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중급편] 코인 가격 모니터링 앱 제작 (Android Kotlin)
HTML 코드
영상 1:16 에서 길게 늘어진 코드를 어떻게 정렬하신건가요?
-
해결됨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챕터 02-05에 있는 챌린지 폴더는 무엇인가요?
한 번 풀어보라고 추가한 응용 문제인가요?그냥 풀어보면 되는 것인지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CRI docker 와 containerd 차이점
강의 9분대에서 실습하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k8s 에서 docker 를 CRI로 사용할 때 파드를 배포한 후에 docker 를 중지하고 curl 접속을 하면 접속이 안되고 containerd 를 CRI로 사용할 때 파드를 배포한 후에 containerd 를 중지하고 curl 접속을 하면 접속이 되는데 무슨 차이일까요??docker와 containerd 의 어떤 차이점이 있어서 그런걸까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oot@m-k8s ~]# k create deployment sy-deploy --image=nginx deployment.apps/sy-deploy created [root@m-k8s ~]# k get po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tatic-web-m-k8s 1/1 Running 1 (156m ago) 153m sy-deploy-84f55cfcf9-6twr9 1/1 Running 0 3s [root@m-k8s ~]# k scale deployment sy-deploy --replicas=6 deployment.apps/sy-deploy scaled [root@m-k8s ~]# k get po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static-web-m-k8s 1/1 Running 1 (157m ago) 153m sy-deploy-84f55cfcf9-6twr9 1/1 Running 0 30s sy-deploy-84f55cfcf9-9jxwz 0/1 ContainerCreating 0 2s sy-deploy-84f55cfcf9-dd7pg 0/1 ContainerCreating 0 2s sy-deploy-84f55cfcf9-jzsrv 0/1 ContainerCreating 0 2s sy-deploy-84f55cfcf9-l5qpr 0/1 ContainerCreating 0 2s sy-deploy-84f55cfcf9-zl9zt 0/1 ContainerCreating 0 2s [root@m-k8s ~]# k get po -o 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static-web-m-k8s 1/1 Running 1 (157m ago) 153m 172.16.171.71 m-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6twr9 1/1 Running 0 46s 172.16.221.156 w1-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9jxwz 1/1 Running 0 18s 172.16.132.30 w3-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dd7pg 1/1 Running 0 18s 172.16.132.31 w3-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jzsrv 1/1 Running 0 18s 172.16.221.157 w1-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l5qpr 1/1 Running 0 18s 172.16.103.162 w2-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zl9zt 1/1 Running 0 18s 172.16.103.161 w2-k8s <none> <none> # containerd 중지 [root@w1-k8s ~]# systemctl stop containerd [root@w1-k8s ~]# systemctl status containerd ● containerd.service - containerd container runtime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containerd.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disabled) Active: inactive (dead) since Sat 2023-10-14 23:49:00 KST; 8s ago Docs: https://containerd.io [root@m-k8s ~]# k get po -o 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static-web-m-k8s 1/1 Running 1 (158m ago) 154m 172.16.171.71 m-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6twr9 1/1 Running 0 75s 172.16.221.156 w1-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9jxwz 1/1 Running 0 47s 172.16.132.30 w3-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dd7pg 1/1 Running 0 47s 172.16.132.31 w3-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jzsrv 1/1 Running 0 47s 172.16.221.157 w1-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l5qpr 1/1 Running 0 47s 172.16.103.162 w2-k8s <none> <none> sy-deploy-84f55cfcf9-zl9zt 1/1 Running 0 47s 172.16.103.161 w2-k8s <none> <none> [root@m-k8s ~]# curl 172.16.221.156 <!DOCTYPE html> <html> <head> <title>Welcome to nginx!</title> <style> html { color-scheme: light dark; } body { width: 35em; margin: 0 auto; font-family: Tahoma, Verdana, Arial, sans-serif; } </style> </head> <body> <h1>Welcome to nginx!</h1> <p>If you see this page, the nginx web server is successfully installed and working. Further configuration is required.</p> <p>For online documentation and support please refer to <a href="http://nginx.org/">nginx.org</a>.<br/> Commercial support is available at <a href="http://nginx.com/">nginx.com</a>.</p> <p><em>Thank you for using nginx.</em></p> </body> </html>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시리즈 선택
