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배열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배열에 대해서 정말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students[0] = 90;students[1] = 80;students[2] = 70;students[3] = 60;students[4] = 50;이 선언문을 for문을 활용해서students[i]가 이전의 값을 계속 참조해서 10씩 증가즉,students[0] = 60;students[1] = 70;students[2] = 80;students[3] = 90;students[4] = 100;이렇게 응용한 코드를 작성해보려고 했는데 해당코드가 리펙토링이 잘 된 코드인지 컨펌을 받고 싶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11:50초 질문 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OneToMany 어노테이션 사용시 new ArrayList<>(); 를 관례상 쓰는 이유 외에도 다양한 장점들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radle build error] gradle clear build를 할때 모두 자바 17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고 다음과 같이 gradle은 8.4 버전이고 자바는 17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바 17은 gradle 실행, complie할때 등등 모든 부분해서 11이 아닌 17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저런 에러가 발생해서 질문드렸습니다. intellij를 껏다 켜보기도 하였구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12. 다형성과 설계 NewCar에서 pressBrake() 기능을 추가한다면..
안녕하세요 영한님!궁금한 점은 OCP 원칙까지 보고나서 생겨난 질문입니다.Ca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K3Car, Model3Car, NewCar의 클래스, Driver는 Car인터페이스를 의존하고 있는데요.,,.강의 내용과 같이 Car 인터페이스에 있는 추상메소드들만 구현한 클래스끼리 있을 때는 크게 어려운 점이 없는 것 같지만.,.,위와 같이 NewCar에서 이 때까지 없었던 pressBrake()라는 기능을 새로 추가하여 Driver에게 해당 메소드를 사용하게 하고싶다면! 어떻게 코드를 짜야하는지가 저의 궁금증입니다!먼저 코드를 짜보면서 혼자 해결해보려고 했으나,.., 자바와 아직 완벽히 친해지지 못했는지 더 좋은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하며 만족스러운 해법을 찾지 못 하고 있습니다..1. Driver 클래스의 drive() 메서드 블록 안에서 instanceof를 사용하여 car변수가 NewCar 클래스일 때 pressBrake()를 사용한다면?강의에서 배웠던 OCP원칙 중 Closed for modification에 모순이 생겨버리고.. 2. Car 인터페이스에 pressBrake() 메서드를 넣는다면?OCP 원칙에 모순이 생길 뿐더러 오히려 대대적인 코드 수정도 생겨버립니다..해당 사항에 대해서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 잘했다고 소문이 날지 궁금하여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PA 순환참조 질문 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EventGroupInformation.java@NotFound(action = NotFoundAction.IGNORE)@JsonBackReference@ManyToOne(cascade = CascadeType.PERSIST, fetch = FetchType.LAZY)@JoinColumn(name="CATEGORY_ID", 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private CategoryInformation categoryInformation;@BatchSize(size = 1000)@JsonManagedReference@OneToMany(mappedBy = "eventGroupInformation", cascade = CascadeType.PERSIST, fetch = FetchType.LAZY)@Where(clause = "DBSTS = 'O' AND FEED_DISPLAY_YN = 'Y' AND START_DATE <= SYSDATE AND END_DATE >= SYSDATE ")@Column(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private List<EventInformation> eventInformations; CategoryInformation.java@BatchSize(size = 1000)@JsonManagedReference@OneToMany(mappedBy = "categoryInformation", fetch = FetchType.LAZY)@Where(clause = "DBSTS = 'O' AND START_DATE <= SYSDATE AND END_DATE >= SYSDATE ")@Column(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Access(value = AccessType.PROPERTY)public List<EventGroupInformation> eventGroupInformations; 여러개의 oneToMany가 걸려 있는 entitiy들을 강의 V5예제를 참고하여 개선중에 있습니다.CategoryInformation(Order)ㄴ EventGroupInformation(OrderItem)ㄴ EventInformation(Item)이런 식에 구조인데요, 각각 oneToMany 입니다. EventGroupInformation과 EventInformation을 fetchJoin을 통해 쿼리를@Query(value = "SELECT distinct eg FROM EventGroupInformation eg " +"LEFT JOIN FETCH eg.eventInformations e " +"WHERE eg.dbsts = :dbsts " +"AND eg.categoryId IN :categoryIds" ) 호출하면 해당 fetchjoin 쿼리 하나만 나갈꺼라고 생각을했는데,갑자기 상위 entity인 CategoryInformation 테이블에 category_id(PK)로 category_id 개수만큼의N+1 이슈가 발생 하였습니다. JsonBackReference, JsonManagedReference 해당 옵션을 주면 역참조가 안되어야 하는게 맞지 않나요?? 추가로 ManyToOne 쪽에 @JsonIgnore 도 추가 해보았으나 마찬가지입니다 ㅠ제가 놓치고 있는게 있을까요? 김영한 선생님 강의 에서는OrderItem-Item 관계에서 IN쿼리를 호출했을때 IN절에 포함되는 orderId기준의 상위 엔티티인 Order 테이블에 역으로 쿼리가 나가는건 못봤는데 말이죠..(물론, 양방향 관계를 끊고 단방향 설정시 N+1 쿼리는 나가지 않습니다.)
