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JAVA Spring 환경설정
java spring 을 사용하려고합니다 근데 이때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왜 delete 쿼리가 안나가는 걸까요?
Parent class@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parent",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Child> childList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Child(Child... childArray) { for (Child child : childArray) { child.setParent(this); childList.add(child); } }Child class@Setter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 @JoinColumn(name = "PARENT_ID") private Parent parent;Main 메서드Parent parent = new Parent(); Child child = new Child(); Child child1 = new Child(); parent.addChild(child, child1); em.persist(parent); em.flush(); em.clear(); Parent findParent = em.find(Parent.class, parent.getId()); Child findChild = findParent.getChildList().get(0); em.remove(findChild); tx.commit();Main메서드에서 findParent에서 자식 리스트를 가져와 첫번째 자식을 삭제해도 db에는 여전히 child, child1이 남아있는데 혹시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이 지원 중단되었다고 들었는데, 계속 사용할 메리트가 있을까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querydsl이 지원 중단되었다고 들었는데, 계속 사용할 메리트가 있을까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double형 오버플로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보다가 문득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int의 경우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면 Long 형으로 형 변환을 하면 된다고 하셨는데 double을 사용하다가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처리를 하는지 궁금해져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double형을 사용하면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상황 자체가 잘 못 된것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적 참조의 오버라이딩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다른 분께서 올려주신 질문 글을 읽고 저 또한 같은 의문이 생겼지만, 그에 대한 답변이 저에게는 잘 와 닿지 않아서 제가 이해한 바를 적어봅니다. 상속 관계에 있는 객체의 메서드를 사용할 때는, 우선 메서드를 사용하는 변수의 참조값을 따라 인스턴스를 찾고, 인스턴스 내의 변수 타입과 동일한 클래스 타입부터 시작하여 메서드를 찾는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메서드를 찾을 때는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 방향으로 올라가는 것만 가능하고, 부모 클래스에서는 자식 클래스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반대는 불가능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부모 변수가 자식 인스턴스를 참조하는 다형적 참조의 경우, 메서드를 호출하는 변수의 타입은 부모 클래스이므로 메서드를 부모 클래스에서 찾을 것이고, 부모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에 대한 정보가 없는데 어떻게 자식 클래스에 해당 메서드가 오버라이딩이 되었는지 판단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제 식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다형적 참조에서는 변수의 타입은 Parent지만, 이 변수가 참조하는 것은 자식 인스턴스인 Child입니다. 호출된 메서드를 찾을 때는 변수의 타입과 같은 Parent에서 탐색하는 것은 맞지만, 오버라이딩 여부는 Child 인스턴스 내에서 별개로 확인하는 것이고 Parent 인스턴스와는 무관합니다.제가 이해한 방식이 맞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단방향 vs 양방향 성능 차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양방향 매핑을 할 때와 단방향 매핑을 할 때의 성능 차이가 있나요?그러니까, 단방향 매핑을 한 후, 각 엔티티의 레포지토리를 통해 명시적으로 조회하는 것과, 양방향 매핑을 한 후, get을 사용하여 조회하는 상황의 성능 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지연로딩을 사용하는 경우, 결국 나가는 쿼리 수는 같지 않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NextInt 후 NextLine 쓰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아니오)[질문 내용]System.out.print(i+1+"번째 주문 정보 입력"); System.out.print("상품명 : "); String productName = scanner.nextLine(); System.out.print("가격 : "); int price = scanner.nextInt(); System.out.print("수량 : "); int quantity = scanner.nextInt(); scanner.nextLine(); //입력 버퍼를 비우기 위한 코드price 입력 받을 때와 quantity 입력 받을 때 둘다 int형으로 입력을 받는데 quantity 수량 받을 때는 nextLine을 해주는데,왜 price를 받을 때는 nextLine을 안해줘도 되는것일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부모의 부모 인스턴스
예를 들어 ElectricCar extends Car, Car extends Vehicle의 상속 관계를 가질 때 new ElectricCar()를 호출하면 부모 인스턴스인 Car도 같이 생성하는데 이 경우 Car는 Vehicle 의 상속을 받으니까 Vehicle 인스턴스도 함께 생성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26:30 경에 userinfo 분기가 강사님과 다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OicdUserService의 아래 메서드에서 true를 반환해버리는데요. 우선 해당 함수의 if(authroization_code 이냐?) 분기를 타고, accessibleScopes가 empty 가 아닙니다. 아마 키클록에서 default 스코프가 있기 때문인거 같은데요. shouldRetrieveUserInfo 해당 영상에서는 키클록의 default 스코프가 빠진걸까요? 아니면 grant type 문제일까요? 참고로 grant type 은 별다른 옵션 없이도, registration repository에서 꺼내오는 순간 registration에는 authroization_code 입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static final 위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예제를 하면서 보던 도중 static final 위치를 바꾸면 어떻게 될까 해서... 쳐보니이렇게 둘다 되었습니다.혹시( static final)로 하는 이유가 있나요?저가 생각해본게 첫째 : 관례둘째 : 지정 범위? (연산자의 우선순위처럼 이런게 정해져 있는가 생각함.)라고 생각해보았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컬렉션 fetch join
안녕하세요 강사님프로젝트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6개의 엔티티를 조인해야 하는 상황인데 현업에서도 이렇게 조인을 하기도 하나요? 물론 성능에 따라 다르겠지만 몇개 정도의 테이블을 조인하는 것이 적당할까요?컬렉션 패치 조인은 1개까지만 하라고 하셨는데 현재 상황은 3개나 컬렉션이 존재합니다. 이런경우는 어떤식으로 해결하는게 좋을까요?? 강사님께서는 어떤식으로 해결하시는지 궁금합니다 ㅎㅎ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키보드 뭐쓰는지 궁금해요ㅠㅠ
학습과 관련은 없지만, 키보드 소리가 너무 좋아서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static 메서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findPay 메서드가 static이면 이 안에서 호출되는 메서드는static이어야 하는것 아닌가요? equals 메서드는 String 메서드로 단지 option에만 쓰여서 해당되지 않는 건가용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2024년 1월 기준 p6spy dependency 추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1.9.0으로 바꾸시면 나올겁니다!
