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python3 manage.py showmigrations 에서 오류
# python3 manage.py showmigrations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anage.py", line 21, in <module> main() File "manage.py", line 17, in main execute_from_command_line(sys.argv)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__init__.py", line 401, in execute_from_command_line utility.execut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__init__.py", line 395, in execute self.fetch_command(subcommand).run_from_argv(self.argv)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base.py", line 328, in run_from_argv self.execute(*args, **cmd_options)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base.py", line 369, in execute output = self.handle(*args, **options)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commands/showmigrations.py", line 52, in handle return self.show_list(connection, options['app_label'])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core/management/commands/showmigrations.py", line 71, in show_list loader = MigrationLoader(connection, ignore_no_migrations=Tru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loader.py", line 49, in init self.build_graph()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loader.py", line 274, in build_graph raise exc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loader.py", line 248, in build_graph self.graph.validate_consistency()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graph.py", line 195, in validate_consistency [n.raise_error() for n in self.node_map.values() if isinstance(n, DummyNod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graph.py", line 195, in <listcomp> [n.raise_error() for n in self.node_map.values() if isinstance(n, DummyNode)] File "/usr/local/lib/python3.6/dist-packages/django/db/migrations/graph.py", line 58, in raise_error raise NodeNotFoundError(self.error_message, self.key, origin=self.origin)django.db.migrations.exceptions.NodeNotFoundError: Migration accounts.0001_initial dependencies reference nonexistent parent node ('auth', '0012_alter_user_first_name_max_length')powershell에서 python3 manage.py showmigrations명령을 수행했을때 위와같은 오류가 뜨네요.. 뭐가 문제인걸까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put과 post에 대한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ut은 리소스를 완전 대체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부분적인 필드만 보낼 시에 부분적인 필드만 대체되거나 새롭게 추가된다고 하셨는데, post로 put을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되나요? 가령 전체 데이터필드는 "username", "age"가 있는데 post로 "age" 필드만 바디로 보낼 경우, put과 같이 "username"없이 "age"만 대체, 추가가 되는 건지요?아니면 애초에 put은 리소스에 식별자를 추가해야되기 때문에 post로 대체 될 수 없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radlew clean build 에러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springboot 2.7.16버전 사용 중입니다. 배포파일 만드는 과정에서 ./gradlew clean build를 했는데 에러가 발생합니다.해결 방법이 있을까요?ㅠ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prototype 스코프 사용 시 proxymod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request 스코프 사용 시 @Scope 에서 proxymode 추가하는 것으로, 코드가 간단해지는 것을 보고, prototype 스코프에도 적용해보려고 했는데,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질문게시판에서 답변이 되는 글을 찾아서 궁금증은 풀렸는데요,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unitId=55396&tab=community&category=questionDetail&q=560062)그렇다면 결론적으로 prototype 스코프에서는 proxymode를 사용할 수는 없고, provider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일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트와이스 앱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고 따라했는데 강사님의 앱 실행 화면과제 앱 실행 화면이 달라서 문의드립니다.맨 오른쪽에 있는 라인의 사진들이 비율이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데,혹시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2. Toast를 기입하고 앱 실행을 했는데 에러가 났다고 하면서 실행이 되지 않는데 이것도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6-K lis 배열과 ans의 차이
안녕하세요 선생님.코드는 선생님의 코드를 참고 하여 질문드립니다!코드 이해를 위해 디버깅을 하는 중 테스트 케이스로610 20 9 30 8 50위 값들을 넣었을 때,출력되는 값은410 20 30 50 이지만lis 배열에 남은 값은8 20 30 50 이었습니다.제가 아직 lis 배열의 의미와*lowerPos = num; 으로 바꿔주는 부분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lis 배열은 그저 정답을 구하기 위한 임시적인 배열이 맞을까요?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부분에서 중간에 짤린 것 같습니다. 명령어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부분에서 중간에 짤린 것 같습니다. 명령어요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교차 검증 시에 계수나 규칙이 계속 바뀌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교차검증에 대해 잘 이해가 안되서요 ㅠㅠ만약 3번 교차검증을 한다했을 때첫번째 학습을 하고 나서 두번째 학습시에 첫번째 모델을 기반으로 분류라면 분류규칙이라든지 회귀라면 회귀계수가 변경이 된고 셋번째 학습시에 두번째 모델을 기반으로 변경이 계속 되는건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yarn generate 실행시 YAML Error 발생하는 분들!
