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Putchar 관련 질문입니다
Puchar 명령어는 buffer에 값을 넣는 것뿐만아니라 printf 처럼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까지 포함된 것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getchar는 문자를가져와 읽는 기능인 것처럼 putchar또한 메모리 buffer안에만 write하는건 아닐까 했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types.ts 파일 생성이 안됩니다.
설치 항목을 전부 설치하고 다시 설치하고 주소도 바꿔서 해봤는데 types.ts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ㅠㅠ
-
미해결STM32 CAN 통신
준비물
예전에 수업을 위한 준비물을 문의 드렸었는데 stlink는 처음 보는건데 이건 구매 안하고 나머지 부품들로 수업을 진행해도 괜찮나요?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실습환경 구축 STM32CubeIDE 시작하기. 따라하다가 에러 발생
안녕하세요. 선생님 실습환경 구축 STM32CubeIDE 시작하기 영상을 보다가 TASKMAN 인포트까지는 했는데, 그 이후 영상처럼 디버깅을 하면 에러가 납니다.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요? 빌드 조차도 되지 않으니 문제가 있는듯한데요. 처음 하는 것이라서 가이드가 좀 필요합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in 최적화에서 궁금한 점
new 오퍼레이션을 써서 List<OrderItemQueryDto>을jpql로 가져온 부분에서 말인데요..첫 번 째에서 in :여기서 띄우고 값을 넣으면 매개 값을 인식을 못 하는 거 같더라구요 두 번째는 쿼리가 잘 나가구요 혹시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where oi.order.id in : orderIdswhere oi.order.id in :orderIds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프로세스의 생성과 종료에서
영상 시작하자마자 LoL.exe를 더블 클릭으로 실행시키면 운영체제는 해당 프로그램의 코드영역과 데이터영역을 메모리에 로드 빈 스택과 빈 힙을 만들어 공간을 확보한다. 이제 이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PCB를 만들고 PCB를 초기화 해준다." 라고 하시고,갑자기 컴퓨터가 부팅되면 딱 한번만 실행된다고 하는데, 설명이 매끄럽지 못한것 같습니다.컴퓨터가 부팅될때 운영체제의 PCB가 생성되고 LOL.exe를 클릭하면 ~~~과정이 일어난다 이 순서대로 설명이 되어야하는데,롤 클릭하는 과정 이야기 하다가 컴퓨터가 부팅될때 딱 한번 실행된다하면, 이걸 자연스럽게 이해할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미해결반응형 웹사이트 포트폴리오(Architecture Agency)
custom.js 의 click 부분
custom.js에서 $(function(){ $('.trigger').click(function(){ $(this).toggeClass('active') $('.gnb').toggeClass('active') }) $('section, .menu a').click(function(){ $('.gnb').removeClass('active')}) $('.menu a').click(function(e) { e.preventDefault(); $.scrollTo(0, 900); }); }) 제이쿼리스크롤을 index.html에 링크 건 후에 custom.js의 click 부분들에 줄이 그어졌습니다."선언이 여기에 사용되지 않음으로 표시되었습니다" 라고 뜨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해결됨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임대값의 수명에 대한 강의는 언제쯤 볼 수 있을까요?
섹션7에 제네릭, 트레이트 강의는 있는데 임대값의 수명 강의는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언제쯤 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metalb 를 활용한 로드 밸런싱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제가 직접 구축을 해보고 싶어서 여러 시도를 하고 있는데metalb에 대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제가 지금 온프레미스 환경(집 컴퓨터) 와 여러 클라우드의 EC2(AWS뿐만 아니라 민간 클라우드 대여업체)를 활용해서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여기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metalb 방식에 layer2 방식이 있고 bgp 방식이 있더라구요. layer2을 활용해서 로드밸런싱이 동작할까요?2. layer2 방식의 로드밸런싱을 하게되면 EXTERNAL IP에 192.~로 시작하는 private 네트워크 주소가 나오는데 이 private 네트워크 주소를 public ip 처럼 외부에 할당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함수 호출과정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배운 내용을 다시 공부하면서 실행해본 결과입니다.함수 호출시에 232바이트만큼 rsp를 이동시키고 rbp를 32바이트만큼 빼서스택프레임당 32byte와 200byte의 여백을 남기는것을확인했습니다. 컴파일러가 컴파일시에 스택 사이즈를 정하고 저장하는 위치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스택프레임은 32byte고 중간에 카나리(?)는 200byte라는걸 결정하면, os는 프로그램 실행시 해당 정보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미해결모두를 위한 파이썬 : 필수 문법 배우기 Feat. 오픈소스 패키지 배포 (Inflearn Original)
logging print 순서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수업을 따라하던 도중import logging logging.basicConfig( format='%(asctime)s %(message)s', level=logging.INFO, datefmt='%Y-%m-%d %H:%M:%S' ) class LoggedScoreAccess: def __init__(self, value=50): self.value = value def __get__(self, obj, objtype=None ): logging.info('Aceesing %r giving %r','score',self.value) return self.value def __set__(self, obj, value): logging.info('Updating %r giving %r','score',self.value) self.value = value class student: # Descriptor instance score = LoggedScoreAccess() def __init__(self, name): # Regular instance attribute self.name = name s1 = student("Kim") s2 = student("Lee") # 점수 확인(s1) print('Ex2 > ', s1.score) s1.score += 20 # print('Ex2 > ', s1.score)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했는데제 생각으로는 print('Ex2 > ', s1.score) 이후에s1.score += 20실행이 되었기 때문에로그 순서가 수업과 같이 나오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실제 print 되는 순서는2023-10-09 19:23:54 Aceesing 'score' giving 50 2023-10-09 19:23:54 Aceesing 'score' giving 50 2023-10-09 19:23:54 Updating 'score' giving 50Ex2 > 50다음과 같이log가 모두 출력된 후에 print가 나오게 됩니다. 어떻게 된건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31:04 부분 "select o from Order o" 만 했을 경우 결과값
