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질문
[username] 라우터의 page.tsx에 현재 들어온 유저정보를 받아오는 prefetchQuery랑 그 유저의 게시글을 받아오는 infinitePrefetchQuery가 있는데 두 번째 Query의 경우 서버 컴포넌트에서 실행되는 함수라 credential:"include"가 작동하지 않아 Cookie값을 따로 명시해줘야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Cookie값을 따로 명시해주지않아도 게시글들이 잘 불러와지는데 이 과정이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완벽한 프론트엔드 강의와 이 강의 차이점
우연찮게 '완벽한' 프론트엔드 강의를 발견하였는데 제가 지금 듣고 있는 강의와 과정이 많이 다른 걸까요? 앱 개발 관련해서도 코드캠프를 통해 공부하고 싶은데 따로 강의가 있진 않은걸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새 강의 쿠폰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귀찮게 해서 죄송합니다. 혹시 저도 기간을 놓쳐 쿠폰을 사용하지 못했는데 새로운 강의를 수강하기 위한 할인 쿠폰을 받을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추천하시는 강의 듣는 방법!
혹시 강의를 처음에는 쭉 보면서 따라하거나 정리하고 다시한번 한입 북스를 스스로 만들어보면서 nextjs흐름을 파악하면서 잘 모르겠거나 막히는 부분 강의 다시 한번 듣고 소스 코드 보고 이렇게 듣는 방식이 젤 괜찮은가요?? 아니면 스타일링이나 단순 리액트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부분은 혼자서 해보고 강의를 듣는 방식이 더 나을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회원가입 이후 Session문제
회원가입 후 로그인 된 상태로 home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useSession정보가 업데이트 되지않아서 Props로 session정보를 넘겨주는 방식으로 사용하셨는데 다르게 처리하는 방법도 있을까요 ? 예를 들면 로그인 모달에서 했던 것 처럼 서버액션을 사용하지 말고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fetch 를 처리한 후replace(/home) 시키는 방법이요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포트원 질문입니다
const onClickLoad = async (event: MouseEvent<HTMLDivElement>) => { const IMP = window.IMP; IMP.init("imp00000000"); //실제로는 강의자료에 있는 식별코드 사용했습니다! IMP.request_pay( { pg: "kakaopay", pay_method: "card", name: "아이리버 무선 마우스 외 1개", amount: 10000, buyer_email: "이메일@gmail.com", buyer_name: "홍길동", buyer_tel: "010-4242-4242", buyer_addr: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buyer_postcode: "01181", m_redirect_url: "/", }, function (rsp: any) { if (rsp.success) { alert("결제가 성공했습니다."); console.log(rsp); } else { alert("결제에 실패했습니다."); } }, ); };위와 같은 코드로 정상적으로 rsp를 받고, imp_uid 까지 받았습니다. 그런데graphql api 호출을 했더니 _id 가 null이라는 에러가 계속해서 발생하네요. 챗gpt 도움을 받아보니, 백엔드가 impUid를 기반으로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DB에 적립하는 로직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해야한다고 하는데, 에러원인이 무엇이고,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포트원 가맹점 식별코드는 강의 자료에 있는 식별코드를 사용했습니다!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피그마에서 과제 및 싸이월드 과제를 못찾고 있어요
피그마로 들어갔는데 과제관련한 회원가입을 찾을 수가 없어요. 그리고 섹션을 살펴봤는데요 여긴 섹션3번인데 안보이네요.. 제가 못찾고 있는것 같은데요
-
해결됨[풀스택 완성] Supabase로 웹사이트 3개 클론하기 (Next.js 14)
vscode에서 @material-tailwind/react component를 가져왔을 때 뜨는 빨간줄 제거할 수는 없나요?
