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JdbcTemplete강의 내용 1:38초부분에서 의존성주입 질문이 있습니다
//JdbcTemplateMemberRepository public class JdbcTemplate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JdbcTemplate jdbcTemplate; public JdbcTemplateMemberRepository(DataSource dataSource) { jdbcTemplate = new JdbcTemplate(dataSource); //SpringConfig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SpringConfig(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JdbcTemplate을 사용하도록 스프링 설정 변경하는 부분인데이전에 객체를 생성해서 직접 주입하면 안좋다고 하셨었는데jdbc템플릿을 적용하시는 부분에서는 직접 dataSource를 JdbcTemplate를 생성해서 넣으셨습니다.public SpringConfig(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대신에 JdbcTemplate를 빈에 등록해서 이렇게 사용하는게 이전에 배운내용에 따르면 의존성, 결합성 면에서 나은 코드라 생각했습니다.(@autowired를 사용하게끔 수정해본 코드)//JdbcTemplateMemberRepository public class JdbcTemplate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JdbcTemplate jdbcTemplate; @Autowired public JdbcTemplateMemberRepository(DataSource dataSource) { jdbcTemplate = new JdbcTemplate(dataSource); //SpringConfig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Bean public JdbcTemplate jdbcTemplate(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JdbcTemplate(dataSource); } } 이렇게 수정해서 사용하라고 설명해주시다가 이 JdbcTemplate강의에서는 직접 주입하시면서 설명해주셨는데,JdbcTemplate빈을 정의해서 주입하는 방식이 아닌Datasource를 직접 사용한 이유가 있을까요?뭔가 데이터접근할때는 다른부분이 있어서 이런 방법이 사용된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kafka 사용 이유
안녕하세요,궁금한 내용이 생겨 기존에 질문들을 살펴보고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차 질문드립니다. redis의 싱글스레드 특성으로 100개 발급에 대한 race condition 해결 --> 그러나 insert 시 DB 처리량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음kafka 미들웨어를 통해 100개의 쿠폰 저장 이벤트를 보관해두었다가 컨슈머에서 원할때 꺼내어 처리할 수 있는 여지를 주어 처리량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음ex) 쿠폰 발급은 당장 안해도 되니, kafka에 이벤트만 잘 발행되어 있다면 DB 작업량이 적은 새벽에 꺼내서 저장해도 됨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과제 답안
두번째 과제 풀고 있는데 답이 혹시 어디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fetch join 4개만 나오는건 알겠는데 json에서는 다른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oin을 하면4개가 나오는데id가 같지만 orderItems는 서로 다르게 나옵니다. 근데 왜 json에서는 orderItems 중복되서 왜 똑같이 나오는건가요? 그리고 값이 왜 orderItems는 여러개씩 출력이 되는거죠? 사실상 sql시 하나씩 setter로 들어가서 출력되지않나요? 예) "orderItems": [ { "itemName": "JPA1 BOOK", "orderPrice": 10000, "count": 1 }, { "itemName": "JPA2 BOOK", "orderPrice": 20000, "count": 2 } ] 위와 같이 orderItems가 두개가 나옵니다.근데 sql은 하나씩 출력이 되는데 그러면 "orderItems": [ { "itemName": "JPA1 BOOK", "orderPrice": 10000, "count": 1 } ]위와 같이 하나만 출력이 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setter로 매핑 되면 그렇지않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엔티티가 중첩되는 경우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보면서 게시판 성격의 서비스를 만들던 중에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제가 취준생이라 실제 서비스 코드들을 본 적이 없어서 어떤 방법이 조금 더 현명한 방법인지 궁금합니다!Jpa 사용법처럼 게시글과 댓글을 맵핑하는 방법입니다.댓글에 게시글의 키만 가지는 방법입니다. 1번 코드는 대략적으로 이런 형태일 것 같습니다. @Entity public class Article{ @Id @GeneratedValue(strategy = Identity) long id; String content; } @Entity public class Comment{ @Id @GeneratedValue(strategy = Identity) long id; String commen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Article article; } 1번 코드의 경우에는 배울 때는 맵핑도 깔끔하게 잘 되고 좋았는데, 실제 개발을 하다 보니 댓글만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Article의 내용은 전혀 필요가 없는 경우도 많을 것 같습니다.또한 게시글의 댓글들을 조회 할 때, 같은 Article 내용들이 반복해서 들어 있다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Lazy 하게 가져와서 문제가 없을것 같기도 하고 이 부분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2번 코드는 게시글의 키만 가지는 경우입니다. @Entity public class Article{ @Id @GeneratedValue(strategy = Identity) long id; String content; } @Entity public class Comment{ @Id @GeneratedValue(strategy = Identity) long id; String comment; long articleId; } 2번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정보를 담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는 Id값으로 찾아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하지만 article 과 Comment를 각각 따로 관리하는 형태가 됩니다.