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Form은 이미 모델에 들어가 있는거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검증오류가 날 시 BindingResult에 의해 들어가는 게 아니라,저렇게 인자로 받는 건 이미 모델에 들어가 주는거죠?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Spring Security 6.0 이상 (Spring boot 3.0 이상)에서 다중 config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이렇게 좋은 Spring Security에 애를 많이 먹던 도중 늦게나마 열심히 듣고 있는 사람입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Spring Security 6.0 이상 버전으로 혼자 마이그레이션 해보며 공부를 진행하는데요..다른 분들은 모르겠지만 저는 6.0 이상 버전에서의 다중 보안 설정에서 애를 좀 먹어서.. 혹시나 저 같으신 분들이 있으실까봐 글을 남깁니다..! 다름이 아니라 Spring Security 6.0 이상 버전에서는 먼저오버라이드해서 함수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컴포넌트화 시켜서 진행합니다. 또한 HttpSecurity 안의 내용을 구현하는데 변경점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UserSecurityConfig, AdminSecurityConfig를 만들어서 각 경우에 따라 다른 설정을 적용하고 싶은 경우에 두 가지의 config 파일을 만들 수 있다고 가정하면.. 저의 경우에는 AdminSecurityConfig에서 지정한 부분이 권한 정보에 따라 접근이 막히지 않고 다 접근이 가능한 ("/admin/pay"를 user가 접근 가능) 상황이었습니다. 뭐가 문제인지 한참을 찾던 도중https://docs.spring.io/spring-security/reference/servlet/configuration/java.html공식 문서를 통해 답을 찾았습니다.간략하게 해결법부터 말씀드리자면 path로 접근 제한을 하는 경우에 http.securityMatcher()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 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주 잘 구분이 되더군요..! 혹시나 저처럼 하시는 분이 계실까봐 남깁니다..!@Bean @Order(0) public SecurityFilterChain admin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http .securityMatcher("/admin/pay") .authorizeHttpRequests(request -> request.anyRequest().hasRole("ADMIN")); return http.build(); } @Bean @Order(1) public SecurityFilterChain system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http .securityMatcher("/admin/**") .authorizeHttpRequests(request -> request .anyRequest().hasAnyRole("SYS", "ADMIN")); return http.build(); } @Bean @Order(2) public SecurityFilterChain 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http .authorizeHttpRequests(request -> request .requestMatchers(antMatcher("/user/**")).hasRole("USER") .anyRequest().authenticated());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named lock vs 비관적 락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강의를 보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named lock을 통해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는 예시를 보았을 때, 비관적 락과 무엇이 다른 것인지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named lock이 비관적 락에 비해 가지는 장단점에 비해 찾아보니, timeout 설정이 좀 더 간편하다는 내용 말고는 유의미한 차이를 찾지 못했습니다.(그러나 비관적 락 + queryhint 를 사용하면 비관적 락 사용 시에도 딱히 어려움 없이 timeout을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 named lock이 비관적 락에 비해 지니는 장단점과, 어떤 경우에 비관적 락 대신 Named lock을 통해 분산락을 구현하시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pringPhysicalNamingStrategy 바뀐건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찾아도 안나오는데 CamelCaseToUnderscoresNamingStrategy 이걸로 바뀐 것 같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정적 팩토리 메서드에 static이 붙어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다른 분 질문에 궁금한 것이 해소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JPA-%ED%99%9C%EC%9A%A9-1&unitId=24297&category=questionDetail&q=30892&tab=community정적 팩토리 메소드 사용 이유중에 static 메모리에 올라가기때문에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예제의 경우 static을 빼도 JPA가 엔티티로 관리하면서 어차피 사용할 수 있는 부분아닌가요..? 라는 질문에서 강사님께서는 static을 빼보면 이해될 거라고 답변하셨습니다.제가 생각하기로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 안에서 생성자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은 똑같아 보이고, 호출할 때 new가 아닌 Order.createOrder()로 호출하는 것 외에는 차이점을 못 느꼈습니다.조금 더 상세한 가르침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
Querydsl SQLExpressions에 listagg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 님.Querydsl SQLExpressions에 listagg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Projections.constructoer 방식으로 조회한 결과를 Dto로 받고있는데요,SQLExpressions.listagg(컬럼, ",").withinGroup().orderBy(컬럼).getValue().as("listaggs")로 select후 Dto에서 String으로 못받는데 String으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방법이 없는걸까요? 이미 같은 질문을 남긴 글이 있는데 미해결 상태라 다시 한번 글 올려 봅니다. 이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A 테이블, B 테이블이 있는데 1:N의 관계 입니다)A테이블 조회시 Response에는 B테이블의 컬럼 하나도 추가로 목록에 보여줘야 하는데 그럴때 B테이블의 해당 컬럼의 값이 다른 데이터가 2개 이상일시 A정보가 2건이 나오게 되서(페이징 처리시에도 총 카운트와 페이징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한 row로 보여지게 하기 위해 사용하려 Querydsl SQLExpressions에 listagg 사용하려는데,String으로 받을수가 없더군요... 혹 Querydsl SQLExpressions에 listagg 아니더라도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deleteUser 관련 질문
