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06-01-container-presenter 에러
강의를 잘 따라가면서 작성하고 있었는데 화면을 최종적으로 확인할 때 이런 에러가 뜹니다. 코드를 두번확인했는데 틀린 부분이 보이지않습니다 ..! index.js 코드 입니다import BoardWrite from '../../../src/components/units/board/write/BoardWrite.container' export default function GraphqlMutationPage(){ return ( <> <div>###### 여기는 페이지 입니다 ######</div> {/* //로직을 가져옴 */} <BoardWrite /> <div>###### 여기는 페이지 입니다 ######</div> </> ) }BoardWrite.container.js 코드 입니다import { useMutation } from '@apollo/client' import {useState} from 'react' //UI를 가져옴(파일을 합침) import BoardWriterUI from './BoardWrite.presenter' //gql 가져옴(파일을 합침) import {나의그래프큐엘셋팅} from './BoardWrite.queries' //로직만 사용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Write() { const [writer, setWriter] = useState() const [title, setTitle] = useState() const [contents, setContents] = useState() const [나의함수] = useMutation(나의그래프큐엘셋팅); const onClickSubmit = async () => { const result = await 나의함수({ variables: { writer: writer, title: title, contents: contents } }) console.log(result) }; const onChangeWriter = (event) => { setWriter(event.target.value) // => state에 저장 } const onChangeTitle = (event) => { setTitle(event.target.value) } const onChangeContents = (event) => { setContents(event.target.value) } return( <> <div>$$$$$$$ 여기는 컨테이너 입니다 $$$$$$</div> {/* UI를 가져옴(파일을 합침) */} <BoardWriterUI aaa={onClickSubmit} bbb={onChangeWriter} ccc={onChangeTitle} ddd={onChangeContents} /> <div>$$$$$$$ 여기는 컨테이너 입니다 $$$$$$</div> </> ) } BoardWrite.presenter.js 코드 입니다import {BlueButton, RedInput } from './BoardWrite.style' //UI만 사용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WriterUI(props){ return( <> <div>@@@@@@@@ 여기는 프리젠터 입니다 @@@@@@@</div> <div> 작성자: <RedInput type="text" onChange={props.bbb} /> 제목: <input type="text" onChange={props.ccc} /> 내용: <input type="text" onChange={props.ddd} /> <BlueButton onClick={props.aaa}>GRAPHQL-API 요청하기</BlueButton> </div> <div>@@@@@@@@ 여기는 프리젠터 입니다 @@@@@@@</div> </> ) }BoardWrite.queries.js 코드 입니다import { gql } from '@apollo/client' export const 나의그래프큐엘셋팅 = gql` mutation createBoard($writer: String, $title: String, $contents: String){ createBoard(writer : $writer , title: $title , contents: $contents) { _id number message } } BoardWrite.style.js 코드 입니다import styled from '@emotion/styled' export const RedInput = styled.input` border-color: red; ` export const BlueButton = styled.button` background-color: blue; ` app.js 코드 입니다// 모든 페이지의 공통설정들 여기서 진행 import { ApolloClient, InMemoryCache, ApolloProvider } from '@apollo/clien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Component, pageProps }) { const client = new ApolloClient({ uri:"http://backend-example.codebootcamp.co.kr/graphql", cache: new InMemoryCache() //컴퓨터의 메모리에다가 백엔드에서 받아온 데이터 임시로 저장해 놓기 => 나중에 더 자세히 알아보기 }) return ( <div> <div> ========== 여기는 _app.js 컴포넌트 시작부분 입니다. ==========</div> {/* //그래프큐엘 셋팅 => 앞으로 아래 컴포넌트에서 client를 쓸 수 있다는 의미 */} <ApolloProvider client={client}> <Component /> {/* 내가 들어간 페이지들의 html이 여기로 다 들어오게 됨 */} </ApolloProvider> <div> ========== 여기는 _app.js 컴포넌트 마지막부분 입니다. ==========</div> </div> ) } 마지막으로 폴더 구조입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섹션30 인터셉터] 마지막 강의
안녕하세요 선생님[섹션30 인터셉터] 마지막 영상이 [섹션29 트랜섹션] 마지막이랑 겹쳐요!따로 제보할 곳이 없어 질문 게시판에 올립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section8 포폴 리뷰 에러가 납니다.