(사실 1번 코드도 따로 관리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간단한 경우에는 1번이 좋은 것 같은데 컴포지션 되는 객체들이 많은 경우에는 그 자체로 정말 생각해야 되는 경우가 많아 지는 것 같습니다.(Comment 안에 Article, User, 첨부 파일 Entity 등등이 복잡하게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네이버 카페와 같은 사이트들의 경우에서는 게시글과 댓글을 따로 관리하는 것 같기도 하고(작성 글 보기를 누르면 삭제된 게시글 이지만 댓글 내용은 볼 수 있는 경우입니다)실제로는 어떤 방식으로 풀어 가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초기화 detach 질문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저와 비슷한 질문이 게시판에 올라와있는데 답변이 이해가지 않아서 질문 올립니다 아래 코드에서 강의와 다른점은 System.out.println에서 reference.getClass() 대신 reference를 썼다는 점 입니다. try {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member1"); em.persist(member1); em.flush(); em.clear(); Member reference = em.getReference(Member.class, member1.getId()); System.out.println("reference = " + reference); em.detach(reference); System.out.println(reference.getName());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e.printStackTrace(); } finally { em.close(); }reference.getClass()에서 getClass()를 쓰지 않으면 reference.geName()했을때 member1로 출력이 됩니다.그런데 이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저는 detach(reference)를 하면 프록시 객체 reference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분리되어서 getName()을 쓰지 못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왜 member1이 출력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여기서도 에러가 나야하는것 아닌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update 모드에서 @Column(unique = true) 추가 시 변경 적용 안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update 모드에서 기존엔티티에 @Column(unique = true) 를 사용한다음 재시작을 했는데, 변경 사항이 h2에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그런데 @Column(name="username", unique=true) 를 하니 이번에는 ALTER 쿼리가 나가서 name과 unique 변경사항이 db에 적용이 됩니다.update 모드에서 @Column(unique = true) 를 했을때 적용이 되지 않고 @Column(name="username", unique=true) 이렇게 해야만 적용이 되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16:29초 order와 order_item 사이 연관관계 주인
16:29초에 order_item에서 order가 연관관계 주인이 된다고 하셨는데 order_item 엔티티 클래스 안에 보면 ```java@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JoinColumn을 한 order 외래키를 가진 order_item이 연관관계 주인 아닌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테스트시 오류 발생 해결법에 대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앞서 질문한 학생들의 질문들과 구글링을 진행해봤지만 해결되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먼저 강의를 따라 쭉 타이핑을 했는데 Junit4 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만들고 진행해 봤고, 테스트가 안되어서 build.gradle와 MemberRepositoryTest 등을 번갈아가면서 수정해봤지만 어떤것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파일 링크 남겨드립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EsGR5F0YDa1G97u5616ZM8JeYwWZYjQr/view?usp=sharing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 데이터베이스는 잘 연결되는데, 14:03 MEMBER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아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테스트를 실행하면 로그는 이렇게 찍힙니다.WARNING: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Users/esyoleo/.gradle/caches/modules-2/files-2.1/net.bytebuddy/byte-buddy-agent/1.14.12/be4984cb6fd1ef1d11f218a648889dfda44b8a15/byte-buddy-agent-1.14.12.jar)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in use, please run with -XX:+EnableDynamicAgentLoading to hide this warning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not in use, please run with -Djdk.instrument.traceUsage for more informationWARNING: Dynamic loading of agents will be disallowed by default in a future release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JUnit은 4를 사용중이고, 필요한 설정은 build.gradle, yml 등에 모두 작성한 상황입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ec2서버에서 user예약어 관련 오류이신분