참고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9975954/a-yaml-file-cannot-contain-tabs-as-indentationcodegen.yaml 파일에서 들여쓰기를 모두 지우고 띄어쓰기(space 키) 2번씩으로 바꿔주시면 해결됩니다!(plugins와 config는 띄어쓰기 4번, - typescript와 typesPrefix: I 는 띄어쓰기 6번, 이런식으로)
-
해결됨삼각형의 실전! CMake 초급
CMake 심화 - CMake 설치 실습 관련 문제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완강하고 나서 cmake 개념이 잘 잡혀서 실무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실습을 수행하던 도중 install 실습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요. 강의는 "CMake 심화 - CMake 설치" 입니다.강의 영상과 동일한 명령어를 수행했음에도 installing이 수행되지 않는 증상입니다.cd installing mkdir build cd build cmake ..위 작업은 정상적으로 수행이 잘 되고, 아래와 같은 출력결과가 나옵니다.-- The C compiler identification is AppleClang 14.0.3.14030022 -- The CXX compiler identification is AppleClang 14.0.3.14030022 -- Detecting C compiler ABI info -- Detecting C compiler ABI info - done -- Check for working C compiler: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Toolchains/XcodeDefault.xctoolchain/usr/bin/cc - skipped -- Detecting C compile features -- Detecting C compile features - done -- Detecting CXX compiler ABI info -- Detecting CXX compiler ABI info - done -- Check for working CXX compiler: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Toolchains/XcodeDefault.xctoolchain/usr/bin/c++ - skipped -- Detecting CXX compile features -- Detecting CXX compile features - done -- BINDIR: bin -- LIBDIR: lib -- INCLUDEDIR: include -- DATAROOTDIR: share -- Configuring done (0.8s) -- Generating done (0.0s) -- Build files have been written to: /Users/user/wd/practice-cmake/installing/build 이후 강의에서는 아래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install이 수행되는 것이 아닌 다시 cmake configure와 generate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보입니다.cmake .. --install-prefix=/Users/user/wd/practice-cmake/installing/build/install다음과 같은 출력결과가 나옵니다.-- BINDIR: bin -- LIBDIR: lib -- INCLUDEDIR: include -- DATAROOTDIR: share -- Configuring done (0.1s) -- Generating done (0.0s) -- Build files have been written to: /Users/user/wd/practice-cmake/installing/build MacOS와 Ubuntu 환경에서 모두 동일하게 문제가 발생했는데요, 제가 어떤 부분을 빠뜨린 것인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크롤링 에러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아래 코드를 사용해서 '식품 로봇'이라는 검색어로 크롤링을 시도했는데요. URL에 지정한 기간에 존재하는 모든 기사를 수집하고자 하는데, 총 몇 페이지나 있는지 알 수가 없어서.. 페이지수를 2,000으로 넣어서 실행 해보았습니다.그런데, 크롤링이 잘 진행되다가 에러가 발생해서요. 혹시 이건 어떻게 수정할 수 있을지요?에러 문구:=======링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39249?sid=101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ers/유저이름/startcoding/Chapter04/11.마지막페이지확인하기.py", line 64, in <module> print("=======제목======= \n", title.text.strip()) ^^^^^^^^^^ AttributeError: 'NoneType' object has no attribute 'text'실행 코드: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time import pyautogui from openpyxl import Workbook from openpyxl.styles import Alignment # 사용자입력 keyword = pyautogui.prompt("검색어를 입력하세요") lastpage = int(pyautogui.prompt("몇 페이지까지 크롤링 할까요?")) # 엑셀 생성하기 wb = Workbook() # 엑셀 시트 생성하기 ws = wb.create_sheet(keyword) # 열 너비 조절 ws.column_dimensions['A'].width = 60 ws.column_dimensions['B'].width = 60 ws.column_dimensions['C'].width = 120 # 행 번호 row = 1 # 페이지 번호 page_num = 1 for i in range(1, lastpage * 10, 10): print(f"{page_num}페이지 크롤링 중 입니다.==========================") response = requests.get(f"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ws&query={keyword}&start={i}") html = response.text # html은 response의 text 안에 위치함 soup = BeautifulSoup(html, 'html.parser') articles = soup.select("div.info_group") #뉴스 기사 div 10개 추출 # 기사가 10개니까 for문을 써서 하나하나 추출 필요 for article in articles: links = article.select("a.info") # a 태그, info class인 아이들을 가져옴. = 리스트 if len(links) >= 2: # 링크가 2개 이상이면 url = links[1].attrs['href'] # 두번째 링크의 href를 추출 # 다시 request 날려주기 response = requests.get(url, headers={'User-agent': 'Mozila/5.0'}) html = response.text soup_sub = BeautifulSoup(html, 'html.parser') print(url) # 연예 뉴스 체크 if "entertain" in response.url: title = soup_sub.select_one(".end_tit") content = soup_sub.select_one("#articeBody") elif "sports" in response.url: title = soup_sub.select_one("h4.title") content = soup_sub.select_one("#newsEndContents") # 본문 내용 안에 불필요한 div, p 삭제 divs = content.select("div") for div in divs: div.decompose() paragraphs = content.select("p") for p in paragraphs: p.decompose() else: title = soup_sub.select_one(".media_end_head_headline") content = soup_sub.select_one("#newsct_article") print("=======링크======= \n", url) print("=======제목======= \n", title.text.strip()) print("=======본문======= \n", content.text.strip()) ws[f'A{row}'] = url # A열에는 URL 기입 ws[f'B{row}'] = title.text.strip() ws[f'C{row}'] = content.text.strip() # 자동 줄바꿈 ws[f'C{row}'].alignment = Alignment(wrap_text=True) row = row + 1 time.sleep(0.3) # 마지막 페이지 여부 확인하기 isLastPage = soup.select_one("a.btn_next").attrs['aria-disabled'] if isLastPage == 'true': print("마지막 페이지 입니다.") break page_num = page_num + 1 wb.save(f'{keyword}_result.xlsx')
