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문법 관련 질문입니다!
${} 문법 사용 시 프로퍼티 접근법에 의해서 데이터 조회 시에는 getId()가, 저장할 때는 setId()가 자동으로 호출된다고 하셨는데 그럼 ${member.id} 를 작성했을 때 member.setId()를 호출하려면 어떤 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서버를 늘린다는 것이
1. 서버를 늘린다는 말이, 쓰레드를 늘릴 수 있게 서버의 성능을 올리거나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들을 추가하는 건가요? 1-1. 그렇다면 서버의 성능을 올릴 때 제가 사용하던 서버의 컴퓨터 메모리, cpu 들을 올린다는 의미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onnection is closed 에러발생(해결)
안녕하세요 강사님! 덕분에 수업 잘 듣고있습니다. 스프링 통합 테스트 강의에서, 테스트 코드의 join함수를 실행시켰더니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java.sql.SQLException: Connection is closed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원인파악을 위해 join함수 처음부터 천천히 디버깅을 시도했는데, JdbcMemberRepository 클래스의 save함수에서 try 구문의 conn을 할당받는 첫번째 pstmt변수에서 IllegalStateException을 발생시켰습니다. 어떤 원인으로 에러가 발생했으며,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아래에 제가 작성한 오류와 연관된 코드들과 에러메시지 첨부합니다. *close함수에서 conn.close()를 close(conn)으로 수정했더니 해결됐습니다. [테스트코드] [JdbcMemberRepository 클래스] [MemberService 클래스] [에러메시지]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Repository와 Service의 이해
안녕하세요! 강의를 다시 보다보니 제대로 이해한건지 확실히 하고 넘어가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Repository에서 interface로 선언한 것은 각 기능별로 저장할 때 어떤 타입? 으로 저장할지(list 등) 이며 이를 가지고 class에서 implements를 하여 실제 구현체를 만드는데 각 기능별로 저장한 값을 어떻게 반환할지 단순히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기능 Service에서는 앞서 Repository와 Domain에서 정한 것을 가지고 실제로 동작하는 기능(조건이 있다면 조건 로직, 검증을 해야한다면 검증 로직 포함)을 작성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실제 구현 할 때 Service 부분을이 아무래도 비즈니스 로직이다보니 해당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면 전반적인 작동에도 문제가 생기겠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8080포트 사용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imeTraceAop를 SpringConfig에 Bean으로 등록시 에러
[SpringConfig] [TimeTraceAop] [ERROR] 어떤문제인지 잘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서비스 계층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넣은 이유?
안녕하세요, 몇 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2:10 )서비스 계층에서 로그인 체크 비즈니스 로직을 사용한 이유가 있을까요?? 2. (8:10) 글로벌 오류로 처리하고 다시 폼으로 돌려보냈는데, 그렇다면 예외 처리는 어떤 경우에 써야하는 것인가요?? 항상 답변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 build 관련 오류 질문 드립니다(TestSuiteExecutionException)
질문용 파일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H7Jk68AinSPuCjEWiavLgFMpQtEuHdhT/view?usp=sharing gradle build를 실행할 때 계속 오류가 납니다. 우측의 Gradle Tab > (프로젝트명) > Tasks > build > build 실행jar 파일만 생성시킬 땐 무사히 만들어지는데 build 명령을 내릴 때는 test code 단계에서 계속 오류가 납니다. test code가 분명 있는데도 찾지를 못하네요. ClassNotFoundException 자주 하는 질문에 적어주신 방법은 다 시도해봤습니다. 1. IntelliJ IDEA로 test code 실행주체 바꾸기, 2. 설정이 java 11로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바꾸기(자주 하는 질문 매뉴얼(https://docs.google.com/document/d/1j0jcJ9EoXMGzwAA2H0b9TOvRtpwlxI5Dtn3sRtuXQas/edit#heading=h.f9xqb7l8nuph)에 적으신 대로 선택했습니다). 3. project close 한 다음에 build.gradle 파일을 open as project로 열어서 재실행하기 4. 혹시나 버전 호환성 문제일까 싶어서 원래는 2.6.4 버전이었는데 강의에서 나온 2.3.1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해서 재실험해봤거든요. 그런데도 똑같은 오류가 계속 뜨네요. 위의 파일 링크 안에도 포함되어있긴 하지만, 더 빨리 찾으시라고 아래에 error log 따로 적어봅니다.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TestSuiteExecutionException: Could not execute test class 'KYH.Elementary.ElementaryApplicationTests'.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Suite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SuiteTestClassProcessor.java:53) at java.base@11.0.14/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11.0.14/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62) at java.base@11.0.14/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11.0.14/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6)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36) at org.gradle.internal.dispatch.ReflectionDispatch.dispatch(ReflectionDispatch.java:24) at org.gradle.internal.