현제 45강까지 완료했고구글링해서 user라는 키워드가 현제 제가 쓰고있는 버전에서는 예약어이기때문에 사용아 안된다는것까지 인지했습니다.그래서 yml에 dev에 해당하는 url에 NON_KEYWORDS=USER까지 입력했고User class에 @Table(name ="USER")까지 적용해서git을 이용해서 ec2서버에 적용했지만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2일정도를 해결하려했는데 안되어서 질문 남깁니다.저의 github 는 https://github.com/Jo-Jun-Yeong/library-app입니다.그리고 제가 사용하는 hc2 ip는54.180.104.239입니다 다른 인프런에 답글달아주신 글도 봤지만user가 예약어이니 nonkeyword적용해라 이상의 해결을 못봤습니다..///////////////////////////////////////////라고 질문하려했는데마지막으로 ./gradlew build가 적용되지않아서 그런거지않을까? 해서 ./gradlew clean 후 build했더니 적용되었습니다.특히 User.class에 @Table(name="user")적용을 해야 하는것 같습니다. 저처럼 2틀동안 삽질하지 않으셨으면 좋겟네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챕터 2 - 불변 객체 - 예제" 에서 나온 코드들이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챕터 2- 불변객체 예제"에서 회원의 주소를 변경할때 가변 객체 에서의 MemberMainV1의 코드를 보면,memberB.getAddress().setValue("부산"); 이런식 으로 하셧고,불변 객체의 에서의 MemberMainV2의 코드를 보면,memberB.setAddress(new ImmutableAddress("부산")); 이런식으로 하셨는데.이런 코드들이 실무에서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궁금 합니다.공부하면서 이런 코드들은 본적이(저한테는 특이한 코드 여서) 없어서 질문을 남깁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코드를 수정하지도 않았는데 프로젝트 삭제했다가 다시 설정해야할까요... 코드가 복잡해서 어디부터 수정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scouter client
sudo spctl --master-disable 이 명령어로 해도 계속 이렇게 뜨는데 이건 무슨 문제인가요..? 스크립트 실행은 잘된거같은데..
-
미해결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스카우터 설치
스카우터가 실행이 안되는데 java 버전문제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부끄러운 질문 하나 하겠습니다...
복습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두가지 질문을 드려봐요.1. 강의를 전부 다시보는건 너무 시간이 오래걸릴것같고 교재랑 코드만 보면 지식의 공백이 생길것같습니다... 2. 학습적으로 제대로 이해하고 응용할 수준까지 진행하고 싶어도 주입식교육을 받은 학생이라 그런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그 수준까지 도달을 못하는 편입니다.그래서 다양한 예제를 풀어볼 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목차마다 한 두문제가 있는데 반복해도 나중에 다른 문제를 만낫을때 해결하지 못해서 고민입니다.. 그런 문제를 아주 가끔씩 만나기도 하고요...뭔가 몇달째 코딩을 하면서 이것때문에 남는 지식이 얼마 없는것 같아서 딜레마에 빠졌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ㅠㅠ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Backpressure Example 코드 질문드립니다
기존 예제 (sleep 시간이 5L인 경우)에선 Exception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sleep 시간을 더 늘리니까 Erorr가 발생하지않았습니다. 제 예상대로라면 버퍼가 더 빨리 차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해야하는데, 동작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public class BackpressureStrategyErro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lux .interval(Duration.ofMillis(1L)) .onBackpressureError() .doOnNext(Logger::doOnNext) .publishOn(Schedulers.parallel()) .subscribe(data -> { // 왜 50L, 500L로 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까? TimeUtils.sleep(500L); Logger.onNext(data); }, error -> Logger.onError(error)); TimeUtils.sleep(5000L); }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N + 1 쿼리 횟수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간단한 주문 조회 V2: 엔티티를 DTO로 변환" 강의를 듣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Order 엔티티를 SimpleOrderDto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아래 조건으로 인해 샘플 데이터 2개 기준 총 5(1 + 2 + 2)번의 쿼리가 날아간다고 이해했습니다.order -> member 지연 로딩 조회 N번order -> delivery 지연 로딩 조회 N번근데 저는 order -> delivery 쿼리 이후에 order를 찾는 쿼리가 한번 더 날아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총 7번의 쿼리가 발생하는 것 같은데 무엇 때문인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코드와 콘솔 로그는 아래 첨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Order 엔티티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 주문상태 // Delivery 엔티티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Long id; @JsonIgnore @OneToOne(mappedBy = "delivery", fetch = FetchType.LAZY) private Order order; @Embedded private Address address;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DeliveryStatus status; // READY, COMP // OrderSimpleApiController @GetMapping("/api/v2/simple-orders") public List<SimpleOrderDTO> ordersV2()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new OrderSearch()); return orders.stream() .map(SimpleOrderDTO::new) .toList(); } @Data static class SimpleOrderDTO { private Long order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private OrderStatus orderStatus; private Address address; public SimpleOrderDTO(Order order) { this.orderId = order.getId(); this.name = order.getMember().getName(); // Lazy 초기화 this.orderDate = order.getOrderDate(); this.orderStatus = order.getStatus(); this.address = order.getDelivery().getAddress(); // Lazy 초기화 } }2024-04-09T13:27:53.982+09:00 DEBUG 12424 --- [nio-8080-exec-2]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2024-04-09T13:27:53.984+09:00 INFO 12424 --- [nio-8080-exec-2] p6spy : 1712636873984|0|statement|connection 7|url jdbc:h2:tcp://localhost/~/jpashop_v2|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join member m1_0 on m1_0.member_id=o1_0.member_id 2024-04-09T13:27:54.005+09:00 DEBUG 12424 --- [nio-8080-exec-2] org.hibernate.SQL : select m1_0.member_id, m1_0.city, m1_0.street, m1_0.zipcode, 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 2024-04-09T13:27:54.007+09:00 INFO 12424 --- [nio-8080-exec-2] p6spy : 1712636874007|0|statement|connection 7|url jdbc:h2:tcp://localhost/~/jpashop_v2|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1 2024-04-09T13:27:54.012+09:00 DEBUG 12424 --- [nio-8080-exec-2] org.hibernate.SQL : select d1_0.delivery_id, d1_0.city, d1_0.street, d1_0.zipcode, 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 2024-04-09T13:27:54.013+09:00 INFO 12424 --- [nio-8080-exec-2] p6spy : 1712636874013|0|statement|connection 7|url jdbc:h2:tcp://localhost/~/jpashop_v2|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1 2024-04-09T13:27:54.016+09:00 DEBUG 12424 --- [nio-8080-exec-2]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4-04-09T13:27:54.016+09:00 INFO 12424 --- [nio-8080-exec-2] p6spy : 1712636874016|0|statement|connection 7|url jdbc:h2:tcp://localhost/~/jpashop_v2|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1 2024-04-09T13:27:54.018+09:00 DEBUG 12424 --- [nio-8080-exec-2] org.hibernate.SQL : select m1_0.member_id, m1_0.city, m1_0.street, m1_0.zipcode, 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 2024-04-09T13:27:54.019+09:00 INFO 12424 --- [nio-8080-exec-2] p6spy : 1712636874019|0|statement|connection 7|url jdbc:h2:tcp://localhost/~/jpashop_v2|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select 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member_id=2 2024-04-09T13:27:54.020+09:00 DEBUG 12424 --- [nio-8080-exec-2] org.hibernate.SQL : select d1_0.delivery_id, d1_0.city, d1_0.street, d1_0.zipcode, 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 2024-04-09T13:27:54.020+09:00 INFO 12424 --- [nio-8080-exec-2] p6spy : 1712636874020|0|statement|connection 7|url jdbc:h2:tcp://localhost/~/jpashop_v2|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select 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 from delivery d1_0 where d1_0.delivery_id=2 2024-04-09T13:27:54.021+09:00 DEBUG 12424 --- [nio-8080-exec-2] org.hibernate.SQL : select o1_0.order_id, o1_0.delivery_id, o1_0.member_id, o1_0.order_date, 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 2024-04-09T13:27:54.021+09:00 INFO 12424 --- [nio-8080-exec-2] p6spy : 1712636874021|0|statement|connection 7|url jdbc:h2:tcp://localhost/~/jpashop_v2|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select o1_0.order_id,o1_0.delivery_id,o1_0.member_id,o1_0.order_date,o1_0.status from orders o1_0 where o1_0.delivery_id=2
-
미해결
spring Security 구현중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에러 발생
https://github.com/myungkeun02/spring_blog_3공부하고있는 코드입니다.제목 그대로 포스트맨으로 테스트중에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라는 에러가 발생합니다.구글링해서 문제가 발생할만한 부분을 모두 찾아 보았지만 해결이 안되어 글 올려봅니다.해결해주시는분께 아메리카노 쏩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protected 사용 이유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에서 기본 생성자를 추가해주실 때, public이 아니라 protected를 사용하셨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혹시라도 다른 곳에서 기본생성자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게 하기 위함인가요? 제가 자바가 안익숙해서 그런지, 이러한 접근 제어자를 쓰는 것이나, static, final 키워드를 언제 쓰거나 안써야 하는지에 대한 감이 별로 없어서 구분을 잘 못하는데, 이러한 실력은 어떤 경험을 더 쌓아야 할지.. 아니면 어떤 키워드를 어떻게 공부해야 더이상 안 헷갈리고 확실하게 알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항상 친절한 강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