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keycloak이 강의 버전과 맞지 않아서 생기는 오류 일부 정리
keycloak 버전이 제일 낮은 게 20 버전이라서 저는 가장 최근 버전인 23 버전으로 사용했습니다. 23 버전 기준으로, 제가 파악한, 강의와 다른 부분입니다.20 버전부터는 최초 로그인 할 때 동의 항목이 안 나올텐데요. 관리자 콘솔에서 Clients -> Cliend details에서 Login settings에서 Consent required를 켜면 됩니다.엑세스 토큰 발급 이후에 userinfo 엔드포인트로 user 데이터를 요청하면 body에 아무 것도 안 나올 겁니다. 응답 헤더 살펴보면 insufficient_scope이며 Missing openid scope이라고 나오는데요.이렇게만 써있으면 userinfo 요청할 때 param에 scope=openid 넣으면 될 것 같지만 안 됩니다. 토큰에 해당 정보가 없는 거라서, 토큰 발급 전에(code 얻어야할 때) scop에 openid를 추가하면 됩니다.http://localhost:8080/realms/oauth2/protocol/openid-connect/auth?response_type=code&client_id=oauth2-client-app&scope=profile email openid&redirect_uri=http://localhost:8081 공식문서에 나와 있습니다. In case an access token is missing openid scope.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일대다 관계에서 빈객체 반환에 대한 질문이있습니다.
List<ContentsDtoRes> contents = queryFactory .selectFrom(ParentEntity) .leftJoin(ParentEntity.childList, childEntity) .leftJoin(childEntity.childChildEntity, childchildEntity) .where( systemDelYnEq(condition.getDelYn()), autoDelYnEq(condition.getDelYn()) ) .offset(pageable.getOffset()) .limit(pageable.getPageSize()) .transform( groupBy(systemEntity.sysId).list( new QContentsDtoRes( parentEntity.a, parentEntity.b, parentEntity.c, parentEntity.d, parentEntity.e, list( new QChildDto( childEntity.a, childEntity.b ) ), list( new QchildChildDto( childChild.a, childChild.b, childChild.c, childChild.d ) ) ) ) );안녕하세요 강사님. ㅎQuerydsl 의 일대다 관계에 대해서 질문이있어 올리게되었습니다.예를들어 위와 같이 부모엔티티와 자식엔티티의 일대 다 관계가 될 경우 ParentEntity 는 존재하고 childEntity 가 없을 경우 querydsl 에서는 NPE 가 아닌 빈객체를 반환하게 되는데 아래와 같이 @QueryProject 생성자하위에서 이렇게 빈객체를 체크하고 비워주는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는건가요.? this.childList.addAll(childList.stream() .filter(child -> child.getId() != null).collect(Collectors.toList())); this.childChildList.addAll(childChildList.stream() .filter(childchild -> childchild.getId() != null).collect(Collectors.toList())); }혹시 다른 방법이 있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항상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아마존 리눅스 2023 el9 버전 mysql 설치 중 KEY 오류
아마존 리눅스 2023으로 인스턴스를 사용했을 때 지면님과 강사님께서 알려준 el9 버전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는 명령어sudo dnf install <https://dev.mysql.com/get/mysql80-community-release-el9-1.noarch.rpm> sudo dnf install mysql-community-server 이렇게 하여도 저는 계속 sudo dnf install mysql-community-server 해당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려고 하면The GPG keys listed for the "MySQL 8.0 Community Server" repository are already installed but they are not correct for this package.이런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계속 키가 옳지 않다는 오류가 생겼고 챗지피티랑 구글링을 통해 이것저것 해보다가sudo rpm --import https://repo.mysql.com/RPM-GPG-KEY-mysql-2022 sudo yum update 위의 두 명령어를 실행하고sudo dnf install mysql-community-server해당 명령어로 재설치 해주니 제대로 설치가 되었습니다!제 추측으로는 KEY를 다시 받아오고 yum update 하는 과정이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저와 같은 오류를 가지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해결됨실전! Querydsl
fetchResults(), fetchCount() deprecated