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dispatch(ContextClassLoaderDispatch.java:33) at org.gradle.internal.dispatch.ProxyDispatchAdapter$DispatchingInvocationHandler.invoke(ProxyDispatchAdapter.java:94) at com.sun.proxy.$Proxy2.processTestClass(Unknown Source)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2.run(TestWorker.java:176)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AndMaintainThreadName(TestWorker.java:12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100)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worker.TestWorker.execute(TestWorker.java:60)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ActionExecutionWorker.execute(ActionExecutionWorker.java:56)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133) at 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child.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call(SystemApplicationClassLoaderWorker.java:71)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run(GradleWorkerMain.java:69) at app//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main(GradleWorkerMain.java:74) Caused by: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KYH.Elementary.ElementaryApplicationTests 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68) 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41)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loadClass(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112)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access$100(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54)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execute(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8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CollectAllTestClassesExecutor.execute(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79)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AbstractJUnit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AbstractJUnitTestClassProcessor.java:62)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SuiteTestClassProcessor.processTestClass(SuiteTestClassProcessor.java:51) ... 18 more 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KYH.Elementary.ElementaryApplicationTests at java.base/jdk.internal.loader.BuiltinClassLoader.loadClass(BuiltinClassLoader.java:581) at java.base/jdk.internal.loader.ClassLoaders$App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s.java:178) at java.base/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521)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0(Native Method)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Class.java:398) at org.gradle.api.internal.tasks.testing.junitplatform.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loadClass(JUnitPlatformTestClassProcessor.java:110)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HandlerMethod로 다운캐스팅하는데서 궁금증이 있습니다.
스프링1 강의에서 핸들러 매핑시 스프링은 어노테이션기반의 컨트롤러를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타입으로 등록한다고 배운것 같습니다. 인터셉터의 preHandle이 어뎁터를 실행시키기 전에 실행된다면, 매개변수인 Object handler가 RequestMappingHandler관련타입으로 등록되어있을것이라 생각했는데... HandlerMethod타입으로 등록되어있다 하셔서 제가 무엇을 놓친것인지 궁금합니다. RequestMappingHandlerAdapter에도 handle 메서드에 HandlerMethod를 파라미터로 받고있는것으로 보면.. 스프링이 어노테이션 기반 컨트롤러를RequestMappingHandlerMapping에 등록할때부터 HandlerMethod타입으로 변환해서 올려준다고 생각하면 맞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경로?