-
해결됨
Cannot resolve symbol 'SpringBootApplication'
인터넷에서 찾아본 해결책을 다 시도해 봐도 해결이 안되네요 ㅠㅠ Try it “File ▸ Invalidate Caches/Restart ▸ Invalidate And Restart” 시도해 보아도 안됨. Gradle에서 Reload All Gradle Projects를 해보아도 안됨.File → Project Structure 를 클릭한 후에 "Project Settings" 에 Project SDK 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 봐도 안됨.Settings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 Gradle 에 들어가 버전 확인해 봐도 안됨.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외래키 제약 조건
[질문 내용]강의 내용 중 "외래키를 꼭 사용해야할까?" 에 대한 물음에 두 가지 방안을 주셨는데요.빠른 처리가 중요하며 실시간 트래픽이 많은 시스템인 경우 -> "외래키를 사용하지 않는 쪽도 고려해볼만 함"돈이 왔다갔다 하는 등의 reliablity가 중요한 시스템인 경우 -> "외래키를 꼭 사용하라"그렇다면 질문이 있습니다.질문 1. 만약 외래키 제약조건이 관계형 DB에 이미 걸려있는 상태라면 Java 코드상에서는 아무런 설정 없이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해도 되나요?질문 2. 만약 외래키 제약조건이 관계형 DB에 걸려있지 않고 관계형 DB의 성능상의 이슈로 외래키 제약 조건을 애플리케이션에서 해결해야 한다면 해당 로직 또한 개발해야 하나요? 즉, JPA가 외래키 제약 조건을 체크해주는 기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와 hello-static.html 의 차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주소창에 입력할 때static 폴더에 있는 hello-static과 index는 확장자 (.html)을 붙여야 하고templates 폴더에 있는 hello는 .html을 붙이면 안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hello는 th: 문법을 사용해서 그런건가요? 확실하게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ㅎㅎ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OSIV off인 아키텍쳐에서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영한쌤이 말씀해주신Controller -> Application Service -> Domain Service -> Repository에서Application Service: 트랜잭션의 시작, Domian Service에 있는 순수 도메인 로직들을 활용하여,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로직을 구성Domain Service : 도메인에 대한 순수한 로직으로 구성. Application Service의 도구로서 활용됨. OSIV를 off 상태이기 때문에 Controller에 반환시 Application Service에서는 응답 Dto로 넘겨줘야 하는데 여기서 한가지 고민이 있습니다. 아키텍쳐는 위에서 아래로 순방향으로 흘러야 하는데 (역행, 순환 참초 X). Application Service에서 Controller단에 종속적인 응답 Dto를 넘기게 된다면, Application Service와 Controller간에 순환 참조와 역류 참조가 일어나지 않아 문제이지 않나 싶습니다... 상관이 없는지 아니면 어떻게 해결해야 좋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tegory 엔티티에선 부모 객체가 왜 필요한건가요?
현재 실전 스프링부트와 jpa활용1편을 수강중입니다. 엔티티 클래스 개발2 에서 카테고리 클래스를 만들 때, 부모 객체는 왜 생성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미 카테고리 클래스 자체가 부모 클래스가 되는게 아닌가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에 테이블 생성이 안돼요...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프로젝트 환경설정을 마치고 프로젝트를 돌려봤습니다.똑같이 따라하면서요.그런데 사진과 같이 create문까지 잘 나오는데 h2에 테이블이 안보여요문제가 뭘까요? ㅠㅠ 주의 사항도 다 보면서 버전업 시켰는데도 안되네요..하루종일 구글링하고 찾아봐도 모르겠어요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