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만세력 2100~2200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023년 태어난 애들은 100살까지 산다고 가정한다면 대운 세운을 구하려면 2100~2200도 필요할 것이잖아요 혹시 이거 데이터는 어디서 구할까요?! 선생님은 2000~2100 데이터는 어떻게 구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선배님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ㅠㅠ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gateway와 userService 간의 인증 정보 공유 문제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수강 중 질문이 생겨서요! user-service는 mvc 기반의 app으로 spring security를 통해 인증을 처리하므로, tomcat의 JSESSIONID 를 기반으로 하여 Security Context에 Authentication 객체의 유무를 통해 인증이 된 사용자인지 안 된 사용자인지 Security Filter Chain에서 체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런데gateway에서 설정하신 application.yml 에 따르면 모든 요청 헤더에 존재하는 Cookie를 삭제하고 --> 서버에서 매번 새 요청으로 인식gateway 는 netty 서버를 사용하고 user-service는 tomcat 서버를 사용하잖아요.그래서 두 서버 사이 Context가 공유가 안 될것 같아서요... 그래서 gateway에서는 인증을 했다고 요청을 넘기지만 user-service에서는 그 요청을 받았을 때 해당하는 SESSIONID 의 Context에 Authentication 객체가 존재하지 않아 인증이 필요한 url에 접근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어떻게 인증 완료 정보를 두 서비스가 공유할 수 있는 건가요?? 또한 gateway도 이중화 구성이 가능한가요?.. userService를 2,3중화 한 것처럼 gateway도 여러 대의 인스턴스로 기동하면 eureka에서 다중 구성한 서버로 인식해주는 건가요??... 혹시 gateway에도 Spring Security를 적용시키는 경우도 있을까요?.. 권한 별 접근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할 것 같아서요!또한 gateway에서 커스텀 필터를 만들 때, apply 메소드의 return 타입이 GatewayFilter 로 되어있는데, Mono<Void> 타입으로 return을 해도 되는 건가요?... Mono<Void>는 mvc에서 return 타입이 void 인 것과 같은 의미 아닌가요?... 열심히 강의해주셨는데 질문의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ㅠ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npm run android 했는데
(node:82558) [DEP0040] DeprecationWarning: The `punycode` module is deprecated. Please use a userland alternative instead. (Use `node --trace-deprecation ...` to show where the warning was created) info Starting JS server... /bin/sh: adb: command not found info Launching emulator... error Failed to launch emulator. Reason: No emulators found as an output of `emulator -list-avds`. 강의 보고 따라하면서 npm run android 했는데`punycode` module is deprecated 이 오류를 어떻게 해야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2023년 개인정보보호 법령 제개정 내용 강의
강의자료 문의
안녕하세요, 현재 개보법 제개정 강의를 수강중입니다. 강의자료를 어디서 다운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StaticClass 나 에셋 레퍼런스 경로로 클래스를 사용한다는 의미
이 예제처럼 클래스 정보를 얻어와 적용해 사용한다는 뜻은 엔진 내부적으로 받은 클래스 정보에 따라 인스턴스를 스스로 만들어 사용한다고 보면 되는 건가요?? AABPlayerController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직접 만들었다면 고칠꺼 고치고 GetClass()를 통해서 넣으면 되는 걸까요? 그리고 TSubclassOf의 효과를 알 수 있을 까요... 찾아보니 지정한 UClass 파생 클래스로만 할당 할 수 있어서 안전하다.. 이런 얘기가 있는데 잘 모르겠네요ㅜㅜ
-
미해결
파싱 질문
파이썬 파싱 문의!파이썬으로, 쿠퐝의 상품상세 정보를 파싱해보려고 합니다.그런데 requests.get(url) 로 주소를 불러왔는데,상품상세 정보는 불러오질 않더라구요.쿠퐝의상품들어가서 아래에 상품상세/상품평/상품문의 메뉴가 있는데 이걸 requests로 파싱할수 있나요?셀레니움밖에 답이 없나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콘텐츠 브라우저에 플러그인 폴더 생성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콘텐츠 브라우저에 플러그인 폴더 생성이 안되지만, Edit > Plugins > PROJECT > Other에는 GameUtility플러그인이 존재합니다. Plugins 폴더가 보이지 않아도 무방한가요?
-
미해결코딩테스트 실전 모의고사(with C++) : 대기업 대비
문제 의문
선생님 BFS함수 코드 중에서 영희가 기사를 지나쳐가는 경우는 고려안했는데도 정답인 이유가 있나요?-> ['영희는 산딸기가 없이는 기사를 지나쳐 갈 수 없다.'] 2 - 0 - 3 - 4 이런 식의 행이 있으면 문제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1강 강의 대로 PlayerController를 변경한 후 캐릭터 조작이 안되고 있습니다.