현재 코드에서는 name을 기준으로 delete를 하는데요, findByName(name)을 이용한 코드에서 DB 안에 같은 이름의 회원이 2명 이상인 경우엔 오류가 생깁니다. 그 이유가 find는 return 개수가 1건이기 때문에 rollback 된다고 생각했습니다.이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서 deleteUser의 파라미터는 Long id 로 수정했는데, 또 안 되더라고요...?findAll을 쓰면 같은 이름을 가진 모든 회원이 삭제될 것 같고... 어떻게 하면 동명이인의 회원 중에서 내가 원하는 한 회원만 삭제할 수 있나요? + 추가 방금 다른 학생분의 질문과 답변을 읽었습니다. 같은 내용의 질문인 것 같네요!그러면 파라미터를 Long id 로 변경하되, 현재 실습 중인 UI에서도 코드를 수정해야하는 부분이 있기에 삭제가 안 되는 게 맞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트랜잭션 전파속성, 데이터 소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의문이 생겨 질문을 남깁니다. 트랜잭션 전파속성을 REQUIRES_NEW로 해서 새로 생성한 이유가 있을까요? 그냥 REQUIRED로 하면 안되나요??강의 내에서 데이터소스를 분리하는 것을 추천해주셨는데, 커넥션 풀 사이즈를 늘리면 안되나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Naver Login시 권한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CustomAuthorityMapper 클래스에서강사님과 코드는 동일하나authorities가 넘어올시에 위와 같이 넘어옵니다.그래서 강사님 영상과 다르게ROLE_USER만이 authority에 대해서 담기게 되고위의 사진은 hasRole 권한을 해제하여 찍어본것입니다. /api/user에 진입이 불가합니다 코드는 동일한데 뭐가 문제일까요,,,? 강사님의 네이버 로그인시는 response를 안벗기고도 진입이 가능해서 질문드립니다 package io.security.oauth2.sociallogin;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GrantedAuthority;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authority.SimpleGrantedAuthority;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ore.authority.mapping.GrantedAuthoritiesMapper; import java.util.Collection;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Set; public class CustomAuthorityMapper implements GrantedAuthoritiesMapper { private String prefix = "ROLE_"; @Override public Set<GrantedAuthority> mapAuthorities(Collection<? extends GrantedAuthority> authorities) { HashSet<GrantedAuthority> mapped = new HashSet<>(authorities.size()); for (GrantedAuthority authority : authorities) { mapped.add(mapAuthority(authority.getAuthority())); } return mapped; } private GrantedAuthority mapAuthority(String name) { if(name.lastIndexOf(".") > 0){ int index = name.lastIndexOf("."); name = "SCOPE_" + name.substring(index+1); } if (!this.prefix.isEmpty() && !name.startsWith(this.prefix)) { name = this.prefix + name; } return new SimpleGrantedAuthority(name);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일대다 패치 조인 사용 시, 뻥튀기가 되지 않는 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아래 처럼 print를 찍었을 때, 저는 id 1과 2가 두 개가 나오지 않습니다. 관련 코드는 아래 첨부하겠습니다. 강의대로 똑같이 했는데, 왜 1개씩만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distinct를 넣었을 때와 안넣었을때의 결과가 같습니다. DB에서는 4개로 나오는데 Postman이랑 콘솔에서는 2개로 난오네요..[v3 적용 시] package jpabook.jpashop2.api;import jpabook.jpashop2.domain.Address;import jpabook.jpashop2.domain.Order;import jpabook.jpashop2.domain.OrderItem;import jpabook.jpashop2.domain.OrderStatus;import jpabook.jpashop2.repository.OrderRepository;import jpabook.jpashop2.repository.OrderSearch;import lombok.Data;import lombok.Getter;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import java.time.LocalDateTime;import java.util.List;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import static java.util.stream.Collectors.toList;@RestController@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OrderApiController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GetMapping("/api/v1/orders")public List<Order> ordersV1(){List<Order> all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for (Order order : all) {order.getMember().getName(); // 프록시 객체 초기화order.getDelivery().getAddress();List<OrderItem> orderItems = order.getOrderItems();orderItems.stream().forEach(o -> o.getItem().getName());}return all;}@GetMapping("/api/v2/orders")public List<OrderDto> ordersV2(){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List<OrderDto> collect = orders.stream().map(o -> new OrderDto(o)).collect(toList());return collect;}@GetMapping("/api/v3/orders")public List<OrderDto> ordersV3(){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Item();for (Order order : orders) {System.out.println("order ref= " + order + " id=" + order.getId());}List<OrderDto> collect = orders.stream().map(o -> new OrderDto(o)).collect(toList());return collect;}@Datastatic class OrderDto{private Long orderId;private String name;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private Address address; // VO는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VO는 