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 3.xx버전 querydsl gradle 설정 관련 질문
QueryDSL 소개 강의 영상에서 gradle 설정하는 부분을 3이상버전 관련해서 올려주신 자료를 보면서 따라했는데 build-clean을 하고 해봐도 tasks-others밑에 compileQuerydsl파일이 생성되 지않아서 comlile.java 를 눌렀더니 generated에 파일들은 잘 생성됐습니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1.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3' } group = 'jpabook'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Hibernate5JakartaModule 등록 (하이버네이트 모듈) 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jakarta'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QueryDsl 관련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def querydslSrcDir = 'src/main/generated' clean { delete file(querydslSrcDir) } tasks.withType(JavaCompile) { options.generatedSourceOutputDirectory = file(querydslSrcDir) } 이렇게 작성했는데 혹시 틀린 부분이 있을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로 여러 값을 가져올때 영속성 컨테스트 값 저장 형태
예를들어 id값이 20~30인 member를 가져올때 영속성 컨테스트안의 1차캐시에는 값들이 어떻게 저장이 되나요? 일단 강의에서는 em.persist 와 em.find 인 경우 1차 캐시에 값을 저장한다고 해서 위와 같이 jpql을 사용했을때 일단 영속성 컨테스트에 값이 저장되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영속성 컨테스트에 값이 저장되었다면 commit시 1.flush 발생2.스냅샷과 비교해서 변경감지. 3.변경이있었다면(setter)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UPDATE쿼리 생성 및 저장4.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있는 모든 쿼리를 실행.5.커밋(실제DB반영)위 과정이 일어나서 NAME 값이 changeMember로 변경되어야하는데 확인해보니 실제로 값이 변경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update 쿼리도 2번일어나는데 그럼 위의 예시에서executeQuery로 jpql 실행 시1차 캐시에 값이 @id Entity20 member(20,memberA)30 member(30,memberB) 이렇게 저장되는 거 같은데 맞나요??(리스트로 가져오면 , 하나씩 풀어서 저장) 그리고 commit시 위에 제가 생각한 과정대로 이해한게 맞을까요?
-
해결됨Java 마이크로서비스(MSA) 프로젝트 실습
직접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동작하는데, gateway 서버로 보내면 404가 뜹니다
config-server / eureka-server / gateway-server /그리고 item-service-server 대신에 제가 만드는 rms라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띄웠습니다.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서 http 요청을 보내면 404가 뜨고직접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잘 동작하는 상태입니다.그래서 config-server의 gateway-server-local.yml 파일에서 spring.cloud.gateway 부분에 문제가 있을거라 추측하고 계속 찾아봤는데... 어떻게 변경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단 파일 전체를 공유하겠습니다.config-serverresources.application.ymlspring: application: name: config-server profiles: active: native cloud: config: server: native: search-locations: classpath:/config encrypt: enabled: false server: port: 8080 resources.bootstrap.ymlencrypt: key: IRON0000 resources.config.eureka-server-local.ymllogging: file: name: logs/eureka.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com.iron.eureka-server: debug spring: application: name: eureka-server server: port: 8761 eureka: instance: hostname: eureka-server client: serviceUrl: defaultZone: http://${eureka.instance.hostname}:${server.port}/eureka/ register-with-eureka: false fetch-registry: false 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e: include: "*" resources.config.gateway-server-local.ymllogging: file: name: logs/gateway-local.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spring: application: name: gateway-server cloud: gateway: routes: - id: rms uri: lb://rms eureka: instance: prefer-ip-address: true client: register-with-eureka: true fetch-registry: true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761/eureka resources.config.rms.ymllogging: file: name: logs/api.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server-iron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non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default_batch_fetch_size: 1000 #최적화 옵션 mybatis: mapper-locations: mybatis/mappers/*.xml springdoc: default-consumes-media-type: application/json default-produces-media-type: application/json swagger-ui: operations-sorter: alpha disable-swagger-default-url: true display-query-params-without-oauth2: true resources.config.rms-local.ymllogging: file: name: logs/rms-local3.log max-size: 500MB max-history: 10 level: root: info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server-iron username: sa password: '{cipher}'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non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default_batch_fetch_size: 1000 #최적화 옵션 mybatis: mapper-locations: mybatis/mappers/*.xml springdoc: default-consumes-media-type: application/json default-produces-media-type: application/json swagger-ui: operations-sorter: alpha disable-swagger-default-url: true display-query-params-without-oauth2: true token: expiration_time: 86400000 secret: IRON0000 eureka: instance: instance-id: ${spring.cloud.client.hostname}:${spring.application.instance_id:${random.value}} prefer-ip-address: true client: register-with-eureka: true fetch-registry: true service-url: defaultZone: http://localhost:8761/eureka eureka-server.ymlresources.bootstrap.ymlspring: application: name: eureka-server profiles: active: local cloud: config: uri: http://localhost:8080 loadbalancer: ribbon: enabled: false gateway-serverresources.bootstrap.ymlserver: port: 8070 spring: application: name: gateway-server profiles: active: local cloud: config: uri: http://localhost:8080 loadbalancer: ribbon: enabled: false 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e: include: refresh, health, beans rmsresources.bootstrap.ymlserver: port: 0 spring: application: name: rms profiles: active: local cloud: config: uri: http://localhost:8080 loadbalancer: ribbon: enabled: false refresh: extra-refreshable: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e: include: refresh, health, beans build.gradle 파일들도 올려야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실제 활용 관점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던 와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실제로 그렇다면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중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게 이점일 것 같은데.대부분의 경우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고, 추상 클래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인가요 ?백엔드 개발 시에도 인터페이스 구현을 통해서만 작성하는 것 같아 여쭤봅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맥 h2 db 실행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맥 터미널에서 권한 부여까지 한후 실행을 했는데./bin/h2.sh: line 3: 3667 Trace/BPT trap: 5 java -cp "$dir/h2-2.2.224.jar:$H2DRIVERS:$CLASSPATH" org.h2.tools.Console "$@"이와 같은 메세지가 뜨면서 아예 화면도 안뜨네요ㅜㅜ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Response DTO VS HTTP Respons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도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는 POST나 PUT요청에서도 Response DTO 객체를 생성해서 전달하셨는데, 실제 실무에서도 이렇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드린 이유는 HTTP Response code상 201이나 204 등의 응답코드가 있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Response를 매번 생성하는게 실질적으로 좋은 설계이기 때문인지, 아니면 변경이 완료된 것을 실제로 조회하면서 이해를 돕기 위함인지 궁금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s/new 회원가입 whitelabel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localhost:8080/members/new에 접근하면 whitelabel에러가 떠서 이유가 무엇인지 질문 드립니다.오타같은 것도 없고 구조도 정확한 것 같은데 어떤 부분이 문제인건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hello.hellospring/controller/HomeControllerhello.hellospring/controller/MemberController resources/templates/home.html resources/templates/members/createMemberForm.html폴더 구조 실행 결과
-
미해결
스프링 시큐리티 HttpSeurity.apply() derpeciated 도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근 스프링 시큐리티가 패치되면서, 기존 메서드 체이닝 방식이 아닌 람다식을 통해 함수형으로 설정하도록 바뀌었는데요. 다른 설정 부분은 새롭게 바뀐 방식을 찾았으나.... 아래 사진의 마지막 apply() 는 도저히 찾을 수가 없더라고요...ㅠ 혹시 아시는 분계실까요?('apply(C)' is deprecated since version 6.2 and marked for removal )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RestTemplate 호출하여 응답기다릴때도 runnable 이 맞나요?
우선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강의내용중 running -> runnable 로 이동하는 방법에 yield, I/O 가 있다고 하셨는데, DB query 등을 하면 응답이 올때까지 waiting으로 상태변경이 되는게 아닐까 싶어 샘플코드를 짜보니 정말로 running-> runnable 상태이던데, 1) 응답이 올때까지 기다리는 것이기도 하고 2) runnable 이면 언제라도 running이 될수 있는데, 이 경우 running -> runnable -> running 으로 상태변경되었는데 아직 응답이 오지 않았으면 다시 runnable 로 넘어가고.. 이런게 반복되는건가요? 샘플코드는 아래와 같이 만들어봤습니다. RestTemplate template = new RestTemplate();template.getEntity(xxx); // 응답이 10초 걸리는 api 호출10초 내에 위 작업을 하는 쓰레드의 상태를 log 로 찍으니 runnable 로 나왔습니다.
