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token 재발급문제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유투브에서 flutter 영상만 보다가 평소 관심있었던 nest 까지 이어왔습니다(자바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 그리고 nestjs까지)토큰 관련 마지막강의해서 refresh token 이 만료되면 다시 ....refresh end point 로 요청을 보내서 다시 refresh 토큰을 받는다 말씀하셨는데요... 기간 만료된 refresh 토큰을 보내도 되는건가요? 아님 그 기능을 따로 구현해야 하는건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followeeCount, followerCount 증가, 감소를 위한 메소드 일반화하기 코드 공유
increment(conditions: FindOptionsWhere<Entity>, propertyPath: string, value: number | string)먼저 increment메소드의 propertyPath 부분이 특정 Model의 프로퍼티를 추론 하지 않고 string으로 박혀 있는게 마음에 들지 않아서 대상이 되는 프로퍼티 필드 명을 추론 하게 작성 했습니다.// users.service.ts async incrementFollowerCount( userId: number, fieldName: keyof Pick<UsersModel, 'followerCount' | 'followeeCount'>, incrementCount: number, qr?: QueryRunner, ) { const usersRepository = this.getUsersRepository(qr); await usersRepository.increment( { id: userId, }, fieldName, incrementCount, ); }1. fieldName: 어떤 프로퍼티를 증가, 감소를 할것인지 특정하는 파라미터2. incrementCount : 몇 증가 시킬것인지 증가 value// users.service.ts async decrementFollowerCount( userId: number, fieldName: keyof Pick<UsersModel, 'followerCount' | 'followeeCount'>, decrementCount: number, qr?: QueryRunner, ) { const usersRepository = this.getUsersRepository(qr); await usersRepository.decrement( { id: userId, }, fieldName, decrementCount, ); }contoller에서 사용하기// users.controller.ts @Patch('follow/:id/confirm') @UseInterceptors(TransactionInterceptoer) async patchFollowConfirm( @User() user: UsersModel, @Param('id', ParseIntPipe) followerId: number, @QueryRunnerDecorator() qr: QueryRunner, ) { await this.usersService.confirmFollow(followerId, user.id); await this.usersService.incrementFollowerCount( user.id, 'followerCount', 1, qr, ); await this.usersService.incrementFollowerCount( followerId, 'followeeCount', 1, qr, ); return true; } @Delete('follow/:id') @UseInterceptors(TransactionInterceptoer) async deleteFollow( @User() user: UsersModel, @Param('id', ParseIntPipe) followeeId: number, @QueryRunnerDecorator() qr: QueryRunner, ) { await this.usersService.deleteFollow(user.id, followeeId); await this.usersService.decrementFollowerCount( user.id, 'followerCount', 1, qr, ); await this.usersService.decrementFollowerCount( followeeId, 'followeeCount', 1, qr, ); return true; }filedName 파라미터를 특정 프로퍼티만 올 수 있게 자동완성 잘됩니다.팔로워 confirm 되면 나의 follower 증가 + 상대방 followee 증가팔로워 삭제 되면 나의 follower 감소 + 상대방 followee 감소await this.usersService.incrementFollowerCount( followerId, 'followeeCount', 1, qr, );userId가 오는 파라미터 자리에 user.id가 아닌 followerId가 들어간 이유는 followeeCount를 증가 해야 되기 때문이다. 즉, 팔로워를 수락 했으면 나의 followerCount를 증가 시키고 상대방 followeeCount를 증가 시켜야 되기 때문에, 삭제 했을때도 같은 원리[결과]2번 사용자가 1번 사용자를 팔로워하고, 1번 사용자가 팔로워를 수락 했을때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IsPublic 어노테이션으로 RefreshTokenGuard에서 RefreshToken 검증을 하기 위한 코드 공유
// is-public.const.ts export enum IsPublicEnum { ISPUBLIC = 'ISPUBLIC', ISREFRESHTOKEN = 'ISREFRESHTOKEN', }// is-public.decorator.ts import { SetMetadata } from '@nestjs/common'; import { IsPublicEnum } from '../const/is-public.const'; export const ISPUBLIC_KEY = 'is_public'; export const IsPublic = (status: IsPublicEnum) => SetMetadata(ISPUBLIC_KEY, status);// bearer-token.guard.ts @Injectable() export class BearerTokenGuard implements CanActivate { constructor( private readonly authService: AuthService, private readonly usersService: UsersService, public readonly reflector: Reflector, ) {} async canActivate(context: ExecutionContext): Promise<boolean> { const req = context.switchToHttp().getRequest(); const requiredPublic = this.reflector.getAllAndOverride(ISPUBLIC_KEY, [ context.getHandler(), context.getClass, ]); if (requiredPublic) { req.requiredPublic = requiredPublic; } if (requiredPublic === IsPublicEnum.ISPUBLIC) { return true; } const rawToken = req.headers['authorization']; if (!rawToken)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토큰이 없습니다!'); const token = this.authService.extractTokenFromHeader(rawToken, true); const result = await this.authService.verifyToken(token); const user = await this.usersService.getUserByEmail(result.email); req.user = user; req.token = token; req.tokenType = result.type; return true; } }추가된 코드if (requiredPublic) { req.requiredPublic = requiredPublic; }requiredPublic 있을때만 req에 담아줌.