boards/new/index.js 에서 항목 기입 후 등록하기 버튼을 누를 시 등록된 상세페이지로 넘어가지 않고 alert 알림창으로 "Response not successful: Received status code 400" 이렇게 뜹니다.오타는 혹시 있나 해서 올려주신 깃허브랑 하나하나 꼼꼼히 비교 했는데 없었어요..오류코드를 개발자도구로 뜯어보니 그래서 해당 부분 확인해봐도 모두 강사님과 동일하게 작성되있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미해결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가독성을 위한 JSX(XML임!) 수업 질문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이번 강좌를 보면서 느낀점인데 혹시 XML에 대한 이해도를 갖고 있어야 할까요?HTML만 한 사람의 관점으로 영상을 보았을 때 많이 헷갈리네요아니면 지금은 그냥 이런게 있다라는 느낌일까요??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fgets() 함수 질문
안녕하세요.11-4 강의 듣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콘솔창에 문자를 입력할 때 eof 혹은 줄바꿈 말고 4글자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되는데, 이는 어떤 원리에서 종료되는 걸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R 반례 궁금합니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 map<int, vector<int>> mp; int tmp, d, ret; void removeAll(int key){ // if not leaf node -> recursive remove if(!mp[key].empty()) { for(int c: mp[key]) removeAll(c); } // erase itself mp.erase(key); } int main(){ cin >> N; // make graph for(int i = 0; i < N; i++){ mp[i]; cin >> tmp; if (tmp != -1) mp[tmp].push_back(i); } // input node to be deleted cin >> d; removeAll(d); if (mp.size() == 1) ret = 1; else if (mp.size() == 0) ret = 0; else { // for all key in map for(auto it: mp) { int key = it.first; // if the remaining value empty => plus if (mp[key].empty()) ret++; } } cout << ret; }다음과 같이 map과 재귀를 풀어서 1068번 트리 문제를 풀었는데, 어디가 오답인지 감이 안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 2번 질문 있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예시문제 작업형 2번 문제 풀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train, test 데이터를 describe 함수로 통계내 봤을 때 총 구매액와 최대 구매액에 음수 값이 있어 해당 행은 삭제하려고 합니다. 이 이후로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몰라서 도움을 구해봅니다 ㅠㅠㅠ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authenticationEntryPoint 를 기본 설정된 /login이 아닌 react 웹 페이지로 설정 시 cors 문제가 지속해서 발생합니다.
