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odel.addAttribute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model.addAttribute 하고 안에 값 넣었는데 이게 안먹네요 어떻게해야 해결할 수 있을까요?import 구문 따로 넣는게 있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generated 폴더와 Q class import에 관한...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1. Tasks - other에 compileQuerydsl이 없어서 compileJava를 눌러서 했는데 괜찮은지 ??2.강사님과 다르게 build /generated 이렇게 생성되어도 문제가 없는지?저런식으로 Q파일들이 생성되었는데 import가 안되고 사용이 안되는 이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ypeNotPresentException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MemberServiceIntegrationTest 에서 회원가입을 run하는 과정중에, 처음에는 NullPointerException 이 뜨다가, 코드수정만 했는데 이제는 아얘 실행조차 안되고 다음과 같이 오류가 뜹니다 __________________위의 오류를 해결하려고 아래와 같이 src/java/main을 소스루트로 지정했습니다 캐쉬삭제도 해보고 이것저것 해봤는데 실행조차 안됩니다 어떻게 고쳐야하나요 ... ㅠㅠ 도와주세요 ..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kotlin closure 는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복사해서 가지고 있는게 맞을까요?
Java 에서 Final 만 사용할 수 있는게 외부 변수가 메모리에서 해제 되었을 경우, 가비지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로 알고 있는데 코틀린은 이게 가능한게 아예 메모리를 통째로 떠와서 그런걸까요? ㅎㅎ강의 영상에서 포획한다 라고 표현하신게 그런 의미 같아요!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Kotlin 에서는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어진걸까요?
함수가 1급객체가 되어버려서 functional interface가 필요없어진 것처럼 보여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OP가 적용되지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ckage hello.hellospring.aop;import org.aspectj.lang.ProceedingJoinPoint;import org.aspectj.lang.annotation.Around;import org.aspectj.lang.annotation.Aspect;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Component@Aspect public class TimeTraceAop { @Around("execution(* hello.helloSpring..*(..))") public Object execute(ProceedingJoinPoint joinPoint) throws Throwable {long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System.out.println("START : " + joinPoint.toString()); try { return joinPoint.proceed(); } finally {long finish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timeMs = finish - start; System.out.println("END : " + joinPoint.toString()+ " " + timeMs + "ms"); }}}" TimeTraceAop 클래스를 작성한 이후에 실행을 시켜보아도 수업처럼 START END 부분이실행되지 않습니다. 단순 스프링 실행화면만 보이는데 어디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Deprecated
안녕하세요 queryDsl의 기본 문법에 대해서 듣고 있는데요.현재 기준, fetchResults(), fetchCount() 가 deprecated 되었네요.(자바11, springboot 2.7 버전에 맞는 queryDsl)강의 끝부분에서 말씀하신, 복잡한 페이징 & 쿼리 부분에서는 coun와 select 쿼리가 다르니까 따로 작성해서 해야된다는 말씀 것과 연관되어서 그런 것 맞을까요? 그러면 @Deprecated 된 현재는 fetchResults(), fetchCount() 는 사용을 지양하고 별개의 쿼리로 각각의 값들을 얻어 조합해서 response 해주는 것이 맞죠?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annot snapshot 오류가 뜹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코드를 모두 정상적으로 작성하였는데Cannot snapshot C:\Users\이름\OneDrive\바탕 화면\App\Programming\study\inflearn\Spring\forBeginner\hello-spring\build\test-results\test\binary\output.bin: not a regular file이런 오류가 뜹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789381/%EC%97%94%ED%8B%B0%ED%8B%B0-%EB%A7%A4%EB%8B%88%EC%A0%80-%EB%8F%99%EC%8B%9C%EC%84%B1 위에 질문과 답변을 봤을때는 엔티티매니저가 달라도 트랜잭션이 같으면 같은 영속성컨텍스트를 사용한다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이 실제로 어떻게 이뤄질 수 있는것인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코드로 어떻게 되어져 있는지 찾아볼 수 있을까요?