안녕하세요 1. 요청에 매핑할 때 @GetMapping(/text-basic) 으로 하든 @GetMapping(text-basic) 으로 하든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인가요? 2. 뷰를 리턴할 때 return /basic/text-basic으로 하든 return basic/text-basic으로 하든 상관이 없나요?? 실수로 /를 빼고 실행을 했는데도 제대로 실행이 되길래 맨 앞에 /를 빼거나 넣어봤는데 코드가 문제없이 실행이 되길래 질문드립니다. 항상 답변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questParam & ModelAttribute
안녕하세요 김영한 개발자님! 강의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RequestParam과 @ModelAttribute 파트를 듣고 살짝 헷갈리는게 있어서 질문글 남겨요 @RequestParam은 만약 url을 localhost:8080/?username=inflearn&age=20 이라고 보냈을 때 @RequestParam String username, @RequsetParam int age 에 각각 inflearn, 20이 바인딩 되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ModelAttribute는 객체에 setter, getter 역할을 대신해주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제가 제대로 이해한게 맞을까요? 제대로 이해한게 맞다면 저 두개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ㅜ 단순히 RequestParam은 int, string 같은 일반타입이고 ModelAttribute는 객체를 대상으로 하는건가요? 아니면 RequestParam을 더 편리하게 만든게 modelAttribute라고 이해하면 되는걸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localhost:8080/basic/hello-form.html 오류 발생한다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This application has no explicit mapping for /error, so you are seeing this as a fallback. There was an unexpected error (type=Not Found, status=404). 여러분 혹시 이런 오류가 나타난다면 @ServletComponentScan이 등록되어 있는 메인 클래스의 패키지 명이나 위치를 확인해보세요. 메인 클래스 경로가 최상위 위치어야만 내부 탐색이 정상 작동합니다. 특히 스프링 부트 스타터에서 프로젝트 생성 시 오타가 발생한 경우엔 간단한 실수인줄 모르고 저처럼 불필요한 삽질을 하게 됩니다. ㅠㅠ 질문) 패키지명 오타로 인한 서블릿 컴포넌트 스캔 오류 발생 -> 404 에러가 있었는데요. URL 파라미터와 RequestParamServlet 내부 객체가 일치하는 것과 서블릿 컴포넌트 스캔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길래 요청 리소스가 없다고 판단하게 된건지(404) 궁금합니다:) 요청 승인을 거부한 것이라면, 왜 자동으로 처리된건지도 궁금합니다:) 혹시 질문이 이상하다면 죄송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Error: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
검색을 해보아도 동일한 에러와 관련된 글이 거의 없습니다. 별다른 코드도 없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그리고 보니까 pc 내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똑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무슨 설정을 해야 해결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래의 에러는 IntelliJ 오른쪽 사이드 바에 있는 build 를 클릭했을 때 나는 에러입니다. build.gradle에 에러가 있는건지 뭔지 모르겠네요.참고로 settings : gradle -> IntelliJ 로 변경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책 추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영한강사님 로드맵을 따라가려고 합니다. jpa로드맵 말고, '스프링 완전정복' 로드맵을 따라가려고 합니다. 혹시 강의와 같이 볼만한 책을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윤재성의 만들면서 배우는 Spring MVC 5
질문입니다.
혼자 해결해보려다 답이 안나와서 질문드립니다.<c:forEach /> 사용하여 top_menu 의 게시판 링크를 작성하는 부분에서 ${topMenuList} 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게시판 이름별로 링크가 생성되지 않고 ,${obj.board_info_name} 만 화면에 출력됩니다.어느 부분에서 놓치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디스패처 서블릿의 생성과정에서 질문드립니다!
저번질문을 너무 두서없이 남겨서 하루동안 정리하고 다시 재작성합니다. 공부를 하면서 디스패처서블릿의 실행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는데 이 내용이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내장 WAS기준 Springboot 1. 스프링 부트 실행 -> 2. springApplication.run으로 WebapplicationContext가 생성 프로젝트의 ComponentScan이 일어난다. run내부적으로 비어있는 ApplicaitonContext를 생성하고 refresh를 통해서 스프링컨테이너(루트컨텍스트가 생성 여기서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도 마찬가지, mvc 구조에서 사용될 Converter나 리졸버 들을 @EnableautoConfiguer로 등록) -> 3. 서블릿 컨테이너 만들어지고(WAS) @EnableAutoConfiguation에 의해 -> 4. 서블릿 컨텍스트를 만든다(웹어플리케이션이 등록) -> 5. 서블릿 컨텍스트가 생성이 되고(톰켓 카타리나) -> 6. 서블릿 컨텍스트에 대한 초기화 작업이 시작된다 깡spring에서는 web.xml로 작업하던 것(Java코드로 설정하는 것 또한 지원)이 Java코드 작성으로 변경(ServeltContextInitializer의 OnStartup 메서드를 이용해서 리스너를 등록하고, 필터를 등록, ContextLoader의 서블릿 컨텍스트 생성 이벤트가 발생하고 ContextLoaderListener에 의해서 RootApplicationContext인 Spring IoC 컨테이너가 주입된다.) -> 7. 