authenticastion Entry Point로 지정 시 cors문제가 계속해서 진행되어 Authorization Code를 받아올 수 없습니다.코드 첨부Authorization Server Config@Bean @Order(Ordered.HIGHEST_PRECEDENCE) public SecurityFilterChain authorizationServerSecurity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OAuth2AuthorizationServerConfiguration.applyDefaultSecurity(http); http .getConfigurer(OAuth2AuthorizationServerConfigurer.class) .oidc(Customizer.withDefaults() ); http .exceptionHandling((exceptions) -> exceptions .authenticationEntryPoint( new LoginUrlAuthenticationEntryPoint("http://localhost:3000") // new LoginUrlAuthenticationEntryPoint("/login") )) http.oauth2ResourceServer((resourceServer) -> resourceServer .jwt(Customizer.withDefaults())); return http.build(); } @Bean public RegisteredClientRepository registeredClientRepository() { RegisteredClient oidcClient = RegisteredClient.withId(UUID.randomUUID().toString()) .clientId("oidc-client") .clientSecret("{noop}secret") .clientAuthenticationMethod(ClientAuthenticationMethod.CLIENT_SECRET_BASIC) .authorizationGrantType(AuthorizationGrantType.AUTHORIZATION_CODE) .authorizationGrantType(AuthorizationGrantType.REFRESH_TOKEN) .redirectUri("https://oidcdebugger.com/debug") .redirectUri("https://test-b821b.web.app") .postLogoutRedirectUri("http://127.0.0.1:8080/") .scope(OidcScopes.OPENID) .scope(OidcScopes.PROFILE) .clientSettings(ClientSettings.builder().requireAuthorizationConsent(true).build()) .build(); return new InMemoryRegisteredClientRepository(oidcClient); } @Bean public AuthorizationServerSettings authorizationServerSettings() { return AuthorizationServerSettings.builder().issuer("http://localhost:6080").build(); } } Default Web Config @Bean public WebMvcConfigurer corsConfigurer() { return new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CorsMappings(Cors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Mapping("/**") .allowedOrigins("http://localhost:3000") .allowedMethods("GET", "POST", "PUT", "DELETE", "OPTIONS") .allowedHeaders("*") .allowCredentials(true) .exposedHeaders("*"); } }; } @Bean public CorsConfigurationSource corsConfigurationSource() { CorsConfiguration configuration = new CorsConfiguration(); configuration.setAllowCredentials(true); configuration.addAllowedHeader("*"); configuration.addAllowedMethod("*"); configuration.addAllowedOrigin("http://localhost:3000"); configuration.setExposedHeaders(Arrays.asList("*")); UrlBasedCorsConfigurationSource source = new UrlBasedCorsConfigurationSource(); source.registerCorsConfiguration("/**", configuration); return source; } @Bean public SecurityFilterChain filterChain(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http .cors(customCorsConfig -> customCorsConfig.configurationSource(corsConfigurationSource())) .csrf(AbstractHttpConfigurer::disable) .authorizeHttpRequests(authorizeHttpRequestsCustomizer -> authorizeHttpRequestsCustomizer.requestMatchers(AUTH_WHITELIST).permitAll() .anyRequest().authenticated() ) .formLogin( httpSecurityFormLoginConfigurer -> httpSecurityFormLoginConfigurer.loginPage("http://localhost:3000").loginProcessingUrl("/login") // Customizer.withDefaults() ) ; return http.build(); } @Bean public UserDetailsService userDetailsService() {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new BCryptPasswordEncoder(); UserDetails userDetails = User.builder() .username("user") .password(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roles("USER") .build(); return new InMemoryUserDetailsManager(userDetails); } @Bean public JWKSource<SecurityContext> jwkSource() { KeyPair keyPair = generateRsaKey(); RSAPublicKey publicKey = (RSAPublicKey) keyPair.getPublic(); RSAPrivateKey privateKey = (RSAPrivateKey) keyPair.getPrivate(); RSAKey rsaKey = new RSAKey.Builder(publicKey) .privateKey(privateKey) .keyID(UUID.randomUUID().toString()) .build(); JWKSet jwkSet = new JWKSet(rsaKey); return new ImmutableJWKSet<>(jwkSet); } private static KeyPair generateRsaKey() { KeyPair keyPair; try { KeyPairGenerator keyPairGenerator = KeyPairGenerator.getInstance("RSA"); keyPairGenerator.initialize(2048); keyPair = keyPairGenerator.generateKeyPair(); } catch (Exception 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x); } return keyPair; } @Bean public JwtDecoder jwtDecoder(JWKSource<SecurityContext> jwkSource) { return OAuth2AuthorizationServerConfiguration.jwtDecoder(jwkSource); } @Bean public PasswordEncoder encoder() { return new BCryptPasswordEncoder(); } 위 코드로 진행했을 시 발생하는 Cors Error입니다 Access to XMLHttpRequest at 'http://localhost:6080/oauth2/authorize?client_id=oidc-client&redirect_uri=https%3A%2F%2Foidcdebugger.com%2Fdebug&scope=openid&response_type=code&response_mode=form_post&state=3it6dl9kewr&nonce=hyq3pnronj7&continue' (redirected from 'http://localhost:6080/login') from origin 'http://localhost:3000'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3. 이로 인해 CorsFilter를 적용하게 되면 해당 Cors는 해결되지만 authorization code 가 Redirect되는 시점에 Cors 에러가 새롭게 나옵니다.CorsFilter @Component @Slf4j @Order(Ordered.HIGHEST_PRECEDENCE) public class CorsFilter implements Filter { private static final Set<String> allowedOrigins = new HashSet<String>(); static { allowedOrigins.add( "http://localhost:3000" ); } @Override public void init(FilterConfig fc) throws ServletException { } @Override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 ServletResponse res, FilterChain chain)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HttpServletResponse) res; HttpServletRequest request = (HttpServletRequest) req; String origin = request.getHeader(HttpHeaders.ORIGIN); log.info("Origin: {}", origin); if (origin != null) { Optional<String> first = allowedOrigins.stream().filter(origin::startsWith).findFirst(); first.ifPresent(s ->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Allow-Origin", s)); }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Allow-Methods", "*");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Max-Age", "3600");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Allow-Headers", "Origin, X-Requested-With, Content-Type, Accept, Key, Authorization"); if ("OPTIONS".equalsIgnoreCase(request.getMethod())) {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OK); } else { chain.doFilter(req, res); } } @Override public void destroy() { } Cors 오류Access to XMLHttpRequest at 'https://oidcdebugger.com/debug?code=1o_jSQQVu6EB4XDq-xCWP3qrzp2VDdGbH_AN7iBJGU5gQRC7BRFkQYdn2A6P-6G5Aoi8XLJLaVR4MSVktNzDvYLMmj_UXahcWfEwQdA-tk4GCw5Bff4mXn2q6mIYfs_d&state=3it6dl9kewr' (redirected from 'http://localhost:6080/login') from origin 'http://localhost:3000'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혹시 외부 로그인 페이지와 연동한 예시가 있거나, Cors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ㅠㅠ
-
미해결
부트캠프 참여
부트캠프는 2024년도 계획이 어떤지 궁금하구요?또한 부트캠프를 참여를 하고 싶은데 문자 알림을 통해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010-8225-8431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List<Domain> -> List<Response> 변환을 Controller에서 하는 게 맞나요?
Domain -> Response 변환 코드를 Domain에 정의해두고Controller에서 Domain 메서드를 호출해서 Response를 변환하는게 맞나는 건 이해했습니다. 근데 실제 API에 해당 내용을 적용하려고 보니 Domain 단 건 조회보다는 List<Domain>을 반환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습니다. 따라서 List<Domain>을 List<Response>로 변환해야 하는데 해당 작업을 for문이나 Stream으로 Controller로 처리하려니 Controller 코드도 지저분해지고 Controller가 하는 역할에 부합하지 않게 되는 것 같습니다.List<>를 변환할 때는 어디서 하는게 올바른 것인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Null 값을 평균으로 채우는 방법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15분 경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나옵니다만, 저는 분명 동일한 코드를 실행했는데 오류가 떠서 질문드립니다. house_df.fillna(house_df.mean(),inplace = True) TypeError: can only concatenate str (not "int") to str 이 코드가 Null있는 문자형 열까지 포함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오류가 나는 거 같은데, 혹시 원래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코드인가요…? 책에 있는 코드도 동일한데 제가 실행시키면 에러가 나서 전 Null 있는 숫자혀여 열에 대해서만 각 열의 평균값으로 결측치를 채워서 실행했습니다. 만약 현재 버젼으로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지 않는 코드라면 선생님께서 혹시 이 부분에 대해서만 새로 작성하신 코드를 여쭙고 싶습니다!방금 확인해보니까 jupyter notebook으로는 잘 실행되는데, vscode에서는 위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혹시 이 오류가 뜨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샘요 ㅠㅅ ㅠ?