fetchResults(), fetchCount()가 deprecated됐는데 강의에서 fetchResults()가 사용되는 QueryResults<Member> queryResults = queryFactory .selectFrom(member) .orderBy(member.username.desc()) .offset(1) .limit(2) .fetchResults();이런 코드들은 어떻게 바꿔야 하나요? 강의자료에 나와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DB툴이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에서는 주로 H2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강의를 진행해주시는데, 실무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때 보통 어떤 툴을 사용하는 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ersist 수행시 덮어 씌워져 버리는 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질문 내용]영한님 강의에서는 위와 같이 두 행의 데이터가 잘 조회되는데, 2024 버전으로 설치한게 잘못인건지 두번 쿼리를 날렸는데 이전 행에 덮어 씌워져 버리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모르겠네요 혹시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려요
-
미해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오류입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rctic fox를 다운받고 첫 프로젝트를 생성했는데 코드가 쭉 빨간줄이 쳐지면서 밑에 사진과 같이 32개정도의 오류가 생기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아 그리고 이건 오류랑 다른 질문인데저 arctic fox 버전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했을때 생성되는 기본코드랑지금 최신 버전인 Hedgehog 버전에서 만들어지는 기본코드랑 다르던데 원래 그런걸까요? 강의를 들을때 기본코드가 달라서 헷갈리더라구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연관 관계 주인을 설정해야 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멤버 객체, 팀 객체 둘 중 하나로 MEMBER 테이블의 외래키를 관리해야 한다는 부분이 깔끔하게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결국에 멤버 객체와 팀 객체가 서로를 호출하거나 업데이트하는데 사용하는 테이블은 멤버 테이블과 팀 테이블의 조인으로 생긴 하나의 테이블인데, 하나의 테이블이 2개의 객체와 매핑된다면 문제가 발생한다.(팀 객체가 갱신한 내용이 멤버 객체에 반영되지 않는 등의 문제)그렇기 때문에 연관관계의 주인을 설정하여 한 객체만 실제로 테이블과 매핑하고 나머지 하나는 매핑된 객체로 부터 미러링된 내용을 사용(읽기 전용)한다.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override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override오류로 test 작동이 안됩니다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JsonIgnore 관련 ClassNotFoundException 발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JsonIgnore을 어느 클래스에 어디어디 붙여야 할까요?"http://localhost:8080/api/v1/simple-orders"api 테스트를 해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서 질문드립니다 2024-01-25T22:37:28.102+09:00 DEBUG 32028 --- [nio-8080-exec-1]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fetch first ? rows only2024-01-25T22:37:28.226+09:00 ERROR 32028 --- [nio-8080-exec-1] o.a.c.c.C.[.[.[/].[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Handler dispatch failed: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persistence/Transient] with root cause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javax.persistence.Transient at java.base/jdk.internal.loader.BuiltinClassLoader.loadClass(BuiltinClassLoader.java:641) ~[na:na] at java.base/jdk.internal.loader.ClassLoaders$App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s.java:188) ~[na:na] at java.base/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525) ~[na:na]2024-01-25T22:37:28.277+09:00 ERROR 32028 --- [nio-8080-exec-1] o.a.c.c.C.[Tomcat].[localhost] : Exception Processing ErrorPage[errorCode=0, location=/error]jakarta.servlet.ServletException: Handler dispatch failed: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persistence/Transient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맥 사용시 2002 오류 나오실 경우
mysql.server start명령어 사용해보세요 아직원리는 모르겠는데 명령어 사용 후 mysql -u root입력하시면 sql작동 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N:1 단방향, 다대다(1:N 양방향, N:1 양방향) 이 좋은 매핑인 건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강사님께서 양방향은 최대한 지양하고 단방향만을 이용해서 설계하고 나중에 굳이 필요하다면 양방향을 추가해라 라고 말씀하셨고 일대다 단방향, 일대일도 지양하고, 다대다는 풀어쓰라고 하셨는데요. 다대다를 풀게 되면 1:N 양방향, N:1 양방향이 되고 결국 연관관계를 설정할 때는 N:1 단방향, 다대다(1:N 양방향, N:1 양방향) 만을 가지고 설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준영속 상태의 객체인 이유, 영속 상태의 객체인 이유
