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문제와 플이2 코드에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9. 메소드, 문제와 풀이2 코드에서저는 if문으로 풀었지만, 강사님께서는 switch문으로 푸셨더라구요.궁금한점은 switch문에 case4: 부분은 왜, return이 들어가나요? break나 continue는 안되는 이유는 알겠지만,return은.. 반환값도 없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kafka를 왜 사용하는지가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C%84%A0%EC%B0%A9%EC%88%9C-%EC%9D%B4%EB%B2%A4%ED%8A%B8-%EC%8B%9C%EC%8A%A4%ED%85%9C-%EC%8B%A4%EC%8A%B5&unitId=156125&category=questionDetail&tab=community&q=1029856해당 질문과 답변을 보고 추가 질문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kafka나 redis, 분산서버 등에 대해 이해도가 낮은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Kafka 미사용시 주문생성/회원가입요청의 타임아웃 및 10분뒤 실행에 대한 해결책으로 Kafka 를 선택한 이유는 배압조절(back pressure) 때문입니다.이렇게 말씀을 해주셨는데요,답변에서 말씀하신 예시에서 처럼 10000개 요청이 있고,카프카를 사용한다면,요청 100개가 쌓일때마다 db에 insert를 하고, 다시 요청 100개가 쌓일때까지 기다렸다가 insert 하기를 반복한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2. 그게 맞다면, 강의에서 구현한 apply 메서드에서 100개의 요청이 왔는지 확인하지 않고, kafka를 사용해서 다른곳에 전달하여 처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예시로 apply 메서드 안에서 redis의 incr 값을 체크하면 요청이 몇개가 쌓였는지 알 수 있을테고,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다가 100개마다 처리할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kafka로 다른 모듈로 전달하는 것과의 차이점이 무엇인가 궁금합니다.3.실제로 consumer에서 100개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는 일반적으로 어떻게 확인하는 걸까요? db에 저장하기 전에 100개의 데이터는 어디에 임시저장을 하나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ntity 설계 시 고민되는 부분 문의드립니다.(@Setter, @Builder 미사용 시 테스트 등)
토이프로젝트나 회사에서 엔티티 설계 하면서 고민되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엔티티에 @Setter 나 @Setter 가 포함된 @Data 애노테이션을 추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강의에서 들어서 설계 시 해당 부분을 제외하고 있습니다.@Entity @Getter @SuperBuild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Table(name = "book") public class Book extends BaseDat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book_id", updatable = false) private Long id; @Column(name = "title", length = 200,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title; @Column(name = "author") private String author; @Column(name = "price") private int price; @Column(name = "publisher") private String publisher; @Column(name = "publish_at") private LocalDate publishAt; @Column(name = "isbn",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isbn; @Column(name = "sort",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sort; @Column(name = "image", columnDefinition = "TEXT") private String image; @Column(name = "link", columnDefinition = "TEXT") private String link; } @Builder는 엔티티 클래스에 붙이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사실 점층적 생성자가 있는것과 다를바 없이 객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방법이 아닌거 같아 문의드립니다.실무에서는 보통 어떤 식으로 사용하시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별도의 of, create 메서드를 static으로 만들어서 생성하기도 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테스트 코드 작업 시 @BeforeEach로 초기 데이터를 추가하기 쉽지 않더라고요. 어느정도 수준으로 실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지 궁금합니다. public static Reservation create(String userName, String phoneNumber, Performance performance, PerformanceSeat performanceSeat) { return Reservation.builder() .userName(userName) .phoneNumber(phoneNumber) .title(performance.getTitle()) .round(performance.getRound()) .amount(performance.getPrice()) .status(ReservationStatus.APPLY) .performance(performance) .performanceSeat(performanceSeat) .build(); } [문의 내용 정리]Q1) JPA Entity 클래스에 @Builder 애노테이션을 추가하는 것은 좋지 않은 방식일까요? 그렇다면 어떻게 사용하는것이 적절할까요?Q2) @Builder 패턴, 기본 생성자, setter 제외한 경우 테스트 코드에서 @BeforeEach로 초기 데이터를 추가 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성 재정의에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내용]Dog dog = new Dog();위의 코드는 Dog 내부에 extends로 Animal이 있기에 Dog 클래스는 Animal 이라는 부모가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Animal dog = new Dog();Animal 타입으로 Dog를 생성하면 힙메모리에는 Dog와 Animal이 하나의 영역에 생기지만 Animal 타입으로 선언하였기 때문에 힙메모리에서 Animal 부분을 먼저 바라볼 것으로 생각하는데 어떻게 Animal에서 자식 요소가 있는걸 알고 오버라이딩된 메서드가 우선적으로 처리되는건지 궁금합니다. annotation의 영향인가요? =======추가 질문!Animal dog = new Dog();위 코드와 같이 선언하면 자바에서는 자동으로 업캐스팅이 이뤄지는것 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Animal dog = (Animal) new Dog();위와 같이 자바에서 자동으로 형 변환을 시켜준다고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synchronized 사용 시 쓰레드 질문
synchronized를 사용하면 1개의 쓰레드만 이용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startTransaction(); stockService.decrease(id, quantity); endTransation();에서 왜 다른 쓰레드가 먼저 호출되는 상황이 발생하는건가요?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scade, 연관관계 사용 기준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cascade,연관 관계를 사용하는 기준이 궁금해서 질문 글을 작성합니다.1.cascade 질문제가 이해한 바로는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 관리를 받기 위해 persist 등록하는 것이며 각 엔티티는 따로따로 persist를 해야 되는데 cascade를 사용하면 하나의 엔티티를 persist할 때 그와 연관된 엔티티를 같이 해주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Order 코드에서 OrderItem과 Delivery에 cascade가 적용됐는데 Member에는 적용을 안 하는 것 같더라고요. 왜 Member는 안 하는지 궁금합니다. 연관 관계 질문order와 연관된 엔티티 간에 연관관계 메소드를 통해 한쪽에서 서로 등록해주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Item과 Category간에는 어느 쪽에도 연관 관계 메소드가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Item과 Category 이 둘은 약간 상수? 느낌이라서 연관 관계를 지을 필요가 없는 것일까요?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4강 orphanRemoval 관련 질문입니다!