-
미해결윤재성의 자바 기반 안드로이드 앱개발 Part 1 - UI Programming
상태 변화 리스너 중 switch-case문 오류 문제
강의 22분 35초 경 switch-case 문을 통해 체크박스의 id로 분기를 하려고 할 때 // id로 분기함 switch (checkboxId) { case R.id.checkBox: break;case 문의 R.id.checkBox부분에서 "Constant expression required" 에러가 발생합니다. 구글링을 해보니 switch-case 문의 상수가 final로 선언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static 메서드3] 강의 보고 질문드립니다.
[static 메서드3] 강의 보고 질문드립니다.import static 으로 특정 클래스의 메서드 적용해서 메서드 사용하는 것과 클래스 .(dot) 찍고 메서드 사용하는 것 중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는 편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어떻게 생성자 없이 number1과 number2에 값이 할당된건지 모르겠습니다.(DTO관련)
안녕하세요 강사님먼저 첫번째 질문은 DTO (CalculatorMultiplyRequest request)를 매개변수로 받는 데, 자동으로 request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클래스는 생성자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new키워드로 생성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두번째 질문은 GET요청과는 다르게 POST요청은 Request 클래스 내부에 생성자 없이도 number1과 number2에 값이 할당되는 점입니다.어떻게 이게 가능할 수 있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update"/>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update"/>create / create-drop 은 잘 됩니다. 하지만 update는 이상한점을 발견을 했습니다. 이유를 알고 싶어서 이런 질문 드립니다.update를 value에 작성을 한뒤에 Member class 에서 A - private int age x B - private Integer o 위 와 같이 작성을 하고 나서 실행을 해보면 A는 오류가 발생하지만 B는 정상적으로 작동이 됩니다.이유를 알려주세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준영속 상태와 비영속 상태의 차이점
[질문 내용]준영속 상태와 비영속 상태의 차이점에 대해 이해한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영속 상태 : 한번도 엔티티 매니저의 관리를 받아본적 없는 엔티티준영속 상태 : 엔티티 매니저의 관리를 받다가 연결을 끊음으로써 더이상 관리 받지 않고있는 상태. 제가 아는 차이점은 이것 뿐인데 혹시나 이게 두 상태의 차이점의 전부라면 굳이 상태를 나눌 필요가 있나? 라는 생각이듭니다. 그냥 '준영속 상태' 라는 단계를 없애고 연결이 끊기면 비영속 상태로 ,다시 연결을 맺으면 영속 상태로 이렇게 단계를 줄여도 되지 않을까요? 혹시나 제가 모르거나 잘못이해하고 있는점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for문 while문 차이점
for문이랑 while문 언제 쓰는지 느낌은 알겠는데 정확한 차이점을 모르겠어요 ,, 정확한 정의나 비교될 만한 예시가 있을까요??
-
해결됨윤파고의 정보처리기사 DB/프로그래밍 All-In-One
dbms의 기출문제를 보고싶습니다.