추가된 코드if (requiredPublic === IsPublicEnum.ISPUBLIC) { return true; }IsPublic일때만 return true 즉, ISREFRESHTOKEN 일때는 아래 로직들이 정상적으로 실행됨.// bearer-token.guard.ts @Injectable() export class AccessTokenGuard extends BearerTokenGuard { async canActivate(context: ExecutionContext): Promise<boolean> { await super.canActivate(context); const req = context.switchToHttp().getRequest(); if ( req.requiredPublic === IsPublicEnum.ISPUBLIC || IsPublicEnum.ISREFRESHTOKEN ) { return true; } if (req.tokenType !== 'access') {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Access Token이 아닙니다.'); } return true; } }추가된 코드if (req.requiredPublic === IsPublicEnum.ISPUBLIC || IsPublicEnum.ISREFRESHTOKEN) { return true; }req.requiredPublic이 ISPUBLIC이거나 ISREFRESHTOKEN이면 return true로 global accessTokenGuard return true로 빠져나옴.// bearer-token-guard.ts @Injectable() export class RefreshTokenGuard extends BearerTokenGuard { async canActivate(context: ExecutionContext): Promise<boolean> { await super.canActivate(context); const req = context.switchToHttp().getRequest(); if (req.tokenType !== 'refresh') { throw new UnauthorizedException('Refresh Token이 아닙니다.'); } return true; } }변경 사항 없음. 왜냐하면 위에서 정상적으로 refreshToken을 verify하고 req에 값이 담겼기 때문에 RefreshTokenGuard가 정상적으로 실행 되어야함. auth.controller에 적용하기@Controller('auth') export class Auth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authService: AuthService) {} @IsPublic(IsPublicEnum.ISREFRESHTOKEN) @Post('token/access') @UseGuards(RefreshTokenGuard) postTokenAccess(@Headers('authorization') rawToken: string) { ... } @IsPublic(IsPublicEnum.ISREFRESHTOKEN) @Post('token/refresh') @UseGuards(RefreshTokenGuard) postTokenRefresh(@Headers('authorization') rawToken: string) { ... } @IsPublic(IsPublicEnum.ISPUBLIC) @Post('login/email') @UseGuards(BasicTokenGuard) postLoginEmail(@Headers('authorization') rawToken: string) { ... } @IsPublic(IsPublicEnum.ISPUBLIC) @Post('register/email') postRegisterEmail(@Body() body: RegisterUserDto) { ... } }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별거 아니긴 한데 nest-cli 로 만들때
nest cli로 resource 만들때 경로를 / 넣어주면 아래에 바로 생성 됩니다.nest g resource posts/comments이렇게 하면 posts폴더 아래에 comments가 생깁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가드와 미들웨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가드랑 미들웨어 용도를 이렇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1.가드:-특정 컨트롤러로 들어온 파라매터, 혹은 context데이터를 가공하거나 검증하고 싶을때 2.미들웨어:-특정 규칙을 가진 패쓰 혹은 컨트롤러 전체에 데이터를 검증하고 싶을때 아주 맨 처음에 저는 token 을 검증하는 BearerTokenGuard이 가드보다는 middleware 로 가는것이 맞지 않나 싶었는데요.context.user 데이터를 controller 에 내려주기 위해IsCommentMine Guard 처럼 다른 가드로 유저데이터를 넘겨줘야하는 경우가 있어서가드로 사용하는것으로 이해했는데 맞을까요?(그리고 middleware 로는 불가능한걸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update comment 관련
안녕하세요.update comment 관련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update(patch) 에서는 query runner를사용하지 않아도 되나요?update 시에repository.update 가 아닌 save 를 사용한 이유가 있을까요?항상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docker-compose up 후에 터미널엔 연결 됐다고 떴는데 postgres-data 폴더에 아무것도 들어와 있지 않아요
다 맞게 잘 한 거 같은데 뭐가 문제인 지 모르겠습니다ㅜㅜ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섹션5의 Post 요청 만들기에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섹션5의 Post 요청 만들기 영상을 보다가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Q1)새로운 post 생성시 id를 부여할 때배열의 마지막 인덱스 아이템을 꺼내해당 아이템의 id에 1을 더하셨습니다.그런데 배열 안의 아이템 순서가 꼭 id-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있을거란 보장이 없기 때문에배열에서 가장 큰 id를 찾은 후, +1을 하여 새로운 id를 부여해줘야하지 않을까 싶은데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걸까요? Q2)새로운 post를 기존 배열에 push하지 않고,spread 방식으로 추가해주셨는데특별한 이유가 있는건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Transform이 적용이 안됩니다.