-
미해결JSP 강의평가 웹 사이트 개발하기
오류에 conn is null 이라고 떠요
실행하면 오류나면서 Cannot invoke "java.sql.Connection.prepareStatement(String)" because "conn" is null 이라고 뜨는데 구글 서치 해봐도 안되네요ㅠ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는 항상 우선권을 가진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해당 부분들을 공부하면서 제 자신의 정리가 확실하지 않아서 여쭤보고 싶습니다.오버라이딩 된 Child.method()가 아닌 Parent.method()를 받으려면super와 부모클래스의 업캐스팅을 통하여 해결하면 되다고 이해하면 될지 여쭤봅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no frameworks detected
no frameworks detected 의 문구가 뜹니다 . 아래와 같이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뜨지않습니다. 위를 무시하고 create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ㅜㅜ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인스턴스 타입을 부모로해도 자식의 오버라이드 메서드가 호출되나요?
안녕하세요! ElectricCar electricCar = new ElectricCar(); electricCar.move();이렇게 하면 호출한 electricCar의 타입은 ElectiricCar라서 인스턴스 내부의 ElectricCar 타입에서 시작한다고 하셨습니다.그래서 electricCar.move();를 실행하면 ElectricCar 의 move() 메서드가 실행돼서전기차를 빠르게 이동합니다.이렇게 전기차로 출력이 됩니다.Car electricCar = new ElectricCar(); electricCar.move();그럼 이렇게 타입이 Car타입이면 인스턴스 내부의 Car타입에서 move()메서드를 실행시켜 "차를 이동합니다."가 출력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전기차를 빠르게 이동합니다.여기서도 전기차를 빠르게 이동합니다.가 출력됩니다.어째서 Car타입에서 move()메서드를 실행하지 않고 ElectricCar의 move()메서드를 실행하게 되는건가요?감사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추후 중급 고급 영상 문의
안녕하세요 영한님! 실전 자바 기본편 잘 보고 있습니다.혹시 추후에 자바 중급 고급편에 가변객체 불변객체 사용이유(스레드와 연관되면서..)와 리플렉션(스프링과 연결되면서...)이 혹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Java 마이크로서비스(MSA) 프로젝트 실습
/actuator/refresh 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제가 뭔가 잘못한건지 actuator에 refresh가 동작하지 않아 질문글을 남깁니다.강의 2-10번 DB 비밀번호 암호화까지 문제 없이 잘 진행하다재가동 없이 설정파일 갱신하는 부분을 진행하는데item-service에서 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하고 bootstrap.yml에 설정 옵션 추가했는데config-server 설정 파일 변경 후 postman 에서 refresh 요청을 날려도 response body 에는 []빈 배열만 찍히고 별다른 문구가 없고 변경된 설정이 적용되지 않더라고요강의를 봐도 크게 설정하는 부분이 많은건 아니어서 잘 적용된 것 같은데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 콘솔에 찍히지 않아서 헤메고 있습니다. build.gradle 의존성과 bootstrap.yml 에 설정 추가하고config-server 실행시키고 item-service 실행시킨 후 설정 파일에 변경점을 주고 localhost:5000번으로 /actuator/refresh 요청을 날렸습니다. 그리고 물품등록 요청을 보내서 200코드 성공했는데 별도의 logs 폴더에 api-local2.log는 생기지 않았습니다. 강의와 다르게 한건 인텔리제이로 프로젝트 구성한 것과 스프링부트 마이너 버전만 달라서 크게 문제가 있지는 않을 것 같은데.. 2-10 강의까지 해본 깃 주소도 올려봅니다.https://github.com/doyoun8813/Microservice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반복문 리팩토링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질문은 처음 드리는거 같습니다~ 기본형과 참조형 '문제와 풀이' 시간에ProductOrder를 리팩토링하는 부분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리팩토링 하는 과정에서 for문 안에서 수행하던 print와 totalAmount를 계산하는 로직을 각각 메서드로 나누었는데요,이렇게 되면 한번만 수행되던 반복문이 메서드로 나누면서 각각 수행되어 2번이 되는데 이런 부분은 for문이 한번 더 돌게되어 오는 성능이슈보다, 깔끔하게 리팩토링 되는 부분이 더 이점이 큰 부분일까요? 사실 현업에서 업무를 할때도,for안에서 여러가지 로직이 수행되면 한번에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나눠야지 싶어서 나누었지만, 한번만 돌던 반복문이 여러번 돌게 될 수 있어서 망설여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 부분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코딩테스트 - it 대기업 유제
