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포인터, 배열, 문자열을 공부하기 위한 최소 범위(?)
안녕하세요컴공과 1학년 학부생입니다.제가 당장 2주뒤에 c언어 중간고사를 보는데, 범위가 (포인터, 배열, 문자열) 입니다.문제는 제가 c언어를 이번 학기에 처음 배워서 이 강의를 들으며 따로 공부하고 있지만, 중간고사 전까지진도를 나가지 못할 것 같습니다.일단 포인터, 배열, 문자열 공부를 시작해야 하는데 이 것을 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는 해야한다이런 것이 있을까요?진도는 섹션3까지 나갔습니다.
-
미해결Vue 3 시작하기
영상 하단에 강의노트가 있다고 하셨는데 안보입니다...
영상 하단에 강의노트가 있다고 하셨는데 안보입니다...업로드가 아직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인 지, 제가 그냥 못 찾는 것인 지 모르겠네요
-
미해결버그헌팅과 시나리오 모의해킹 전문가 되기
HT에디터
kioptrix3 문제에서 ht에디터로 권한상승하는 내용이었는데ht에디터는 임의로 만들어진 에디터인가요? 아니면기존에 리눅스에 존재하는 에디터인가요?구글에는 안나오길래 질문 남깁니다 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로젝트 생성, 설정..
프로젝트 생성부터 막히네요 ㅜㅜ 이렇게 생성했고, 이렇게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ㅠㅠ 왜그런걸까요? 그리고, 강의에는 h2 설치는 나오는데 하이버네이트에 대한건 버전에 대한 설명만 있던데.. 설치도 따로 해줘야하는건가요??? ㅠ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Context 체인 전파
안녕하세요. Context 체인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전파된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Stream()에서 순서대로 연산을 실행해서 조건에 맞는 것만 다음연산으로 넘어가는데 어떻게 context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을 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T2-4. House Prices (Regression)문제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submission = pd.DataFrame(data={ 'Id': y_test.Id, 'income' : prediction })제출할 때 y_test의 ID값을 불러와서 제출해도 되는건가요? 이 문제에서는 아래처럼 결측치 처리를 해서 y_test의 ID값을 불러오신거 같은데 헷갈려서요 ㅠㅠ X_test를 pd.read_csv로 다시 불러온 다음에 ID값만 추출해서 제출해야 하는게 아닌가해서 질문드립니다from sklearn.impute import SimpleImputer imp = SimpleImputer() X_train = imp.fit_transform(X_train) X_test = imp.transform(X_test)
-
미해결STM32 CAN 통신
sw시작과정에 관한 문의
안녕하세요 sw섹션에서 이 부분에 뜨고 확인 누른다음에 rcc를 pdf와 같이 설정하고 debug 과정에서 Trace and Debug설정이 아예 뜨질 않습니다. 제가 어디서 잘못된건지 알 수 있을까요? HSE화 LSE설정 과정에서 CRS SYNC도 안나옵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8강 Cannot load driver class: org.h2.driver
안녕하십니까. 다름이 아니라 profile을 local로 실행 시 오류가 나서 질문을 드립니다. 인텔리제이 Community 버전이라서VM option 추가 후, -Dspring.profiles.active=local를 입력헀습니다. 실행을 할때 local 프로필이 활성화가 되었다고 하지만 오류가 발생합니다. VM option이 잘못된건가 싶어서-Dspring.profiles.active=dev로 설정 시 MySQL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즉 h2관련 코드를 제가 잘못작성했거나 아니면 다른이유로 오류가 발생한다는건데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을 하기가 힘들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Configuration$Hikari.class]: Bean instantiation via factory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BeanInstantiationException: Failed to instantiate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Factory method 'dataSource' threw exception;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Cannot load driver class: org.h2.driver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BeanInstantiationException: Failed to instantiate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Factory method 'dataSource' threw exception;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Cannot load driver class: org.h2.driverCaused by: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Cannot load driver class: org.h2.driverExecution failed for task ':LibraryApp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Program Files/Java/jdk-17/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Putchar 관련 질문입니다
Puchar 명령어는 buffer에 값을 넣는 것뿐만아니라 printf 처럼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까지 포함된 것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getchar는 문자를가져와 읽는 기능인 것처럼 putchar또한 메모리 buffer안에만 write하는건 아닐까 했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types.ts 파일 생성이 안됩니다.