orphanRemoval 을 걸지 않았을 경우책6을 삭제했으나, userLoanHistories를조회해보면 여전히 책6이 존재한다.orphanRemoval = true 을 걸었을 경우클린 코드를 삭제했더니조회시 사라졌다어째서 orphanRemoval을 걸어주지 않으면데이터베이스에 반영이 되지 않는건가요? @Transactional어노테이션으로 인해 트랜잭션이 시작될 때,영속성 컨텍스트가 시작되고,영속성 컨텍스트의 4대 특징 중 하나인생성/수정 감지로 인해user 객체의 userLoanHistories 의 값에변경사항(removeOneHistory)이 발생하여자동저장이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말이죠.. 실제 데이터베이스상에선 userLoanHistories 는user테이블의 필드가 아니기 때문에,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field 에 포함이 되지않는데orphanRemoval = true 를 걸어주면비로소 자신이 관리하는 field로 인식하는걸까요?원리가 너무 궁금해요.. 내용추가1)바로 다음 강의인 책 대출 리팩토링에선orphanRemoval 같은 옵션을 주지 않고도new userLoanHistory를 add한 내용대로 저장이 되는데,어째서 userLoanHistory를 remove하는것은orphanRemoval 옵션이 없으면데이터의 변경이 일어나지않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User에서 userLoanHistories.add를 하든 userLoanHistories.remove 를 하든둘 다 User와 UserLoanHistory 와의 연관관계를 이용한데이터를 변경하기위한 접근같은데 ..add는 되는데 remove는 안되는게 살짝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ㅠ 내용추가2)returnBook과 loanBook , removeOneHistory의 차이점이 뭘까 고민해봤는데returnBook 과 loanBook 은UserLoanHistory라는 Entity에 접근하는 과정(loanBook은 Entity객체생성, returnBook은 Entity의 property 수정)이 존재하고, removeOneHistory는 Entity에 직접 접근하는게 아니라 단순히 List에 대한 변경일뿐이고, Entity에 대한 직접적인수정이나 생성이 이뤄진것이 아니므로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이 일어나지 않았다.이렇게 이해했는데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을까요?생각을 정리하다보니 질문이 길어진 점 죄송합니다 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버전 3.2.2 테스트 오류 - 해결은 했지만 궁금한 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java { sourceCompatibility = '17'}현재 쓰는 버전입니다.애플리케이션 실행에는 문제가 없지만 테스트시에 아래와 같이 오류가 뜹니다.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C:/Workspace/jpa_%EA%B0%95%EC%9D%98/jpashop/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5/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BUILD FAILED in 1s4 actionable tasks: 1 executed, 3 up-to-date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아 보던 중파일 - 설정 - 빌드,실행,배포 - gradle - 다음을 사용하여 테스트 실행 - IntelliJ IDEA 로 변경을 하여 해결하였습니다.해결은 했지만 왜 이와같은 오류가 일어났었는지 IntelliJ IDEA 로 테스트를 실행하도록 했을 때 왜 동작하는지 앞으로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테스트를 실행해도 db에 반영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처음에 db delete 안 해주고 실행했을 때도 체크 표시가 떴고 delete 해주고 실행, db에서 회원 목록 조회하니 목록에 아무도 없습니다. test가 db에 연결이 안된 걸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수정이라는 작업을 할 때 PUT을 더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HTTP 메서드에 처음 공부할 때 수정의 경우에는 PUT과 PATCH를 사용한다고 배웠는데요. PUT의 경우에는 통째로 갈아끼우는 방식의 갱신이고PATCH의 경우에는 부분 수정이 가능하다고 배웠습니다.이 강의에서는 USER의 정보중에 이름만받고 있어서(PUT은 전체 필드를 명시해주어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PATCH가 더 적당한 방식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ATCH가 아닌 PUTMapping을 사용하신 이유가 있으실까요? 그리고 이와 관련된 블로그 글들이 많은데 저마다 내리는 결론이 달라서 조금 혼란스럽습니다. 강사님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좋은 강의 만들어주신 태현님을 존중하고 존경하며 이만 글 줄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anyToOne 매핑 질문입니다.
