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781번 질문있습니다
https://www.acmicpc.net/source/share/60c52b6bc2b540bb8d1b1a57d4ce090d기존에 문제를 풀었던 2109번과 동일한 로직이라고 생각되어처음풀때 사용했던 제 로직을 이용하니 문제가 틀렸다고 나와서요, 추후에 큰돌님이 2109번강의해주셨을때 사용했던 로직도 같은로직이라 생각되어 해당 소스를 사용시 정답이 되어서 이부분이 잘이해가 안가서 질문을 남깁니다
-
미해결리눅스 커널 해킹. A부터 Z까지
build_result가 안보입니다
커널과 cpio 를 하라는데로 했음에도 Build_result는 find를 써도 찾을수가 없습니다. 제가 어느 부분에서 누락된 걸까요?아니면 폴더를 따로 만들어서 복붙한건가요? 복붙의 경우 bimage에 우분투 기준으로X표시가 생깁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ServiceIntegrationTest에서 필드 주입 방식에 @Autowired를 쓰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쭉 따라왔습니다.궁금한 점이 있는데 통합 테스트 클래스인MemberServiceIntegrationTest에서 필드 주입 방식으로@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이렇게 선언했잖아요?그런데 SpringConfig에서 MemberService랑 MemberRepository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했으니깐여기서도 @Autowired를 빼도 될 것 같았는데오류가 나더라구요. 이유를 뭔가 알 것 같기도 하면서 개념이 좀 헷갈리는데 @Autowired를 붙여야 하는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선생님 강의 책만으로 면접 준비 끝나나요?
선배들이 CS공부 많이 하라는데 어떻게 하죠테이블 짜봐라 이런 기능 만드려면 어떻게 설계 해야 하냐이런 문제 터지면 뭐부터 확인해야겠냐 이런 질문 한다는 데 강의만 들은 입장에서 솔직히 대답 못하겠어요 추가로 더 준비 해야하나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차원 배열 회전 강의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교안만 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강사님이 올리신 테스트 코드 실행해도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뜨네요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TestSuiteExecutionException: Could not execute test class 'hello.member.MemberRepositoryTest'.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Suite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SuiteTestClassProcessor.java:53) at java.base@17.0.8/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17.0.8/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17.0.8/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17.0.8/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36)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24) at org.gradle.internal.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java:33) at org.gradle.internal.dispatch.ProxyDispatchAdapter$DispatchingInvocationHandler.invoke(ProxyDispatchAdapter.java:94) at jdk.proxy1/jdk.proxy1.$Proxy2.processTestClass(Unknown Source)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2.run(TestWorker.java:176)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AndMaintainThreadName(TestWorker.java:12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100)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60)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ActionExecutionWorker.execute(ActionExecutionWorker.java:56)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133)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71)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run(GradleWorkerMain.java:69)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main(GradleWorkerMain.java:74) Caused by: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hello.member.MemberRepositoryTest 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68) 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41)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loadClass(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112)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access$100(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54)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execute(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8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execute(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7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AbstractJUnit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AbstractJUnitTestClassProcessor.java:62)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Suite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SuiteTestClassProcessor.java:51) ... 