객체이기 때문에, 안에 값이 변하면 다른 객체로 판단)private List<OrderItemDto> orderItems; // 엔티티는 DTO로 다시 한번 래핑이 필요하다.public OrderDto(Order order) {orderId = order.getId();name = order.getMember().getName();orderDate = order.getOrderDate();orderStatus = order.getStatus();address = order.getDelivery().getAddress();orderItems = order.getOrderItems().stream().map(orderItem -> new OrderItemDto(orderItem)).collect(toList());}}@Datastatic class OrderItemDto { // OrderItem에서 필요한 값만 다시 추출private String itemName; // 상품명private int orderPrice; // 주문 가격private int count; // 주문 수량public OrderItemDto(OrderItem orderItem) {itemName = orderItem.getItem().getName();orderPrice = orderItem.getOrderPrice();count = orderItem.getCount();}}} public List<Order> findAllWithItem() {return em.createQuery("select o from Order o" +" join fetch o.member m" +" join fetch o.delivery d" +" join fetch o.orderItems oi" +" join fetch oi.item i", Order.class).getResultList();}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결과 쿼리 개수가 맞지 않아서 문의 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간단한 주문 조회 V3: 엔티티를 DTO로 변환 -패치 조인 최적화] 강의에서 5분 50초 쯤에 v2를 돌려봤을 때, 강사님은 쿼리가 5번 나오는데,저는 계속 7번이 나오더라구요...order가 처음에 주문 2개를 만들어서 이미 영속성 상태라 그 다음에는 1차 캐시에서 가져오는 것으로 보여 쿼리는 생성이 안되어야 한다고 생각이 드는데, 왜 계속 order 쿼리가 2번 더 나오는 걸까요...? [Query]2023-10-25T21:54:33.448+09:00 DEBUG 37176 --- [nio-8080-exec-3] org.hibernate.SQL :select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fromorders o1_0joinmember m1_0on m1_0.member_id=o1_0.member_idfetchfirst ? rows only2023-10-25T21:54:33.449+09:00 INFO 37176 --- [nio-8080-exec-3] p6spy : #1698238473449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2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fetch first ? rows only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fetch first 1000 rows only;2023-10-25T21:54:33.450+09:00 DEBUG 37176 --- [nio-8080-exec-3] org.hibernate.SQL :select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frommember m1_0wherem1_0.member_id=?2023-10-25T21:54:33.451+09:00 INFO 37176 --- [nio-8080-exec-3] p6spy : #169823847345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2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1;2023-10-25T21:54:33.451+09:00 DEBUG 37176 --- [nio-8080-exec-3] org.hibernate.SQL :select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fromdelivery d1_0whered1_0.delivery_id=?2023-10-25T21:54:33.451+09:00 INFO 37176 --- [nio-8080-exec-3] p6spy : #1698238473451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2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1;2023-10-25T21:54:33.452+09:00 DEBUG 37176 --- [nio-8080-exec-3] org.hibernate.SQL :select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fromorders o1_0whereo1_0.deliver_id=?2023-10-25T21:54:33.452+09:00 INFO 37176 --- [nio-8080-exec-3] p6spy : #169823847345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2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_id=?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_id=1;2023-10-25T21:54:33.453+09:00 DEBUG 37176 --- [nio-8080-exec-3] org.hibernate.SQL :select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frommember m1_0wherem1_0.member_id=?2023-10-25T21:54:33.453+09:00 INFO 37176 --- [nio-8080-exec-3] p6spy : #1698238473453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2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2;2023-10-25T21:54:33.453+09:00 DEBUG 37176 --- [nio-8080-exec-3] org.hibernate.SQL :select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fromdelivery d1_0whered1_0.delivery_id=?2023-10-25T21:54:33.454+09:00 INFO 37176 --- [nio-8080-exec-3] p6spy : #1698238473454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2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2;2023-10-25T21:54:33.454+09:00 DEBUG 37176 --- [nio-8080-exec-3] org.hibernate.SQL :select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fromorders o1_0whereo1_0.deliver_id=?2023-10-25T21:54:33.454+09:00 INFO 37176 --- [nio-8080-exec-3] p6spy : #1698238473454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11|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2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_id=?