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Options -Xverify:none and -noverify were deprecated in JDK 13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Options -Xverify:none and -noverify were deprecated in JDK 13 and will likely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이러한 오류가 뜨는데, 실행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이 오류를 고쳐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고쳐야할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실무에서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많이 사용하나요?
실무에서 DB방언을 상속받아 사용자 정의 함수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전 재고 관리 강의와 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쿠폰 생성 발급 로직도컬럼에 쿠폰의 개수를 지정해놓으면이전 강의랑 똑같은 거 같은데왜 이번 강의는 쿠폰 엔티티를 새로 생성해서 그 개수를 체크하는 건지 궁금합니다.이전 컬럼에 개수를 두어 관리하는 거랑지금처럼 엔티티를 생성하는 방식의 차이점이 너무 궁금해요 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쿠폰 카운트를 Redis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만약 Redis에 장애가 발생한다면 2차 장치로 DB Count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걸까요?실무에선 어떻게 대응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PA 최적화 강의 수강 후, 개인 프로젝트 수행하면서 생긴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JPA 최적화 강의를 수강하고, 개인적으로 DDD를 책으로 공부해본 후에 개인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뜻밖에 의문이 생겼는데 여쭐 곳이 없어서 이렇게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맨 땅에 헤딩으로 이런저런 강의, 책, 다른 분들의 소스를 참고 하려다보니 여러 개념이 뒤섞여서 혼동이 옵니다.. ㅠㅠ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크게 에그리거트를 CUSTOMER, EXTERNAL, SECURITYMEDIA 3개로 나누어 설계했는데요. 강의에서도, 책에서도 DOMAIN 계층에 있는 서비스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순수한 CRUD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DDD 책에서는 여러 에그리거트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구현할 때는 도메인 서비스로 구현하라고 이야기 했구요.처음에는 책에서 조언하는 대로 도메인 서비스로 구현해보고자 하다가, 좀처럼 구현이 안되어서 다른 분들이 구현한 소스를 참조하다 보니 application(응용)영역을 FACADE라는 상위 계층을 두는 것을 방식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스를 따라가보니 각 애그리거트의 DOMAIN 영역에 있는 서비스를 주입하여, 각 도메인 영역에 있는 서비스를 적절히 호출하기에 책에서 본 도메인 서비스와 같은 역할을 하겠구나 하여,, 해당 프로젝트 구성 방식을 따라 개발해보기로 했습니다.그런데 개발을 하다보니,, 참조하는 소스에서 메소드 단위의 트랜잭션의 적용을 facade 영역이 아닌, 도메인 영역의 서비스 구현체에서 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개발하고자 기능은 여러 애그리거트를 생성, 변경하는 하나의 행위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여야 하는데 말이죠.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재 소스는 FACADE에서는 하나의 도메인 영역의 서비스를 주입하여 하나의 메소드를 호출하도록 되어있고, 도메인 영역에 있는 해당 서비스의 구현체에서 여러 애그리거트의 서비스, 레포지토리를 주입받아 하나의 메소드에서 트랜잭션 단위로 수행하도록 구현되어있습니다..@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ecurityMediaFacade { private final SecurityMediaService securityMediaService; public SecurityMediaInfo.Main registerOtp(SecurityMediaCommand.RegisterSecurityMediaRequest req) { //디지털otp 발급 // 디지털 otp 발행 return securityMediaService.issueSecurityMedia(req, SecurityMediaType.DIGITAL_OTP); } ... }public interface SecurityMediaService { public SecurityMediaInfo.Main issueSecurityMedia(SecurityMediaCommand.RegisterSecurityMediaRequest req, SecurityMediaType type); ... }@Slf4j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ecurityMediaServiceImpl implements SecurityMediaService { private final CustomerReader customerReader; private final SecurityMediaStore securityMediaStore; private final TokenStore tokenStore; private final ExternalClientService externalClientService; @Override @Transactional public SecurityMediaInfo.Main issueSecurityMedia(SecurityMediaCommand.RegisterSecurityMediaRequest req, SecurityMediaType type) { // 요청고객 찾기 Customer customer = customerReader.findCustomerByRnn(req.getRnn()); SecurityMedia newOtp = null; if(!customer.existActiveSecurityMedia()) { // otp 신규 SecurityMedia initOtp = req.toEntity(SecurityMediaType.DIGITAL_OTP, customer); newOtp = securityMediaStore.store(initOtp); // 토큰 발급 요청 Token newToken = externalClientService.getToken(customer, newOtp); newOtp.addToken(newToken); tokenStore.store(newToken); } return new SecurityMediaInfo.Main(newOtp); }위에는 프로젝트의 구성인데..