1강 강의 대로 PlayerController를 변경한 후 캐릭터 조작이 안되는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1강 언리얼 엔진 게임 제작 기초 강의 그대로 따라하고 있었는데요.23:21 부분 따라한 이후 부터는 캐릭터 뿐만 아니라 카메라도 이동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재컴파일도 해보고 아예 새 프로젝트부터 다시 만들어보기도하였는데요. 동일한 현상 때문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아래는 조작이 안되는 상태 스크린샷입니다. (키보드나 마우스 움직여도 캐릭터가 움직이질 않음)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혹시 Basic으로 맵을 만들면 다시 월드 파티션 설정을 못하나요??
처음부터 오픈 월드 용 맵을 만들어야 월드 파티션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쉽고 빠르게 끝내는 GO언어 프로그래밍 핵심 기초 입문 과정
golang 질문
go env set GOBIN=C:\go_study\binset GOROOT=C:\Program Files\Goset GOPATH=C:\go_study PS C:\go_study\src\section1> go run maincannot find package "main" in any of: C:\Program Files\Go\src\main (from $GOROOT) C:\go_study\src\main (from $GOPATH) 관련된 에러가 나고 있습니다.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PS C:\go_study\src\section1> go mod init maingo: creating new go.mod: module maingo: to add module requirements and sums: go mod tidyPS C:\go_study\src\section1> go mod tidyPS C:\go_study\src\section1> go run mainhelloworld.go:1:1: expected 'package', found pakcage visual studio일 경우에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
미해결[React 1부] 만들고 비교하며 학습하는 React
[순수JS1] 폴더구조 강의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순수JS1] 폴더구조 편에서 npx 로 웹서버 띄우고 localhost:3000 켜고 크롬에서 개발자도구로 네트워크 보면 store.js 로딩하는데 404에러가 나오는데 이유가 뭘까요?그리고 강사님처럼 console.log 로 로그를 찍어도 크롬 개발자도구 console 탭 보면 아무것도 안나오는데 이유가 뭘까요 ㅠㅠ?
-
해결됨[코드캠프] 훈훈한 Javascript
display:flex의 의미
제가 섹션4까지 듣고 카운트다운 코드를 다시 보며 복습하고 있는데 style.display = flex가 이 섹션 4까지의 코드에서 어떤 맥락으로 사용됐는지가 이해가 잘 가지 않아 이 부분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자바 스트립트 관련 여러 문서들을 참고하니 자바스크립트에서 flex의 의미는 css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게 요소의 display 속성(인라인or블록 요소인지 등등)을 설정한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그러나 아래의 코드 부분을 보다가 의문이 생겼습니다. if (remaining <= 0) { container.style.display = 'none'; messageContainer.innerHTML = '<h3>타이머가 종료되었습니다.</h3>'; messageContainer.style.display = 'flex'; setClearInterval(); return; } else if (isNaN(remaining)) { container.style.display = 'none'; messageContainer.innerHTML = '<h3>유효한 시간대가 아닙니다.</h3>'; messageContainer.style.display = 'flex'; setClearInterval(); return; }display:none은 요소를 숨겨준다는 의미로 이해하기 쉬웠지만 display = flex의 뜻을 알고 보니 messageContainer.style.display = flex는 어떤 의미로 사용된 것인지 감이 잘 안 잡힙니다 ㅠㅜ. 위에 innerHTML에 값을 할당한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는데 왜 flex가 선언되는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제 경우에는 이렇게 코드를 짜봤는데 이것도 맞을까요?
class Solution(object): def lowestCommonAncestor(self, root, p, q): if root is None: # check whether Node is empty return if root is p or root is q: return root # root 노드가 p 또는 q가 아니면 순회하도록 재귀함수 호출 l = self.lowestCommonAncestor(root.left, p, q) # code 1 r = self.lowestCommonAncestor(root.right, p, q) # code 2 # p와 q 조건 검사를 마친 후(모든 노드를 순회하는 것은 아님) if l and r: return root elif l: return l else: return r먼저 LCA함수를 호출하면 root가 가리키는 노드가 있는지 체크한 다음에 계속해서 p 또는 q 노드가 맞는지 확인을 합니다. 만약 p 또는 q 노드가 아니면 재귀함수를 호출해서 자식 노드로 더 깊이 순회하도록 만듭니다. 역시 자식 노드들도 p 또는 q 노드가 맞는지 검사한 후 맞으면 l 또는 r에 그 노드를 저장합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자기 자신이 공통 조상이 될 때인데요. 이렇게 되면 더 깊이까지 탐색하지 않아도 elif l: return l 에 의해서 왼쪽만 탐색했으니까 시간복잡도가 O(logN)인가요? 아니면 다른 케이스들도 고려해서 최악의 경우 모든 노드를 탐색해야되니까 O(N)이 되는건가요?