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_id=2; [OrderSimpleApiController]package jpabook.jpashop2.api;import jpabook.jpashop2.Repository.OrderRepository;import jpabook.jpashop2.Repository.OrderSearch;import jpabook.jpashop2.domain.Address;import jpabook.jpashop2.domain.Order;import jpabook.jpashop2.domain.OrderStatus;import lombok.Data;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import java.time.LocalDateTime;import java.util.List;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X To One (컬렉션 X)* Order* Order -> Member* Order -> Delivery*/@RestController@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OrderSimpleApiController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GetMapping("/api/v1/simple-orders")public List<Order> ordersV1(){List<Order> all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for (Order order : all) {order.getMember().getName(); // Lazy 강제 초기화order.getDelivery().getAddress(); // Lazy 강제 초기화}return all;}@GetMapping("/api/v2/simple-orders")public List<SimpleOrderDto> ordersV2(){// Order 2개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ByString(new OrderSearch());List<SimpleOrderDto> result = orders.stream().map(o -> new SimpleOrderDto(o)) // map : a -> b로 치환.collect(Collectors.toList());return result;}@GetMapping("/api/v3/simple-orders")public List<SimpleOrderDto> ordersV3()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MemberDelivery();List<SimpleOrderDto> result = orders.stream().map(o -> new SimpleOrderDto(o)).collect(Collectors.toList());return result;}@Datastatic class SimpleOrderDto{ // API 명세서private Long orderId;private String name;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private Address address;public SimpleOrderDto(Order order) {orderId = order.getId();name = order.getMember().getName();orderDate = order.getOrderDate();orderStatus = order.getStatus();address = order.getDelivery().getAddress();}}} [OrderRepository]... public List<Order> findAllWithMemberDelivery() {return em.createQuery("select o from Order o" +" join fetch o.member m" +" join fetch o.delivery d", Order.class).getResultList();}
-
미해결
스프링 사용 중 생기는 오류
안녕하세요spring tools4를 설치하였고 돌아가는지 확인하고 싶어 확인하는 도중에 오류가 걸려서 글 올립니다.java는 11로 사용하였고demo1는 local로 실행했을 때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UnsupportedClassVersionError: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has been compiled by a more recent version of the Java Runtime (class file version 61.0), this version of the Java Runtime only recognizes class file versions up to 55.0오류가 떠서 java버전이 다르다는 것을 알기는 알아냈지만 인터넷으로 검색한 방법을 다 써봐도 해결이 안됐습니다.사용한 방법은 build path에서 jre system library로 해보았고 installed jres도 제대로 해두었습니다.compiler에도 11로 표시하였는데 혹시 다른 추가적이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내용정리 화면은 어디서 볼수있나요?
화면에서 보여주시는 내용정리된 노트?는 어디서 볼수있나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버그인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저는 ddl auto를 create로 하고시퀀스 전략 했을 때,persist 안하고 봐도 시퀀스가 그냥 1,증가가 50입니다..그 다음 persist를 한번 해 봤더니,next value for member_seq를 한번만 호출했습니다. 근데 persist 2번 이상하면,next value for member_seq를 2번 호출합니다.시퀀스의 현재값도 101번이 됩니다.뭔가 JPA쪽에서 놓친건가요..?아니면 제가 뭔가 강의에서 놓친건가요?그렇게 현재값 101번 만든 후,이번엔 dll.auto를 none으로 해서다시 돌려봤더니 다서 persist 해서 테이블에 저장해서 나온 건 52부터 찍힙니다. persist 안한 것 persist 1번next value for member_seq 한번 호출 persist 2번 호출next value for member_seq가 두번 호출 됍니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ddl.auto를 none으로 하고 다시 한번 로직을 실행해 봤더니.. 어.. 제 생각이 맞다면 101부터 id가 매겨져야 할 것 같은데.. 어..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A");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Username("B"); Member member3 = new Member(); member3.setUsername("C"); em.persist(member1); em.persist(member2); // em.persist(member3); tx.commit(); } catch (Exception e){ tx.rollback(); } finally { em.close(); } emf.close(); } 사용 버전<?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jpa-basic</groupId> <artifactId>ex-hello-jpa</artifactId> <version>1.0-SNAPSHOT</version> <properties> <maven.compiler.source>17</maven.compiler.source> <maven.compiler.target>17</maven.compiler.target> <project.build.sourceEncoding>UTF-8</project.build.sourceEncoding> </properties>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orm</groupId> <artifactId>hibernate-core</artifactId> <version>6.2.9.Final</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h2database</groupId> <artifactId>h2</artifactId> <version>2.1.214</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project>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선생님 (!morning) 부분 질문이 있습니다!