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운 것도 같아서 시작 단계인 지금에서라도 좀 개선을 해보려고 하는데요.사실 도메인 서비스가 제가 의도로 하는 여러 애그리거트의 서비스 기능을 묶어서 하는 건지 아무리 읽어봐도 혼선이 옵니다. 혹시 DDD 책에서 이벤트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도메인 서비스가 아니라, 이 이벤트를 통해 다른 애그리거트의 응용 서비스를 호출하도록 핸들링 하는게 올바른 방법일까요?지금과 같은 구조를 유지해도 된다면.. facade 영역의 메소드를 트랜잭션으로 묶고, 각 도메인 계층의 서비스들에서 선언된 해당 도메인에 대한 crud 메소드를 적절히 호출해가면서 facade 영역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해도 될까요? 너무 글이 장황하고 기네요.. ㅠㅠ 혹시 도움을 주신다면 너무나도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객체가 스스로의 리스트를 가지고, 양방향 매핑을 해도 될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악! 스프링 웹 개발은 즐거워! 김영한 선생님 질문있습니다.선생님의 두 로드맵을 거의 다 듣고 그를 바탕으로 포폴용 게시판을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와중 댓글과 대댓글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Comment라는 객체를 만들고 객체의 타입을 Comment와 reply로 나누었습니다. 특정 게시판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올 때 댓글과 대댓글을 편리하게 불러오기 위해 타입이 Comment인 객체가 reply에 해당하는 객체를 리스트로 갖도록 설계했습니다. 이후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는데 fetch join을 통한 데이터 로드는 문제 없이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이러한 설계 방식이 올바른지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 해결할 수 없어서 글 남깁니다. 아래는 코드와 테스트 코드 및 실행 결과이고, 마지막에 질문이 있습니다.package toy.board.domain.post;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jakarta.validation.constraints.NotNull;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lombok.AccessLevel;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qualsAndHashCod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util.StringUtils; import toy.board.domain.BaseDeleteEntity; import toy.board.domain.user.Member;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All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Comment extends BaseDeleteEntity { public static final int CONTENT_LENGTH = 1000;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comment_id", nullable = false) private Long id; @Column(name = "content", nullable = false, length = CONTENT_LENGTH) private String content; @Column(name = "type", 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CommentType typ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ost_id", 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Post pos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parent") private List<Comment> replies = new ArrayLis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arent_comment_id", updatable = false) private Comment parent; /** * 양방향 관계인 Member와 Post에 대해 자동으로 양방향 매핑을 수행한다. */ public Comment( @NotNull final Post post, @NotNull final Member member, @NotNull final String content, @NotNull final CommentType type ) { this.post = post; this.member = member; this.content = content; this.type = type; } public boolean update(final String content) { if (!StringUtils.hasText(content)) { return false; } this.content = content; return true; } public void leaveReply(Comment reply) { if (areTypesCorrectThisAnd(reply))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주어진 댓글과 대댓글의 타입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 if (hasComment(reply))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대댓글이 이미 다른 댓글에 포섭되어 있습니다."); } if (isNew(reply))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댓글이 이미 해당 대댓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this.replies.add(reply); reply.parent = this; } private boolean isNew(Comment reply) { return this.replies.contains(reply); } private static boolean hasComment(Comment reply) { return reply.parent != null; } private boolean areTypesCorrectThisAnd(Comment reply) { return this.type != CommentType.COMMENT || reply.type != CommentType.REPLY; } } @Transactional @DisplayName("comment가 List<comment>를 갖고, fetch join으로 가져올 수 있는가?") @Test public void comment_has_comments_fetch_join()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Member.builder( "member", new Login("password"), Profile.builder("nickname").build(), LoginType.LOCAL_LOGIN, UserRole.USER ).build(); em.persist(member); Post post = new Post(member, "title", "content"); em.persist(post); Comment comment = new Comment(post, member, "comment", CommentType.COMMENT); em.persist(comment); for (int i = 0; i < 5; i++) { Comment reply = new Comment(post, member, "reply" + String.valueOf(i), CommentType.REPLY); comment.leaveReply(reply); em.persist(reply); } em.flush(); em.clear(); //when QComment reply = new QComment("reply"); List<Comment> findComments = queryFactory .selectFrom(QComment.comment) .leftJoin(QComment.comment.replies, reply).fetchJoin() .where( QComment.comment.post.id.eq(post.getId()), QComment.comment.type.eq(CommentType.COMMENT) ) .fetch(); System.out.println("============================================="); for (Comment findComment : findComments) { System.out.println("findComment.getId() = " + findComment.getId()); System.out.println("findComment.getContent() = " + findComment.getContent()); } //then Comment findComment = findComments.get(0); for (Comment findReply : findComment.getReplies()) { System.out.println("findReply content = " + findReply.getContent()); } }[테스트 실행 시 create query]create table comment ( is_deleted boolean default false not null, type tinyint not null check (type between 0 and 1), comment_id bigint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 created_date timestamp(6), deleted_date timestamp(6), last_modified_date timestamp(6), member_id bigint not null, parent_comment_id bigint, post_id bigint not null, content varchar(1000) not null, created_by varchar(255), last_modified_by varchar(255), primary key (comment_id) )[테스트 실행 결과] select c1_0.comment_id, c1_0.content, c1_0.created_by, c1_0.created_date, c1_0.deleted_date, c1_0.is_deleted, c1_0.last_modified_by, c1_0.last_modified_date, c1_0.member_id, c1_0.parent_comment_id, c1_0.post_id, r1_0.parent_comment_id, r1_0.comment_id, r1_0.content, r1_0.created_by, r1_0.created_date, r1_0.deleted_date, r1_0.is_deleted, r1_0.last_modified_by, r1_0.last_modified_date, r1_0.member_id, r1_0.post_id, r1_0.type, c1_0.type from comment c1_0 left join comment r1_0 on c1_0.comment_id=r1_0.parent_comment_id where c1_0.post_id=? and c1_0.type=?=====================findComment.getId() = 1findComment.getContent() = commentfindReply content = reply0findReply content = reply1findReply content = reply2findReply content = reply3findReply content = reply4 [질문]제가 궁금한 것을 자세히 말하자면,테이블이 만들어질 때, comment 테이블의 특정 row(대댓글인 컬럼)가 해당 테이블의 다른 row(댓글인 row)의 PK값을 FK로 갖는데, 댓글에 해당하는 row는 객체가 생성되고 DB에 저장될 때 해당 컬럼에 null이 저장됩니다. 이는 Comment 객체의 ID에 @GenerateValue 설정을 주어서 그렇습니다. 위의 상황은 실무에서 사용할만큼 적절한가요? 아니라면 대안이 있을까요?jpa와 관련된 질문을 읽다보니, 다대일 관계에서 left join fetch의 경우 where문의 결과에 따라 데이터 일관성의 오류가 나타날 수 있다는 답변이 있었습니다.(해당 글: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5876/fetch-join-%EC%8B%9C-%EB%B3%84%EC%B9%AD%EA%B4%80%EB%A0%A8-%EC%A7%88%EB%AC%B8%EC%9E%85%EB%8B%88%EB%8B%A4) 제가 작성한 테스트 코드의 쿼리문은 일대다 관계에서 일에 해당하는 엔티티에 별칭을 주어 where문을 적용한 것이므로 일관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이 옳은 생각인가요? 마지막으로 쿼리의 복잡도와 쿼리 개수는 trade off 관점에서, 특정 게시물에 관한 데이터를 반환해야 하는 api 요청이 들어왔을 때, 게시물과 댓글 엔티티가 단방향 관계일 경우 게시물에 관한 데이터와 댓글 및 대댓글에 관한 데이터를 각각의 저장소를 통해 가져오는 것이 좋을까요 혹은 쿼리가 다소 복잡해지더라도 한 번에 가져오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단방향 관계를 양방향으로 만드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까요? 혼자 공부하니 올바른 방식을 찾는게 참으로 어려운 것 같습니다.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좋아요나 조회수 등 동시성 처리 질문입니다.