혼자서 푼 문제 확인 부탁드립니다.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class 방향바꾸기 { public int solution(int[][] board) { int answer = 0; /** * n * m 격자판 지도정보 * 격자판에는 각 1,2,3,4 의 값이 존재 * 1: 오른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2. 왼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3: 아래로 이동 * 4: 위로 이동 * 0,0부터 오른쪽 아래 맨 끝으로 이동하려고함 * board가 주어지면 목표지점까지 가기위해 방향을 바꾸는 최소 격자 개수 * 한 격자의 방향은 원하는 방향으로 한번만 바꾸기 가능 * * * */ //다익스트라로 인접 순회 할때마다 내가 그 격자를 바라보고있는지 확인 //내가 그 격자를 바라보고있으면 1추가 안함 , 바라보지 않으면 1 추가 int[] dx = {-1, 0, 1, 0}; int[] dy = {0, -1, 0, 1}; PriorityQueue<Candidate> queue = new PriorityQueue(); Map<String, Integer> minPosMap = new HashMap<>(); for (int i = 0; i < board.length; i++) { for (int j = 0; j < board[i].length; j++) { minPosMap.put(j + ":" + i, Integer.MAX_VALUE); } } Pos first = new Pos(0, 0); //첫번째 시작을 넣는다. queue.add(new Candidate(first, 0)); while (!queue.isEmpty()) { int size = queue.size(); for (int i = 0; i < size; i++) { Candidate candidate = queue.poll(); Pos pos = candidate.pos; if (pos.x == board[0].length - 1 && pos.y == board.length - 1) { // print(board, minPosMap); return candidate.cnt; } for (int j = 0; j < 4; j++) { int moveX = dx[j] + pos.x; int moveY = dy[j] + pos.y; if (moveX < 0 || moveY < 0 || moveX >= board[0].length || moveY >= board.length) continue; //현재 Pos 가 moveX, moveY 를 바라보고 있는지 체크 boolean isLookAt = isLookAt(board[pos.y][pos.x], pos, moveX, moveY); //바라보면 cnt 그대로 바라보지 않으면 cnt++ //내가 추가할 값이 기존에 있는 값보다 작아야함 Pos newPos = new Pos(moveX, moveY); int cnt; if (isLookAt) { cnt = candidate.cnt; } else { cnt = candidate.cnt + 1; } Integer baseCnt = minPosMap.get(newPos.getName()); if (cnt < baseCnt) { minPosMap.put(newPos.getName(), cnt); Candidate newCandi = new Candidate(newPos, cnt); queue.add(newCandi); } } } } return answer; } private static void print(int[][] board, Map<String, Integer> minPosMap) { int cnt = 0; for (Integer value : minPosMap.values()) { System.out.print(value + " "); cnt++; if (cnt % board[0].length == 0) System.out.println(); } } private boolean isLookAt(int direction, Pos pos, int moveX, int moveY) { int x = pos.x; int y = pos.y; // * 1: 오른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 2. 왼쪽의 인접한 격자로 이동 // * 3: 아래로 이동 // * 4: 위로 이동 int[][] directionCalculate = {{0, 1}, {0, -1}, {1, 0}, {-1, 0}}; return y + directionCalculate[direction - 1][0] == moveY && x + directionCalculate[direction - 1][1] == moveX; } class Pos { int x; int y; public Pos(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x + ":" + y; } } class Candidate implements Comparable<Candidate> { Pos pos; int cnt; public Candidate(Pos pos, int cnt) { this.pos = pos; this.cnt = cn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Candidate o) { return cnt - o.cnt;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방향바꾸기 T = new 방향바꾸기();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1, 3}, {1, 4, 2}, {4, 2, 3}}));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2, 1, 3}, {1, 1, 4, 2}, {3, 4, 2, 1}, {1, 2, 2, 4}}));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2, 1, 3, 1, 2}, {2, 1, 1, 1, 4, 2}, {2, 2, 2, 1, 2, 2}, {1, 3, 3, 4, 4, 4}, {1, 2, 2, 3, 3, 