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argo CD image auto updater 사용에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argo CD image auto updater 사용에 관해 궁금한 지점이 있습니다.실습 내용에 따르면 image version이 자동으로 regex rule에 따라 가장 최신에 match되는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되는 것인데요.그렇다면 git repo에 있는 yaml과는 image tag가 맞지 않으므로, 다시 out of sync가 되는 것이 아닌지요.감사합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vagrant box add 오류
안녕하십니까?k8s 최초 설치시에 vagrant box add, vagrant up 오류 문의드립니다."vagrant box add rockylinux-repo.json", "vagrant up" 입력시 사진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구글검색도 해보고, 강의 커뮤니티 타수강생 문의글을 검색해보아도 동일한 증상은 없는것같아 반나절 헤매고 있습니다.rockylinux repo 주소가 변경된거같아https://dl.rockylinux.org/vault/rocky/8.8/images/x86_64/Rocky-8-Vagrant-Vbox-8.8-20230518.0.x86_64.box 해당 URL 접속해보았더니 정상접속되고,https://vagrantcloud.com/rockylinux/boxes/8/versions/9.0.0/providers/virtualbox/unknown/vagrant.box 이 주소는 404 에러 나오고 있습니다.네트워크 연결 정상, 윈도우 호스트 이름 변경(변경전 호스트 이름에 공백이 있어서 변경해봄), VirtualBox, Vagrant 재설치도 해보았는데 계속 동일한 오류가 발생됩니다. 해결방법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Longhorn 설치과정과 대시보드 의문
실습 자료실의 1-2) Longhorn 설치부분부터는 master node에서만 진행하면 되는건가요??일단 master node에서 설치과정을 모두 진행하고 대시보드에 진입해서 node리스트를 보니 master node를 제외한 node1, node2만 출력됩니다. 다른분들 질문 글을 보니 master node도 출력되던데 혹시 버전업데이트 되면서 변경된 부분일까요?출력되지않아도 상관은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bash: nslookup: command not found
안녕하세요,현재 중급편 - Service 실습 진행중인데 파드에 접속해서 nslookup 명령어 입력하면위와같이 command not found가 발생합니다. 해당 파드에서 아래의 명령어로 직접 설치하려해도 에러가 발생하는데 해결방법이 있을지요.yum install bind-utils net-tools -y 감사합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cker-server 이미지 만드는 법이 궁금합니다. (아래도 똑같은 질문이 있는데 AI의 엉뚱한 답변만 있습니다;;)
강사님은 docker-server 이미지에 ssh서버, docker 기능을 넣으셨는데요.해당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tabby에서 cp-k8s 접속 안되는 현상
cmd에 작성되어 있는cp ./tabby-v1.0.207/config.yaml $env:APPDATA/tabby/이걸로 했을 때 tabby가 실행이 되지 않아서전에 다른 분이 질문하셨던 글의 댓글을 통해 cp ./tabby-v1.0.207/config.yaml $env:APPDATA/tabby/config.yaml을 추가했더니 tabby가 실행되었어요. 그런데 문제는 tabby 실행후 처음에는 cp-k8s에 접속이 되었는데그 이후로 다시 접속하려고 할때 접속이 안되더라구요.Tabby를 아무리 삭제하고 재설치해도 접속이 안됩니다.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UTM BdsExe: failed to load Boot0001 Error
현재 사용 기기 : MACBook Pro M2OS : 처음 설치 Ventura(문제없이 사용중이었음)업그레이드 Sonoma 주말에 OS 업데이틍 이후 아래와같은 UTM 에러가 발생합니다....혹시 해결방안이 있을까요? 새로 설치 하고 처음에만 구동이되고 그 다음에는 위와 같이 동일한 에러가 발생합니다.. 추가 테스트 결과UTM : 리눅스만 설치 후 재시작 문제 없이 구동됨. 상단 에러메세지는 그대로 나옴쿠버 세팅 후 : synchronous Exception 이 나면서 진행이 안됨.minimal 아닌 DVD 버전으로도 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하였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bitnami keyloak helm 설치
안녕하세요 bitnami의 keycloak차트로 eks에서 keycloak 설치하려는데 postgresql이 계속 정상적으로 뜨지않습니다. 디버깅해보았을땐 hugepage를 끄라는데 찾은대로 꺼도 제대로 안뜨네요. 딱히 에러로그도없습니다. storageclass 등등도 정상으로 볼륨도 잘 붙고요. bitnami keycloak 설치 되신다면 values file공유 가능할까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vagrant up 안됩니다.
디렉토리 싹 지우고, 전부 uninstall 후 다시 install 해서 다시시도해봐도 마찬가집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Tabby 실행이 안됩니다.
