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
figma glitch 효과 만들기
figma를 이용해 glitch효과를 만들고 싶어요예시 자료(위에 예시 자료는 marpple shop의 "최케빈"님의 상품 사진입니다)이런 느낌인데이런 색의 느낌으로 figma로 구현할 수 있을까요 도움 주세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프레임워크설정
기본 프레임워크 설정 부분이 하나도 이해가 안가요.. 그냥넘어가도 되는 부분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수업노트 colab 링크??
선생님 수업노트에 colab 링크 남겨주셨다고 하는데 어디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 일일이 치는 중이라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요 어디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nestjs와 프론트 연동 질문드립니다.
nestjs랑 nextjs를 사용하여 로그인 기능을 만들고 있습니다.nestjs의 validation을 사용해서 @IsEmail이 아닌 경우 예외처리를 하게 만들어주었습니다. postman에서는 message가 잘 뜨는데 프론트엔드에서 console.log(error)로 찍어보면 postman에서 response으로 받은 값이 없습니다. 프론트에서도 postman처럼 response값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프론트> <서버> <dto> <postman> <브라우저>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키매니저에서 소문자대문자구분, 숫자 처리가안되는데
왜그런건가욤 ??
-
미해결Vue.js - Django 연동 웹 프로그래밍 (실전편)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사님, 저는 강사님 코드에서 조금씩 수정하여 서버를 띄워보았는데, PostDetail 보여주는 부분에서 계속 오류가 생겨서요,TypeError: Object of type User is not JSON serializable [21/Oct/2023 21:14:51] "GET /api/post/2/ HTTP/1.1" 500 120254이렇게 오류가 뜨는데 왜 이럴까요? ㅠㅠ이전/다음 포스팅 보여주기 전에 포스팅 하나의 상세페이지 띄워주는 것까지는 정상적으로 확인이 됐었습니다.api/views.py# Create your views here. class ApiPostLV(BaseListView): model = Post def get_queryset(self): queryset = super().get_queryset() return queryset.order_by('-create_dt') def render_to_response(self, context, **response_kwargs): qs = context['object_list'] postList = [obj_to_post(obj) for obj in qs] return JsonResponse(data=postList, safe=False, status=200) class ApiPostDV(BaseDetailView): model = Post def render_to_response(self, context, **response_kwargs): obj = context['object'] post = obj_to_post(obj) post['prev'], post['next'] = prev_next_post(obj) return JsonResponse(data=post, safe=True, status=200)api/views_util.pydef obj_to_post(obj): post = dict(vars(obj)) if obj.create_dt: post['create_dt'] = obj.create_dt.strftime('%Y-%m-%d %H:%M') else: post['create_dt'] = '' if obj.modify_dt: post['modify_dt'] = obj.modify_dt.strftime('%Y-%m-%d %H:%M') else: post['modify_dt'] = '' if obj.tags: post['tags'] = [tag.name for tag in obj.tags.all()] else: post['tags'] = [] if obj.owner: post['owner'] = obj.owner.username else: post['owner'] = 'Anonymous' del post['_state'] return post def prev_next_post(obj): try: prevObj = obj.get_prev() prevDict = {'id' : prevObj.id, 'title' : prevObj.title, 'description' : prevObj.description, 'create_dt' : prevObj.create_dt, 'owner' : prevObj.owner} except obj.DoesNotExist as e: prevDict = {} try: nextObj = obj.get_next() nextDict = {'id' : nextObj.id, 'title' : nextObj.title, 'description' : nextObj.description, 'create_dt' : nextObj.create_dt, 'owner' : nextObj.owner} except obj.DoesNotExist as e: nextDict = {} return prevDict, nextDict blog/models.pyclass Post(models.Model): title = models.CharField(verbose_name='TITLE', max_length=50) # verbose_name : 칼럼에 대한 별칭 description = models.CharField('DISCRIPTION', max_length=100, blank=True, help_text='simple description text.') content = models.TextField('CONTENT') create_dt = models.DateTimeField('CREATE DATE', auto_now_add=True) modify_dt = models.DateTimeField('MODIFY DATE', auto_now=True) tags = TaggableManager(blank=True) owner = models.ForeignKey(get_user_model(), on_delete=models.CASCADE, verbose_name='OWNER', blank=True, null=True) def __str__(self): return self.title def get_absolute_url(self): return reverse('blog:post_detail', args=(self.id,)) def get_prev(self): return self.get_previous_by_create_dt() def get_next(self): return self.get_next_by_create_dt() PostDetail.vue<template> <v-container class="white"> <v-row align="center" justify="center"> <!