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스프링부트에서 게시글 등록(mp4 파일 포함)시 영상 바로 안보입니다.
현재 스프링부트에서 게시글을 등록하는 기능을 만들고 detail 페이지에서 등록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했습니다. 게시글 제목, 내용, mp4 영상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게시글 등록 후 바로 detail 페이지에 들어가 확인하면 동영상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경로가 잘못됐나 싶어서 페이지 소스 보기를 통해 확인해봤는데 경로도 정확하게 호출되고 있습니다. 그 후 서버 재실행 후 다시 확인해보니 그제서야 동영상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는 게시글 등록에 대한 컨트롤러 코드, 서비스 코드, html 코드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7장 스캐너 문제풀이3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input.nextLine(); 이거말고 처음에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이걸 우연히 while 안에 넣어서 해도 되는걸 확인했는데 이런 방법은 좋은 방법이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ropper 오류 문제로 질문드립니다..
좋은 강의 덕분에 공부를 열심히 잘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 감사드립니다. 다름이아니라 이번 강의 중 cropper 사용에서 똑같이 설치 후이미지 파일을 불러오면 Uncaught TypeError: $newImage.cropper is not a function at reader.onload 지정된 함수가 아니라고 뜨는데 cropper가 안 먹혀서 그런 걸까요 ㅠㅠ..? 서치하고 코드를 계속 봐도 답이 나오지 않아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MVC와 API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강사님!!다름이 아니라 공부를 하다가 MVC와 API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그래서 내린 결론이Spring MVC구조의 @Controller는 컨트롤러의 리턴값이 ViewResolver에 의해 해석되어서 특정 View가 html응답으로 전송된다.반면 REST API구조의 @RestController에 의한 호출은 View를 리턴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응답이 전송되어 진다.라고 내렸습니다.첫번째로, 위에서 제가 내린 결론이 맞는 말인지와두번째로, 그럼 MVC를 쓰는 경우와 API를 쓰는 경우가 언제인지가 궁금합니다.제가 아직 개념이 부족해서 그런건지는 몰라도 MVC를 쓰면 프론트엔드의 역할이 없어지는게(?)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어서...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코드 확인 부탁드립니다 ㅠ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arr = new int[n][n];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arr[i][j] = sc.nextInt(); } } int m = sc.nextInt(); int[] moves = new int[m]; for(int i = 0; i < m; i++){ moves[i] = sc.nextInt(); } ArrayList<Stack<Integer>> board = new ArrayList<>(); for(int i = 0; i < n; i++) { Stack<Integer> temp = new Stack<>(); for(int j = 0; j < n; j++) { if(arr[n-1-j][i] == 0) break; temp.push(arr[n-1-j][i]); } board.add(temp); } Stack<Integer> basket = new Stack<>(); int result = 0; for(int i = 0; i < m; i++) { int num = moves[i]-1; Stack<Integer> stack = board.get(num); if(stack.empty()) continue; int popNum = stack.pop(); if(!basket.isEmpty() && basket.peek() == popNum) { basket.pop(); result += 2; } else { basket.push(popNum); } } System.out.print(result); } }어느 부분에서 틀린지 모르겠습니다. 확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미해결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어디에 저장해야 할까요?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중인데,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헤더에 담아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로컬 스토리지는 보안에 취약하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로컬 스토리지에 담아도 jwt 정책으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글도 있었습니다.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어디에 저장해야 할까요? 만약 로컬 스토리지나 쿠키에 저장한다면 어떻게 관리해야하나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섹션 6. 순수 jbdc
이 부분이 임포트가 아예 안 됩니다ㅠㅠ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Utils; 그래서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이렇게 인텔리제이에서 빨간 불이 들어오구요ㅠㅠ DataSourceUtils에만 빨간 불이 들어옵니다!!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 return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n, PreparedStatement pstmt, ResultSet rs) { try { if (rs != null) { rs.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try { if (pstmt != null) { pstmt.