환경은 윈도우입니다.ch2/2.3으로 작업하였고207은 설치가 안되어 1.0.208로 설치하였습니다.config.yaml파일을 %APPDATA% 경로에 "tabby" 라는 파일명으로 복사하는 작업이 맞는건가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virtualbox가 아닌 vmware에서도 강의 실습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vmware가 개인 대상으로 무료로 풀리게 되어 문의드립니다. virtualbox가 아닌 vmware에서도 강의 실습이 가능할까요??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github에서 tabby config.yaml 위치가 어디일까요 ?
https://github.com/Eugeny/tabby/wiki/Config-file제가 못찾은건지 모르겠는데 이렇게만 있어서 config.yaml 위치가 어디인지 헷갈리네요 ㅠ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Mac M2에서 vagrant 설치 시 API 서버 문제
안녕하세요너무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원래 윈도우 환경에서 실습하다가 이번에 실리콘칩도 지원하는 환경이 나온다고 해서 맥북에 실습환경을 구축하고 있는데 계속 오류가 납니다.API server에서 오류가 난다고 하는데 해당 가상머신을 삭제하고 다시 진행해도 마찬가지이고 어떨때는 컨트롤플레인 노드에서조차 API server가 안뜰때도 있습니다. 이거땜에 밤을 새웠는데도 해결이 안되네요..정말 해결하고 싶습니다. 원인이 뭘까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MacOS M2에서 vagrant up 진행 시 오류 발생
MacOS M2에서 설치 진행하다 vagrant up 진행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box도 설치하고 했는데 여기서 막히네요. 확인 부탁 드립니다. Bringing machine 'cp-k8s-1.30.0'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Bringing machine 'w1-k8s-1.30.0'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Bringing machine 'w2-k8s-1.30.0'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Bringing machine 'w3-k8s-1.30.0' up with 'vmware_desktop' provider...==> cp-k8s-1.30.0: Box 'sysnet4admin/Ubuntu-k8s' could not be found. Attempting to find and install... cp-k8s-1.30.0: Box Provider: vmware_desktop, vmware_fusion, vmware_workstation cp-k8s-1.30.0: Box Version: >= 0==> cp-k8s-1.30.0: Loading metadata for box 'sysnet4admin/Ubuntu-k8s' cp-k8s-1.30.0: URL: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sysnet4admin/Ubuntu-k8sThe box you're attempting to add doesn't support the provideryou requested. Please find an alternate box or use an alternateprovider. Double-check your requested provider to verify you didn'tsimply misspell it. If you're adding a box from HashiCorp's Vagrant Cloud, make sure the box isreleased. Name: sysnet4admin/Ubuntu-k8sAddress: https://vagrantcloud.com/api/v2/vagrant/sysnet4admin/Ubuntu-k8sRequested provider: vmware_desktop vmware_fusion vmware_workstation (amd64)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쿠버네티스 for SWE
service, pod 개념 질문
안녕하세요 Pod 관련 강의 실습을 따라해보면서 생긴 질문이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k get podk get service이렇게 두가지 커맨드를 사용해서 출력되는 결과가 각각 따로 있고 강사님께서는 nginx-service 에 대한 url를 minikube 에서 조회해서 보여주시는데,pod과 container 사이의 관계는 이해가 되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의미하는 service는 pod 과 같은 level에 있는 개념으로 이해했습니다. (kind 에서 정의 됨)이부분에 대한 설명이 좀 더 자세하게 예시와 함께 있으면 더 이해에 많은 도움 될 거 같습니다.또한 한가지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기술적인 정의 개념과 실제 k8s 를 활용한 가상의 서비스가 비유적으로 mapping이 되는 설명이 있다면 좀 더 처음 접근하는 사람들이 각각 개념들의 관계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프로메테우스 - {{ x86-64, arm64 }}
tabby터미널 창이 안뜨는 문제
안녕하세요. 맥북으로 클러스터 설치중인데요.ch2/2.4/.cmd에 명시된 brew로 tabby를 설치했습니다. tabby를 실행하니 가동은 되는걸로 보이나 터미널 창이 뜨지 않습니다. 문제 해결방법이 있을까요?왼쪽 상단에 애플리케이션은 뜨나 창이 안뜹니다... 재설치, 리부트 등을 해봤는데 동일하네요. tabby github에서 tabby-1.0.207-macos-arm64.dmg로도 설치해봐도 동일하네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프로메테우스 - {{ x86-64, arm64 }}
맥(arm)으로 환경 구성시 필요한 사양이 궁금합니다.
윈도우 환경에서 벗어나 맥북에 클러스터 실습환경을 해보려고 합니다.vmware fusion으로 쿠버네티스(1.30.x) 구축할 때 필요한 리소스 양을 알 수 있을까요?cpu core, memory, disk가 어느정도 필요한가요? (특히 disk 사용량이...)m1 맥북 프로 14인치 기본형 사용 중입니다.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쿠버네티스 for SWE
Kubectl, minikube 로컬 환경 설치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개념적으로 minikube와 kubectl 간의 관계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요.kubectl은 단순이 commendline tool 인것 같고, ,minikube는 로컬 환경에서 k8s를 띄우는 것 같습니다.kubectl을 통해서 minikube에 deployment cluster를 제어 한다고 가정했을 때 실습에서 보여지는 커맨드들이 왜 사용되었는지, 예를 들어 로컬 머신과 미니큐브내 cluster를 터널링을 해주는 예시가 있는데 이부분이 실제로 사용 예시와 함께 부연 설명 부탁드립니다, minikube service hello-minikube 를 실행하는 경우 두가지 ip address가 출력되는데 (192. ip, 127 ip) 이 두가지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2.3 강의 가상 시스템 다시 등록 후 명령어 에러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92407/comment/281901)[질문 하기]k run chk-info --image=sysnet4admin/chk-info 입력 후 서버에 접속할 수 없다는 메세지가 뜹니다.물론 k get po 를 입력해도 오류가 나네요
-
해결됨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보강 수업까지 수업 완료하고 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로 넘어가면될까요?
보강수업이 버전차이가 조금 나는거 같아서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