2023-10-09T19:14:55.54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 2023-10-09T19:14:55.54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Initializing Servlet 'dispatcherServlet' 2023-10-09T19:14:55.54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initialization in 0 ms 2023-10-09T19:14:55.660+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offset ? rows fetch first ? rows only 2023-10-09T19:14:55.66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6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offset ? rows fetch first ? rows only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offset 0 rows fetch first 100 rows only; 2023-10-09T19:14:55.668+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m1_0.member_id, m1_0.city, m1_0.street, m1_0.zipcode, 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array_contains(?,m1_0.member_id) 2023-10-09T19:14:55.67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array_contains(?,m1_0.member_id) 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array_contains('ar0: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m1_0.member_id); 2023-10-09T19:14:55.674+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d1_0.id, d1_0.city, d1_0.street, d1_0.zipcode, 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array_contains(?,d1_0.id) 2023-10-09T19:14:55.674+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4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d1_0.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array_contains(?,d1_0.id) select d1_0.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array_contains('ar1: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d1_0.id); 2023-10-09T19:14:55.676+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7+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7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1; 2023-10-09T19:14:55.677+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8+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8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2; 2023-10-09T19:14:55.680+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order_item_id, o1_0.count, o1_0.item_id, 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o1_0.order_id) 2023-10-09T19:14:55.686+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86 | took 5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order_item_id,o1_0.count,o1_0.item_id,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o1_0.order_id) select o1_0.order_id,o1_0.order_item_id,o1_0.count,o1_0.item_id,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ar2: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o1_0.order_id); 2023-10-09T19:14:55.687+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i1_0.item_id, i1_0.dtype, i1_0.name, i1_0.price, i1_0.stock_quantity, i1_0.artist, i1_0.etc, i1_0.author, i1_0.isbn, i1_0.actor, i1_0.director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i1_0.item_id) 2023-10-09T19:14:55.688+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88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i1_0.item_id,i1_0.dtype,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rtist,i1_0.etc,i1_0.author,i1_0.isbn,i1_0.actor,i1_0.director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i1_0.item_id) select i1_0.item_id,i1_0.dtype,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rtist,i1_0.etc,i1_0.author,i1_0.isbn,i1_0.actor,i1_0.director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ar3: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 CAST(3 AS BIGINT), CAST(4 AS BIGINT)]',i1_0.item_id); 이 결과값에서 강의랑 다른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하이버네이트 6.2 라서 array_contains 인거 아는데 아래 부분이 이해가 안됩니다.