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트림릿(Streamlit)을 활용한 파이썬 웹앱 제작하기
'MBTI 대백과사전 웹앱 만들기' 강의 관련 불편 사항
동 강의 관련하여 네이버 클로바 스튜디오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회원 가입하고, naver cloud platform 콘솔에 들어가서 확인했으나, 강의 동영상과는 전혀 다른 아래 이미지와 같 화면이 보입니다.'MBTI 백과사전'은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으며, 아마도 네이버 클로바 X 출시 이후 동 사이트를 전면 개편한 것으로 보입니다.또한 바로 다음 강의인 'Naver Clova Studio API를 활용한 챗봇 서비스 만들기' 역시 네이버 클로바 스튜디오를 이용하며, 'MBTI 대백과사전 웹앱 만들기' 강의의 연장선 상에 있는 바 역시 학습 진행이 불가한 상황입니다.따라서 상기 2개 강의는 강의 자료와 동일한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보이는 바 솔루션이나 대안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해결됨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끝내는 스프링 테스트
JaCoCo 레포트 파일이 안생깁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노션에 있는 그대로 코드를 작성했는데 아무리 테스트가 끝나도jacoco 안에 파일이 안생깁니다. 그래서 terminal 에서 ./gradlew jacocoTestReport 를 했는데BUILD SUCCESSFUL 은 나오는데 파일이 안생기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디자인 시스템 with 피그마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너무 유익하고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궁금한게 있습니다. 타이포 강의를 듣던 중에,1.333배를 입력해서 전체 가이드를 가지고 기준이 되는 "디폴트"값을 정해놓고. 디폴트 값만 변경해도 다 맞춰서 변경되니까 이런 좋은 점은 알겠는데폰트가 12가 티폴트이면 +2pt 만큼 늘어난다 이런거는 안되나요?배수로 정해 놓으면 소수점으로 끝나는데 디자이너한테 이런 부분이 생소해서요!!! {디폴트}+2pt = xl 이런식은 불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그리고 소수점이 문제가 안되는지 궁금합니다(보통 다 디자이너는 1px 이 최소단위니까 궁금해요!_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코틀린 관련 질문!
강의에서 코틀린을 간간히 언급을 해주시는데, 실무에서는 코틀린을 사용중이신건지 궁금해서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코틀린을 사용하신다면, 어떤 상황에서는 자바를 사용하고, 어떤 상황에서는 코틀린을 사용하면 좋을지 추천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서 질문을 남겨봅니다! 강의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소셜로그인 정보가져오기
강사님 수업을 보면 정보를 다 가지고 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package com.example.oauth.config.OAuth2;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authority.SimpleGrantedAuthority;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public interface ProviderUser { String getId(); String getUserName(); String getPassword(); String getEmail(); String getProvider(); List<SimpleGrantedAuthority> getAuthorities(); Map<String, Object> getAttributes(); }package com.example.oauth.config.OAuth2;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authority.SimpleGrantedAuthority;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registration.ClientRegist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ore.user.OAuth2Us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UUID;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 여기는 공통적인 부분만 추상화해서 모아놓은 곳이다. // Google, Naver에서 다른 부분들은 따로 만들어줄 것이다. public abstract class OAuth2ProviderUser implements ProviderUser{ private Map<String, Object> attributes; private OAuth2User oAuth2User; private 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public OAuth2ProviderUser(Map<String, Object> attributes, OAuth2User 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 this.attributes = attributes; this.oAuth2User = oAuth2User; this.clientRegistration = clientRegistration; } @Override public String getPassword() { return UUID.randomUUID().toString(); } @Override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String) getAttributes().get("email"); } @Override public List<SimpleGrantedAuthority> getAuthorities() { return oAuth2User.getAuthorities().stream() .map(authority -> new SimpleGrantedAuthority(authority.getAuthority())) .collect(Collectors.toList()); } @Override public String getProvider() { return clientRegistration.getRegistrationId(); } @Override public Map<String, Object> getAttributes() { return attributes; } }package com.example.oauth.config.OAuth2;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registration.ClientRegist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ore.user.OAuth2User; import java.util.Map; public class NaverUser extends