-
해결됨Google 공인! 텐서플로(TensorFlow) 개발자 자격증 취득
슬랙초대 부탁드립니다.
ryanjihuhwang@gmail.comrichdied@naver.com초대 부탁드릴께요.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SQL과 데이터베이스(MySQL)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SAKILA 폴더에서 가져온 SCHEMA와 DATA가 정확히 뭘까요
SCHEMA는 관계 정보고 (DESC명령어로 보는)DATA는 관계에 들어가는 데이터(SELECT 명령어로 보는)인가요?DB정보를 넘길때는 보통 이 두개 파일을 넘기게 되나요?
-
미해결버그헌팅과 시나리오 모의해킹 전문가 되기
칼리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관련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창이 없는데 어떡해야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답안 작성 관련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예전에 시험 응시 전략 강의를 듣는데 거기서'특정값 임의 대입 출력하지 말아라' 다 오답 처리 된다 라는 말씀을 하셨거든요. 그 때 이해한 게 만약 pvalue를 출력하고 싶으면 아래에서 b처럼 적지 말고 a처럼 적으라는 건가요? 설령 프린트문을 이용해서 pvalue가 0.00006인걸 확인해도요? result = stats.ttest_rel(df['bp_after'], df['bp_before'], alternative="less") print(round(result.statistic,2)) print(0.00006) 그리고 예시문제 작업형3(구버전) 강의에서 (c)번 문제 내용 중 하나가, 유의수준 0.05하에서 가설검정의 결과를 (채택/기각) 중 하나를 선택하시오. 이건데요, print('기각') 이런 게 안 된..다는거죠? 그 시험 문제에 체크하는 칸이 따로 있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ReadModel 에서 메모리 누수가 감지 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CRT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위 사진처럼 메모리 누수가 뜨고 있는 걸 확인했습니다. 찾아보니 ReadModel 함수에서 발생하였고 bone->parentIndex = file->Read<int32>(); 에서 누수가 나는걸 확인했습니다. 저 부분을 주석 처리하면 누수가 나지 않음을 확인했고, kachujin 외에 dragon, tower 등 다른 fbx 파일들도 예외 없이 저 부분에서 누수가 났는데 계속 찾아보고 고민해봤는데도 왜 crtdbg 에 메모리 누수로 잡히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Read 함수 구현 부분 입니다. 너무 궁금해서 처음으로 질문 남겨봅니다.. !
-
미해결
background-image 이미지가 안나옵니다 ㅜ,ㅜ
body { font-family: 'Gowun Batang', serif; font-size: 20px; line-height: 1.2; } .wrap { position: relative; margin: 0 auto; color: #000000; overflow: hidden; } /* header */ header { position: fixed; left: 0; top:0; width: 100%; height: 150px; background-color: #FFF5EA; padding: 40px 100px; box-sizing: border-box; border-bottom: 2px solid #fff;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between; } header h1 { margin-left: 15px; } .gnb ul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flex-end; } .gnb ul li { color: #552F00; font-size: 1.1em; margin: 30px 40px 0 0; } /* main_section */ /* 슬라이드 */ article{ width:100%; height: 800px; background-color: mediumaquamarine; margin-top: 100px; } article > div.banner > li { position: absolute; } article>div.banner li:nth-child(1){background-image: url(../images/official_main_banner_2800x854_1.jpg);} article>div.banner li:nth-child(2){left:100%;background-image :url(../images/official_main_banner_2800x854_2.jpg);} article>div.banner li:nth-child(3){left:200%;background-image: url(../images/official_main_banner_2800x854_3.jpg);} article>div.banner li:nth-child(4){left:300%;background-image: url(../images/official_main_banner_2800x854_4.jpg);} article>div.banner li:nth-child(5){left:400%;background-image: url(../images/official_main_banner_2800x854_1.jpg);} 찾아보니까 보통 경로 문제, 박스 사이즈 문제 둘 중 하나라는데어디다가 크기를 줘야할지도 모르겠어요..li에다가 줘야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