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추가 강의 주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환님!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설명이 이해하기 쉽게 정리되어 있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혹시 앞으로 Next.js를 활용한 실무 프로젝트나 자바스크립트 심화 개념을 다루는 강의도 제작하실 계획이 있으실까요?
-
미해결해외 개발자 취업 Resume 가이드
시니어 개발자의 이력서에서 초기 경력은 간략히 작성해도 될까요?
시니어 개발자의 경우, 이전 회사들의 경력이 주니어 시절 중심이라면 간단히 요약해도 괜찮을까요?최근 경력과 주요 성과 위주로 작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지 궁금합니다.혹은 모든 경력을 균등하게 기재하는 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Spring Boot, AWS로 백엔드 서비스 한 사이클 완성하기
댓글 생성, 삭제 시 게시글의 댓글 수 증감 로직 질문
안녕하세요. 코드에서 궁금한 점 질문드립니다.댓글 생성, 삭제 시에 게시글의 댓글 수 증감 로직이 아래 예시 코드처럼 CommentService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과한 책임이 아닌가 싶어서요. 실무에서는 어떻게 나누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public CommentResponse createComment(Long postId, CommentRequest request) { Post post = postRepository.findById(postId) .orElseThrow(() -> new IllegalArgumentException("게시글을 찾을 수 없습니다.")); Comment comment = Comment.builder() .content(request.content()) .postId(postId) .createdAt(LocalDateTime.now()) .updatedAt(LocalDateTime.now()) .build(); Comment newComment = commentRepository.save(comment); post.increaseCommentCount(); postRepository.save(post); return CommentResponse.from(newComment); }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스토리북과 UI 테스트
실무 적용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를 듣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해볼수 있을까 생각하다보니 궁금한 점들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규모가 큰 기업들에서는 Storybook을 어떤 구조로 관리하고 있나요?소규모 팀에서는 "프로젝트 내부 세팅 후 나중에 분리" vs "처음부터 모노레포" 중 뭐가 더 현실적일까요? (초기 비용 vs 장기 유지보수 고려)
-
미해결LangGraph를 활용한 AI Agent 개발 (feat. MCP)
워크플로우와 에이전트 비교 및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강사님! 덕분에 강의 너무 유익하게 잘 들었습니다!강의 들으면서 궁금했던 점을 질문 드립니다.1. 워크플로우와 에이전트 혹은 커스텀 도구 등 선택 기준에 대하여는 명확한 기준이 있다기보다는 성능 비교를 통해 정확도, 토큰 사용량, 시간 등 이러한 지표들을 테스트 해가며 적절한 에이전트 혹은 워크플로우로 구축하면 될까요? 아니면 사용하는 호출 모델을 이해하여 그 모델에 맡게 최적화를 해야할까요? 이러한 부분들이 강의 들으면서 궁금했습니다!2. 학사 졸업생 및 신입으로 프롬포트 엔지니어링 등 이러한 분야로 취업 준비를 한다면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상은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RAG기술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구축하며 또 추가적으로 도움될 기술이 있는지 궁긍합니다.수준 높은 강의를 듣게 되어 영광입니다. 앞으로도 강사님의 강의 많이 참고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도전! 45가지 파이썬 기초 문법 실습 (Inflearn Original)
딕셔너리 인트문제
# 11.Dict Items Sumd = {'a': 17,'b': 114,'c': 247, 'd': 362, 'e': 220, 'f': 728, 'g': -283, 'h': 922}# 방법1total = 0for i in d.values(): total += iprint(f'ex1 결과 : {total}')# 방법2print(f'ex2 결과 : {sum(d.values())}')# 방법3print(f'ex3 결과 : {sum([d[item] for item in d])}') # 괄호 제외Typ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Cell In[13], line 15 11 print(f'ex1 결과 : {total}') 14 # 방법2 ---> 15 print(f'ex2 결과 : {sum(d.values())}') 18 # 방법3 19 print(f'ex3 결과 : {sum([d[item] for item in d])}') TypeError: 'int' object is not callable인트가 호출이 안 된다고 뜨는데 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자원 정리시 에러가 발생 했을 때 메모리 상황 및 실무에서 로그 확인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자원정리에 대한 강의를 듣던 와중에 OS단의 메모리 상황과 실무에서 처리 방법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질문 내용]강의 내용 자원 정리를 하다가 나는 에러 (CloseException) 등에 대해선 try-catch로 잡은 뒤, log만 남긴 뒤 무시하고 있음 궁금한 점 자원 정리를 하다가 에러가 나면 자원이 정리가 안된 채로 메모리에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이를 추후 로그를 확인하고 일괄 수동 정리 처리를 하는지, 아니면 보통 자원마다 동작 타임 같은 게 설정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정리되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고 넘어가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첫번째 질문에서 추후 로그를 확인하고 일괄 수동 정리 처리를 하는게 맞다면, 자원정리 도중 뜬 에러 관련한 것만 로그에서 추출해서 확인한다던지 어떤 방식으로 로그에서 필요한 내용만을 효율적으로 확인해서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이전에 김영한님 강의에서 Logger를 AOP를 이용해 남겨 양식을 통일화 시키고 레벨을 통해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확인하였습니다.)