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try { if (conn != null) { close(conn);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n) throws SQLException {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 dataSource); }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로젝션 'new 명령어로 조회' 질문 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프로젝션 쿼리에 new 명령어 관련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try{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1"); member.setAge(10);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List<MemberDTO> result = em.createQuery("SELECT new jpql.MemberDTO(m.username, m.age) FROM Member m", MemberDTO.class) .getResultList(); MemberDTO memberDTO = result.get(0); System.out.println("memberDTO = " + memberDTO.getAge()); System.out.println("memberDTO = " + memberDTO.getUsername()); tx.commit(); }위와 같은 쿼리를 실행하게 되면 상위에서 생성한 member 객체에 있는 값을 result 로 복사하고 result 값을 memberDTO List의 인덱스 0으로 들어 간 값을 조회하라는 뜻이 맞는건가요..?수업듣다가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SpinLock & Busy Waiting 강의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이전 동기화와 CPU의 관계 강의에서는 CPU가 두 개 이상의 명령어를 처리하면 원자성이 보장이 안된다고 설명을 하셨는데, SpinLock & Busy Waiting 강의에서 test_and_set(int *lock) 메서드는 CPU 하드웨어 계층에서 원자성이 보장된다는 게 이해가 잘 가지를 않습니다. test_and_set(int *lock) 이 메서드는 하나의 명령어만 처리하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트랜젝션 옵션의 전파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예전에 영한님이 답변하신 내용 중에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은 처음 시작한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전파됩니다.그러니까 서비스에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면 리포지토리의 트랜잭션이 해당 트랜잭션을 그대로 이어 받습니다.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그렇다면,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순으로 코드가 진행된다고 할 때, 만약 서비스 계층에 @Trasnactional(readonly=false)가 걸려있고 리포지토리 계층에 @Trasnactional(readonly=true)가 걸려있으면 서비스 계층이 먼저 호출되므로 readonly=false 옵션이 적용된 채로 리포지토리 계층까지(기존 리포지토리 계층의 옵션은 무시된채로) 코드가 흘러가는걸까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consumer 셋팅 숫자 출력이 안됩니다.
docker exec -it kafka kafka-console-consumer.sh --topic coupon_create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key-deserializer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StringDeserializer" --value-deserializer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LongDeserializer"라고 터미너에 입력한 후에 테스트 코드package com.example.coupon_server.service; import com.example.coupon_server.repository.CouponReposi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java.util.concurrent.CountDownLatch;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ForClassTypes.assertThat; @SpringBootTest public class Apply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ApplyService applyService; @Autowired private CouponRepository couponRepository; @Test @DisplayName("쿠폰 한개 적용 테스트") public void applyOneCoupon() { applyService.applyCoupon(1L); long count = couponRepository.count(); assertThat(count).isEqualTo(1); } @Test @DisplayName("쿠폰 여러개 적용 테스트") public void applyMultiCoupon()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int threadCount = 1000;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2);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threadCount); for (int i = 0; i < threadCount; i++) { long userId = i; executorService.submit(() -> { try { applyService.applyCoupon(userId); } finally { latch.countDown(); } }); } latch.await(); Thread.sleep(10000); long count = couponRepository.count(); assertThat(count).isEqualTo(100); } @Test @DisplayName("한명당 한개의 쿠폰만 발급") public void applyOneCouponPerUser()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int threadCount = 1000;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2);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threadCount); for (int i = 0; i < threadCount; i++) { long userId = i; executorService.submit(() -> { try { applyService.applyCoupon(1L); } finally { latch.countDown(); } }); } latch.await(); Thread.sleep(10000); long count = couponRepository.count(); assertThat(count).isEqualTo(1); } }로 작성했지만 터미널에서 강사님과 같이 숫자들이 찍히자 않습니다.그리고 터미널 안의 글씨 너무 작은것 같아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섹션 10. try - with - resources