사용자가 많지 않고 일반 커뮤니티 같은 경우에는 좋아요 개수가 많이 몰릴 일이 없다고 생각해서 PessimisticLock을 적용하려고 합니다. 제가 생각했을 땐 인스타나 그런 대규모 사이트의 좋아요는 PessimisticLock을 적용하면 성능 저하가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생각합니다. -> 레디스 사용이 베스트토이프로젝트 규모의 SNS는 PessimisticLock으로 구현하는게 비용도 들지 않고 데이터 정합성이 보장된다고 판단했습니다.혹시 제가 틀린 거나 더 나은 방법이 있을까요?항상 감사합니다! 아 추가로 newFixedThreadPool은 왜 32로 설정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fetch join alias
fetch join 시 alias를 사용해서 필터링하는게 왜 안되는걸까요?이거에 대한 답변으로 디비상태와 객체상태의 일관성이 깨지게 됨을 보통 얘기하시는것같아요alias를 사용해서 필터링해버리면 실제 디비에 있는 데이터보다 적은 개수가 나오게 되니까요.근데 어차피 그 필터링된 결과만을 결과로 리턴해주어야한다면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은데디비상태와 객체상태의 일관성이 깨지는게 왜 문제가될까요?그래서 생각을 해봤는데 크게 다음인것같아요- 유지관리어려울 수 있음- 캐싱문제근데 저 두 문제가 정말 큰 문제가 되는지를 잘 모르겠어요...;유지관리 어려울수야 있겠지만 그렇게 까지 어려울지도 잘 모르겠고, 캐싱문제(쿼리결과캐싱)도 저 코드에 의해 영향이 얼마나 많이 갈지..도 잘 모르겠어요저 유지관리/캐싱 문제가 아니라.. 2차캐시때문인가요?예를들어서team과 member가 일대다 연관이고team을 select해온다는 sql이 있다고 가정1. fetch join + on 절 : 디비에 있는 일부 데이터 불러옴2. fetch join 만있어서 디비에있는 모든 데이터 불러옴하나의 트랜잭션에서 1호출 뒤에 2를 호출하면디비에 쿼리를 날리긴하지만 이미 team_id에 해당하는 객체가 영속성 컨텍스트에있어서 가져온거버림그래서 추후에 문제가생길 수 있음--- 인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용 데이터 추가하기 질문
테스트용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코드를 만들었습니다.@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estDataInit { private final ItemService itemService;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 테스트용 데이터 추가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itemService.saveItem(new Book("김영한","츨핀시한빛")); itemService.saveItem(new Book("호날두","출판사멩구")); //오류 발생// itemRepository.save(new Book("a","출판사a")); itemRepository.save(new Book("b","출판사b")); } }한번은 itemService를 이용하여 값을 넣었고 다른 한번은 itemRepository를 이용하여 값을 넣었습니다.제 단순한 생각으로는 '어차피 itemService는 itemRepository에 바로 위임을하니 바로 itemRepository로 저장하자' 여서 실행했더니localhost에서 연결을 거부했습니다. 오류가 나왔습니다.<질문>왜 itemRepository로 저장하면 안되고 itemService로만 저장해야 데이터가 추가되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사용자 이름 수정에서 막힙니다
강의 코드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지는 않고 기존에 알고 있던 내용이랑 합쳐서 코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Controller@PutMapping("/user") public void updateUserName(@RequestBody UpdateUserDto updateDto) { userService.updateUserName(updateDto.getId(), updateDto.getName()); }Dtopublic class UpdateUserDto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Repository@Override public void updateUserName(long id, String name) { String sql = "update user set name = ? where id = ?"; jdbcTemplate.update(sql, name, id); }Service@Override public void updateUserName(long id, String name) { userRepository.updateUserName(id, name); } 수정을 눌렀을 때 name은 정상적으로 값이 넘어오는데 id가 계속 0으로 넘어옵니다,,등록 시에는 DB에 id가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ssertions 메서드 인자 순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 강의에서 assertEquals(A, B), assertThat(A).isEqualTo(B)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두가지 메서드 모두 A와 B의 순서가 크게 중요하지 않아보이는데 그런가요?다르다면, 첫번째 메서드는 member를 앞에 넣으시고, 뒤에 메서드는 member1을 뒤에 넣으셨는데, 메서드를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junit 문서를 찾아보아도 그런 설명이 없네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통합 테스트 코드 - 회원가입() 메서드 에러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6:47초에 실행하시는 통합테스트 코드 - 회원가입() 메서드 실행에서 에러가 납니다.. 에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could not prepare statement [Column "M1_0.USERNAME" not found; SQL statement:select m1_0.id,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username=? [42122-214]] [select m1_0.id,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username=?]org.hibernate.exception.SQLGrammarException: could not prepare statement [Column "M1_0.USERNAME" not found; SQL statement:select m1_0.id,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username=? [42122-214]] [select m1_0.id,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username=?] at app//org.hibernate.exception.internal.SQLExceptionTypeDelegate.convert(SQLExceptionTypeDelegate.java:64) at app//org.hibernate.exception.internal.StandardSQLExceptionConverter.convert(StandardSQLExceptionConverter.java:56) at app//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convert(SqlExceptionHelper.java:108) at app//org.hibernate.engine.jdbc.internal.StatementPreparerImpl$StatementPreparationTemplate.prepareStatement(StatementPreparerImpl.java:187) at app//org.hibernate.engine.jdbc.internal.StatementPreparerImpl.prepareStatement(StatementPreparerImpl.java:76) at app//org.hibernate.sql.exec.internal.