을 요청해서 진짜 객체를 가져오는 거로 알고 있는데요이번에는 단순히 Order만 Return 했기 때문에 Order객체 안에 있는 프록시 객체(Member, Delivery, OrderItems)는 사용할 일이 없는 것 아닌가요 ?왜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려다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istinct 사용 전 데이터 뻥튀기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사님과 코드를 똑같이 작성했는데 distinct를 사용하기 전에도 데이터 뻥튀기 없이 올바르게 데이터가 나옵니다. 제가 어떤 부분을 잘못한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8:41 질문
@PutMapping("/api/v2/members/{id}") public UpdateMemberResponse updateMemberV2( @PathVariable("id") Long id, @RequestBody @Valid UpdateMemberRequest request) { memberService.update(id, request.getName()); return new UpdateMemberResponse(id, request.getName()); } 파라미터로 들어온 값으로 UpdateMemberResponse를 만들어주지 않고 memberService.findOne을 통해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