-- align 속성은 위아래, justify 속성은 좌우 위치 조정 --> <v-col cols="12" lg="10"> <!-- <v-card class="pa-2" outlined tile> --> <h1>{{ post.title }}</h1> <div> <h3>{{ post.description }}</h3> </div> <div> <p style="margin: 5px 0;">작성일자 : {{ post.create_dt }} 최종수정 : {{ post.modify_dt }}</p> <p style="margin: 5px 0;">written by {{ post.owner }}</p> </div> <v-divider></v-divider> <!-- </v-card> --> </v-col> </v-row> <v-row align="start" justify="center"> <v-col cols="12" lg="10"> <!-- <v-card class="pa-2" outlined tile> --> <p style="white-space: pre-wrap;"> {{ post.content }}</p> <div> <strong>TAGS:</strong> <v-chip class="ma-2" outlined v-for="(tag, index) in post.tags" :key="index">{{ tag }}</v-chip> </div> <v-divider></v-divider> <!-- </v-card> --> </v-col> </v-row> <v-row align="center" justify="center"> <v-col cols="12" lg="10"> <v-card class="pa-2" outlined tile> <v-row> <!-- 왼쪽에 다음 글 문구 배치 --> <v-col align="center" cols="2"> <p>이전 글</p> </v-col> <!-- 오른쪽에 다음 글 제목 문구 배치 --> <v-col cols="10"> <div> <h3 v-if="post.prev" @click="fetchPostDetail(post.prev.id)">{{ post.prev.title }}</h3> <p v-if="post.prev" @click="fetchPostDetail(post.prev.id)">{{ post.prev.description }}</p> </div> </v-col> </v-row> </v-card> <v-card class="pa-2" outlined tile> <v-row> <!-- 왼쪽에 다음 글 문구 배치 --> <v-col align="center" cols="2"> <p>다음 글</p> </v-col> <!-- 오른쪽에 다음 글 제목 문구 배치 --> <v-col cols="10"> <div> <h3 v-if="post.next" @click="fetchPostDetail(post.next.id)">{{ post.next.title }}</h3> <p v-if="post.next" @click="fetchPostDetail(post.next.id)">{{ post.next.description }}</p> </div> </v-col> </v-row> </v-card> </v-col> </v-row> </v-container> </template> <script> import axios from "axios"; export default { name: "PostDeatail", data: () => ({ post: {}, }), created() { console.log("created()..."); const postId = 2; this.fetchPostDetail(postId); }, methods: { fetchPostDetail(postId) { console.log("fetchPostDetail()...", postId); axios.get(`/api/post/${postId}/`) .then(res =>{ console.log("POST DETAIL GET RES", res); this.post = res.data; }) .catch(err => { console.log("POST DETAIL GET ERR_RESPONSE", err.response); alert(err.response.status + ' ' + err.response.statusText); }); } } } </script> <style scoped> </style> 계속 다시 코드를 짜보았는데도 어디서 오류가 나는 것인지 모르겠어서요 ㅠㅠ.....감사합니다 .. ㅜㅜ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그래프큐엘 질문입니다
여기서 만들때 writer 이랑 password에 string 느낌표 안붙여있는건 오류인가요? 원래는 느낌표가 있어서 필수 입력인거죠?
-
미해결수학 없이 시작하는 인공지능 첫걸음: 기초부터 최신 트렌드까지
1강 머신러닝 영문 표기 문의
1강 0:50에 머신러닝의 개념을 설명해주시는데 괄호 안에 영어가 잘못 표기된 것 같습니다.영어로 Machine Learning 이 맞나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vivado 설치시 root 계정이 아닌 상태에서 설치함
안녕하세요!설치하는 과정에서 root 계정이 아닌 사용자 계정 상태에서 설치를 계속 해왔었는데 상관없을까요??만약 문제가 있으면 다시 root 계정으로 처음부터 설치 해야할까요??
-
해결됨[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토큰이 탈취되는 시점은 언제인가요?
질문들 몇 가지 살펴보았는데 제가 이해한 바로는서버와 토큰으로 통신할 때 탈취가 진행되기 때문에 리프레쉬 토큰은 사용빈도가 적어 탈취위험이 적고 엑세스 토큰은 빈도수가 높아 탈취위험이 높기 때문에 유효기간을 짧게 한다인데여기서 궁금한 점은 토큰이 어느 시점에서 탈취되는지입니다.서버와 토큰으로 상호작용할 때 패킷을 빼와서 탈취하는 건가요?
-
해결됨자바 기초부터 마스터하기 with 은종쌤 (Do it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 Part 2(마스터편)
synchronized 과정
public synchronized String lendBook() throws InterruptedException{ while (bookList.size() == 0) { wait(); } String book = bookList.remove(0); System.out.println(Thread.currentThread() + " 학생이 책을 빌렸습니다."); return book; } 위 코드의 경우 synchronized method로 처리하였습니다.이 경우 shared resource(예제의 경우 this 객체)에 접근하는 3개의 thread에 대해서도 하나의 쓰레드가 차지한 경우 lock을 걸고 사용이 끝나면 다음 쓰레드가 사용하는 과정을 거치나요? (이러한 과정이 굉장히 빨라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 처럼 보일 뿐)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로드벨런서 타겟그룹 서로 다른 리전의 EC2
로드벨런서에 연결되는 타겟그룹의 구성으로 서로 다른 리전의 EC2들로 구성할 수도 있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df로 굳이 설정해야하는건가요??