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lambda$list$0(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java:102) at app//org.hibernate.sql.results.jdbc.internal.DeferredResultSetAccess.executeQuery(DeferredResultSetAccess.java:226) at app//org.hibernate.sql.results.jdbc.internal.DeferredResultSetAccess.getResultSet(DeferredResultSetAccess.java:163) at app//org.hibernate.sql.results.jdbc.internal.JdbcValuesResultSetImpl.advanceNext(JdbcValuesResultSetImpl.java:254) at app//org.hibernate.sql.results.jdbc.internal.JdbcValuesResultSetImpl.processNext(JdbcValuesResultSetImpl.java:134) at app//org.hibernate.sql.results.jdbc.internal.AbstractJdbcValues.next(AbstractJdbcValues.java:19) at app//org.hibernate.sql.results.internal.RowProcessingStateStandardImpl.next(RowProcessingStateStandardImpl.java:66) at app//org.hibernate.sql.results.spi.ListResultsConsumer.consume(ListResultsConsumer.java:198) at app//org.hibernate.sql.results.spi.ListResultsConsumer.consume(ListResultsConsumer.java:33) at app//org.hibernate.sql.exec.internal.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doExecuteQuery(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java:361) at app//org.hibernate.sql.exec.internal.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executeQuery(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java:168) at app//org.hibernate.sql.exec.internal.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list(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java:93) at app//org.hibernate.sql.exec.spi.JdbcSelectExecutor.list(JdbcSelectExecutor.java:31) at app//org.hibernate.query.sqm.internal.ConcreteSqmSelectQueryPlan.lambda$new$0(ConcreteSqmSelectQueryPlan.java:110) at app//org.hibernate.query.sqm.internal.ConcreteSqmSelectQueryPlan.withCacheableSqmInterpretation(ConcreteSqmSelectQueryPlan.java:303) at app//org.hibernate.query.sqm.internal.ConcreteSqmSelectQueryPlan.performList(ConcreteSqmSelectQueryPlan.java:244) at app//org.hibernate.query.sqm.internal.QuerySqmImpl.doList(QuerySqmImpl.java:518) at app//org.hibernate.query.spi.AbstractSelectionQuery.list(AbstractSelectionQuery.java:367) at app//org.hibernate.query.Query.getResultList(Query.java:119) at app//hello.hellospring.repository.JpaMemberRepository.findByName(JpaMemberRepository.java:33) at app//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validateDuplicateMember(MemberService.java:33) at app//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join(MemberService.java:27)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17.0.4.1/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app//org.springframework.aop.support.AopUtils.invokeJoinpointUsingReflection(AopUtils.java:343) at app//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invokeJoinpoint(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96) at app//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proceed(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63) at app//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CglibMethodInvocation.proceed(CglibAopProxy.java:756) at app//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Interceptor$1.proceedWithInvocation(TransactionInterceptor.java:123) at app//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AspectSupport.invokeWithinTransaction(TransactionAspectSupport.java:391) at app//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nsactionInterceptor.invoke(TransactionInterceptor.java:119) at app//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ReflectiveMethodInvocation.proceed(ReflectiveMethodInvocation.java:184) at app//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CglibMethodInvocation.proceed(CglibAopProxy.java:756) at app//org.springframework.aop.framework.CglibAopProxy$DynamicAdvisedInterceptor.intercept(CglibAopProxy.java:708) at app//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SpringCGLIB$$0.join(<generated>) at app//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IntegrationTest.