설치 항목을 전부 설치하고 다시 설치하고 주소도 바꿔서 해봤는데 types.ts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ㅠㅠ
-
미해결STM32 CAN 통신
준비물
예전에 수업을 위한 준비물을 문의 드렸었는데 stlink는 처음 보는건데 이건 구매 안하고 나머지 부품들로 수업을 진행해도 괜찮나요?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실습환경 구축 STM32CubeIDE 시작하기. 따라하다가 에러 발생
안녕하세요. 선생님 실습환경 구축 STM32CubeIDE 시작하기 영상을 보다가 TASKMAN 인포트까지는 했는데, 그 이후 영상처럼 디버깅을 하면 에러가 납니다.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요? 빌드 조차도 되지 않으니 문제가 있는듯한데요. 처음 하는 것이라서 가이드가 좀 필요합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in 최적화에서 궁금한 점
new 오퍼레이션을 써서 List<OrderItemQueryDto>을jpql로 가져온 부분에서 말인데요..첫 번 째에서 in :여기서 띄우고 값을 넣으면 매개 값을 인식을 못 하는 거 같더라구요 두 번째는 쿼리가 잘 나가구요 혹시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where oi.order.id in : orderIdswhere oi.order.id in :orderIds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프로세스의 생성과 종료에서
영상 시작하자마자 LoL.exe를 더블 클릭으로 실행시키면 운영체제는 해당 프로그램의 코드영역과 데이터영역을 메모리에 로드 빈 스택과 빈 힙을 만들어 공간을 확보한다. 이제 이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PCB를 만들고 PCB를 초기화 해준다." 라고 하시고,갑자기 컴퓨터가 부팅되면 딱 한번만 실행된다고 하는데, 설명이 매끄럽지 못한것 같습니다.컴퓨터가 부팅될때 운영체제의 PCB가 생성되고 LOL.exe를 클릭하면 ~~~과정이 일어난다 이 순서대로 설명이 되어야하는데,롤 클릭하는 과정 이야기 하다가 컴퓨터가 부팅될때 딱 한번 실행된다하면, 이걸 자연스럽게 이해할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미해결반응형 웹사이트 포트폴리오(Architecture Agency)
custom.js 의 click 부분
custom.js에서 $(function(){ $('.trigger').click(function(){ $(this).toggeClass('active') $('.gnb').toggeClass('active') }) $('section, .menu a').click(function(){ $('.gnb').removeClass('active')}) $('.menu a').click(function(e) { e.preventDefault(); $.scrollTo(0, 900); }); }) 제이쿼리스크롤을 index.html에 링크 건 후에 custom.js의 click 부분들에 줄이 그어졌습니다."선언이 여기에 사용되지 않음으로 표시되었습니다" 라고 뜨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해결됨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임대값의 수명에 대한 강의는 언제쯤 볼 수 있을까요?
섹션7에 제네릭, 트레이트 강의는 있는데 임대값의 수명 강의는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언제쯤 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metalb 를 활용한 로드 밸런싱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제가 직접 구축을 해보고 싶어서 여러 시도를 하고 있는데metalb에 대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제가 지금 온프레미스 환경(집 컴퓨터) 와 여러 클라우드의 EC2(AWS뿐만 아니라 민간 클라우드 대여업체)를 활용해서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여기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metalb 방식에 layer2 방식이 있고 bgp 방식이 있더라구요. layer2을 활용해서 로드밸런싱이 동작할까요?2. layer2 방식의 로드밸런싱을 하게되면 EXTERNAL IP에 192.~로 시작하는 private 네트워크 주소가 나오는데 이 private 네트워크 주소를 public ip 처럼 외부에 할당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함수 호출과정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배운 내용을 다시 공부하면서 실행해본 결과입니다.함수 호출시에 232바이트만큼 rsp를 이동시키고 rbp를 32바이트만큼 빼서스택프레임당 32byte와 200byte의 여백을 남기는것을확인했습니다. 컴파일러가 컴파일시에 스택 사이즈를 정하고 저장하는 위치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스택프레임은 32byte고 중간에 카나리(?)는 200byte라는걸 결정하면, os는 프로그램 실행시 해당 정보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미해결모두를 위한 파이썬 : 필수 문법 배우기 Feat. 오픈소스 패키지 배포 (Inflearn Original)
logging print 순서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수업을 따라하던 도중import logging logging.basicConfig( format='%(asctime)s %(message)s', level=logging.INFO, datefmt='%Y-%m-%d %H:%M:%S' ) class LoggedScoreAccess: def __init__(self, value=50): self.value = value def __get__(self, obj, objtype=None ): logging.info('Aceesing %r giving %r','score',self.value) return self.value def __set__(self, obj, value): logging.info('Updating %r giving %r','score',self.value) self.value = value class student: # Descriptor instance score = LoggedScoreAccess() def __init__(self, name): # Regular instance attribute self.name = name s1 = student("Kim") s2 = student("Lee") # 점수 확인(s1) print('Ex2 > ', s1.score) s1.score += 20 # print('Ex2 > ', s1.score)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했는데제 생각으로는 print('Ex2 > ', s1.score) 이후에s1.score += 20실행이 되었기 때문에로그 순서가 수업과 같이 나오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실제 print 되는 순서는2023-10-09 19:23:54 Aceesing 'score' giving 50 2023-10-09 19:23:54 Aceesing 'score' giving 50 2023-10-09 19:23:54 Updating 'score' giving 50Ex2 > 50다음과 같이log가 모두 출력된 후에 print가 나오게 됩니다. 어떻게 된건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31:04 부분 "select o from Order o" 만 했을 경우 결과값