Transform을 적용해도 path값에 public/posts값이 붙지 않은 채로 계속 나옵니다.main.ts파일에 위와 같이 적용을 해도 안되는데 혹시 원인을 알 수 있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웹에서 포스트 맨 사용하면 파일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웹에서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해서 postman desktop 까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ㅎㅎ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gateway level에서 filter도 잘 작동합니다!
@UsePipes( new ValidationPipe({ transform: true, transformOptions: { enableImplicitConversion: true, }, whitelist: true, forbidNonWhitelisted: true, }), ) @UseFilters(SocketCatchHttpExceptionFilter) @WebSocketGateway({ // ws://localhost:3000/chats namespace: 'chats', }) export class ChatsGateway implements OnGatewayConnection { constructor( private readonly chatsService: ChatsService, private readonly messagesService: ChatsMessagesService, ) {} ... }각각의 메소드마다 넣어주는것보다 나은것 같아서 공유 해보아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ValidationPipe를 좀 더 편하게 쓸 수 없을까해서 찾아보니 controller에서 사용 할 수 있더라고요
https://docs.nestjs.com/faq/request-lifecycle공식 문서에 보니까 controller level에서 사용 할 수 있는것 같아서controller와 gateway가 비슷하니까 사용 가능하지 않을까 해서 테스트 해보니까@UsePipes( new ValidationPipe({ transform: true, transformOptions: { enableImplicitConversion: true, }, whitelist: true, forbidNonWhitelisted: true, }), ) @WebSocketGateway({ // ws://localhost:3000/chats namespace: 'chats', }) export class ChatsGateway implements OnGatewayConnection { ... }해당 gateway에서 usePipes를 설정 할 수 있더라고요!차선책으로 이것도 괜찮은것 같아서 공유 해봅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19:55초정도에 3명의 사용자중 메세지를 보낼려는 사용자가 "enter_room"에 메세지를 보내는데
아마 강사님 실수인듯합니다.User 1이 enter_room에 2번 채팅방에 참여 한다고 메세지를 보내는데 "enter_chat"이 맞습니다! 제가 실험 해보니까 결국 enter_chat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에 다른 사용자가 보낸 message를 제대로 리시브 받지 못하더라고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쿼리러너관련질문
안녕하세요쿼리러너 관련 질문드립니다 코멘트 생성시 Pid 에 일부러 엉뚱한 값을 넣는 경우QueryRunner를 쓰고 안쓰고에 차이가 있더라구요. 예를들어this.commentService.ceateComment(dto, pId, user, qr);qr repository 를 일부러 사용하지 않게 조작하면 pid 에 이상한 값을 넣어도 valitation 없이 create 가 되었는데Qr 을 넘겨주는 순간 아래와 같이 유효하지 않은 pk 에 대해 조작하려고 한다는 validation 을 해주더라구요. { "path": "/posts/{엉뚱한 값}/comments", "statusCode": 500, "message": "insert or update on table \"comment\" violates foreign key constraint \"FK_94a85bb16d24033a2afdd5df060\"", "timestamp": "1/21/2024, 4:06:08 PM"} 이런 차이는 어디서 나는것일지, 이런것들도 Query Runner 의 역할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length에서 min값만 설정하고 싶을 때 max 없이 validationOptions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나요..?