혹시 기출문제 올인원은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로그인 페이지에 접속 하기만 해도 JSSEISONID 값을 가집니다
Cookie 값을 삭제 하며 여러 동작을 해보던 도중,로그인을 하기 전부터 JSSESSIONID 값이 cookie 에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오류인가 싶어 값을 삭제하고 로그인하였더니, 로그인이 동작하지 않고 그냥 페이지가 reload 된 다음 임의의 JSSESSIONID 값을 가져왔습니다. 왜 reload 할 때마다 JSSESSIONID 값을 가져오는 걸까요? 그리고 왜 JSSESSIONID 값 없이는 로그인 동작 자체가 안 되는 걸까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Querydsl Q클래스 생성 오류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1.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3'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group = 'study'version = '0.0.1-SNAPSHOT'java { sourceCompatibility = '17'}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repositories { mavenCentral()}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test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tasks.named('bootBuildImage') { builder = 'paketobuildpacks/builder-jammy-base:latest'}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querydsl 세팅 시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querydsl"querydsl {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sourceSets { main.java.srcDir querydslDir}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compileQuerydsl {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인프런에서 질문 & 답변을 보고 gradle 설정했는데도 오류가 계속 발생됩니다.Build and run using : Gradle 로 변경하면 발생 되는 오류 입니다.오류 : Attempt to recreate a file for type study.querydsl.entity.QHello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강의보고 토이프로젝트로 재고감소 낙관적락 기법 적용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보고 토이 프로젝트에서 주문 시 재고 감소 및 메뉴 주문량 증가 로직에서 낙관적락 기법을 적용해 보았는데요, 강의에서 해주신 내용 그대로 파사드 패턴 까지 적용을 해보면서 시도했는데 무한 루프가 돌았습니다.hikariCP pool을 40으로 설정해주니 그제서야 해결이 되었는데요, 강의에선 네임드락에서 커넥션풀을 지정해주었는데요 저는 낙관적락인데도 해당 설정을 해서 해결된 이유가 있을까요?@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Order orderWithOptimisticLock(Long memberId, LocalDateTime now) { Cart cart = cartRepository.findByMember(memberId); List<CartItem> cartItems = cart.getCartItems(); cartItems.stream() .map(CartItem::getMenu) .forEach(menu -> { decreaseStockWithOptimisticLock(menu.getId(), 1); increaseMenuOrderCountWithOptimisticLock(menu.getId(), 1); }); Money money = calculator.calculateMenus(cart.getMember(), cart.convertToMenus()); Order order = Order.createOrder(cart, money, now); return orderRepository.save(order); } public void decreaseStockWithOptimisticLock(Long menuId, int quantity) { Menu menu = menuRepository.findByIdForOptimisticLock(menuId); menu.decrease(quantity); } public void increaseMenuOrderCountWithOptimisticLock(Long menuId, int quantity) { Menu menu = menuRepository.findByIdForOptimisticLock(menuId); menu.increaseOrderCount(quantity); } } ```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ptimisticLockStockFacade { private final OrderService orderService; public Order order(Long memberId, LocalDateTime localDateTime)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while (true) { try { return orderService.orderWithOptimisticLock(memberId, localDateTime); } catch (Exception e) { Thread.sleep(50); } } } } ``` public interface JpaMenu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nu, Long> { @NotNull @Lock(LockModeType.OPTIMISTIC) @Query("select m from Menu m where m.id = :id") Optional<Menu> findByIdForOptimisticLock(@NotNull @Param("id") Long id); }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Array.sort 사용 구분