저는 df 말고 members = pd.read_csv("members.csv")로 쓰고 싶은데 상관없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5-2 type2 작업형2 모의고사
18분 20초 부분에 랜덤포레스트로 모델을 만드시고 r2 스코어 시행결과 0.0770341 로 나왔습니다. r2 값은 1에 가까울수록 설명력이 높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만드신 랜덤포레스트 결과물로 제출해버리면 채점관들이 "아 r2 점수가 낮으니 이건 설명력이 낮은 모델이군" 으로 생각해서 감점당할 수 도 있나요??
-
해결됨코틀린 고급편
render 수정 관련
안녕하세요 태현님! 강의에 오타가 있어서 글 남깁니다!Service 클래스 안에 있는 render 메서드에서builder.appendNew("environment:", indent, 1) builder.appendNew("port:", indent, 1) environment 와 port 에 indent 와 times(1)가 추가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확인 부탁드릴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1편 -> JPA2편 -> 기본편 순으로 학습해도 될까요?
김영한 강사님 추천 로드맵 수강 순서를 보면 JPA1편 -> 기본편 -> JPA1편 복습 -> JPA2편으로 되어있는데요 제 시간 사정상 최대한 빨리 익혀야 하기도 하고, API 설계나 DTO가 너무 궁금해서 곧바로 JPA2편으로 학습하고 싶습니다.JPA1편에서 모르는 개념들(영속성 컨텍스트, 머지, 도메인 설계)이 많아서 우선 그냥 코드 따라하기 식으로 하고 있는데요JPA2편까지 따라하다가 기본편 다시 봐도 될까요?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복습 방법
현재 다익스트라와 관련된 강의까지 들어 놓은 상태이고 그 뒤는 아직 안 올라와서 나중에 들으려고 하는데 복습 겸 앞서 배운 부분을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근데 어떤 걸 우선순위로 두고 공부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백준에서 dfs bfs graph 풀면 될지 아니면 list queue 등 기초를 풀어보고 심화로 넘어가는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알고리즘도 자주 나오는게 있고 덜 나오는게 있을텐데 뭘 먼저 풀어야할지 모르겠습니다우선순위가 높은 알고리즘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문서 오타 제보합니다!
스프링 트랜잭션 이해12페이지 메서드에 하나라도 있으면 있으면-> 메서드에 하나라도 있으면 감사합니다:)
-
미해결[Lv.2] SwiftUI 중급 - Core Data와 SwiftData로 앱 완성하기
강의 Weak Self 코드 실행시 오류에 대해
강의에 대한 프로그램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나고 화면상에 숫자는 "1"로 고정이 되네요. 강의 원본 소스도 같은 에러를 내보냅니다.Xcode는 15.0.1아이폰 모델은 15 Pro입니다 콘솔 로그초기화 시작Snapshotting a view (0x10b42e7e0, _UIButtonBarStackView) that is not in a visible window requires afterScreenUpdates:YES.초기화 시작초기화 해제Snapshotting a view (0x10597b1c0, _UIButtonBarStackView) that is not in a visible window requires afterScreenUpdates:YES.초기화 시작초기화 해제 소스//// WeakSelfInter.swift// SwiftUiIntermediate//// Created by KISOO LEE on 10/7/23.// import SwiftUI // MARK: - ViewModelclass WeakSelfInterViewModel: ObservableObject { @Published var data: String? = nil init() { print("초기화 시작") let currentCount = UserDefaults.standard.integer(forKey: "count") UserDefaults.standard.set(currentCount+1, forKey: "count") getData() } deinit { print("초기화 해제") let currentCount = UserDefaults.standard.integer(forKey: "count") UserDefaults.standard.set(currentCount-1, forKey: "count") } func getData() { DispatchQueue.main.asyncAfter(deadline: .now() + 10) { DispatchQueue.main.async { self.data = "NEW DATA !" } } } } // MARK: - Screen 1struct WeakSelfInter: View { @AppStorage ("count") var count: Int? init() { count = 0 } var body: some View { NavigationView { NavigationLink("2번째 페이지로 이동"){ WeakSelfInter2() } .navigationTitle("1번째 페이지") //: NavigationLink } //: NavigationView .overlay( Text("\(count ?? 0)") .font(.largeTitle) .padding() .background(Color.green.cornerRadius(10)) .padding() , alignment: .topTrailing ) }} // MARK: - Screen 2struct WeakSelfInter2: View { @StateObject var vm: WeakSelfInterViewModel = .init() var body: some View { VStack (spacing: 10 ) { Text("2번째 페이지") .font(.largeTitle) .foregroundColor(.red) } //: VStack if let data = vm.data { // data에 String 값이 있는 경우 Text(data) } }} #Preview { WeakSelfInter()}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언리얼 서버 연동 강의 질문
안녕하세요 루키스님qna 게시판을 보다가 루키스님이 주말마다 언리얼 클라이언트 연동 강의를 주말마다 진행하고 계신다는 글을 봤는데 혹시 멘토링으로 진행하시는 건가요?만약 진행 중이시라면 지금이라도 참여할 수 있을까요?강의로 촬영하고 계신 거면 언제쯤 출시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