회원가입(MemberServiceIntegrationTest.java:28)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17.0.4.1/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app//org.junit.platform.commons.util.ReflectionUtils.invokeMethod(ReflectionUtils.java:727)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MethodInvocation.proceed(MethodInvocation.java:60)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Validating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31)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imeoutExtension.java:156)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ableMethod(TimeoutExtension.java:147)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Method(TimeoutExtension.java:86)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terceptingExecutableInvoker$ReflectiveInterceptorCall.lambda$ofVoidMethod$0(InterceptingExecutableInvoker.java:103)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terceptingExecutableInvoker.lambda$invoke$0(InterceptingExecutableInvoker.java:93)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tercepted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06)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64)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chainAnd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45)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37)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terceptingExecutableInvoker.invoke(InterceptingExecutableInvoker.java:92) at app//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terceptingExecutableInvoker.invoke(InterceptingExecutableInvoker.java:86) at app//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lambda$invokeTestMethod$7(TestMethodTestDescriptor.java:217)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app//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invokeTestMethod(TestMethodTestDescriptor.java:213) at app//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138) at app//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68)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java.base@17.0.4.1/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java.base@17.0.4.1/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submit(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5)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xecutor.execute(HierarchicalTestExecutor.java:57) at app//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ngine.execute(HierarchicalTestEngine.java:54)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107)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88)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lambda$execute$0(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4)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withInterceptedStreams(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67)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2)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114)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86) at app//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Session$Delegating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Session.java:86)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processAllTestClasses(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110)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access$000(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90)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stop(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85)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SuiteTestClassProcessor.stop(SuiteTestClassProcessor.java:62)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17.0.4.1/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17.0.4.1/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36)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24) at org.gradle.internal.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java:33) at org.gradle.internal.dispatch.ProxyDispatchAdapter$DispatchingInvocationHandler.invoke(ProxyDispatchAdapter.java:94) at jdk.proxy1/jdk.proxy1.