-
미해결
짝남
짝남이 저를 쳐다보길래 저도 쳐다봤는데 쳐다보니까 고개를 돌려요. 그리고 저도 다시 고개를 돌리니까 저를 또 쳐다봐요 무슨 의미일까요?ㅠㅠ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ransactional을 붙였을 때"만" Stock 감소 검증에 성공합니다
각 테스트 케이스들을 검증하고, 이에 대해 값을 비워주기 위해 두 가지 방식을 소개해주셨습니다.1) tearDown()을 사용해서 after each로 모두 날려주는 방식과2) 클래스 레벨에서 테스트 클래스에 @Transactional을 붙이는 방식 강의와 동일하게 "001" : 1000 : 2개, "002" : 3000 : 2개, "003" : 5000 가정 하에, "001", "001", "002", "003" 순으로 주문했다 하였습니다. 하지만, 문제는1)을 사용하였을 때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구요, 2)을 사용했을 때는 테스트 케이스가 정상 검증 됩니다.[Extracted: productNumbeㅏr, quantity] Expecting actual: [("001", 2), ("002", 2)] to contain exactly in any order: [("001", 0), ("002", 1)] elements not found: [("001", 0), ("002", 1)] and elements not expected: [("001", 2), ("002", 2)] 올려주신 깃허브 코드 5-7 또한 참고해보았으며, 코드 복붙까지 시도했는데 AfterEach 방식에서만 검증 실패가 등장하네요// 보여주신 디버깅 방식 참조하여 디버깅도 해보았는데, 제 눈에는,,, 이상이 없었습니다... 미천한 디버깅 실력에 부끄러움만 앞서지만, 왜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에서만 검증 성공인지 의아합니다.혹시 답변 가능하시다면 부탁드립니다,,! 코드 첨부합니다.OrderServicepackage sample.cafekiosk.api.service.ord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sample.cafekiosk.api.controller.order.OrderCreateRequest; import sample.cafekiosk.domain.order.Order; import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 import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Repository; import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Type; import sample.cafekiosk.domain.stock.Stock; import sample.cafekiosk.domain.stock.StockRepository;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function.Function;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 { // Product를 가져와야 하므로 의존 private final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private final StockRepository stockRepository; public OrderResponse createOrder(OrderCreateRequest request,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ist<String> productNumbers = request.getProductNumbers(); List<Product> products = findProductsBy(productNumbers); deductStockQuantities(products);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registeredDateTime); Order savedOrder = orderRepository.save(order); return OrderResponse.of(savedOrder); } private void deductStockQuantities(List<Product> products) { List<String> stockProductNumbers = extractStockProductNumbers(products); Map<String, Stock> stockMap = createStockMapBy(stockProductNumbers); Map<String, Long> productCountingMap = createCountingMapBy(stockProductNumbers); for (String stockProductNumber : new HashSet<>(stockProductNumbers)) { Stock stock = stockMap.get(stockProductNumber); int quantity = productCountingMap.get(stockProductNumber).intValue(); if (stock.isQuantityLessThan(quantity))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재고가 부족한 상품이 있습니다."); } stock.deductQuantity(quantity); } } private List<Product> findProductsBy(List<String> productNumbers) { List<Product> products = productRepository.findAllByProductNumberIn(productNumbers); Map<String, Product> productMap = products.stream() .collect(Collectors.toMap(Product::getProductNumber, p -> p)); return productNumbers.stream() .map(productMap::get) .collect(Collectors.toList()); } private static List<String> extractStockProductNumbers(List<Product> products) { return products.stream() .filter(product -> ProductType.containsStockType(product.getType())) .map(Product::getProductNumber) .collect(Collectors.toList()); } private Map<String, Stock> createStockMapBy(List<String> stockProductNumbers) { List<Stock> stocks = stockRepository.findAllByProductNumberIn(stockProductNumbers); return stocks.stream() .collect(Collectors.toMap(Stock::getProductNumber, s -> s)); } private static Map<String, Long> createCountingMapBy(List<String> stockProductNumbers) { return stockProductNumbers.stream() .collect(Collectors.groupingBy(p -> p, Collectors.counting())); } } OrderServiceTestpackage sample.cafekiosk.api.service.order; import jakarta.transaction.Transactional; import org.junit.jupiter.api.After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rm.jpa.DataJpa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ActiveProfile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sample.cafekiosk.api.controller.order.OrderCreateRequest; import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 import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Repository; import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SellingStatus; import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Type; import sample.cafekiosk.domain.stock.Stock; import sample.cafekiosk.domain.stock.StockRepository;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util.Li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groups.Tuple.tuple;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static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SellingStatus.SELLING; import static sample.cafekiosk.domain.product.ProductType.