-
해결됨<밑바닥부터 만들면서 배우는 LLM> 완독 챌린지
강의 쿠폰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쿠폰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10월 6일 발급된다고 봤는데, 쿠폰함에 이력도 안남아 있어서요.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적용 범위/원칙
질문 1. 자바는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로 설계와 구현을 나눠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이는 언어인데,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언제 쓸까요? 실무에서 함수형을 적용하는 범위/원칙(불변, 부작용 분리 등)가 궁금합니다! 질문 2. stream vs for-loop 선택 기준이 궁금합니다. 가독성을 위해서 또는 단순 변환 및 집계일 때 이외에도 스트림을 사용하는지, 성능적으로는 어떤 것이 더 좋은지 등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향로' 와 함께하는 추석 완강 챌린지
Codex AI 좋다는데 다른 AI랑 비교해봤을때 어떤점이 좋은가요?
지인이 Codex 가 좋다고 하는데 아직 써보지 않아서 어떤게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사용해보셨다면 다른 AI랑 비교해봤을 때 장단점이 무엇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TailwindCSS 완벽 마스터: 포트폴리오부터 어드민까지!
tailwindcss 와 ai tool
ai tool(cursor, claude code ...) 에서 tawilwindcss 를 다룰 때, 팁이나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공유해주셔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미해결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사무실 컴퓨터ㅠ
사무실 컴퓨터에서는 CMD 창에서 Pip도 안된다그러고 파이썬 설치도 안된다고 하네요. (현재 행정복지센터 근무중)보안때문일까요..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때문일까요.. 사실 이건 질문이라기보다는 하소연 입니다.ㅎㅎㅎ 사무실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어보려고했는데 안되겠네요. 개인 컴퓨터로 만들어서 사무실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거겠죠?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cli 환경에서 c++ 코드 작성 및 실행하기(우분투)
안녕하세요. cli 환경에서 c++ 코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교안에 나오는 g++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하면 괜찮을까요? 혹은 권장하는 방법이 있나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2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구글 AD 미디에이션
미디에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이나 방법이 잘 설명이 되어있는 주소를 알려주세요
-
미해결손에 익는 Next.js - 블로그 만들기
sitemap 에 Pormise가 필요한 이유
5:53 부분에서 sitemap 에서 Promise가 필요하다 하셨는데 왜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인덱스 설계를 시도해 볼만한 예시 프로젝트 같은게 있을까요?
explain을 통한 인덱스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방식 외에 실제로 간단한 비즈니스 로직에 다량의 데이터가 세팅되어 인덱스를 테스트해 볼만한 프로젝트가 있을까요?물론 실제 운영 중인 회산 혹은 개인 프로젝트가 있다면 직접 예측 및 적용해보는 것이 제일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기에 여쭈어 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조건절의 위치 관련 질문사항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조인을 이용시 on절 뒤에 and를 이용해서 추가 조건절을 이용하는 방식과 where 절에서 조건절을 넣는 방식중 유의미한 성능상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어떤 방식이 좀더 정돈된(?) 방식인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Three.js로 시작하는 3D 인터랙티브 웹
리액트/next.js와 같이 사용하는 강의 계획은 없으신가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혹시 리액트/next.js와 같이 사용하는 강의 계획은 없으신가요?
-
미해결시나브로 자바스크립트
virtual dom과 관련된 인식 피드백
안녕하세요.강의 내용이 좋아서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피상적으로 virtual dom을 접했을때는 virtual dom과 dom을 비교하는 글들위주로 보다보니 dom은 전체를 렌더링해서 느리고 virtual dom은 일부만 조작해서 성능이 향상된다는 인식이 있었는데요.강의를 듣다보니 virtual dom의 기능이 이런 방향과 다른결이라고 느꼈습니다. 강의에서 이해한 내용과 찾아본 지식을 종합해서 virtual dom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리를 해보았는데요.제대로 인식한 것이 맞는지 피드백이 가능할까요? dom의 렌더링과 virtual dom의 렌더링은 서로 다른 시점이고 다른 책임을 가지고 있다.virtual dom은 dom렌더링을 낚아채서 빠르게 최적화하는게 아니고 dom렌더링은 브라우저가 항상 진행하는것이다.virtual dom은 빠른호출이 아니라 개발편의성 관점으로 보아야한다.전체 트리에서 변경된부분을 찾기 때문에 하드코딩된 것과 비교해 호출속도에 있어서 오히려 오버헤드가 있을수있다. 기존의 상태가 변경될때, 필요한 요소를 일일히 찾아서 innerHTML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virtual dom을 통해 추상화하여 제공하는것이다.필요한부분만 업데이트하는것이 중요한것은 17.1 innerHTML and its inefficiency에서 말씀하신대로 상태유실가능성 방지를 위한것이다.
-
미해결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openAi api 토큰 소진이나 토큰 제한일때
에이전트를 실행시키는 와중에Open Ai에서 토큰이 모두 소진되거나 제한됬을때개인적으로 알람이 오게하는 서비스는 따로 구축을 해놔야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