OAuth2ProviderUser{ public NaverUser(OAuth2User 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 super(( Map<String, Object>) oAuth2User.getAttributes().get("response"), 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 @Override public String getId() { return (String) getAttributes().get("id"); } @Override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String) getAttributes().get("name"); } }package com.example.oauth.config.OAuth2;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registration.ClientRegist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ore.user.OAuth2User; public class GoogleUser extends OAuth2ProviderUser{ public GoogleUser(OAuth2User 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 // 사용자의 정보는 oAuth2User.getAttributes() 여기에 담겨져 있다. // 여기는 클레임 형식 즉, Map 형식으로 되어 있다. super(oAuth2User.getAttributes(), 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 @Override // 식별자의 역할 public String getId() { return (String) getAttributes().get("sub"); } @Override // 유저 id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String) getAttributes().get("name"); } }package com.example.oauth.config.OAuth2; import com.example.oauth.repository.UserRepository; import com.example.oauth.service.Us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registration.ClientRegist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userinfo.DefaultOAuth2Us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userinfo.OAuth2User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userinfo.OAuth2Us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ore.OAuth2Authentication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ore.user.OAuth2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 OAuth2UserService : Spring Security에서 OAuth 2.0을 사용하여 인증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을 정의하고, // OAuth 2.0 프로바이더(예: Google, Facebook, GitHub 등)로부터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 OAuth2UserRequest : 이 객체는 OAuth 2.0 클라이언트 정보, 권한 부여 코드, 액세스 토큰 등을 포함합니다. // 이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 OAuth2User : OAuth 2.0 프로바이더(인증 제공자)로부터 가져온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나타냅니다. // 이 정보는 사용자의 프로필 데이터, 권한(스코프), 사용자 ID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ustomOAuth2UserService extends AbstractOAuth2UserService implements OAuth2UserService<OAuth2UserRequest, OAuth2User> { public CustomOAuth2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UserService userService) { super(userRepository, userService); } @Override public OAuth2User loadUser(OAuth2UserRequest userRequest) throws OAuth2AuthenticationException { // ClientRegistration은 Spring Security에서 OAuth 2.0 또는 OpenID Connect (OIDC) 클라이언트 //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정보를 나타내는 클래스입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및 속성을 포함합니다. // userRequest.getClientRegistration()은 인증 및 인가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는 // Spring Security에서 제공하는 메서드입니다. 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 userRequest.getClientRegistration(); OAuth2UserService<OAuth2UserRequest, OAuth2User> oAuth2UserService = new DefaultOAuth2UserService(); OAuth2User oAuth2User = oAuth2UserService.loadUser(userRequest); // 여기에는 구글, 네이버 정보가 담겨져 있다. ProviderUser providerUser = super.providerUser(clientRegistration, oAuth2User); // 회원가입 super.register(providerUser, userRequest); return oAuth2User; } }package com.example.oauth.config.OAuth2; import com.example.oauth.entity.UserEntity; import com.example.oauth.repository.UserRepository; import com.example.oauth.service.UserServic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log4j.Log4j2;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registration.ClientRegist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lient.userinfo.OAuth2User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oauth2.core.user.OAuth2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Log4j2 // 사용자 등록과 어떤 사용자인지 알아볼 수 있는 곳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OAuth2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rotected void register(ProviderUser providerUser, OAuth2UserRequest userRequest) { UserEntity findUser = userRepository.findByUserName(providerUser.getUserName()); if(findUser == null) { String registrationId = userRequest.getClientRegistration().getRegistrationId(); userService.register(registrationId, providerUser); } else { log.info("user : " + findUser); } } protected ProviderUser providerUser(ClientRegistration clientRegistration, OAuth2User oAuth2User) { String registrationId = clientRegistration.getRegistrationId(); if(registrationId.equals("google")) { return new GoogleUser(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 else if(registrationId.equals("naver")) { return new NaverUser(oAuth2User, clientRegistration); } else { return null; } } }이거를 REST 방식으로 하려고 컨트롤러 // 소셜 로그인 @GetMapping("/api/v1/user/success") public ResponseEntity<?> socialLogin(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Principal OAuth2User oAuth2User) { OAuth2AuthenticationToken oAuth2AuthenticationToken = (OAuth2AuthenticationToken) authentication; if (oAuth2AuthenticationToken != null) { ResponseEntity<?> oAuth2Login = memberService.login(oAuth2AuthenticationToken, oAuth2User); return ResponseEntity.ok().body(oAuth2Login); } else { return ResponseEntity.badRequest().build(); } }서비스 // 소셜 로그인 public ResponseEntity<?> login(OAuth2AuthenticationToken oAuth2AuthenticationToken, OAuth2User oAuth2User) { Map<String, Object> attributes = oAuth2User.getAttributes(); log.info("attributes : " + attributes); String authorizedClientRegistrationId = oAuth2AuthenticationToken.getAuthorizedClientRegistrationId(); String email = null; TokenDTO jwt = null; if (authorizedClientRegistrationId.equals("google")) { email = (String) attributes.get("email"); log.info("email : " + email); jwt = createJWT(email); log.info("jwt : " + jwt); } else if (authorizedClientRegistrationId.equals("naver")) { Map<String, Object> response = (Map) attributes.get("response"); email = (String) response.get("email"); jwt = createJWT(email); log.info("jwt : " + jwt); } else { log.info("아무런 정보를 받지 못했습니다."); } return ResponseEntity.ok().body(jwt); } private TokenDTO createJWT(String email) { MemberEntity findUser = memberRepositroy.findByEmail(email); List<GrantedAuthority> authoritiesForUser = getAuthoritiesForUser(findUser); TokenDTO tokenForOAuth2 = jwtProvider.createTokenForOAuth2(email, authoritiesForUser); TokenEntity findToken = tokenRepository.findByMemberEmail(tokenForOAuth2.getMemberEmail()); if (findToken == null) { TokenEntity tokenEntity = TokenEntity.toTokenEntity(tokenForOAuth2); tokenRepository.save(tokenEntity); log.info("token : " + tokenForOAuth2); } else { tokenForOAuth2 = TokenDTO.builder() .id(findToken.getId()) .grantType(tokenForOAuth2.getGrantType()) .accessToken(tokenForOAuth2.getAccessToken()) .refreshToken(tokenForOAuth2.getRefreshToken()) .memberEmail(tokenForOAuth2.getMemberEmail()) .build(); TokenEntity tokenEntity = TokenEntity.toTokenEntity(tokenForOAuth2); tokenRepository.save(tokenEntity); } return tokenForOAuth2; }이렇게 구성을 했는데 JWT는 제외하고 public ResponseEntity<?> socialLogin(Authentication authentication,@AuthenticationPrincipal OAuth2User oAuth2User) { 이거로 정보를 가지고 오려고 했는데 정보를 안가지고 와지고 계속 JWT 검증 로직에 걸려서 잘못된 JWT라고 뜹니다 ㅠㅠ package com.example.study01.config.jwt;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log4j.Log4j2;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Authent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context.SecurityContextHolder; import org.springframework.util.StringUtil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 import javax.servlet.FilterChai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Log4j2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JwtAuthenticationFilter