$Proxy2.stop(Unknown Source)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3.run(TestWorker.java:193)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AndMaintainThreadName(TestWorker.java:12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100)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60)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ActionExecutionWorker.execute(ActionExecutionWorker.java:56)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113)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65)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run(GradleWorkerMain.java:69)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main(GradleWorkerMain.java:74)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Column "M1_0.USERNAME" not found; SQL statement:select m1_0.id,m1_0.user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username=? [42122-220]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514)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89)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223)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199) at org.h2.expression.ExpressionColumn.getColumnException(ExpressionColumn.java:244) at org.h2.expression.ExpressionColumn.optimizeOther(ExpressionColumn.java:226) at org.h2.expression.ExpressionColumn.optimize(ExpressionColumn.java:213) at org.h2.command.query.Select.prepareExpressions(Select.java:1170) at org.h2.command.query.Query.prepare(Query.java:218) at org.h2.command.Parser.prepareCommand(Parser.java:583) at org.h2.engine.SessionLocal.prepareLocal(SessionLocal.java:634) at org.h2.server.TcpServerThread.process(TcpServerThread.java:288) at org.h2.server.TcpServerThread.run(TcpServerThread.java:191)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3) at app//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502) at app//org.h2.engine.SessionRemote.readException(SessionRemote.java:637) at app//org.h2.engine.SessionRemote.done(SessionRemote.java:606) at app//org.h2.command.CommandRemote.prepare(CommandRemote.java:78) at app//org.h2.command.CommandRemote.<init>(CommandRemote.java:50) at app//org.h2.engine.SessionRemote.prepareCommand(SessionRemote.java:480) at app//org.h2.jdbc.JdbcConnection.prepareCommand(JdbcConnection.java:1116) at app//org.h2.jdbc.JdbcPreparedStatement.<init>(JdbcPreparedStatement.java:92) at app//org.h2.jdbc.JdbcConnection.prepareStatement(JdbcConnection.java:288) at app//com.zaxxer.hikari.pool.ProxyConnection.prepareStatement(ProxyConnection.java:327) at app//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prepareStatement(HikariProxyConnection.java) at app//org.hibernate.engine.jdbc.internal.StatementPreparerImpl$1.doPrepare(StatementPreparerImpl.java:91) at app//org.hibernate.engine.jdbc.internal.StatementPreparerImpl$StatementPreparationTemplate.prepareStatement(StatementPreparerImpl.java:177) ... 123 more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MemberServiceIntegrationTest > ȸ������() FAILED org.hibernate.exception.SQLGrammarException at MemberServiceIntegrationTest.java:28 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at MemberServiceIntegrationTest.java:282023-08-20T14:08:26.076+09:00 INFO 17356 --- [ionShutdownHook]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2023-08-20T14:08:26.079+09:00 INFO 17356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initiated...2023-08-20T14:08:26.109+09:00 INFO 17356 --- [ionShutdownHook]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hutdown completed.1 test completed, 1 failed> Task :test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C:/Users/man25/OneDrive/����%20ȭ��/������%20����/hello-spring/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22s4 actionable tasks: 1 executed, 3 up-to-date 아래 사진은 application.properties 디렉터리의 코드입니다. 아래 사진은 SpringConfig 클래스의 코드입니다. 해결 방법을 모르겠네요ㅠㅠㅠ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등록 시 질문
등록 id가 1번과 2번이 있었다가 2번을 삭제하고 다시 등록을 하면 id가 3번으로 등록이 됩니다. 제가 잘못한 걸까요..?? 아니면 혹시 원래 이렇게 돌아가도록 설정하신건가요??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진짜 객체지향과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를 위헤서는 jpa가 의미없는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어요
이전에 혼자 ddd,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공부하면서 느꼈던게객체지향적인 코드 + 테스트하기 용이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결국 domain layer와 persistence layer의 분리가 필수적인데jpa entity와 domain entity를 완전히 분리했을 때 JPA가 mybatis나 jdbc template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해 가지는 강점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그나마 jpa entity와 domain entity를 분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든 온몸 비틀기로 그나마 테스트하기 용이하고 객체지향스러운 코드를 작성해볼 수는 있지만 결국 복잡한 로직에서는 쿼리 때문에 문제가 생기고 ㅜ지식 공유자님께서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동시성제어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궁금증이 생겼는데요. kafka는 메시지를 하나씩 처리하기 때문에 동시성 제어도 가능할 것이라고 이해했는데 그렇다면 여기서 레디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카프카만 사용해도 동시성과 관련된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할 수 있는건가요?