앞 문제에서 Collection.sort를 쓰면 문제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댓글을 봐서 처음부터 Array.sort를 해서 정렬하는 방법을 생각을 못했는데 어떤 문제에선 사용하고 사용하지말고 구분이잘 안되는데 이럴땐 어떻게 하나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flush() 와 clear()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 스프링 데이터 JPA 가 지원하는 save를 호출하면 flush()가 나가는건가요 아니면 save를 하고 bulkAgePlus()를 호출하면서 bulkAgePlus() 에 있는 JQPL이 실행되서 flush() 가 나가는건가요 ? bulkAgePlus()를 실행하면 JPQL 실행이되고, JPQL 이 실행이 되면 flush() 가 호출이 되는데 이때 SQL쿼리문이 DB에 전송이대서 DB에는 업데이트가 되어있지만 영속성 컨텍스트는 업데이트가 안되기 때문에 clear()를 해주는게 맞는건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CRUD에 따른 ResponseDto를 보내는 유형 및 ResponseDto 구성 방식에 대한 질문
안녕하십니까 영한님.영한님 덕분에 JAVA Spring 기반 백엔드 개발의시작을 할 수 있었고,이제는 5개월 차 스타트업 백엔드 개발자로써 커리어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현업에 와서는 오히려 취준생 때 보다 더 많은 고민을 하게 되느데요, 질문 1. 그중 최근에 CRUD의 각 상황별 API 응답을 어떻게 보내는게 적절할지, 질문 2. 그리고 ResponseDto를 어떻게 구성하는것이 적절할지에 대한 고민을 팀장님과 함께 하고있어서, 영한님의 생각을 여쭙고자 질문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답변 해주시면 정말 감사할 거 같습니다! Q1. 생성, 조회 , 수정, 삭제 API의 응답을 각각 어떻게 보내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가장 먼저 조회의 경우는 말 그대로 path의 Entity 및 관련된 Entity 정보를 조합하여 응답 DTO로 변환하여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머지 Write Operation에 대한 응답을 어디까지 보내야 하냐가 이슈 입니다.예를들면 엔티티의 생성의 경우 엔티티의 응답 DTO를 보내면 - 프론트에서 별도의 조회 API 호출 없이 바로 프론트가 화면에 뿌려줄 수 있으니깐 저는 생성의 경우에도 조회와 마찬가지로 Entity의 정보를 조합하여 응답 DTO로 변환하여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부분이 Command Query Sperate 원칙에 어긋나는것 같아, 영한님께서는 혹시 생성한 Entity의 Key만 보내시는지, 아니면 Entity의 정보를 DTO로 변환하여 보내시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Entity의 Id만 보내신다면 이후에 별도로 조회API를 호출해야 하고 그 또한 비용일텐데 이러한 부분은 어떻게 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제 수정 API인데요,제가 다룬 비즈니스 로직의 경우 수정 비즈니스 로직이 다양하고 , 각 비즈니스 로직의 경우 다뤄지는 Entity의 종류가 다른 경우였습니다. (중심 Entity는 동일하지만, 연관된 Entity를 누구까지 건드리냐의 차이) 그래서 하나의 통일된 응답으로 보내기 모호한 점이 첫 번째 이유이고,애초에 수정 후에 프론트 화면에서 그 엔티티의 정보를 보여줄 필요가 없어서 라는 두번째 이유에 의해서 에초에 엔티티의 Id값도 보내지 않고 있었는데요,이 수정 API의 응답을 영한님은 어떻게 진행하지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삭제의 경우는 정말, 프론트에게 보낼 응답이 없어도 되는 경우 라고 생각했는데요,팀장님의 의견은 만약에 나중에 삭제한 Entity를 복구하는 요구사항이 추가되는것을 고려하여Id 정도는 넘기자는 의견을 내어주셨습니다.마찬가지로 삭제의 경우도 어떤식으로 수행하시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Q3. 마지막으로 Entity의 ResponseDto의 필드를 어떤식으로 구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면 저의 경우는 API는 프론트와 서버 간의 스펙이라고 생각하고, Entity의 단건조회의 경우는 단건 조회용 ResponseDto를, 전체조회의 경우는 전체 조회용 SummaryResponseDto를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저희 팀장님 께서는 프론트쪽도 일을 해오시다가 , 백엔드쪽 분야로 전향하신 케이스 인데요,그렇다 보니 어떻게 해야 프론트의 생산성이 올라가는지를 고려하시는 분이셨고,팀장님의 생각은 서버에서 넘겨주는 응답에 일관성이 있어야 그 응답을 사용하는 프론트 측도 학습이 되고 놓치는 부분 없이 생산성이 올라간다는 의견이셨습니다. 그래서 Entity별로 당장 사용하지 않더라도 가능한 모든 필드를 담은 ResponseDto를 하나만 만들고,해당 ResponseEntity의 조합으로 각 API별 응답 Dto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프론트 측 에서는 일관성 있는 응답값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셨습니다.