질문입니다!상황 1 .우선 NetworkClientExceptionV5는 RuntimeException을 상속 받은 상태입니다.public class NetworkClientExceptionV5 extends RuntimeException { public NetworkClientExceptionV5(String message) { super(message); } }그러면 NetworkClientExceptionV5를 상속받은 ConnectException과 SendException도 RuntimeException이 되는 거구요.public class ConnectExceptionV5 extends NetworkClientExceptionV5 { private final String address; public ConnectExceptionV5(String address, String message) { super(message); this.address = address; } public String getAddress() { return address; } }public class SendExceptionV5 extends NetworkClientExceptionV5 { private final String data; public SendExceptionV5(String data, String message) { super(message); this.data = data; } public String getData() { return data; } } 상황 2 .그리고 NetworkClientV5는 AutoCloseable을 구현했습니다. import exception.ex5.exception.ConnectExceptionV5; import exception.ex5.exception.SendExceptionV5; public class NetworkClientV5 implements AutoCloseable { private final String address; private boolean connectError; private boolean sendError; public NetworkClientV5(String address) { this.address = address; } public void connect() { if (connectError) { throw new ConnectExceptionV5(address, address + " 서버 연결 실패"); } // 연결 성공 System.out.println(address + " 서버 연결 성공"); } public void send(String data) { if (sendError) { throw new SendExceptionV5(data, address + " 서버에 데이터 전송 실패 : " + data); } // 전송 성공 System.out.println(address + " 서버에 데이터 전송 : " + data); } public void disconnect () { System.out.println(address + " 서버 연결 해제"); } public void initError(String data) { if (data.contains("error1")) { connectError = true; } if (data.contains("error2")) { sendError = true; } } @Override public void close() throws Exception { System.out.println("NetworkClientV5.close"); disconnect(); } } ==질문입니다!!==NetworkServiceV5에서public class NetworkServiceV5 { public void sendMessage(String data) { String address = "http://example.com"; try (NetworkClientV5 client = new NetworkClientV5(address)) { client.initError(data); // 추가 client.connect(); client.send(data); } } }try (NetworkClientV5 client = new NetworkClientV5(address))에서 컴파일 오류가 납니다.client에서 올라오는 예외들은 다 RuntimeException이므로 따로 throws를 안 해줘도 되는데 왜 해결하려고 하면 throws를 선언하거나 catch를 해야한다고 하는 건가요?RuntimeException은 예외를 throws 선언없이 자동으로 밖으로 던지기에 catch를 안 해도 상관이 없을텐데 왜 alt + enter을 누르면 throws 선언과 catch를 해야만 된다고 하는 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건 이런식으로 흘러간다고 생각했습니다.main()에서 (error1 | error2)를 입력 받음 -> sendMessage를 호출 -> sendMessage에서 코드 진행 -> (client.connect | client.send)를 만나서 NetworkClientV5에 들어감 -> (ConnectException | SendException)을 터트림 -> NetworkClientV5에서 예외를 밖으로 던짐 (런타임이라서 throws 선언 안 해도 던져짐) -> NetworkService로 예외가 날라옴 -> 여기서도 처리가 불가능 하니, 예외를 밖으로 던짐 (여기서 throws 선언을 안해도 던져져야 한다고 생각함. 날아온 예외는 RuntimeException이기 때문에) -> main으로 예외가 넘어옴 -> main에는 catch (Exception e)가 있어서 예외를 잡고 정상흐름으로 돌아옴. 마지막은 메인메서드 입니다!import exception.ex5.exception.SendExceptionV5;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NetworkmainV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tworkServiceV5 service = new NetworkServiceV5();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while (true) { System.out.print("전송할 문자 : "); String input = scanner.nextLine(); if (input.equals("exit")) { break; } try { service.sendMessage(input); } catch (Exception e) { exceptionHandler(e);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 공통 처리 예외 private static void exceptionHandler(Exception e) { System.out.println("사용자 메시지 : 죄송합니다.