length에서 max값을 전달 안해주고 min만 설정하고 싶을때if(args.constraints.length===2){} else}{ }여기서 else 가 실행되어야 하는데 max 값 없이 validationOptions만을 전달하면 validationOptions가 두번째 인자로 전달되는 것 아닌가요..? 이렇게 하면 에러 나는데.. max 값에 undefined나 null을 넣어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max 값 없이 validationOptions를 실행할 수 있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모델명을 복수로 하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강의내용과는 상관없는 뜬금 질문인데,모델의 엔티티파일, api path 명 등등에 단어들을 대부분 복수로 표기하시는 이유가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MessageModels vs MessagesModel ?/users/:id vs user/:id ?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docker-compose up 이후 shut down 로그가 나오며 postgres-data에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강의 보면서 docker-compose 파일 만들고 실행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osubuntu 20.04docker versionDocker version 24.0.2, build cb74dfc docker-compose fileservices: postgres: image: postgres:15 restart: always volumes: - ./postgres-data:/var/lib/postgresql/data ports: - '5432:5432' environment: POSTGRES_USER: postgres POSTGRES_PASSWORD: postgres POSTGRES_DB: postgres terminal log[+] Running 1/0 ✔ Container nestjs_sns_server-postgres-1 Created 0.0s Attaching to nestjs_sns_server-postgres-1 nestjs_sns_server-postgres-1 | The files belonging to this database system will be owned by user "postgres". nestjs_sns_server-postgres-1 | This user must also own the server process.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The database cluster will be initialized with locale "en_US.utf8". nestjs_sns_server-postgres-1 | The default database encoding has accordingly been set to "UTF8". nestjs_sns_server-postgres-1 | The default text search configuration will be set to "english".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Data page checksums are disabled.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fixing permissions on existing directory /var/lib/postgresql/data ... ok nestjs_sns_server-postgres-1 | creating subdirectories ... ok nestjs_sns_server-postgres-1 | selecting dynamic shared memory implementation ... posix nestjs_sns_server-postgres-1 | selecting default max_connections ... 100 nestjs_sns_server-postgres-1 | selecting default shared_buffers ... 128MB nestjs_sns_server-postgres-1 | selecting default time zone ... Etc/UTC nestjs_sns_server-postgres-1 | creating configuration files ... ok nestjs_sns_server-postgres-1 | running bootstrap script ... ok nestjs_sns_server-postgres-1 | performing post-bootstrap initialization ... ok nestjs_sns_server-postgres-1 | syncing data to disk ... ok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Success. You can now start the database server using: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pg_ctl -D /var/lib/postgresql/data -l logfile start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initdb: warning: enabling "trust" authentication for local connections nestjs_sns_server-postgres-1 | initdb: hint: You can change this by editing pg_hba.conf or using the option -A, or --auth-local and --auth-host, the next time you run initdb. nestjs_sns_server-postgres-1 | waiting for server to start....2024-01-17 13:05:30.755 UTC [49] LOG: starting PostgreSQL 15.5 (Debian 15.5-1.pgdg120+1) on x86_64-pc-linux-gnu, compiled by gcc (Debian 12.2.0-14) 12.2.0, 64-bit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05:30.760 UTC [49] LOG: listening on Unix socket "/var/run/postgresql/.s.PGSQL.5432"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05:30.777 UTC [52] LOG: database system was shut down at 2024-01-17 13:05:30 UTC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05:30.786 UTC [49] LOG: database system is ready to accept connections nestjs_sns_server-postgres-1 | done nestjs_sns_server-postgres-1 | server started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0.440 UTC [1] LOG: starting PostgreSQL 15.5 (Debian 15.5-1.pgdg120+1) on x86_64-pc-linux-gnu, compiled by gcc (Debian 12.2.0-14) 12.2.0, 64-bit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0.440 UTC [1] LOG: listening on IPv4 address "0.0.0.0", port 5432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0.440 UTC [1] LOG: listening on IPv6 address "::", port 5432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0.450 UTC [1] LOG: listening on Unix socket "/var/run/postgresql/.s.PGSQL.5432"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0.463 UTC [29] LOG: database system was shut down at 2024-01-17 13:30:21 UTC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0.473 UTC [1] LOG: database system is ready to accept connections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3.019 UTC [1] LOG: received fast shutdown request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3.024 UTC [1] LOG: aborting any active transactions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3.025 UTC [1] LOG: background worker "logical replication launcher" (PID 32) exited with exit code 1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3.025 UTC [27] LOG: shutting down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3.030 UTC [27] LOG: checkpoint starting: shutdown immediate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3.063 UTC [27] LOG: checkpoint complete: wrote 3 buffers (0.0%); 0 WAL file(s) added, 0 removed, 0 recycled; write=0.011 s, sync=0.005 s, total=0.038 s; sync files=2, longest=0.003 s, average=0.003 s; distance=0 kB, estimate=0 kB nestjs_sns_server-postgres-1 | 2024-01-17 13:30:33.069 UTC [1] LOG: database system is shut down (1만자 이하로 작성해야 해서 로그는 중간 생략하였습니다.)docker-comopse 파일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고 있는 상황인데 Postgresql 데이터 베이스 연결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프로젝트 폴더의 postgres-data폴더에도 postgresql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았구요.혹시 제가 잘못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오류 메시지는 어디서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고객) 오류 메시지를 보낸다고 할 때는 백엔드에서 메시지를 만들어 보내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프론트엔드에서 메시지를 만들어서 보이는 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경로 관련 궁금증
경로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경로에 join 을 이용하는 이유가 os 에 따라 경로 구분자가 다르기 때문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join 앞에는 하드 코딩으로 / 를 붙이는 게 보이는데 이부분도 배포 os 를 대비해야하지 않을까요?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nest g resource관련 질문
저 명령어로 posts을 만들고 나서 파일을 삭제하였다가 다시 posts를 만들고 서버를 실행하였는데 사진과 같은 오류가 생겼습니다. app.module.ts 파일에는 저런 코드가 없는데 왜 그런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올바르게 posts리소스를 삭제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