-
해결됨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c. Collection,Map 질문
Collection.Map의 Good 케이스를 알 수 있을까요?맵을 사용할 때 맵 안에 맵이 있고 이런 형태를 사용하지 않는게 좋은건지 아니면 따로 dto로 변환해서 사용해야하는건지 구분이 안 가서 질문 드립니다 ! 지정된 scope를 넘나들지 않는다는 것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ㅠㅠ조금만 더 쉽게 설명 붙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elect 쿼리없이 dto 만들지 않은 이유
강의에서는 아래와 같이 select 쿼리를 이용해 업데이트 된 회원을 조회후 response로 전달해 주었는데 @PutMapping("/api/v2/members/{id}") public UpdateMemberResponse updateMemberV2(@PathVariable("id") Long id, @RequestBody @Valid UpdateMemberRequest request) { memberService.update(id,request.getName());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One(id); return new UpdateMemberResponse(findMember.getId(), findMember.getName()); }아래와 같이 하지 않은 이유가 있을까요??@PutMapping("/api/v2/members/{id}") public UpdateMemberResponse updateMemberV2(@PathVariable("id") Long id, @RequestBody @Valid UpdateMemberRequest request) { memberService.update(id, request.getName()); return new UpdateMemberResponse(id, request.getName()); }
-
해결됨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구상클래스에서 인터페이스 변수를 선언한 이유가 혹시 다형성과 관련이 있나요?
클래스의 상속과 관련된 다형성은 부모객체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부모클래스의 메소드와 자식클래스 메소드 2가지를 업/다운캐스팅하여 자유롭게 호출할 수 있지만, 단일상속이라는 한계때문에 다른 부모클래스의 메소드는 호출할 수가 없잖아요? 그래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이유구요.마찬가지로,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다형성을 활용하여 인터페이스 객체(부모 객체)로 생성할 수는 있지만, 이것은 ISP(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원칙에 따라 detect(), report() 2개의 메소드를 호출하려면 Detectable, Reportable 객체 2개를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거구요. 따라서 구상클래스인 FactoryCam에서 인터페이스 변수를 직접 생성하고 setter함수로 필요한 인터페이스 변수를 주입한 다음(Dependency Injection) , 주입당한 객체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기 때문에(Reportable, Detectable) 동시에 기능이 다른 2가지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는거구요.(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과정을 이해하였지만 말로 풀어내니까 굉장히 장황하군요 사실 이 부분은 인터페이스 문법이라기보다는 디자인 패턴과 관련이 있지 않나싶습니다.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JAVA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방향 그래프 무방향 그래프에 따라서 자료구조에 자료를 저장하는 방법이 다르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 문제에서는 방향그래프 아닌가요??간선,엣지들을 보면 모두 방향이 있는 거 같은데, 왜 무방향그래프를 저장할 때처럼 arraylist에 값을 저장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순수 자바 테스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 내에서 스프링 없이 테스트 코드를 짜는 것이 좋다고 하신 것을 보고 실제로 테스트 코드는 스프링을 의존하지 않고 짜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해졌습니다.실제로 강의에서 작성하는 내용 중에, 어느 부분이 스프링에 의존해서 테스트를 한 것인지, 또한 그러한 스프링 의존 테스트를 순수 자바 기반의 테스트로 바꾸며 어떤 식으로 나오게 될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