작업형 1 문제 3에서요 조건으로 풀어주셨는데요. sum 대신 len 쓰는 건 말이 안될까요? 일단 답은 틀렸어요,,..한국말로 일대일 대응해서 코드를 적어보면, f3 컬럼에서 '실버'인 행의 갯수를 출력하려면 len을 쓸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데 값이 달라 질문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BaseModel 적용하기] BaseModel에 작성된 id 프로퍼티를 OneToOne Relation의 외래키로 지정할 수 있나요?
// Base.entity.ts export abstract class BaseEntity { @PrimaryGeneratedColumn('increment') id: number; @CreatedDateColumn() createdAt: Date; @UpdatedDateColum() updatedAt: Date; } // User.entity.ts @Entity() export class User extends BaseEntity { @Column({ unique: true, }) email: string, @Column() password: string, @OneToOne(() => UserGrade, (userGrade) => userGrade.id) @JoinColumn() grade_id: number; } // UserGrade.entity.ts @Entity() export class UserGrade extends BaseEntity { @Column() grade: string; } BaseModel이 되는 BaseEntity가 있고, User와 UserGrade가 각각 BaseEntity를 상속받고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각 엔티티의 기본키가 되는 id를 BaseModel에 생성되어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User 엔티티 내에 `grade_id` 라는 프로퍼티를 만들고, 이것을 UserGrade의 id와 OneToOne 관계를 맺어주고 싶은데 id 프로퍼티를 찾지 못해 연결을 못했습니다. 제가 시도했던 방법은 추상 클래스가 아니라 생성자를 통해 자식 클래스(엔티티)로부터 id 값을 받아오는 방식을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작성해 봤습니다. 말은 안되지만 이런저런 시도를 해보았는데, 각각 연결이 안되었습니다... export class BaseEntity { constructor(obj: BaseEntity) { this.id = obj.id; this.createdAt = obj.createdAt; this.updatedAt = obj.updatedAt; } @PrimaryGeneratedColumn('increment') id: number; @CreatedDateColumn() createdAt: Date; @UpdatedDateColum() updatedAt: Date; } // User.Entity.ts @Entity() export class User extends BaseEntity { constructor(obj: User) { super(obj); Object.assign(this, obj); } ...... 생략 @OneToOne(() => UserGrade, (userGrade) => userGrade.id) @JoinColumn() grade_id: number; }// UserGrade.Entity.ts @Entity() export class UserGrade extends BaseEntity { constructor(obj: UserGrade) { super(obj); Object.assign(this, obj); @OneToOne(() => User, (user) => user.grade_id) super.id } } 혹시 이렇게 BaseEntity에서 공통되는 프로퍼티들을 관리하는 경우에, id 값을 외래키로 지정해서 연결해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백엔드 개발자에 의한, 백엔드 개발자들을 위한 프론트엔드 강의 - 기본편
강의 누락
안녕하세요 Thymeleaf vs HTML + RestController 주제를 듣던 중 의아한 부분이 생겨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해당 강의에서 Thymeleaf 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던 와중, 도중 강의가 갑자기 끝나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강의 페이지를 보니, 이후 설명되야 할 내용처럼 보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혹시 중간에 강의가 누락된 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scanf_s 연속 사용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위 문제와 같이 scanf_s를 연속으로 사용할 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먼저 첫번째 입력으로 1을 입력하면 버퍼에 [1][\n] 이렇게 입력되고 1이 빠져나가면 [\n]이 버퍼에 남게 되는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번째 입력 때 [\n] [2] [\n] 이렇게 입력이 되는건가요?또한 만일 엔터가 맨 앞에 있다면 왜 scanf_s를 연속으로 쓸 때는 스킵이 안되는지와 get_s와 같이 쓰면 스킵이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저희 앱에서는 평달과 윤달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것일까요?