data = { "메뉴":['아메리카노','카페라떼','카페모카'], "가격":[4100,4600,4600], "할인율":[0.5, 0.1, 0.2], "칼로리":[10, 180, 420], } cafe = pd.DataFrame(data) cafe위 코드 작성후 # 시리즈 선택 (가격) df['메뉴']시리즈를 선택하였는데 cafe = df라는 함수를 지정하지 않았는데 df안에 어떻게 data안의 값들이 들어 있나요?제가 다른 데이터 프레임을 작성하여 df를 사용해도 계속 cafe 안 데이터만 나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예외 복구 처리 시 런타임 예외로 전환 필요성
체크 예외를 런타임 예외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의문점이 있습니다.리포지토리에서 체크 예외인 SQLException을 런타임 예외인 MyDBException으로 변환하는 것은 서비스의 SQLException에 대한 의존을 제거하기 위함인데특정 케이스의 예외(중복 키 발생)인 경우 복구를 위해 레퍼지토리에서 에러코드로 SQLException을 분리하고 코드에 따라 다른 런타임 예외를 만들어서 던집니다.이 때 서비스에서는 해당 에러 복구를 위해 try-catch로 결국 해당 런타임 예외를 잡는 코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 런타임 예외에 대한 종속이 생김 그렇다면 이렇게 예외 처리에 대한 목적이 분명한 경우 SQLException 예외 코드에 따라 (Exception)을 상속받은 체크 예외를 만들어서 던지게 되면 예외를 누락할 위험성도 없고 더 좋은것 아닌가요?-> 어차피 직접 생성한 예외에 대한 종속이 서비스에서 발생하였으므로 왜 굳이 런타임 예외를 상속받은 예외를 생성해서 던지는 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시리즈 선택
data = { "메뉴":['아메리카노','카페라떼','카페모카'], "가격":[4100,4600,4600], "할인율":[0.5, 0.1, 0.2], "칼로리":[10, 180, 420], } data cafe = pd.DataFrame(data) cafe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해 df['메뉴']를 하면 메뉴 시리즈만 불러올 수 있는데 pd.DataFrame({ "menu" : menu, "price" : price })이 데이터 프레임의 경우에는 df[menu]"None of [Index(['아아', '아라', '바콜'], dtype='object')] are in the [columns]" 이러한 오류가 나옵니다. 둘다 데이터 프레임이라고 생각하는데 아래의 경우는 왜 안되고,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추가로 cafe라는 데이터 프레임을 df에 저장 하지 않았는데 df를 입력하면 cafe안에 있는 값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필사 전략 공부 중인데요.
강사님 처럼 이렇게 불러와 지진 않고.. 아무리 전체 돌려도 불러와 지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
-
해결됨
4강 def문에 대해 추가 질문 있습니다!
답변주신 내용을 보며 강의를 다시 한번 들어 보았는데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def plus(x,y): result = x+y return result이 코드는 plus라는 함수안에 x,y값이 있고 plus 안에 result =x+y라는 값을 만들어 다시 plus라는 함수에 저장하는 구조가 맞는건가요?listbox = [15,46,78,24,56] def min_max(data): mi = min(data) ma = max(data) return mi,ma a,b = min_max(listbox)이 코드는 min_max라는 함수안에 data라는 입력값, mi안에는 입력값의 최솟값, ma에는 입력값의 최댓값, 그리고 mi,ma를 리턴해줘서 min_max함수에 저장이라는 구조가 맞는건가요?이 구조가 맞다면 a,b = min_max(lisbox)는 min_max(listbox)에 저장되어있는 값을 a,b 순서대로 저장해주는 건가요? 그리고 data 라는 입력값은 왜 있어야 하는건가요? 데이터는 listbox안에 리스트 형태로 저장되어있는데 listbox가 아닌 data라는 입력값을 넣어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input 속성 및 state 관리] 사용자 입력 처리하기
안녕하세요.사용자 입력 처리하기 강의 관련 질문입니다. input 태그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고, 상태 관리하면, 상태에 사용자의 입력이 반영되는 게 한 단계씩 늦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가 useState가 비동기적으로 처리된다고 들은적이 있는 것 같은데,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아래 코드의 handleOnChange함수에서,Q1) e.target.name, e.target.value은 제깍제깍 실시간으로 반영이 되는데, input state는 한 단계 늦게 반영이 됩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이건 개발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 이유는 뭔지? 가 궁금합니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DiaryEditor = () => { const [input, setInput] = useState({ author: '', content: '', emotion: 1, }); const handleOnChange = (e) => { console.log(e.target.name); console.log(e.target.value); setInput({ ...input, [e.target.name]: e.target.value }); console.log(input); }; const handleSubmit = () => { console.log(input); alert('오늘의 일기가 저장되었습니다!'); }; return ( <div className='DiaryEditor'> <h2>오늘의 일기</h2> <div> <input name='author' value={input.author} onChange={handleOnChange} /> <p>{input.author}</p> </div> <div> <textarea value={input.content} name='content' onChange={handleOnChange} /> <p>{input.content}</p> </div> <div> <span>감정 지수 : </span> <select onChange={handleOnChange} name='emotion' value={input.emotion} > <option value={1}>1</option> <option>2</option> <option>3</option> <option>4</option> <option value={5}>5</option> </select> </div> <div> <button onClick={handleSubmit}>저장하기</button> </div> </div> ); }; export default DiaryEditor; Q2) 위처럼 input이란 state는 한단계씩 늦게 반영이 되는데, select태그의 value 속성을 주는 목적은 무엇인가요??