✅ 모든 질문들은 슬랙 채널에서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로펀의 인프런 상담소” 슬랙 채널 가입하기 💡평일중에는 퇴근 이후(저녁 7시)에 답변을 받아보실 수 있고, 주말중에는 상시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질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코드를 치면서 신경쓰이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vscode에서 @material-tailwind/react component를 가져왔을 때 뜨는 빨간줄 없앨 수는 없나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백엔드 서버 수행시 prisma engine을 설치할수가 없습니다.
사내 환경에서 외부 인터넷은 프록시를 통해 접속 가능합니다.백엔드 서버 구축시 npm install 수행시 prisma engine을 다운로드 받을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Downloading Prisma engines for Node-API for windows [ ] 0%Error: request to https://binaries.prisma.sh/all_commits/acc0b9dd43eb689cbd20c9470515d719db10d0b0/windows/schema-engine.exe.sha256 failed, reason: 엔진을 수작업으로 다운로드 받아 참조 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새 강의쿠폰 질문있습니다
저번에 사놓고(2시간들음)다시 공부를 시작하려는데 혹시 새로운 강의로 들을수있을까요! 이번에는 꼭 완강 하겠습니다
-
해결됨Supabase, Next 풀 스택 시작하기 (feat. 슈파베이스 OAuth, nextjs 14)
Supabase CRUD 하기 또는 REST API화 하기 중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강의 중 내용에 관한 질문이 있어 여쭙니다.현업에서 작은 사이드 프로젝트를 운영중인데 기존에는 Firebase를 사용하다가 SQL DB가 필요해 Supabase로 이전을 고려하다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Supabase에서도 REST API 형태를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강의 내용을 보면, REST API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직접 Supabase의 Database에 CRUD 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보안이나 코드의 유지 / 보수, 또는 프론트 개발자와 백엔드 개발자의 역할 분리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REST API 형태가 아닌 프론트 코드 내에 직접 CRUD 코드가 구현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백엔드 서버 세팅하기에서 error TS2339에러 입니다.
npm run start:dev 명령어를 실행을 할 시 아래처럼 타입 에러가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해결을 해야 할까요? ㅠㅠ error TS2339: Property 'where' does not exist on type 'string | number | bigint | boolean | [] | { [K in keyof A]: Exact<A[K], any>; }'. Property 'where' does not exist on type 'string'.13 where: args.where, ~~~~~src/prisma.extension.ts:25:23 - error TS2339: Property 'where' does not exist on type 'string | number | bigint | boolean | [] | { [K in keyof A]: Exact<A[K], any>; }'. Property 'where' does not exist on type 'string'.25 where: args.where, ~~~~~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RTK에서 draft, state 차이가 있나요?
강의 들으면서 제로초님 RTK GitHub 코드도 보고 있는데요. RTK는 immer가 내부적으로 사용되어 state를 써도 불변성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https://github.com/ZeroCho/react-nodebird/blob/master/toolkit/front/reducers/user.js에선 리듀서 마다 state를 쓰는 곳이 있고 draft를 쓰는 곳이 있어서 질문합니다!역할은 같지만 단지 코드를 명시적이고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구분해서 쓰는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구분해서 쓰는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개발 모드에서 캐시 로깅 사용방법