boolean morningCoffee= falseif(!morningCoffee){sout(아이스아메리카노 +!)}sout(주문완료) 논리부정연산자로!morningCoffee == true 가 되는데morningCoffee가 false가 맞을때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헷갈려서 질문남깁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쿠폰 발급을 api로 제공할 경우, client에서 쿠폰 발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강의 들으면서 궁금증이 생겼는데, 만약에 쿠폰 발급 기능을 API로 제공한다고 가정하면client -> 쿠폰 발급 기능 API 호출이 이루어지고쿠폰 발급 기능 API에서는 쿠폰 발급 여부를 확인하고 kafka로 produce하게 되는데, 이때는 실제로 쿠폰이 발급된 상태는 아닐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실제 쿠폰이 발급되는 시점은 consumer에서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어야하므로 트래픽이 많거나 하는 경우 시간차이가 더 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면 쿠폰 발급 기능 API에서 응답값은 어떤 값을 줘야할까요?쿠폰 발급 여부에서 발급이 가능하다면 쿠폰 발급되는것은 확정이기 때문에 발급되었다는 정보?쿠폰 발급 여부에서 발급이 가능하지만 추가적으로 polling해서 client 쪽에서 확인하도록 처리?제가 생각했을땐 위의 2가지정도로 가능할 것 같은데 강사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실무에서 @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실무에서 JPA를 사용하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요실무에서는 @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고 있는데영한님은 한번도 안쓰시더라구요..!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페치 조인 질문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컬렉션의 필요성에 대해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 인프런 | 질문 & 답변 (inflearn.com) 여기서 궁금한 내용있습니다!. 1)"생각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중간 테이블을 중심으로 조회가 가능하다면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때때로 중간 테이블을 중심으로 조회하기 어려운 경우들도 있습니다." 김영한 강사님의 답변 내용 중에 떄떄로 중간 테이블을 중심으로 조회하기 어려운 경우가 어떤 경우인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실수 있나요?? 일단 다대다=>중간테이블 필요=>성능 최적화 필요하면=>중간테이블에 해당하는 리포지토리 생성후 (Spring data JPA에서) @Query(fetch join)사용하는식으로=> 맨날 이런식으로 했었는데 중간 테이블 중심으로 조회하기 어려운 경우가 어떤 경우인지 궁금합니다. 2)BatchSize를 사용하는 경우 일대다의 일의 collection에 해당하는 다( members) 를 일의 BatchSize에 해당하는만큼 가지고 오지 않습니까? for (Team team : teams) { System.out.println("team:"+team.getName()); for(Member mem:team.getMembers()){ System.out.println(mem.getUsername()); } }여기서는 성능 최적화가 이해가 됩니다!.team이 붙어있으므로 배치 사이즈만큼만은 mem.getUsername()이 호출되어도 또 그때동안은 쿼리가 안나가니깐요.근데 궁금한게 IN 쿼리에 들어가는게 BatchSIze만큼의 TeamID인데 연속한 ID만큼 나가는 걸로 알고 있는데 위처럼 연속한 경우는 몰라도, Team을 이것저것 조회하고 그에 대한 member의 메서드를 호출하면 이게 성능상 좋은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버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tart.spring.io에서 spring boot를 설치하고 h2 버전도 1.4.199로 설치하였습니다.그러나 아래의 사진과 같이 라이브러리 내에 h2:1.4.199가 아닌 h2:2.1.214가 설치되어 있습니다.이 부분 때문에 다음 강의에서 제대로 실행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 (MEMBER 테이블 생성이 되지 않음)왜 이러는 걸까요 ..? 해결 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 ㅜ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테이블 생성이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강의자료까지 참고하며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그러나 실행창에 create와 drop이 뜨지도 않고 MEMBER 테이블 또한 생성되지 않습니다.관련 질의를 지금 6시간 넘게 다 찾아보며 (띄어쓰기, @Rollback(false) 추가 등) 해결 시도를 했지만 끝까지 되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yml 코드]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