2023-10-09T19:14:55.54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o.a.c.c.C.[Tomcat].[localhost].[/] : Initializing Spring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 2023-10-09T19:14:55.54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Initializing Servlet 'dispatcherServlet' 2023-10-09T19:14:55.54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initialization in 0 ms 2023-10-09T19:14:55.660+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offset ? rows fetch first ? rows only 2023-10-09T19:14:55.66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6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offset ? rows fetch first ? rows only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offset 0 rows fetch first 100 rows only; 2023-10-09T19:14:55.668+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m1_0.member_id, m1_0.city, m1_0.street, m1_0.zipcode, 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array_contains(?,m1_0.member_id) 2023-10-09T19:14:55.672+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2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array_contains(?,m1_0.member_id) 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array_contains('ar0: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m1_0.member_id); 2023-10-09T19:14:55.674+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d1_0.id, d1_0.city, d1_0.street, d1_0.zipcode, 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array_contains(?,d1_0.id) 2023-10-09T19:14:55.674+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4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d1_0.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array_contains(?,d1_0.id) select d1_0.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array_contains('ar1: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d1_0.id); 2023-10-09T19:14:55.676+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7+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7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1; 2023-10-09T19:14:55.677+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8+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8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2; 2023-10-09T19:14:55.680+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order_item_id, o1_0.count, o1_0.item_id, 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o1_0.order_id) 2023-10-09T19:14:55.686+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86 | took 5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order_item_id,o1_0.count,o1_0.item_id,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o1_0.order_id) select o1_0.order_id,o1_0.order_item_id,o1_0.count,o1_0.item_id,o1_0.order_price from order_item o1_0 where array_contains('ar2: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o1_0.order_id); 2023-10-09T19:14:55.687+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i1_0.item_id, i1_0.dtype, i1_0.name, i1_0.price, i1_0.stock_quantity, i1_0.artist, i1_0.etc, i1_0.author, i1_0.isbn, i1_0.actor, i1_0.director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i1_0.item_id) 2023-10-09T19:14:55.688+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88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i1_0.item_id,i1_0.dtype,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rtist,i1_0.etc,i1_0.author,i1_0.isbn,i1_0.actor,i1_0.director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i1_0.item_id) select i1_0.item_id,i1_0.dtype,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rtist,i1_0.etc,i1_0.author,i1_0.isbn,i1_0.actor,i1_0.director from item i1_0 where array_contains('ar3: ARRAY [CAST(1 AS BIGINT), CAST(2 AS BIGINT), CAST(3 AS BIGINT), CAST(4 AS BIGINT)]',i1_0.item_id); 이 결과값에서 강의랑 다른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하이버네이트 6.2 라서 array_contains 인거 아는데 아래 부분이 이해가 안됩니다.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7+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7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1; 2023-10-09T19:14:55.677+09:00 DEBUG 2455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3-10-09T19:14:55.678+09:00 INFO 2455 --- [nio-8080-exec-1] p6spy : #1696846495678 | took 0ms | statement | connection 7| url jdbc:h2:tcp://localhost/~/jpanew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2;orders 를 처음에 조회하고 나서 또 추가적으로 o1_0.delivery_id=?이걸로 조회하는 결과가 왜 생기는걸까요?..(배치사이즈도 강의랑 똑같이 100입니다) OrderApiController.java@GetMapping("/api/v3.1/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sV3_page(@RequestParam(value ="offset",defaultValue = "0") int offset, @RequestParam(value ="limit",defaultValue = "100") int limit)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MemberDelivery(offset,limit); List<OrderDto> result = orders.stream() .map(o -> new OrderDto(o))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result; } OrderRepository.java public List<Order> findAllWithMemberDelivery(int offset, int limit)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Order.class ).setFirstResult(offset) .setMaxResults(limit) .getResultList(); }이렇게 바꾸고 난 이후에 일어난 결과입니당..강의랑 In말고도 추가적으로 다른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일단 제 스프링부트 버전은 3.1.3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