extends OncePerRequestFilter { public static final String HEADER_AUTHORIZATION = "Authorization"; private final JwtProvider jwtProvider; @Override protected void doFilterInternal(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filterChain)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quest) request; // request header에서 JWT를 추출 // 요청 헤더에서 JWT 토큰을 추출하는 역할 String jwt = resovleToken(httpServletRequest); log.info("jwt in JwtAuthenticationFilter : " + jwt); // 어떤 경로로 요청을 했는지 보여줌 String requestURI = httpServletRequest.getRequestURI(); log.info("uri JwtAuthenticationFilter : " + requestURI); if(StringUtils.hasText(jwt) && jwtProvider.validateToken(jwt)) { // 토큰이 유효할 경우 토큰에서 Authentication 객체를 가지고 와서 SecurityContext에 저장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jwtProvider.getAuthentication(jwt); log.info("authentication in JwtAuthenticationFilter : " + authentication); // Spring Security의 SecurityContextHolder를 사용하여 현재 인증 정보를 설정합니다. // 이를 통해 현재 사용자가 인증된 상태로 처리됩니다. // 위에서 jwtProvider.getAuthentication(jwt)가 반환이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로 // SecurityContext에 저장이 되는데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 // 처리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 1. 인증 정보 검증: JWT 토큰이나 다른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 권한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토큰을 해독하여 사용자 정보와 권한 정보를 추출해야 합니다. * 이 역할은 jwtProvider.getAuthentication(jwt)에서 수행됩니다. * 이 메서드는 JWT 토큰을 분석하여 사용자 정보와 권한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로 인증 객체를 생성합니다. * * 2. 인증 정보 저장: * 검증된 인증 객체를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를 * 사용하여 SecurityContext에 저장하는 이유는, Spring Security에서 현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 전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하면 다른 부분에서도 현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 Spring Security가 제공하는 @AuthenticationPrincipal 어노테이션을 통해 현재 사용자 정보를 편리하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 */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 } else { log.error("유효한 JWT가 없습니다. : " + requestURI); } filterChain.doFilter(request, response); } // 토큰을 가져오기 위한 메소드 // Authorization로 정의된 헤더 이름을 사용하여 토큰을 찾고 // 토큰이 "Bearer "로 시작하거나 "Bearer "로 안온 것도 토큰 반환 private String resovleToken(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quest) { String token = httpServletRequest.getHeader(HEADER_AUTHORIZATION); // 토큰이 포함하거나 Bearer 로 시작하면 true if(StringUtils.hasText(token) && token.startsWith("Bearer ")) { return token.substring(7); } else if(StringUtils.hasText(token)) { return token; } else { return null; } } }이럴 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컨트롤러에서 정보를 가지고 와서 그 정보로 JWT를 만들어 반환하려고 하는데 정보를 가지고 오는게 계속 실패를 해서...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QGIS로 시작하는 데이터 시각화
강좌에 나오는 shp 파일은 수업자료에 안뜨는데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강좌에 나오는 shp 파일은 수업자료에 안뜨는데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
해결됨곰책으로 쉽게 배우는 최소한의 운영체제론
운영체제 스레드 공부 중 궁금한 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몇 가지 궁금한 내용이 있습니다. 1)운영체제 책 170p(강의 9분 40초에 나온 사진)을 보면 스레드 내부에 레지스터라고 써져 있는데스레드에 레지스터가 있는 게 아니라 Core의 레지스터 정보를 스레드에 저장해 둔다고 보면 되나요?(문맥 교환을 위해)스레드 그림 내부에 레지스터라고 써져 있어서 스레드에 레지스터가 있다고 말하는 건지 궁금했습니다. 2)PCB와 TCB가 따로 있다고 배웠는데, 만약 1개의 프로세스 내부에 스레드가 여러 개 있다고 할 때, 하나의 스레드는 실행 중인데 다른 스레드는 대기 상태, 또 다른 스레드는 준비 상태, 또 다른 스레드는 보류 상태일 수 있는 건가요?그럼 이 상황에서 그 스레드들이 속한 PCB의 상태는 어떤 상태를 말하고 있나요? 3)sleep() 함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프로세스 상태를 말할 때 생성, 준비, 실행, 대기, 종료, 휴식(sleep), 보류(suspend) 이런 상태들을 배웠는데아래 코드에서의 Sleep()은 휴식 상태를 말하는 게 맞나요? 아니면 대기 상태인가요? 주석에선 대기 상태라고 적혀 있어서 혹시 프로세스 상태에서의 대기를 의미하는 건지 궁금했습니다.
-
미해결배민도 사용한다고? 환경설정 없는 백엔드 노코드 개발!
Studio -> Apps Error Fired에 관해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싱크트리 스튜디오 내부의 앱스와 프록시 부분이 이와 같이 Error Fired가 뜹니다. 리로드를 해도 계속 반복되는 오류인데 혹시 해결방법이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가 무시되는 상황이 일어납니다.