인풋의 value 속성은 실시간으로 인풋의 값과 상태를 동기화해주는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했는데,state가 곧바로 변하지 않는거면, 이 인풋의 value 속성은 무용지물인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select onChange={handleOnChange} name='emotion' value={input.emotion} >Q3) useState의 초기값은 반드시 빈문자열등으로 인자를 전달하는 게 나은가요? 아무 인자도 전달하지 않으면 어떤 잠재적인 에러 발생 가능성이 있는건가요?
-
미해결
3-4 라벨 인코딩 시 for 문 안에 함수 저장하는 이유 질문 드립니다.
3-4 피처엔지니어링 강의 중, 사이킷런에서 LabelEncoder를 임포트하고 le변수에 함수를 저장했습니다.근데 for문 안에서 매번 같은 변수에 함수를 저장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for문 안에 해당 부분을 주석 처리하고 실행해봤는데 정상 동작 되는 것 같아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아래 사진에 주석으로 표시하였으니, 참고하시고 답변 주시기 바랍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iloc 질문있습니다
섹션3 "머신러닝"과 줄다리기 중 라이브러리 및 데이터 불러오기 그리고 EDA 강의노트에서 질문이 있습니다.이곳에서 iloc[a, b:c]일 경우에 c-1까지 불러온다고 알고 있는데 왜 id까지 나오는게 아니라 age도 나오는지 궁금합니다ㅠㅠ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ES6+ 최신 자바스크립트 입문
[계산기 CSS Markup]output 창의 높이관련
안녕하세요. output 창의 높이가 강사님 화면처럼 고정되지가 않고, previous 와 current.textContent 값이 있으면 높이가 조금 높아졌다가, 값이 없으면 작아집니다. 계산기의 style.css 를 그대로 따라 했고요.안되서 강의 파일을 그대로 복사했어도 동일합니다.당췌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ㅡㅡ; ( 참고로 강의 파일에는 right 로 되어 있어서 botton 으로 수정해서 적용했습니다. )body { height: 100vh;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aaff, #0f4c81); } [index.html]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 <script src="main.js" defer></script> <title>계산기</title> </head> <body> <div class="calculator-grid"> <div class="output"> <div class="previous-operand" data-previous-operand></div> <div class="current-operand" data-current-operand></div> </div> <button class="span-two" data-all-clear>AC</button> <button data-delete>DEL</button> <button data-operation>÷</button> <button data-number>1</button> <button data-number>2</button> <button data-number>3</button> <button data-operation>×</button> <button data-number>4</button> <button data-number>5</button> <button data-number>6</button> <button data-operation>+</button> <button data-number>7</button> <button data-number>8</button> <button data-number>9</button> <button data-operation>-</button> <button data-number>.</button> <button data-number>0</button> <button class="span-two" data-equals>=</button> </div> </body> </html> [style.css]* { margin: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 body { height: 100vh;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00aaff, #0f4c81); } .calculator-grid { display: grid; justify-content: center; align-content: center; min-height: 100vh; grid-template-columns: repeat(4, 100px); grid-template-rows: minmax(120px, auto) repeat(5, 100px); } .calculator-grid > button { cursor: pointer; font-size: 2rem; border: 1px solid #fff; outline: none; background-color: rgba(255, 255, 255, 0.75); } .calculator-grid > button:hover { background-color: rgba(255, 255, 255, 0.9); } .span-two { grid-column: span 2; } .output { grid-column: 1/-1; background-color: rgba(0, 0, 0, 0.75); display: flex; align-items: flex-end; justify-content: space-around; flex-direction: column; padding: 10px;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break-all; } .output .previous-operand { color: rgba(255, 255, 255, 0.75); font-size: 1.5rem; } .output .current-operand { color: #fff; font-size: 2.5rem; }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3-4피처엔지니어링 강의, 원핫인코딩 컬럼 수가 다릅니다.