저희 앱에서는 평달과 윤달을 구분할 필요가 없나요?? 음력의 경우에요!!
-
해결됨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스택과 불린을 이용해서 솔루션해봤는데 괜찮을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강의를 듣기 전 풀어봤는데, 설명해주신 방법도 숙지하겠습니다.function solution(s) { let answer = ''; let stack = []; let contain = false for (let ele of s) { if (ele === '(') { contain = true stack.push(ele) } if (!contain) { answer += ele } if (ele === ')') { stack.pop() if (stack.length === 0) contain = false } } return answer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계층형 테이블에 매핑된 엔티티 컬렉션을 fetch join으로 가져올 때 쿼리 개수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코드는 마지막에 첨부되어 있습니다.게시글 엔티티 Post가 게시글에 달린 댓글 엔티티 Comment의 컬렉션을 프로퍼티로 갖습니다. 댓글 엔티티 Comment는 COMMENT, REPLY 타입으로 구분되며, 프로퍼티로 parentComment와 replies를 갖습니다. COMMENT 타입은 parentComment == null이며, REPLY 타입은 replies == null입니다. Post.comments는 Comment의 타입을 고려하지 않고 모두 갖고 있습니다.위 상황에서 게시물 상세 정보를 가져올 때, comments를 fetch join하여 Post 엔티티를 가져와 댓글들을 타입 계층에 따라 분리하는 작업을 합니다. 이때 REPLY 타입의 replies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COMMENT 타입의 replies에는 접근하며 해당 replies는 모두 같은 게시물에 속해있습니다.예상했던 쿼리의 개수는 1 혹은 (1 + COMMENT 타입 수) 였습니다. 애초에 둘 중 무엇인지 궁금해서 일을 진행했었습니다.테스트를 실행해보면, post.comments의 요소에 처음 접근할 때 REPLY 타입을 가져오는 쿼리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이후에 다른 COMMENT 타입에 접근할 때는 REPLY를 가져오는 쿼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만약 Post의 COMMENT 타입 Comment.replies에 접근할 때 쿼리가 발생하는 거라면 COMMENT 타입의 개수만큼 발생해야 하는게 아닌가요? 제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논외로, Spring data JPA의 @Query를 통해 작성한 단순한 정적 쿼리가 계속 반복된다면 QeuryDSL로 옮겨 반복을 줄이는게 합리적일까요? 아니면 spring data jpa의 편리함을 유지하는게 합리적인가요? 감사합니다.public class Post extends BaseEntity { public static final int TITLE_MAX_LENGTH = 50; public static final int CONTENT_MAX_LENGTH = 10000;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post_id", 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Long id; @Column(name = "title", nullable = false, length = TITLE_MAX_LENGTH, updatable = false) private String title; @Column(name = "content", nullable = false, length = CONTENT_MAX_LENGTH) private String content; @Column(name = "hits", nullable = false) private Long hits;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writer_id") private Member writer; @OneToMany(fetch = FetchType.LAZY, mappedBy = "post", orphanRemoval = true) @ToString.Exclude private List<Comment> comments = new ArrayList<>(); }public class Comment extends BaseDeleteEntity { public static final int CONTENT_LENGTH = 1000;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comment_id", nullable = false) private Long id; @Column(name = "content", nullable = false, length = CONTENT_LENGTH) private String content; @Column(name = "type", 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CommentType typ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ost_id", null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Post pos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writer") private Member writer; @OneToMany(fetch = FetchType.LAZY, mappedBy = "parent",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Comment> replies = new ArrayLis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arent_comment_id", updatable = false) @ToString.Exclude private Comment parent; } @Query(value = """ SELECT p FROM Post p LEFT JOIN FETCH p.writer AS w LEFT JOIN FETCH w.profile LEFT JOIN FETCH p.comments WHERE p.id = :postId """ ) Optional<Post> findPostById(@Param("postId") final Long id); @Autowired EntityManager em; @Autowired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Test public void 정상작동테스트_추가적인_쿼리_발생_x() throws Exception { //given Post post = PostTest.create("username", "nickname"); Member member = post.getWriter(); em.persist(member); em.persist(post); Long postId = post.getId(); int commentCount = 10; int replyCount = 2; createComment(post, member, commentCount, replyCount); em.flush(); em.clear(); //when int totalCommentCount = commentCount * (replyCount + 1); Post findPost = postRepository.findPostById(postId).get(); System.out.println(); //then for (Comment comment : findPost.getComments().stream().filter(Comment::isCommentType).toList()) { // 이때 REPLY 타입을 조회하는 쿼리가 1회 발 System.out.println("comment = " + comment); System.out.println("comment.getReplies().get(0) = " + comment.getReplies().get(0)); } Assertions.assertThat(post.getComments().size()).isEqualTo(totalCommentCount); }[테스트 실행 시 쿼리]2023-11-02T11:45:00.154+09:00 DEBUG 51844 --- [ main] org.hibernate.SQL :selectp1_0.post_id,c1_0.post_id,c1_0.comment_id,c1_0.content,c1_0.created_by,c1_0.created_date,c1_0.deleted_date,c1_0.is_deleted,c1_0.last_modified_by,c1_0.last_modified_date,c1_0.parent_comment_id,c1_0.type,c1_0.writer,p1_0.content,p1_0.created_by,p1_0.created_date,p1_0.hits,p1_0.last_modified_by,p1_0.last_modified_date,p1_0.title,w1_0.member_id,w1_0.created_by,w1_0.created_date,w1_0.last_modified_by,w1_0.last_modified_date,w1_0.login_id,w1_0.login_type,w1_0.profile_id,p2_0.profile_id,p2_0.created_by,p2_0.created_date,p2_0.last_modified_by,p2_0.last_modified_date,p2_0.nickname,w1_0.user_role,w1_0.social_login_id,w1_0.usernamefrompost p1_0left joinmember w1_0on w1_0.member_id=p1_0.writer_idleft joinprofile p2_0on p2_0.profile_id=w1_0.profile_idleft joincomment c1_0on p1_0.post_id=c1_0.post_idwherep1_0.post_id=?2023-11-02T11:45:00.162+09:00 INFO 51844 --- [ main] p6spy2023-11-02T11:45:01.221+09:00 DEBUG 51844 --- [ main] org.hibernate.SQL :selectr1_0.parent_comment_id,r1_0.comment_id,r1_0.content,r1_0.created_by,r1_0.created_date,r1_0.deleted_date,r1_0.is_deleted,r1_0.last_modified_by,r1_0.last_modified_date,r1_0.post_id,r1_0.type,r1_0.writerfromcomment r1_0wherearray_contains(?,r1_0.parent_comment_id)[반복되는 spring data jpa 쿼리]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 Long>, PostQueryRepository { /** * Post 반환 시 Member, Profile을 fetch join한다. ~ToOne 매핑관계에 대한 fetch join은 별명을 사용할 수 있고, 연계하여 fetch * join할 수 있다. * * @param id must not be {@literal null}. * @return */ @Query(value = """ SELECT p FROM Post p LEFT JOIN FETCH p.writer AS w LEFT JOIN FETCH w.profile LEFT JOIN FETCH p.comments WHERE p.id = :postId """ ) Optional<Post> findPostById(@Param("postId") final Long id); /** * Post를 페이징 처리하여 Page<Post>로 반환한다. 