안녕하세요.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질문이 있어 글 남깁니다.강의에서 10:00 정도에 변경 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는 부분입니다.트랜잭션 상에서 엔티티를 다시 조회하여 내용을 변경하면 이 엔티티는 영속 상태이므로 변경 감지가 된다. 따라서 save() 를 하지않아도 알아서 변경 감지되어 DB에 update된다. 라고 이해했습니다.제가 궁금한 부분은,itemRepository.findOne(itemId); 부분에서 엔티티를 조회하는데, 이 엔티티는 원래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였고, findOne() 을 함으로써 다시 영속성 컨택스트에 들어온 건가요? 아니면 생성된 때부터 지금까지 죽 영속 상태였나요?강의의 맥락상, 지금 준영속 객체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있으니 전자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만약 제가 생각한대로 준영속 상태에서 변경된 것이 맞다면, merge와 역할 자체는 같은게 맞나요? 물론 디테일한 로직이 좀 다르지만, 역할 자체만 보면 merge또한 준영속 객체를 기발으로 영속 객체를 만들어 반환해주는 거고, 변경 감지 기법도 findOne()을 통해 준영속 객체를 영속 객체로 다시 만들어주는 것이니까요.이 둘의 차이점은 객체가 통째로 갈아치워지느냐, 부분 수정이 가능하냐 이것 정도만 있다,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상품_재고수량초과 테스트 질문있습니다(fail())
[질문 내용]여기서 주문상품수량이 10개니 예외가 터지지않고 fail로 가는거로 알고있는데요 Expected jpabook.jpashop.exception.NotEnoughStockException to be thrown, but nothing was thrown 이러한 에러는 뜨는데 예외가 터지지않았기에 fail이 떠야하는데 fail안에 있는 메세지가 안뜹니다한가지 더 질문이 있씁니다주문상품수량을 11로 바꿧을떄 마지막에 fail을 적지않고 테스트를 돌렸을땐 예외를 터트려서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끝나는데요 여기서 위와같이 fail메서드를 적어도 원래는 위에서 예외가 처리됏기떄문에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끝나야 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테스트를 돌렷는데 fail문이 뜹니다 그 뜻은 예외가 터지지않았다는 말이죠.. 의문이 듭니다 도와주세요ㅠㅠ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5~6강 질문이요
post방식은 dto 객체 앞에 @RequestBody가 있는데 get방식은 왜 dto객체 앞에 @RequestParam을 안 써요? 맨 처음에 dto 객체 없었을 때 매개변수 이용하였을 때는 @RequestParam 썼던 것 같은데..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shop.mv.db 파일을 못찾겠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 과정에서 jdbc:h2:~/jpashop까지 입력을 완료하고 데이터베이스가 잘 생성이 되었는데 ~/jpashop.mv.db이 어디에 생성된건지 모르겠습니다. ~/jpashop.mv.db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타입과 @MappedSuperclass의 차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값타입 @MappedSuperclass의 차이가 무엇인가요?BaseEntity를 @MappedSuperclass로 놓고 상속받아서 여러 속성을 한꺼번에 갖는것과 값타입 클래스를 @Embeddable로 설정해서 위임하는 것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둘다 여러 속성들을 동시에 관리해서 다른 테이블의 속성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하나만 있으면 될 것 같은데, 왜 굳이 2개 모두 필요한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nerationType.IDENTITY Null값 허용 안 되는 에러
안녕하세요. 기본 키 맵핑에서 GenerationType.IDENTITY 관련 부분 질문드립니다.GenerationType.IDENTITY는 PK를 입력하지 않아도 auto increment라고 해서 저절로 생성되는 거 아닌가요?그런데 이런 에러가 떴습니다.ERROR: NULL not allowed for column "ID"; SQL statement: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username; public Member() { // 기본 생성자가 하나 있어야 함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username; } public void setUsername(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Transaction; import javax.persistence.Persistence; import javax.transaction.Transaction;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 EntityManagerFactory는 application 로딩 시점에 딱 하나만 만들어놔야 한다. // Transaction 단위로 EntityManager를 만든다.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 쉽게 생각하면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을 하나 받았다고 생각할 수 있음.