18 more 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hello.member.MemberRepositoryTest at java.base/jdk.internal.loader.BuiltinClassLoader.loadClass(BuiltinClassLoader.java:641) at java.base/jdk.internal.loader.ClassLoaders$App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s.java:188) at java.base/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520)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0(Native Method)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Class.java:467)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loadClass(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110) ... 23 more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dummyList 변수 선언 위치 질문
안녕하세요 dummyList라는 변수 선언이 App함수 밖에 선언이 되어있는데App함수 안에 선언을 하는거랑 결과상으로는 같더라구요 jsx문법에서 보통 이런 변수선언은 함수 안에 하나요 밖에 하나요?혹시 차이가 있을까요? 이런 변수선언을 함수 밖에 선언하는 경우와 안에 선언하는 경우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메타스플로잇(Metasploit) 활용한 취약점 분석(초중급과정)
VMware 용 WIN XP IE8 이미지 다운로드
안녕하세요...VMware 용 WIN XP IE8 이미지 다운로드 를 해서실습을 해야 합니다. URL을 급히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부트 웹 개발 입문 - 따라하며 배우기
@RequestParam
제가 이해한 게 확신이 안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RequestParam은url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인 거죠? 즉vi/menu_up?no=8처럼이렇게 데이터를 ?뒤에서 key=value 형식으로 나르는 거죠? 그리고 html에서 링크를 /v1/menu_del(no=..) 이런 식으로 지정하거나,html 태그 form+input이 저런 url을 만들어주는 거죠? (태그 안에 action="/v1/menu_ins"을 적어줄 경우 그 뒤 url에 ?no=8 이런 식의 데이터를 붙여주는 거죠?)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17장 코드 설명
안녕하세요 맛비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verilog 문법 강의를 막 듣고 이 강의를 바로 수강해서인지 .. 살짝 어려운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래도 재밌게 듣고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거리는 많네용.. 16~17장의 FSM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려고 합니다! 17장에서 always @(*)begin n_state = S_IDLE; // To prevent Latch.case(c_state) S_IDLE: if(i_run) n_state = S_RUN; S_RUN : if(is_done) n_state = S_DONE; else n_state = S_RUN; S_DONE: n_state = S_IDLE; endcase end굵게 표시된 부분을 추가하셨는데 제가 알기로는 if 구문에서 else를 정의하지 않으면 이전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럼 여기서 else를 정의하지 않으면 S_RUN 상태를 계속 유지하니까 굳이 else를 추가할 필요가 없지 않나요? // Step 4. Registering (Capture) number of Countreg [6:0] num_cnt;always @(posedge clk or negedge reset_n) begin if(!reset_n) begin num_cnt <= 0; end else if (i_run) begin num_cnt <= i_num_cnt; end else if (o_done) begin num_cnt <= 0; endend 17장에서 이 코드를 설명하실 때 굵게 표시한 부분을 '사용자가 i_num_cnt 를 쭉 100으로 유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이렇게 코드를 작성했다' 라고 하셨는데 사실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 돼서.. 혹시 어떤 상황인지 좀 더 자세하게 설명 가능할까요?? 그리고 17장 코드 step 4,5에서 굳이 내부 F/F를 만들어서 input을 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F/F를 만들면 그만큼 delay가 생기게 되고 이는 손해라고 생각이 들어서요 num_cnt, cnt_always를 말씀 드린겁니다! 17장 DUT step5 코드 중에서 마지막에 else를 쓰지 않으셨던데 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이때는 is_done, o_running 이외에 경우가 없어서 그런가요? 마지막으로 맛비님의 코딩 스타일을 알고싶습니다. 솔직히 counter 까지는 verilog 문법을 공부하면서 설계해봤던 모듈이고 직관적으로 이렇게 설계하면 되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FSM을 설계할 땐 step1,2 이런 식으로 code를 짜기 까지 어떤 생각의 흐름으로 coding 하셨는지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긴 글이지만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ㅜㅠㅜㅠ 감사합니다!!
-
미해결Google 공인! 텐서플로(TensorFlow) 개발자 자격증 취득
슬랙 초대메일이 안왔습니다. ! 그리고 관련 자료는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슬랙 초대메일이 안와서 회사메일이 아닌 개인계정 jinlove947@gmail.com 으로 초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수업자료는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톰캣 컨테이너 삭제해도 계속 파드가 재생성 됩니다.