서블릿 컨텍스트에 대한 초기화및 생성 및 RootWebApplication( 프로젝트에서 생성한 스프링 컨테이너) 주입이 완료 되어 ServletContextListener contextInitialized 메서드 실행된다. -> 8. 나머지 설정인 WebMvcConfigurer에 대한 (Cors 라던지 ArgumentResolver 라던지) 자동설정 이외의 커스텀 값을 추가로 넣어준다 -> 9. 서버가 listen하기 시작 -> 10. 요청이 오면 dispatherServlet객체가 생성이 된다. ( => ? 그전에 webapplicationContext의 빈에 들어가 있는데 왜 지금 생성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11. 객체가 생성이 되면서 webapplicationContext에 있던 mvc설정 값들을 넣어주어 초기화를 시켜준다. 초기화 메서드는 initStrategies사용 이 과정이 맞는지 궁금해서 질문 작성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음 제가 궁금한걸 잘못 작성 한것 같습니다. 디스패처 서블릿 보다는 스프링부트든 스프링이든 서버에는 서블릿 객체들이 올라가고 사용자 정의로 작성한 applicationContext에 등록된 @controller나 @service 들이 서블릿컨테이너의 컨텍스트에 올라가는 것이라고 이해했는데 이 동작과정이 잘 와닿지 않아서 질문드렸습니다 추가적으로 이런 applicationContext등록 과정에서 컨텍스트를 따로 2개로 분리하여 작성하는 경우도 봐서 왜 그런지 굼금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th:xxx
안녕하세요, 18:49초에 " 타임리프 뷰 템플릿을 거치게 되면 원래 값을 th:xxx 값으로 변경한다. 만약 값이 없다면 새로 생성한다." 이 부분에서 만약 값이 없다면 새로 생성한다는 의미를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link href="../css/bootstrap.min.css" rel="stylesheet"> 처럼 되어있다면 자동으로 <link th:href="@{../css/bootstrap.min.css}" rel="stylesheet"> 이렇게 만들어준다는 건가요? 항상 답변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 table inset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MEMBERS 에 insert 하려고하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실행하고자 하는 코드 : insert into member(name) values("spring") 오류 코드 Column "spring" not found; SQL statement:insert into member(name) values("spring") [42122-200] 42S22/42122 (도움말)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Column "spring" not found; SQL statement:insert into member(name) values("spring") [42122-200]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53)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29)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205)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181) at org.h2.expression.ExpressionColumn.getColumnException(ExpressionColumn.java:163) at org.h2.expression.ExpressionColumn.optimize(ExpressionColumn.java:145) at org.h2.command.dml.Insert.prepare(Insert.java:327) at org.h2.command.Parser.prepareCommand(Parser.java:744) at org.h2.engine.Session.prepareLocal(Session.java:657) at org.h2.engine.Session.prepareCommand(Session.java:595) at org.h2.jdbc.JdbcConnection.prepareCommand(JdbcConnection.java:1235)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Internal(JdbcStatement.java:212)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JdbcStatement.java:201) at org.h2.server.web.WebApp.getResult(WebApp.java:1459) at org.h2.server.web.WebApp.query(WebApp.java:1116) at org.h2.server.web.WebApp$1.next(WebApp.java:1078) at org.h2.server.web.WebApp$1.next(WebApp.java:1065) at org.h2.server.web.WebThread.process(WebThread.java:178) at org.h2.server.web.WebThread.run(WebThread.java:94)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4) test.mv도 읽기전용이 아닌것을 확인했습니다. 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고.. insert가 안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글자수 제한 질문
강의 내용과는 조금 다른 부분이긴 한데 구글링을 어떤 키워드로 해야 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Been validation으로 글자수 제한할 때 띄어쓰기 제외할 수 있을까요? @Size(max = 5) 이렇게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5자 이하로 제한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러면 띄어쓰기 포함하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5자 제한임" - 이건 띄어쓰기 포함 6자인데 제외하면 5자라서 이것도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옵션이 있을까요?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mvc패턴을 사용한 예제를 볼 수 있는곳이 있나요?
공식문서에서는 SSR방식을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CSR을 사용하는 방식과, MVC패턴을 사용한, 사용하지 않은 코드를 보면서 차이를 보고 싶습니다 예제 사이트와 코드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