"4.2) 데이터 캐시" 강의 진행시npm run dev 로 진행시 { cache: "force-cache" } 설정하여도 캐싱이 안되는거 같은데요 npm run buildnpm run start로 진행시에는 캐싱이 동작하고있는걸로 보이나 로깅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강의 영상처럼 캐싱 동작 상태를 로깅을 하려면 어떤 옵션값을 설정 해야하나요 ?제가 놓친거 같아서 돌려보거나 검색을 해봤는데 못찾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데이터 페칭 로직의 분리 방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하나의 페이지에서 두 개 이상의 데이터를 불러와야 할 때, 리액트에서 그래왔듯이 자연스럽게 데이터를 페칭하는 api 로직을 services/api 폴더로 분리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요, 강의에서는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를 페칭하여 렌더링하는 전체 로직을 각각의 컴포넌트로 분리하는 것을 보고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데이터를 기준으로 관심사를 분리할지, 기능을 중심으로 분리할지는 선호의 영역인가요? 아니면 어떤 사전 렌더링의 특수성으로 데이터 페칭 로직은 따로 분할하지 않는 것인가요? 그러면서 동시에 각각의 컴포넌트(AllBooks, RecoBooks)를 별도의 components 폴더로 분리하지 않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곧 넥스트를 사용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는데 폴더 구조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ㅠㅠ 팀원들이 모두 넥스트는 처음이라 아직 이렇다 할 기준이 없어서요.정답이 있는 문제는 아니겠지만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인터셉팅 라우팅 폴더 위치 경로 지정 관련 질문
우선 인터셉팅 라우팅을 버튼, 링크 등을 통해 이동 시 인터셉트된 page를 렌더링하고 새로고침이나 주소창을 통해 이동했을 때 정상(?)적인 page를 렌더링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인터셉팅 라우팅 폴더를 만들어야 할 위치가 궁금해서 /test1/test2 에서 Link태그를 통해 /test1 으로 이동할 때 새로고침 시 표시 되는 test1과 intercepted test1을 구분하는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test1" 폴더 위치를 바꿔보면서 어떻게 동작하는 지 확인해보는 과정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이 폴더구조로 해야 작동하고, 이 폴더 구조는 작동이 안되는게 이해가 안됩니다.뭔가 (.), (..), (..)(..) 이런식으로 경로 지정이 가능하면 인터셉팅 라우팅 폴더는 어디 있든 상관없어도 될 것 같았는데... 아래 폴더구조가 작동을 안되니 디게 혼란스럽네요 ㅠㅠ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supabse 연결 불가
npx prisma db push명령어 실행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P1001: Can't reach database server at aws-0-ap-northeast-2.pooler.supabase.com:`5432`.env 파일 루트 경로에 생성DATABASE_URL, DIRECT_URL 오타 없이 알맞게 입력위의 두 조건 모두 만족하고 있는데,왜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걸까요? 추가로,가이드에 따라 supabase에서 생성한 db가현재 활성화 상태이거나 running상태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풀스택 완성] Supabase로 웹사이트 3개 클론하기 (Next.js 14)
searchMovies에서 hasNextPage가 필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로펀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useInfiniteQuery에서 반환하는 hasNextPage를 이용해 fetchNextPage를 하는데 searchMovies에서 작성한 const hasNextPage = count > page * pageSize 는 사용하지 않는 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 {data?.pages ?.map((page) => page.data) ?.flat() ?.map((movie) => ( <MovieCard key={movie.id} movie={movie} />))}에서도 searchMovies 에서 반환하는 page, pageSize, hasNextPage를 제외하고 data만 쓰시길래 작성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useInfiniteQuery에서 반환하는 hasNextPage와는 다른 건가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레포가 여러개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도중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에 대해 여쭤볼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다름이아니라, 3개의 Next 앱을 같은 도메인 아래 뒤에 주소들로만 구분해서 하나로 묶는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그렇다면 결국 레포지토리가 3개인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23-05의 hoc적용시의 렌더링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강의를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들으면 이해가 잘되지만, 혼자 코드할때에는 실수나 어림 짐작으로 적용했던 부분이 잘 작동되지 않는데, 이런 저런 시도로도 잘못한 부분을 이해하기 어려워 질문드립니다. 23강의 질문입니다. high-order-function을 진행하면서 hoc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경우 렌더링에 대해 질문을 남깁니다. 특히 쿼리에 이름을 주어 작동하는 경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3-3에서 login-success를 확인하는 쿼리를 제가 짰는데 쿼리에 이름을 주었습니다. 