GKE 클러스터에서 --replicas 옵션으로 컨테이너를 배포하면 ReplicaSet의 관리를 받나요? kubectl create deploy --image=consol/tomcat-7.0 --replicas=5 위 명령으로 컨테이너를 배포하였는데요. 배포된 컨테이너를 삭제하려고 delete 명령어를 수행했는데, 계속 파드가 재생성되네요.. describe 명령어로 확인해보니깐 ReplicaSet으로 컨트롤 되고 있어서 삭제가 되도 다시 파드를 재생성하는거 같은데,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과 세션의 관계, 세션과 트랜잭션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 DB 1편 트랜잭션 이해 파트에서 질문입니다."애플리케이션에서 DB 트랜잭션을 사용하려면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동안 같은 커넥션을 유지해야한다. 그래야 같은 세션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의 개념이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찾아본 결과 하나의 커넥션에는 여러 개 세션이 존재할 수도, 아예 없을 수도 있다고 하고, 세션은 전달된 SQL이 실행되는 하나의 논리적 단위라고 합니다. 강의 설명에 따르면 같은 세션을 유지해야만 트랜잭션이 하나의 단위로 처리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같은 커넥션을 사용해야 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커넥션을 사용하는 것을 보장했을 때 항상 같은 세션을 사용하는 것도 보장되는 것인가요? 한 커넥션이 여러 세션을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여러 세션을 사용하게 되면 여러 세션에서 여러 개의 트랜잭션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인가요?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1년에 한 번 돌리는 스케줄도 에어플로우로 관리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 년 단위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경우엔1년에 딱 한 번만 코드를 작동하면 되는데,이런 경우에도 에어플로우로 관리를 해주는 게 좋을까요?태스크에 비해 너무 자원을 많이 쓰는 건지,그래도 프로세스를 보기 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도 활용하는 게 좋을지고민이 많이 되네요.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47강 강의 내용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47강 회원정보 수정부분에서 session을 왜 추가적으로 넣어주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로그아웃 하기 전에 세션은 사라지지 않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안녕하세요 스프링 컨테이너를 들으면서 정적인 의존관계와 동적인 의존관계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추상적인 내용을 코드로 먼저 보여드리고 질문하겠습니다. 먼저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는 다음과 같은데요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제가 이해한 바로는, DIP 원칙을 지키기 위해 생성자를 통한 인터페이스 주입을 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다음은 동적인 인스턴스 의존관계 관련 코드입니다.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먼저 앱을 실행하기 전인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단계에서 생성자를 통한 인터페이스 의존성 주입으로 OrderService 객체가 MemberRepository와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것이라고 알린 후, 실제로 앱을 구동하면 런타임 환경에서 사용할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이전의 정적인 클래스 단계에서 주입한 것을 구현 객체로 반환하면서 의존성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나요? 그래서 정적인 단계와 동적인 단계로 구분한 것인가요?
-
해결됨처음 만난 리액트(React)
context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소플님1 context가 여러 컴포넌트에 접근을 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context는 상태 관리인건가요? 2 현업에서는 스타일 컴포넌트와 scss 중 어느걸 어 많이 사용 하나요?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숫자만 추출 문제 풀어봤습니다. 코드리뷰 부탁드립니다.
지난시간에 배운 정규식 이용해서 풀어봤습니다.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function sol(s) { let answer = ''; s = s.replace(/[^0-9]/g, ''); answer = s.indexOf(0); answer = s.substring(answer + 1, s.length); return answer; } console.log(sol('g0en2T0s8eSoft'));
-
미해결냉동코더의 알기 쉬운 Modern Android Development 입문
[BookSearchAdapter] onBindViewHolder의 currentList[position]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한 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다름아니라, BookSearchAdapter의 onBindViewHolder에서 book의 position을 currentList에서 가져오시던데,val book = currentList[position]과val book = getItem[position]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기능적으로 차이가 없다면, 경우에 따라 어떤 것을 사용하는것이 더 효율적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팰린드롬 문제
선생님 앞 강의에서 말씀 해 주신 s.length -i -1 로 풀고싶어서 아스키코드를 이용해봤는데 if 문을 열고 소문자 대문자 일 때만 돌게끔 범위를 설정해줬습니다.이런 방법으로는 풀수없는걸까요 ? s[i] !== s[s.length -i -1] 일때는 'NO' 를 출력하게끔 했는데 맞는 문자열이 들어가도 'NO'를 출력하더라구요 ㅠㅠfunction solution(s) { let answer = 'YES'; s = s.toLowerCase(); for (let i = 0; i < Math.floor(s.length / 2); i++) { if ( s[i].charCodeAt() >= 65 || s[i].charCodeAt() <= 90 || s[i].charCodeAt() >= 97 || s[i].charCodeAt() <= 122 ) { if (s[i] !== s[s.length - i - 1]) { return 'NO'; } } } return answer; } console.log(solution('found7, time: study; Yduts; emit, 7Dnu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