*; @ActiveProfiles("test")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Order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OrderService orderService; @Autowired private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Autowired private OrderProductRepository orderProductRepository; @Autowired private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StockRepository stockRepository; @AfterEach void tearDown() { order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orderRepository.deleteAllInBatch(); stockRepository.deleteAllInBatch(); } @DisplayName("재고와 관련된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주문번호 리스트를 받아 주문을 생성한다.") @Test void createOrderWithStock() { // given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BOTTLE, "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BAKERY, "002", 3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HANDMADE, "003", 5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Stock stock1 = Stock.create("001", 2); Stock stock2 = Stock.create("002", 2); stockRepository.saveAll(List.of(stock1, stock2));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 "001", "002", "003")) .build(); // when OrderResponse orderResponse = orderService.createOrder(request, registeredDateTime); // then assertThat(orderResponse.getId()).isNotNull(); assertThat(orderResponse) .extracting("registeredDateTime", "totalPrice") .contains(registeredDateTime, 10000); assertThat(orderResponse.getProducts()).hasSize(4) .extracting("productNumber", "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1000), tuple("001", 1000), tuple("002", 3000), tuple("003", 5000) ); List<Stock> stocks = stockRepository.findAll(); assertThat(stock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 "quantity")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0), tuple("002", 1) ); } @DisplayName("주문 번호리스트를 받아 주문을 생성한다.") @Test void createOrder() { // GIVEN LocalDateTime n = LocalDateTime.now();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HANDMADE, "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HANDMADE, "002", 2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HANDMADE, "003", 3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002")) .build(); // WHEN OrderResponse orderResponse = orderService.createOrder(request,n ); // THEN assertThat(orderResponse.getId()).isNotNull(); assertThat(orderResponse) .extracting("registeredDateTime","total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n,3000); assertThat(orderResponse.getProduct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 "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1000), tuple("002", 2000) ); } @DisplayName("중복되는 상품번호 리스트로 주문을 생성할 수 있다.") @Test void createOrderWiuthDuplicatedProductNumbers() { // GIVEN LocalDateTime n = LocalDateTime.now();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HANDMADE, "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HANDMADE, "002", 2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HANDMADE, "003", 3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001")) .build(); // WHEN OrderResponse orderResponse = orderService.createOrder(request,n ); // THEN assertThat(orderResponse.getId()).isNotNull(); assertThat(orderResponse) .extracting("registeredDateTime","total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n,2000); assertThat(orderResponse.getProduct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 "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1000), tuple("001", 1000) ); } private Product createProduct(ProductType type, String productNumber,int price) { return Product.builder() .productNumber(productNumber) .type(type) .sellingStatus(SELLING) .name("아메리카노") .price(price) .build(); } }Stockpackage sample.cafekiosk.domain.stock;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AccessLevel; import lombok.Builder;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sample.cafekiosk.domain.Base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Entity public class Stock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Long id; private String productNumber; private int quantity; @Builder public Stock(String productNumber, int quantity) { this.productNumber = productNumber; this.quantity = quantity; } public static Stock create(String s, int i) { return Stock.builder().productNumber(s).quantity(i).build(); } public boolean isQuantityLessThan(int quantity) { return this.quantity < quantity; } public void deductQuantity(int quantity) { if(this.quantity < quantity){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주문 수량이 재고보다 많습니다."); } this.quantity-=quantity; } }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저 구매했는데 대체 깃허브 소스코드는 어떻게 받는다는건가요?