게시글과 댓글을 매핑 하려고 하는데 게시글에 어떤 댓글이 달렸는지 조회 하기 위해 게시글 -> 댓글 OneToMany 단방향 매핑을 하려고 했더니, @OneToMany는 지양하라고 해서 댓글에 @ManyToOne 매핑을 하려고 했는데요. 이러면 댓글->게시글 단방향이 되는 것 아닌가요? 게시글에 어떤 댓글이 있는지 확인을 하고 싶을 뿐인데 ManyToOne을 지양하는 이럴 땐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매핑이 아니라 차라리 int communitySeq 를 멤버 변수로 갖도록 하고 jpql에서 join문을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경고가 뜹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A.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A.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A. 네[질문 내용]테스트 코드 실행을 하면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이 경고가 계속 뜹니다.https://www.inflearn.com/questions/917150/openjdk-64-bit-server-vm-warning찾아보면서 이 답변을 따라해도 로그가 뜨지 않고 경고가 뜨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접근 제어자 문제 풀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문제 풀이를 다음 날 새로 만들어서 풀어보니까 조금 다른 부분이 생겼는데1. 본인2. 강의각 배열의 총 가격 값만 더하는 거라면 1번처럼 하는 게 좋아 보이는데 Item item = items[i];를 추가하신 이유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해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어떻게 MemberForm 클래스가 선택이 되는지 과정이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재밌게 강의를 듣던 중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7분40초~7분50초 쯤 설명에 의하면 "우리가 웹에서 입력한 name값이 MemberForm의 name 필드로 전달이 된다"라는 식으로 말씀을 하셨는데, 어떻게 Member 클래스가 아닌 MemberForm 클래스의 name을 찾아가게 되는 건가요?? 제가 워낙에 초보라서 그런지, 코드 상에서 "Member의 name이 아닌 MemberForm의 name을 찾아가도록 하는" 코드도 발견을 못하겠습니다.. 또한 다른 분들의 말씀에 의해서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 MemberForm 클래스에서 setName() 메서드가 사용이 안되는 것 같은데, 7분55초~ 8분 쯤의 설명으로는 setName() 메서드를 사용하시는 것처럼 말씀하시더라구요. 이 역시도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실제로 setName() 메서드가 사용되는 건가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 두번째 문제(홀수짝수)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홀수 짝수 구하는 문제에서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삼항연산자로 구하는 거 기억 더듬으며 해봤는데 값은 나오거든요..혹시 잘못되거나 이상한 점이 없는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느지 확인 부탁드립니당
이번에 만든 조회하는 api는 리스트로 반환해야 하기 때문ㅇ JSON이어야 하고그렇기에 함수 반환 값이 List<UserResponse>인건가요?그리고 등록 api에서 만든 users리스트 수만큼 for문 돌려서 진정한 결과 리스트(id도 포함되어있는) reponses를 만들어낸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 질문
수업 내용을 토대로 질문하겠습니다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 에서 객체는student1 이 아닌거죠? student1 은 단순히 변수인거고 객체는 new Student() 라고 알면 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PK를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게시물 수정/삭제?
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건가요? PK이자 글 번호인 boardSeq를 가지고 와서 수정과 삭제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PK는 최대한 외부로 노출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여서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PK Seq를 따로 두고 UniqueKey로 똑같이 AutoIncrement해서 생성하게 된다면 결국 무슨 차이인가 싶어서 아닌 거 같기도 하고... 어떤 식으로 처리 해야 되는지 궁금하여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 양방향관계를 풀어낼 때
회원 A테이블과 팀C 테이블의 다대다 양방향 관계를 풀기 위해 중간 테이블을 도입하여 A, B(중간테이블), C 와 같이 일대다/다대일 관계로 풀어낼 때 A와 C 양 쪽 모두 addTemMember와 같은 메소드를 만들어주고, 회원이 팀에 들어갈 때 A.addTeamMember와 C.addTeamMember()둘 다 호출해줘야 하는 게 맞나요? 다대다 양방향 관계를 풀 때 중간 테이블을 설정하는데 이것은 따로 외부에 노출할 필요 없이, 내부적으로 회원 A가 어떤 팀에 속해있는지, 팀C에 어떤 회원이 속해있는지 확인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맞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B PK 를 화면에 직접 노출 시켰을 때 문제점
강의 내용을 보면 상품 목록 화면에서 item.id 값을 뿌려주고 있습니다.이건 DB 에 저장된 item 테이블의 PK 값 일텐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DB 데이터 관리를 위한 PK 를 클라이언트 단에 노출시켜도 되나요? (가급적 엔티티 객체를 클라이언트 단에 직접 노출시키지 말라고 하셔서, 이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숨겨야되지 않을까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