제가 찾아본 내용으로는 SessionImpl이라는 엔티티매니저 구현체에 아래 처럼 엔티티매니저를 넣어서 영속성컨텍스트를 생성하는 코드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럼 영속성 컨텍스트는 따로 만들어지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하게되었습니다. protected StatefulPersistenceContext createPersistenceContext() { return new StatefulPersistenceContext( this ); } 트랜잭션에 따라 영속성 컨텍스트가 공유되고 스레드마다 영속성 컨텍스트가 어떻게 나눠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그리고 영속성컨텍스트는 프록시라도 Bean으로 등록되는데 실제 동작을 하는건 원본객체일테고 그럼 그 객체이 있는 영속성컨텍스트를 공유하게 되는것은 아닌가? 의문이 들었습니다.질문을 정리하겠습니다. 트랜잭션에 따라 영속성 컨텍스트가 어떻게 공유될 수 있나요?(확인할 수 있는코드나 기술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Bean으로 등록된 엔티티매니저가 다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프록시라해도 원본객체를 통해 동작하는게 아닌가요?영속성컨텍스트는 프록시라도 Bean으로 등록되는데 실제 동작을 하는건 원본객체일테고 그럼 그 객체이 있는 영속성컨텍스트를 공유하게 되는것은 아닌가요?바보같은 질문일 수 있지만 답변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엔티티매니저의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EntityManager는 빈 스코프가 프록시로 설정된다고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결국은 원본 엔티티매니저를 사용하는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요청이 들어오면 엔티티매니저를 사용하는데 엔티티매니저 내에 영속성 컨텍스트가 있고 싱글톤으로 유지된다면 영속성컨텍스트가 다른 요청이랑 공유되는게 아닌가요?싱글톤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영속성컨텍스트가 공유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엔티티매니저가 빈인데 어떻게 요청마다 생성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Object 클래스의 clone() 메서드 질문
Object 클래스의 clone() 메서드는 깊은 복사가 아니라 얕은 복사로 알고 있습니다.강의에서의 선생님의 말씀대로 clone() 메서드는 깊은 복사가 맞나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MySql Lock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강의에서 설명해주시기로는 쿠폰 개수를 가져오는 것부터 쿠폰 생성까지 lock을 걸어야 한다고 설명 주셨는데 이전 강의인 재고 관리 이슈와는 다르게 row가 아닌 table에 lock을 걸기 때문에 성능 이슈가 발생한다고 보면 될까요?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JAVA
[이진 탐색 실전 문제] 원하는 정수 찾기 편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자바의 정렬 기본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이진 탐색 시간 복잡도가 nlogn인 건 이해했는데, 코드부를 보면 이중 반복문이 나오고 있습니다.앞 서 강의에서 반복문을 기준으로 이중 반복문이면 n의2승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이 중 반복문을 썼는데도 nlogn이 되는 건 반복문이 진행되는 동안 절반씩 찾기 때문인가요??만약 이중 반복문으로 시간 복잡도가 올라간다면 이중 반복문을 쓰지 않고,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인터페이스 강의를 듣고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1. interface클래스내에 정의된 메써드는 public abstract이고, 변수는 public static final이 자동으로 앞에 정의가 된다고 하셨는데 이건 고정인건가요? 다른 형태로 봐꿀 수 있나요?봐꿀 수 없다면 왜 그러한지가 궁금합니다. interface 클래스를 implements해주고 추상클래스를 extends 해주는 것은 둘 다 상속인건가요? 둘다 부모 클래스가 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isEqualTo를 isSameAs로 바꿔야하는것이 아닌가요??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Rollback(false) public void testMember()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A"); //when Long saveId = memberRepository.save(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saveId); //then assertThat(findMember.getId()).isEqualTo(member.getId()); 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getUsername()); assertThat(member).isEqualTo(findMember); System.out.println("findMember == member: " + (findMember == member)); } }위 코드에서 디비에 넣은 멤버와 찾은 멤버가 같은지를 비교를 isEqualTo를 사용을 하셨는데 이것은 제가 알기론 value부분만 같다면 true라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같은 영속성 컨텍스트 안에서의 객체가 같은지 확인하려면 isSameAs가 맞지 않은지 의문이 생겼습니다!