3-4 피처엔지니어링 강의에서 원핫인코딩 시 선생님이 진행하신 과정과 columns가 달라서 질문 드립니다.인코딩 시마다 결과가 달라질 수는 없을 것 같은데 혹시 데이터 자체가 변화됐나요?선생님 강의에서 진행했을 때는 컬럼수가 100개였고 제가 진행하는 시점에서는 99개로 출력됩니다.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ES6+ 최신 자바스크립트 입문
[계산기]소수점 이하 '0' 버튼 입력시 상단표시 관련
안녕하세요.계산기 코드에서, 소수점선택이랑, 0 을 선택하는 경우,floatNumber 는 해당값 인식이 안되어, 상단 currentDisplay에 표시가 안되고,이후 다른 숫자를 누르면 소수점 및 0을 포함하여 floatNumber 값이 인식이 되어 상단에 함께 표시가 되던데요. 소수점은 아니더라도 소수점 이하 0을 눌렀을 때에 상단화면에 0까지를 바로 표시가 되도록 하려면 if 문으로 추가 코딩을 해야 하는 거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pi개발 관련
안녕하세요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선생님 강의에서 api개발은 어떤강의를 들어야 하나요?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왜 자식클래스의 메서드가 메인에서 실행될까요?
다형성을 배울때, 변수의 자료형이 부모클래스라면 자식클래스에만 존재하는 메서드는 바로 사용이 되지않아 자식클래스로 형변환 해준뒤 사용한다고 했던거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예제에서, 분명 hamburgers array의 자료형은 Hamburger,즉 부모클래스의 자료형인데, 어째서 루프 안에서 hamburger.cook()이 실행될때마다 오버라이딩된 자식클래스 속의 cook메서드가 실행되는거에요?
-
해결됨Windows 시스템 프로그래밍 - 기본
보안 객체와 (보안) 기술 21분 질문입니다.
대전제 (feat. 핸들) (강의자료) 2초에서는 프로세서가 주체라고 설명해주셨는데 왜 보안 객체와 (보안) 기술자 21분경에서는 프로세스 수준 접근 통제 부분에서 객체에 대한 dacl과 로 나와있는데요.21분경에나와있는데 객체가 의미하는게 뭔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inner join 인 경우 join 문이 없어도 되는 경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queryDsl 강의 중 조인편을 보면서 한가지 실험을 해봤습니다.@Test void 팀A에_소속된_모든_멤버를_조회힌다() { List<Member> found = jpaQueryFactory.selectFrom(member) .where(member.team.name.eq("teamA")) .fetch(); assertThat(found) .map(Member::getTeam) .extracting("name") .allMatch(teamName -> teamName.equals("teamA")); } @Test void 조인을_통해_팀A에_소속된_모든_멤버를_조회힌다() { List<Member> found = jpaQueryFactory.selectFrom(member) .join(member.team, team) .where(team.name.eq("teamA")) .fetch(); assertThat(found) .map(Member::getTeam) .extracting("name") .allMatch(teamName -> teamName.equals("teamA")); }첫번째 테스트는 join 문 없이 QType 을 활용해서 where에 필요한 조건을 작성하였구요두번째 테스트는 join 메서드를 활용한 것 입니다.테스트 결과도 같고 실행 후 실제 수행된 쿼리도 동일하더라구요이런 경우에는 어떤 방법이 더 적절할까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merge와 delivery차이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강의를 듣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21:30 쯤 merge를 해서 메인 브랜치에 최종결과 코드를 릴리즈 했고 이게 delivery이다. 라고 해주셨는데 merge랑 delivery랑 같은 개념으로 생각해도 되는 건가요..?둘이 같은거라면 CI/CD 파이프라인에서 왜 굳이 나누는 건지...merge랑 delivery의 차이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프로메테우스 - {{ x86-64, arm64 }}
istio란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 7.4.프로메테우스 블랙박스 모니터링 수업에서 istio 설명을 그림쿠버에서 다루어서 넘어갔는데, 저는 그림쿠버를 구매하지 않아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개략적으로 어떤 기능을 담당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