이때 Member와 Profile을 fetch join한다. * * @param pageable the pageable to request a paged result, * can be {@link Pageable#unpaged()}, * must not be {@literal null}. */ @Query(value = """ SELECT p FROM Post p LEFT JOIN FETCH p.writer AS w LEFT JOIN FETCH w.profile """, countQuery = "SELECT count(p) FROM Post p" ) @Override Page<Post> findAll(final Pageable pageable); /** * WriterId가 memberId와 같은 Post를 페이징 처리하여 Page<Post>로 반환한다. 이때 Member와 Profile을 fetch join한다. * * @param writerId writerId가 일치하는 Post들을 반환한다. * @param pageable 페이징 정보 */ @Query(value = """ SELECT p FROM Post p LEFT JOIN FETCH p.writer AS w LEFT JOIN FETCH w.profile WHERE w.id = :writerId """, countQuery = "SELECT count(p) FROM Post p WHERE p.writer.id = :writerId" ) Page<Post> findAllByWriterId(@Param("writerId") final Long writerId, final Pageable pageable); }
-
해결됨Spring Boot JWT Tutorial
8:45 spring security 3.1.5 설정 방법 (버전 안 맞춰서 안될때)
spring security 3.1.5 버전 방식입니다.기존에 implement 하지 않고 클래스를 @configuration 해서구성 파일로 인식하게 만들고 해당 메서드를 @bean 을 주입시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처음 참조할 부분은 여기를 참조 하시면 됩니다. 처음 설정 방법 :: 3.1.5 방법 1SecurityConfig::SecurityFilterChain 메서드를 수정하기 @Bean public SecurityFilterChain filterChain(HttpSecurity httpSecurity) throws Exception { httpSecurity .csrf(AbstractHttpConfigurer::disable) .exceptionHandling((handling) -> handling.authenticationEntryPoint(jwtAuthenticationEntryPoint) .accessDeniedHandler(jwtAccessDeniedHandler) ) .headers((header) -> header.frameOptions( HeadersConfigurer.FrameOptionsConfig::sameOrigin ) ) .authorizeHttpRequests((registry) -> registry.requestMatchers("/api/hello").permitAll() .requestMatchers("/api/authentication").permitAll() .requestMatchers("/api/signup").permitAll() .anyRequest().authenticated() ); return httpSecurity.build(); } 방법 2JwtSecurityConfig에 메서드를 하나 추가 한다. public HttpSecurity configureAndReturn(HttpSecurity httpSecurity) { httpSecurity.addFilterBefore( new JwtFilter(tokenProvider),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class ); return httpSecurity; }SecurityConfig::SecurityFilterChain 메서드를 수정하기@Bean public SecurityFilterChain filterChain(HttpSecurity httpSecurity) throws Exception { return new JwtSecurityConfig(tokenProvider).configureAndReturn( httpSecurity .csrf(AbstractHttpConfigurer::disable) .exceptionHandling((handling) -> handling.authenticationEntryPoint(jwtAuthenticationEntryPoint) .accessDeniedHandler(jwtAccessDeniedHandler) ) .headers((header) -> header.frameOptions( HeadersConfigurer.FrameOptionsConfig::sameOrigin ) ) .authorizeHttpRequests((registry) -> registry.requestMatchers("/api/hello").permitAll() .requestMatchers("/api/authentication").permitAll() .requestMatchers("/api/signup").permitAll() .anyRequest().authenticated() ) ).build(); } 개인적으로는 방법 1이 깔끔하다고 느낍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세션과 세션저장소의 개념구분
강의자료를 보던중에 혼동이 와서 질문드립니다..강의자료를 보면 세션을 생성하고, 신규 세션을 반환하고, 세션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등등세션이라는 단어가 사용이 되는데요.. 하지만 이전에 세션 저장소라는 개념도 있어서 '세션'과 '세션저장소'의 구분이 잘 되지않습니다..다른 질문을 참고하니 HttpSession은 세션저장소이다 라고 답변주신것을 보긴했습니다. 그리고 session은 Map형태로 저장이 되서 세션저장소 내부에 있는 Map자체를 session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Map의 sessionId에 대응되는 값도 session이라고 부르는것인가요..?HttpSession = 세션저장소세션저장소내에 세션이 있다.세션 = 세션저장소 내에 있는 Map = 세션저장소 내에 있는 Map의 value이렇게 이해해도 되는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