-
미해결더 자바, 코드를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
gradle 사용하시는 분 도움
일단 새로운 프로젝트 만들고 premain 추가해주는 것 까진 강의를 그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manifest plugin 부터 조금 차이가 있어서 거기부터 설명하면, build gradle 에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tasks.named('jar') { manifest { attributes( 'Implementation-Title': project.name, 'Implementation-Version': project.version, 'Premain-Class' : "com.java.magicianAgent.MagicianAgent", 'Can-Redefine-Classes' : true, 'Can-Retransform-Classes' : true) }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통해 build 한다./gradlew clean buildbuild.libs file 안에 있는 jar file 을 확인한다. (옵션)강의에서와 마찬가지로 zip file 로 변경하면 확인가능합니다. 저같은 경우 SNAPSHOT.jar 과 SNAPSHOT-plain.jar 이렇게 2개가 생겼는데 SNAPSHOT.jar 은 제가 spring boot 로 실행서 그런지 관련 설정들이 보이고 SNAPSHOT-plain.jar 이 맞는거 같더라구요. jar file 의 절대 경로를 복사해 VM option 에 추가한다. 여기서부터는 다시 강의와 같습니다. VM option 이 안보이시면 오른쪽에 Modify options 클릭하면 add vm options 라고 보이실 겁니다. 이상한거나 궁금한거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gradle 을 쓰시는 모든 분들도 마술을 성공시킵시다 하하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D 질문입니다..
2일째 고민을 해보았는데..2%까지만 맞고 틀리다고 합니당..ㅠㅠ포기하고 싶지 않은 마음에 도움을 요청합니다!!제가 짠 코드는 이렇습니다!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 불이 하나가 아닌 여러개일 수 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R; public static int C; public static String[][] map; public static int[][] visitedFire; public static int[][] visitedHuman; public static int[] dx; public static int[] dy; public static Node fireLocation; public static Node humanLocation; public static Queue<Node> fireQueu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초기화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String[R][C]; // 0으로 초기화 visitedFire = new int[R][C]; visitedHuman = new int[R][C]; dx = new int[]{0,1,0,-1}; dy = new int[]{-1,0,1,0}; fireQueue = new LinkedList<>(); // 맵 입력 for (int i = 0; i < R; i++) { String S = br.readLine(); for (int j = 0; j < C; j++) { // 불 좌표, 지훈이 좌표 찾기 map[i][j] = String.valueOf(S.charAt(j)); if(map[i][j].equals("J")){ humanLocation = new Node(j,i); map[i][j] = "."; // .으로 변경 }else if(map[i][j].equals("F")){ // 불이 여러개, 불이 아무것도 없을 수 있다. -> 반레 fireLocation = new Node(j,i); fireQueue.add(fireLocation); visitedFire[i][j] = 1; } } } // (1) 불이 이동할 수 있는 최단경로 fireBfs(); // (2)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최단경로 + 길 비교해야함 humanBfs(humanLocation.y, humanLocation.x); // 가능한 길 찾아서 int result = Integer.MAX_VALUE; // (3) 가장 짧은 최단거리 찾기 (가장자리 찾기) for (int i = 0; i < visitedHuman.length; i++) { for (int j = 0; j < visitedHuman[i].length; j++) { if((0<i && i<R-1) && 0 < j && j < C-1)continue; // 가장자리가 아닌 경우 pass if(visitedHuman[i][j] > 0) { result = Math.min(result, visitedHuman[i][j]); } } } if(result == Integer.MAX_VALUE){ System.out.println("IMPOSSIBLE"); }else{ System.out.println(result); } } public static void humanBfs(int y, int x){ // tkfk visitedHuman[y][x] = 1; Node node = new Node(x,y); Queue<Node> queue = new LinkedList<>(); queue.add(node); while(queue.size()>0){ Node cur = queue.poll();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cur.x + dx[i]; int ny = cur.y + dy[i]; if(nx < 0 || nx >= C || ny < 0 || ny >= R) continue; if(visitedHuman[ny][nx] == 0 && (map[ny][nx].equals("."))){ if(visitedHuman[ny][nx] < visitedFire[ny][nx] || visitedFire[ny][nx] == 0){ visitedHuman[ny][nx] = visitedHuman[cur.y][cur.x] + 1; Node next = new Node(nx,ny); queue.add(next); } } } } } public static void fireBfs(){ while(fireQueue.size()>0){ Node cur = fireQueue.poll(); for (int i = 0; i < 4; i++) { // 4방향 탐지 int nx = cur.x + dx[i]; int ny = cur.y + dy[i]; if(nx < 0 || nx >= C || ny < 0 || ny >= R) continue; if(visitedFire[ny][nx] == 0 && (map[ny][nx].equals("."))){ visitedFire[ny][nx] = visitedFire[cur.y][cur.x] + 1; // 이동함을 표현 Node next = new Node(nx,ny); fireQueue.add(next); } } } } public static class Node { int x; int y; Node(int x, int y){ this.x = x; this.y = y; } } }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isEqualByComparingTo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듣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void init() { // given List<Product> products = List.of( createProduct("001", 1000), createProduct("002", 2000) ); // when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LocalDateTime.now()); // then assertThat(order.getOrderStatus()).isEqualByComparingTo(OrderStatus.INIT); }강의에서 OrderTest 클래스 테스트 과정에서 enum을 비교할때 isEqualByComparingTo를 사용하셨습니다. assertThat(order.getOrderStatus()).isEqualTo(OrderStatus.INIT);위와 같이 isEqualTo를 사용해도 enum을 비교할 수 있는데, 혹시 isEqualTo 대신 isEqualByComparingTo를 사용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isEqualByComparing가 정의된 AbstractComparableAssert.java를 확인해보면 BigDecimal을 예시로 들어서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BigDecimal의 예시로 Enum을 써야 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았는데, 유추(?)가 잘 되지 않아서 질문을 남깁니다. 항상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발급가능 쿠폰개수가 1인당 2개이상일 때
안녕하세요! 강의 재미있고 유익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확장에 대해 생각해보니, Set을 이용해서는 중복방지 이상 개수 확장에 대해서 처리는 불가능 할 거 같아서요. 혹시, 2개 이상 N개 제한에 대한 확장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rderItems 에 null이 들어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듣다 의문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OrderDto는 JPA에서 생성된 객체가 아니고 직접 생성자로 만들어서 사용한 객체인데 왜 Hibernate5Module이 프록시 객체로 생각해서 null값을 반환하는지 모르겠습니다.제가 긴시간 찾아보면서 생각한 이유는 이렇습니다.강의 5분경 쯤에 api 호출시 Json에서 orderItems 가 null로 반환되는것을 보여주십니다.orderItems가 null로 반환되는것은 스프링이 string으로 응답을 보낼때 messageConverter가 json으로 변환해서 반환을합니다.이때 orderItems가 JPA(Hibernate)에서 만든 프록시 객체로 되어있어 전강의에서 설정한 Hibernate5Module이 프록시 객체를 null로 바꾸기 때문에 orderItems가 null로 나타낸것으로 생각됩니다.하지만 제가 디버깅 모드로 확인해본 결과 OrderDto안에 있는 orderItems는 프록시 객체가 아닌 실제로 생성된 객체였습니다.(OrderDto는 단순히 JPA가 관리 하지 않아서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강의 기준으로 orderItems 안에 있는 orderItem객체가 2개 존재하는데 orderItem객체는 JPA를 통해 생성된 객체이고 자세히 살펴보면 orderItem 안에 Item은 LAZY로딩으로 프록시 객체가 생성되어있습니다. 혹시몰라 Hibernate5Module을 끄고 실행한 결과 Item이 @JsonIgnore가 있으면 orderItems가 제대로 결과 값이 나오고 @JsonIgnore이 없으면 프록시 객체를 Json으로 변환하지 못해서 오류가 발생합니다.그럼 Hibernate5Module는 엔티티 안에 객체의 값중 하나라도 프록시 객체가 있다면 다른 객체의 값이 있든 말든 그냥 null을 반환하는 걸까요??제가 이해한것이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