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7+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7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1; 2023-10-09T19:14:55.677+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8+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8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2;orders 를 처음에 조회하고 나서 또 추가적으로 o1_0.delivery_id=?이걸로 조회하는 결과가 왜 생기는걸까요?..(배치사이즈도 강의랑 똑같이 100입니다) OrderApiController.java@GetMapping("/api/v3.1/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sV3_page(@RequestParam(value ="offset",defaultValue = "0") int offset, @RequestParam(value ="limit",defaultValue = "100") int limit)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MemberDelivery(offset,limit); List<OrderDto> result = orders.stream() .map(o -> new OrderDto(o))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result; } OrderRepository.java public List<Order> findAllWithMemberDelivery(int offset, int limit)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Order.class ).setFirstResult(offset) .setMaxResults(limit) .getResultList(); }이렇게 바꾸고 난 이후에 일어난 결과입니당..강의랑 In말고도 추가적으로 다른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일단 제 스프링부트 버전은 3.1.3 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 내부 동작 vs JPQL 또는 QueryDSL 내부 동작
JPQL는 데이터베이스에 SQL을 날려 데이터를 가져오지만 영속성 컨텍스트에 동일한 값이 있다면 DB에서 가져온 값을 버리게 되는데, QueryDSL은 내부적으로 JPQL을 사용하기 때문에, JPQL 처럼 DB 먼저 조회한 후 영속성 컨텍스트에 동일한 값이 있다면 DB에서 가져온 값을 버리게 되나요?1번과 같이 조회 상황이 아닌 수정, 삭제, 추가하는 경우에도 JPQL의 경우, 영속성 컨텍스트에 먼저 데이터를 수정, 삭제, 추가 하기 보다 DB에 먼저 쿼리를 날린 후에 영속성 컨텍스트에 반영하는건가요?JPA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먼저 확인하는 거와 달리, JPQL은 DB 조회 부터 하는데, 어떤 이유 때문에 둘이 다르게 동작하는 걸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 - K 문제 질문입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선생님!해당 문제에 똑같은 질문이 있었는데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메모이제이션 부분에int &ret = dp[y][x][cnt][prev]; if (ret != -1) return ret; ret = 0;에서 ret = 0; 으로 초기화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질문 답변에서는 리프노드에서 -1을 return 하면 안되기 때문에 초기화를 해주어야 한다고 하셨는데, 리프노드에서는 기저사례에 걸리기 때문에 반드시 1 아니면 0을 리턴해주지 않나요?그래서 ret = 0을 초기화 해주지 않아도 0 또는 1을 반환되는것을 더하여 넘겨주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어떤 부분을 놓치고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ㅠㅠret = 0부분을 주석처리하고 예제 입력을 넣었을 때 예제2)6 4 2 5 3 3 2이 입력만 정답과 다른답이 나옵니다.
-
미해결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도커 기본 명령어 진행 중 막히는 부분
도커 기본 명령어 실습 시 워드프레스 만들기 코드를 모두 다 따라한 뒤 localhost:8080으로 접속을하게 되면 계속 아이디 비번 입력 팝업창이 뜹니다.이럴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
해결됨
스프링 dependency 추가 어떻게 해요?
aspose엑셀 Dependency 추가가 잘안되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영속성 컨텍스트의 엔티티 동일성 보장
만약, 동일한 식별자로 엔티티를 조회하면, 조회할 때마다 동일한 인스턴스가 조회되어, 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 동일성을 보장해준다고 하는데, 같은 트랜잭션이 아니더라도, 동일한 영속성 컨텍스트여도 동일성이 보장되나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Elastic Beanstalk에 No Data로 나옵니다..
traivs에서는 아래와 같이 빌드에 성공했어요. 하지만 No Data라고 뜨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Flutter 초입문 왕초보편
102강 에뮬레이터에 지도가 안 나옵니다
지도가 안 나와서 wipe data 를 했는데도 안 나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실시간 채팅 with React]
SignUp 의 index.tsx질문
setting/ts 를 복사해 사용중 이고, pages/SignUp/index.tsx는 기존 repository 를 복사해서 사용하는게 맞나요? run dev 실행시 ERROR in ./pages/Login/index.tsx:10:24 TS2339: Property 'revalidate' does not exist on type 'SWRResponse<any, any, any>'. 8 | 9 | const LogIn = () => { > 10 | const { data, error, revalidate, mutate } = useSWR('/api/users', fetcher); | ^^^^^^^^^^ 11 | 12 | const [logInError, setLogInError] = useState(false); 13 | const [email, onChangeEmail] = useInput(''); ERROR in ./pages/Login/index.tsx:16:6 TS7006: Parameter 'e' implicitly has an 'any' type. 14 | const [password, onChangePassword] = useInput(''); 15 | const onSubmit = useCallback( > 16 | (e) => { | ^ 17 | e.preventDefault(); 18 | setLogInError(false); 19 | axios ERROR in ./pages/SignUp/index.tsx:10:24 TS2339: Property 'revalidate' does not exist on type 'SWRResponse<any, any, any>'. 8 | 9 | const SignUp = () => { > 10 | const { data, error, revalidate } = useSWR('/api/users', fetcher); | ^^^^^^^^^^ 11 | 12 | const [email, onChangeEmail] = useInput(''); 13 | const [nickname, onChangeNickname] = useInput(''); ^ 에러 로그 가 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