23-3의 login-success화면에서는 오류가 없어서, 해당 코드를 복붙하여 hoc부분에도 적용하였는데 초기 렌더링시에 데이터를 받아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새로 고침을 해야 데이터가 받아와져서 나타납니다.순서를 붙여 1~4번까지 차례로 진행하였습니다. 23-3 코드의 정상 렌더링 (쿼리 네임을 주어도 정상 렌더링) loginCheck와 mypage로 구분되지 않는 코드에서 graphql에 query를 보내면서 이름을 주었습니다. (hoc가 아닌 전체 로직이 한꺼번에 구성되는 경우 쿼리에 이름을 주는 경우에도 --->정상 렌더링 되었어요. )해당 부분의 쿼리는 아래와 같으며 JWT로서 데이터를 받아와 사용자명이 렌더링 되었습니다.const FETCH_USER_LOGGED_IN = gql` query fetchUserLoggedIn{ fetchUserLoggedIn { email name } } `; 23-5부분에 hoc를 이용하여 loginCheck를 분리한 경우(이 부분은 1번의 (23-3의 코드를 복붙하여 mypage와 logincheck로 분리하였습니다. 오류가 없어서 굳이 수정하지 않아도될것 같아 그냥 두었던 부분입니다) 그런데 사용자명을 받아오지 못한채로 화면이 렌더링이 되었습니다. (graphql이 실패한 것으론 나타납니다. 네트워크를 보면 쿼리를 보내면서 토큰을 첨부하지 못해서 bearer뒷 부분이 없었습니다.) 다만 새로고침을 하면 정상 렌더링이 됩니다. MyPage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 gql, useQuery } from "@apollo/client"; import type { IQuery } from "../../../src/commons/types/generated/types"; import { loginCheck } from "../../../src/components/commons/hocs/loginCheck"; const FETCH_USER_LOGGED_IN = gql` query fetchUserLoggedIn{ fetchUserLoggedIn { email name } } `; function MyPage() { const { data } = useQuery<Pick<IQuery, "fetchUserLoggedIn">>(FETCH_USER_LOGGED_IN); return <>{data?.fetchUserLoggedIn.name}님, 환영합니다.</>; } export default loginCheck(MyPage); loginCheck는 아래와 같습니다.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export const loginCheck = (컴포넌트: any) => (프롭스: any) => { const router = useRouter(); useEffect(() => { if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 null) { alert("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void router.push("/section23/23-05-login-check-hoc"); } }, []); //if return <컴포넌트 {...프롭스} />; }; hoc를 이용하여 loginCheck를 분리한 경우에 작동원리에 대해 여러가지 검색을 하고, 그 결과를 참조하여 loginCheck에서 accessToken을 받아오고, 만약에 토큰이 없으면 myPage를 렌더링하지 않도록 설정했더니 쿼리네임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렌더링이 되었습니다.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export const loginCheck = (컴포넌트: any) => (프롭스: any) =>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accessToken =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useEffect(() => { if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 null) { alert("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void router.push("/section23/23-05-login-check-hoc"); } }, []); if(accessToken == null ) return null; return <컴포넌트 {...프롭스} />; }; 그리고 더불어, 원두님이 하신것처럼 이름이 없는 쿼리로 설정하였을 때는 loginCheck에 토큰 관련 설정을 넣지 않아도 페이지는 정상 렌더링 되었습니다. (이 부분은 수업에서 진행하신 것입니다)const FETCH_USER_LOGGED_IN = gql` query { fetchUserLoggedIn { email name } } `; 인공지능 모델들은 쿼리에 이름이 있는 경우는 cash에 내용을 참조하여 Header에 토큰이 없는 상태의 설정대로 query를 보내고 받아온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원두님처럼 쿼리명을 주지 않으면 무명쿼리로서 새로 토큰을 붙이고 쿼리를 보내는 과정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제가 항상 토큰을 지우고 새로 고침한후에 로그인 부분을 확인하므로 기존의 쿼리를 받은 기록이 캐시에 남아서 영향을 미칠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hoc가 아닌 기존의 23-3은 잘 작동했으니, 이 부분의 통신에 대해서 어떤 부분인가 제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후 hoc함수를 사용할때에도 유의해야 할것 같아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해 조언해 주시면 추가적으로 검색을 통해 이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