깃허브 소스코드 어디있어요??
-
미해결확률과 통계 기초
Hypergeometric 기댓값 풀이 중 질문있습니다.
29분50초 부분입니다.dependent Bernoulli(p)라고 생각하고 linearity 이용하는 거면E[X1]= b/(b+r) 이지만, E[X2] 부터는 b/(b+r)이 아니지 않나요? dependent라면 이런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어째서 E[X]가 independent처럼 nb/(b+r)으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이거 소스코드 어디서 다운 받아요?
소스코드 대체 어디서 다운 받나요??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synchronized 사용
RDB 사용시 좋아요나 조회수 같은 자주 변경되는 데이터에 Pessimistic Lock을 걸면 락을 자주 걸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Optimistic Lock의 경우도 롤백되는 경우가 많아져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때 데이터가 엄청 많지는 않아 Redis가 아닌 로컬 캐시를 사용해서 해결해보려 한다면 synchronized 키워드를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고 일정 시간에 한번씩 RDB와 동기화 하는 방식을 생각해보았는데 이렇게 하는 경우도 있나요?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two_sum 딕셔너리 문제 코드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class Solution(object): def twoSum(self, nums=[3,3], target=6): ans = [] dict = {} for i,v in enumerate(nums): if target-v in dict: ans.append(prev) ans.append(i) return ans dict[v] = i prev = i이렇게하면, for문 안에서 리스트를 append하는거니까 총 O(n) 하는거아닌가요? 왜 예시 테스트케이스는 통과를 했는데 리트코드에서 submit을 누르면 나머지 테스트케이스는 통과하지 못하는거죠 ㅜㅜ
-
미해결버그헌팅과 시나리오 모의해킹 전문가 되기
두가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강의를 보다 두가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해시알고리즘종류, salt값 그리고 암호화된 패스워드된 값을/etc/shadow가 아닌 /etc/passwd 에 넣더라도 똑같이 적용 되는건가요?? /etc/passwd 에서 www-data 계정의uid 값과 gid값을 root권한과 동일한 0으로 변경하고 로그인 쉘을 nologin 이 아닌 /bin/bash로 변경하여 /etc/passwd 파일 변조는 안되는건가요?? 시도해봤는데 강의 진행중 오류가 나타나서 안되는 방법인가 싶어 여쭈어 봅니다 ㅠㅠ추가적으로 pwconv 를 이용하여 shadow 파일 정책으로 변경하면 변경한 passwd 파일의 값이 shadow에 변경되어 저장되나요?ㅠㅠ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A 질문이 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강의 내용 1분~3분에서 말씀하신 내용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a->d로 간다 했을 때 {a, b, c}의 최소값을 찾아서 d로 가면 된다고 하셨는데 제가 저 말뜻을 제대로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생각했을 때는 저 셋을 가는 경로에서 최솟값은 아니어도 d로 갔을 때 최솟값이 되는 경로도 존재할 거라고 생각이 들어서 {a, b, c}경로의 최솟값에서 d로 가면 그게 또 최소 경로?가 된다는 건 이해를 잘 못하겠습니다. 코드를 따라 쳐보면서 코드 자체 만으로도 이해를 해보려 했는데 tfs함수 부분에서 ret을 저렇게 메모이제이션 처리를 하면 무슨 이득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생각에는 경로가 a b c d 라고 했을 때 (경로가 모두 0이 아니라고 했을 때)a b c da b d ca c b da c d ba d b ca d c b이런식으로 탐색을 할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 결국 완전탐색 느낌으로 탐색을 한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if (ret != -1) return ret;이 부분이 메모이제이션을 써서 얻을 이득일텐데 저게 a b c d를 돌면서 작동을 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 왜 저 코드가 필요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막상 실제로 저 부분 빼고 제출하니까 시간초과가 나기는 하는데 제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가 안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