물론 이 방법이 네트워크 패킷의 양을 쓸데없이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서도,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셨습니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각 Entity의 응답 Dto의 조합별로 API의 ResponseDto를 만들 수 있습니다.ResponseDto{ UserDto{id : 1,name : “aaa”… // User엔티티의 거의 모든 필드} ItemDto{ id : 2,name : “bbb”,… // Item엔티티의 거의 모든 필드}} 저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이,그냥 제가 “해당 API를 호출하는 화면에서 필요한 정보들만을 담아 (혹은 여러 화면에서 쓰인다면 여러개를 고려) ResponseDto를 각각 만들어서” 넘겼는데요 영한님께서는 이러한 ResponseDto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상황별로 필드를 재구성 하여 ResponseDto를 정의하여 사용하시는 편 인지 (SummaryResponseDto 등의 별도 Dto에 사용될 Entity의 필드들을 풀어서 정의하시는지)아니면 생산성을 고려하여 각 Entity별 Dto를 만들고, 이들을 조합하여 ReponseDto를 정의하시는 편 이신지 ,혹은 다른 규칙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 팀장님의 의견에서 전체조회시 사용하는 DTO와 단건조회시 사용하는 DTO가 동일하더라도,전체조회 후 단건조회를 할때 단건조회 API를 호출하지 말고 기존 Front가 가지고 있는 값을 쓰지는 말자는 의견 이십니다 (단건조회API는 별도로 호출해야 한다)그저 핵심은 프론트가 다루는 ResponseDto의 일관성을 위해서 입니다 (결론은 생산성을 위해)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항상 건강하셨으면 좋겠고,다음 강의들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
미해결
인텔리제이에서 깃허브 로그인 시 응용 프로그램을 찾을 수 없습니다.
유튜브에서 본 대로 인텔리제이에서 작성한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리려고 하는데, 깃허브 로그인 시에 저런 에러창이 뜹니다. 어떤 프로그램을 더 설치하거나 해야 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ql 엔티티 인지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일단은 해결 했습니다.findAllString 이용하는데 Order를 얘가 모르는 거 같아서..String jpql = "select o From jpabook.jpashop.domain.Order o join o.member m";이렇게 패키지경로까지 다 명시해줬더니 인지를 하더라구요..안 그러면 org.hibernate.query.sqm.UnknownEntityException: Could not resolve root entity 'Order' at org.hibernate.query.hql.internal.SemanticQueryBuilder.visitRootEntity(SemanticQueryBuilder.java:1960) ~[hibernate-core-6.2.13.Final.jar:6.2.13.Final] at org.hibernate.query.hql.internal.SemanticQueryBuilder.visitRootEntity(SemanticQueryBuilder.java:253) ~[hibernate-core-6.2.13.Final.jar:6.2.13.Final] ...............얘가 이렇게 Order 인지 못한다고 오류가 뜹니다..원래 엔티티는 그냥 @Entity 등록 하면 알아서 인지 되는걸로 알고 있었는데..왜 이런 걸까요?package jpabook.jpashop.domain;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AccessLevel;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import lombok.Setter;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Entity(name = "orders")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UBLIC)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public void changeMember(Member member){ this.member = member; member.getOrders().add(this); }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orderItems.add(orderItem); orderItem.setOrder(this); } private void setOrderDate(LocalDateTime orderDate) { this.orderDate = orderDate; } public void changeDelivery(Delivery delivery){ this.delivery = delivery; delivery.setOrder(this); } private void setStatus(OrderStatus status) { this.status = status; } public static Order createOrder(Member member, Delivery delivery, OrderItem... orderItems){ Order order = new Order(); order.changeMember(member); order.changeDelivery(delivery);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addOrderItem(orderItem); } order.setStatus(OrderStatus.ORDER); order.setOrderDate(LocalDateTime.now()); return order; } public void cancel(){ if(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 orderItem.getItem().removeStock(orderItem.getCount()); orderItem.cancel(); } } public int getTotalPrice(){ int totalPrice = 0;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totalPrice += orderItem.getTotalPrice(); } return totalPric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