안녕하세요!수업과 최대한 유사하게 코드를 작성해왔는데,테스트가 무시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질문 올립니다. 에러메세지대로 @SpringBootConfiguration도 추가해보고,구글링도 해봤는데 해결이 되지 않아 질문 올립니다 죄송합니다. 테스트가 무시되었습니다.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Unable to find a @SpringBootConfiguration, you need to use @ContextConfiguration or @SpringBootTest(classes=...) with your test at org.springframework.util.Assert.state(Assert.java:76)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getOrFindConfigurationClasses(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java:237)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processMergedContextConfiguration(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java:15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buildMergedContextConfiguration(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java:39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buildDefaultMergedContextConfiguration(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java:309)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buildMergedContextConfiguration(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java:26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buildTestContext(AbstractTestContextBootstrapper.java:107) 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buildTestContext(SpringBootTestContextBootstrapper.java:10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init>(TestContextManager.java:13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init>(TestContextManager.java:122)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tensionValuesStore.lambda$getOrComputeIfAbsent$4(ExtensionValuesStore.java:86)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tensionValuesStore$MemoizingSupplier.computeValue(ExtensionValuesStore.java:223)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tensionValuesStore$MemoizingSupplier.get(ExtensionValuesStore.java:211)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tensionValuesStore$StoredValue.evaluate(ExtensionValuesStore.java:191)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tensionValuesStore$StoredValue.access$100(ExtensionValuesStore.java:171)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tensionValuesStore.getOrComputeIfAbsent(ExtensionValuesStore.java:89)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tensionValuesStore.getOrComputeIfAbsent(ExtensionValuesStore.java:93) 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NamespaceAwareStore.getOrComputeIfAbsent(NamespaceAwareStore.java:6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getTestContextManager(SpringExtension.java:29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jupiter.SpringExtension.beforeAll(SpringExtension.java:113)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lambda$invokeBeforeAllCallbacks$10(ClassBasedTestDescriptor.java:38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invokeBeforeAllCallbacks(ClassBasedTestDescriptor.java:381)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before(ClassBasedTestDescriptor.java:205) 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ClassBasedTestDescriptor.before(ClassBasedTestDescriptor.java:80)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48)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6(NodeTestTask.java:15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41)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9(NodeTestTask.java:139)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38)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9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submit(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5)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xecutor.execute(HierarchicalTestExecutor.java:57) 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ngine.execute(HierarchicalTestEngine.java:54)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107)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88)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lambda$execute$0(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4)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withInterceptedStreams(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67)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2)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114)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86)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Session$Delegating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Session.java:86) 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SessionPerRequestLauncher.execute(SessionPerRequestLauncher.java:53) at com.intellij.junit5.JUnit5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5IdeaTestRunner.java:57)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 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2)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5)종료 코드 255(으)로 완료된 프로세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getReference 로 조회 후 사용하지 않았는데 디버깅 모드에서는 select 문이 실행되네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아니오)[질문 내용]IDE 일반모드에서는 예상대로 select 문이 실행안되는데 디버깅 모드로 실행 시에는 select 문이 실행되네요. IDE 디버깅 모드인 경우에는 IDE 가 member2를 사용하는 건가요? public class JpaMai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nal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jpashop"); final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 여러 쓰레드에서 공유하면 안됨! 하나의 트랜잭션 당 1개 final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 여러 쓰레드에서 공유하면 안됨! 하나의 트랜잭션 당 1개 tx.begin(); try{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hello");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Member member2 = em.getReference(Member.class, member.getId()); System.out.println("-----------------"); tx.commit(); }catch (Exception e){ tx.rollback(); }finally { em.close(); emf.close(); } } }
-
미해결디지털포렌식전문가 2급 필기 핵심 요약집[전자책]
요약집
요약집에 오타가 있다고 글에 적혀있던데 혹시 수정된 파일을 받을수 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oinColumn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oinColumn에서의 속성 name은 @Column 어노테이션의 name과 같은 걸까요 ? Member의 team이 디비에 저장될 때의 컬럼명을 지정할 수 있는지 확인하려 @Column 어노테이션을 추가로 붙였더니 @ManyToOne 어노테이션이 붙으면 동시 사용이 안된다는 오류 메시지가 나와서 @JoinColumn의 name 을 바꿔줬더니 컬럼명에 해당 name이 반영되는 걸 확인했습니다.그럼 member 테이블의 @JoinColumn어노테이션의 name값을 컬럼명으로 하는 fk 값은 @JoinColumn 어노테이션이 붙은 entity와 연결된 table의 pk의 값과 조인되는 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 연관관계 매핑이 잘 정리가 안되어서 코드를 이해하기 어려워요 ..