4}}));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 2, 1, 3, 1, 2, 2, 2}, {2, 1, 1, 1, 4, 2, 1, 1}, {2, 2, 2, 1, 2, 2, 3, 4}, {1, 3, 3, 4, 4, 4, 3, 1}, {1, 2, 2, 3, 3, 4, 3, 4}, {1, 2, 2, 3, 3, 1, 1, 1}}));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1, 2, 3, 2, 1, 3, 1, 2, 2, 2}, {1, 2, 2, 1, 1, 1, 4, 2, 1, 1}, {3, 2, 2, 2, 2, 1, 2, 2, 3, 4}, {3, 3, 1, 3, 3, 4, 4, 4, 3, 1}, {1, 1, 1, 2, 2, 3, 3, 4, 3, 4}, {1, 1, 1, 2, 2, 3, 3, 1, 1, 1}})); } }AI로 답변을 달아주시는 것 같은데 이번에도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을 보면 강사님이랑 풀이방식은 비슷한것같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매서드 캡슐화와 테스트 코드
선생님, 안녕하세요.내부에서만 사용하는 매서드는 private으로 캡슐화 해두는 것이 좋은 구현이라고 알고 있고, 이번 수업에서도 그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private 매서드들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서 테스트 해보고싶은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고민을 하다가 몇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 그냥 public 으로 열어버리고 테스트 코드를 두곤 했는데요, 이런 경우에 선생님은 실무에서 어떻게 하셨는지, 가장 좋은 practice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ibernate 6] custom 함수 등록 방법 공유
Hibernate 6에서는 강의에서 처럼 Dialect를 통한 함수 등록이 불가능합니다.https://start.spring.io/로 Spring Boot 3버전으로 만드신 분들은 문제를 겪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등록법FunctionContributer의 구현체를 만들어 준다.package custom; import org.hibernate.boot.model.FunctionContributions; import org.hibernate.boot.model.FunctionContributor; import org.hibernate.dialect.function.StandardSQLFunction; import org.hibernate.type.StandardBasicTypes; public class CustomFunctionContributor implements FunctionContributor { @Override public void contributeFunctions(FunctionContributions functionContributions) { functionContributions.getFunctionRegistry() .register("group_concat", new StandardSQLFunction("group_concat", StandardBasicTypes.STRING)); } } src/main/resources/META-INF/services/org.hibernate.boot.model.FunctionContributor파일을 생성한다.해당 파일에 직접 구현한 CustomFunctionContributor를 등록한다. 패키지명.컨트리뷰터이름 형태로 등록!!custom.CustomFunctionContributor이렇게 하시면, 강의에서처럼 group_concat함수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ialect는 변경 안하셔도 됩니다. referencehttps://aregall.tech/hibernate-6-custom-function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private static method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rivate static method 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질문 배경]영한님의 다른 강의(스프링 강의로 기억합니다.) 중에 아주 단순한 기능을 private static method를 사용하셔서 만드신 걸 본적이 있었습니다. 왜 private 접근제어자를 사용하셨는데, 인스턴스 메서드가 아닌 static 메서드를 사용하셨을까? 궁금하여 여러 검색과 이리 저리 혼자서 생각도 많이 해보고 나름대로 정리했습니다만 뇌내 망상 수준이라.. 영한님의 답변만큼 확실한건 없을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검색 등을 통해 제가 정리한 내용]속도 : 인스턴스 메서드의 경우에는 메서드 영역의 virtual table을 거쳐서 이 인스턴스에 매핑되는 메서드를 조회 후 메서드에 접근해야 하지만, static 메서드의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어 인스턴스 메서드에 비해 빠르다. -> 이 부분은 제가 여러 정보를 조합한 내용이라 신빙성이 떨어지고, 과연 속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까 의문입니다.객체지향기반의 커뮤니케이션 : private 접근제어자를 명시하여 캡슐화를 하였으나 static 까지 붙여 이 메서드는 내부에서만 쓸 뿐더러 객체지향적으로 대화할 의도가 없으니 거들떠도 보지 말아라 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