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try{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Opeahchsdf"); em.persist(member);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 finally { em.close(); // 끝나면 반드시 닫아줘야 함 } emf.close(); } }<?xml version="1.0" encoding="UTF-8"?> <persistence version="2.2" xmlns="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persistence_2_2.xsd"> <persistence-unit name="hello"> <properties> <!-- 필수 속성 -->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driver" value="org.h2.Driver"/>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ser" value="sa"/>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password" value=""/>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rl" value="jdbc:h2:tcp://localhost/~/test"/> <property name="hibernate.dialect" value="org.hibernate.dialect.H2Dialect"/> <!-- 옵션 --> <property name="hibernate.show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format_sql"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use_sql_comments" value="true"/>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create" /> </properties> </persistence-unit> </persistence>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커스텀 인터페이스 구현체 이름 작성 시 순환 참조 발생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영한님. 이번 강의도 잘 수강한 학생입니다.강의 내용과 공식 문서를 참고하며 간단한 게시글 리포지토리를 만들어보고자, 아래처럼 작성했었습니다. public interface BoardRepository { Long save(final Board board); ...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BoardJpaRepositoryImpl implements BoardRepository { private final BoardJpaRepository boardJpaRepository; ... }public interface BoardJpa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Board, Long> { }강의 내용대로 스프링 데이터 JPA인 BoardJpaRepository에 Impl을 붙인 BoardJpaRepositoryImpl을 만들었는데, 아래와 같이 순환 참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The dependencies of some of the beans in the application context form a cycle: boardController defined in file [/Users/hyunjoonchoi/Desktop/2024/2024-mju-mentoring/build/classes/java/main/com/mju/mentoring/board/controller/BoardController.class] ↓ boardService defined in file [/Users/hyunjoonchoi/Desktop/2024/2024-mju-mentoring/build/classes/java/main/com/mju/mentoring/board/service/BoardService.class] ┌─────┐ | boardJpaRepositoryImpl defined in file [/..../build/classes/java/main/com/mju/mentoring/board/infrastructure/BoardJpaRepositoryImpl.class] └─────┘ Action: Relying upon circular references is discouraged and they are prohibited by default. Update your application to remove the dependency cycle between beans. As a last resort, it may be possible to break the cycle automatically by setting spring.main.allow-circular-references to true. 그런데 이름을 BoardRepositoryImpl, JpaBoardRepositoryImpl 등 다른 이름으로 하니까 순환 참조 문제가 해결되더라구요이에 대해서 다른 외국 개발자 분들도 이슈로 올리고, 그것들을 찾아봤으나 메인테이너 분이 @Lazy를 사용하거나 ObjectProvider를 사용해야 한다고 말씀해주시는 것 밖에 없었습니다. 공식 문서 (https://docs.spring.io/spring-data/jpa/docs/1.5.0.RELEASE/reference/html/repositories.html#repositories.create-instances)를 보면 스프링 데이터 JPA + Impl로 할 시 자동으로 스프링 데이터 JPA의 구현체로 인식한다고 되어 있는 것 같은데, 이런 순환 참조 이슈가 발생한 원인을 알 수 있을까요? 이를 해결해보고자 스프링 데이터 JPA 레포지토리에 직접 이슈로 남기고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data-jpa/issues/3320) 답변을 받았긴 했습니다만, 여전히 다른 이야기를 하시는 것 같아 영한 님께도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
미해결
JAVA Spring 환경설정
java spring 을 사용하려고합니다 근데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