-
미해결[초중급편] 안드로이드 데이팅 앱 만들기(Android Kotlin)
섹션 1 : CardStackView 꾸미기에서의 작동원리 질문
섹션 1CardStackView 꾸미기에서 <FrameLayout android:id="@+id/left_overlay"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ImageView android:layout_width="100dp" android:layout_height="100dp" android:layout_gravity="center" android:src="@drawable/no" /> </FrameLayout> <FrameLayout android:id="@+id/right_overlay"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ImageView android:layout_width="100dp" android:layout_height="100dp" android:layout_gravity="center" android:src="@drawable/ok" /> </FrameLayout>이렇게 하면, 왜 왼쪽으로 넘기면 x 이미지가 오른쪽으로 넘기면 v 이미지가 나오는건가요?? com.yuyakaido.android.cardstackview.CardStackView에서의 작동원리로 인해서, 아이디를 left_overlay 으로 하면 왼쪽으로 넘겼을 때, 이런 작동이 일어나고, 아이디를 right_overlay 으로 하면 오른쪽으로 넘겼을 때, 이런 작동이 일어나게 되는건가요??그래서, 제가 left_overlay 아이디를 지우면, 왼쪽으로에 대한 작업이 안일어나더라구요.그래서, 작동원리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E 재귀함수로 풀기
http://boj.kr/4538dc44889e45e0ba2c3468c92fca3f큰돌님, 안녕하세요!다름이 아니라 재귀함수를 사용하여 문제를 풀었습니다.n의 개수 만큼 인덱스를 추가해주고(vector v에),이 벡터 v를 재귀함수에서 '값에 의한 호출'로 사용합니다. 그러면 재귀함수를 반복할 때마다 선언 및 sort할 필요없이 이 벡터 v를 인수로 넘겨줍니다. 그럼 재귀함수마다 6가지 경우의 수를 검사하게 되고, 시간복잡도를 우려하여 백트래킹을 하기 위해 'if(s + 1 < ret)'을 통해 불필요한 과정은 생략하였습니다.이렇게 하고 제출해보니, 성공이라고 떴습니다. 이 방법도 틀리지는 않은 걸까요?
-
미해결내 가치를 높이는 노션 이력서 만들기
HTML 코드가 있는 수업노트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강사님께서 블로그 섹션 편집할 때, HTML 코드를 수업노트에서 찾아보면 된다고 하셨는데강의 재생 화면에서 '노트'를 펼쳐보았을 때, 코드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수업노트는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음력을 처리하는 게 없습니다
선생님 음력을 처리하는 게 없는 데, 음력일 때는 어떻게 되어야 하나요? 마찬가지로 윤달 처리하는 로직도 없습니다
-
미해결유니티(Unity)로 시작하는 게임개발: Part 2. C# 프로그래밍 입문
Part4 유니티로 세가지의 게임만들기 강의도 들을 수 있는건가요?
Part3 슈팅게임 만들기는 찾았는데 Part4는 강의 들으려면 어디서 들어야하나요?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이거 음력 처리가 잘 되나요? 음력일 때 에러가 나서요
음력일 때 제대로 실행이 되는 게 맞나요? 음력일 때 에러가 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이제 spring boot 버전 3으로 가는데
spring boot 3 버전은spring security 디폴트가 6로 설정되어 있더라구요spring security 6 진행시에 Oauth2 강의 진행에 문제가 없을까요?? 여러가지로 바뀐게 많아서
-
해결됨디자인 시스템 with 피그마
인풋 밑에 헬프 텍스트가 두가지일 경우 컴포넌트 구조
플레이스 홀더 영역을 만들고 아래에 힌트텍스트가 하나있을 때는 오토레이아웃과 불린 기능을 이용해서 힌트 텍스트가 제거되었을 때 플레이스홀더 영역만큼만 보여지게 할 수 있는데힌트텍스트 우측에 텍스트 카운터가 있을 경우(헬프 텍스트가 2가지인 경우) 어떻게 짜야 하나씩 껐을 때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제거했을 때 해당 영역이 사라지고 플레이스 홀더 영역만큼만 잡히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