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System.out.println("==개발자용 디버깅 메시지=="); // 스택 트레이스 출력 e.printStackTrace(System.out); // 스택 트레이스 출력 System.err //e.printStackTrace(); // 필요하면 예외별로 별도의 추가 처리 가능 if (e instanceof SendExceptionV5 sendEx) { System.out.println("[전송 오류] 전송 데이터 = " + sendEx.getData()); } }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데이터 베이스 쿼리 실행 시점 관련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전에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는 실행 시점은em.flush()트랜잭션 커밋JPQL 쿼리 실행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11:45초 쯤부터 em.persist(team) 을 실행할때 id 값을 갖고 오기위해 new Member 이전에 insert문이 실행된다면 위의 경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데 em.persist 호출해도 쓰기 지연 SQL에 쌓이는 것이 아닌 바로 쿼리를 실행하게 되는 건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ar build 동작 확인을 위한 Window cmd 이용 중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오류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2 database Ctrl C 후gradlew clean build 실행 시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타납니다.이전에 시행했을땐 이런 오류가 떴습니다.(base) C:\study\jpashop\jpashop>gradlew clean buildWelcome to Gradle 8.7!Here are the highlights of this release:Compiling and testing with Java 22Cacheable Groovy script compilationNew methods in lazy collection propertiesFor more details see https://docs.gradle.org/8.7/release-notes.htmlStarting a Gradle Daemon (subsequent builds will be faster)Task :compileJava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What went wrong: Execution failed for task ':compileJava'.error: invalid source release: 21Try: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8s 2 actionable tasks: 2 executedGradle 8.7같은 경우 Java 22와 호환이 되어있는것 같은데 Java21로 설정하고 프로젝트를 진행 했을 때 어떻게 처리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Spring Data JPA에서 update 하는 방법
검색해보니 Spring Data JPA는 순수 JPA와 다르게 save() 조차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변경감지가 일어난다고하는데, 제가 작성한 코드를 바탕으로 테스트해보니 save()를 하지 않으면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습니다. 조금 더 디테일한 설명을 해주실 수 있을까요? save()는 @PostMapping의 postRepository.save(findPost); 부분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Controller @RequestMapping("/post")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PostController { private final BoardService boardService; private final BoardRepository boardRepository; private final PostService postService; private final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 * 게시물 수정 */ @GetMapping("/edit/{id}") public String showEdit(@PathVariable Long id, @SessionAttribute(name = SessionConst.LOGIN_MEMBER, required = false) Member loginMember, Model model) { Post findPost = board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 new IllegalArgumentException("No Post Found."));// findPost 게시물 보여주기 model.addAttribute("findPost", findPost); return "editPost"; } @PostMapping("/edit/{id}") public String editPost(@PathVariable Long id, Post editPost) { Post findPost = board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 new IllegalArgumentException("No Post Found.")); findPost.setTitle(editPost.getTitle()); findPost.setContent(editPost.getContent()); findPost.setCategory(editPost.getCategory()); findPost.setLastModifiedTime(LocalDateTime.now()); postRepository.save(findPost); return "redirect:/board/post/" + id; } } 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 Long> { /** * 게시물 저장 */ Post save(Post post);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참조값(사이드 이펙트)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영한님의 설명을 보면 자바 문법상 Address b = a 가 만들어저도 문제가 없다고 하였고,참조값을 공유해서 사이드 이펙트를 만드는 경우가 있다고 말하였습니다.여기서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여태 까지의 코드를 보면, 사이드 이펙트를 만드는 경우가 없었던 걸로 기억하는데..어는 경우 에서야, 사이드 이펙트를 활용하는지.예시를 알켜 주실수 있으실까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섹션2 문제와 풀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ection2 문제와 풀이를 다음과 같이 풀어보았는데, 결과는 맞지만 제 코드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는지, 개선점은 없는지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7강 application.yml에 문제가 있는거 같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현재 구글링 하면서도 진행 해봤지만 다른게 문제인지 h2 console에도 insert 구문이 날라가지 않습니다 ...현재 제가 놓친게 있을까요 ?... 지금 스프링부트 버전은 3.2.5 버전입니다. 자바 버전도 17로 설정되어 있습니다.해당 프로젝트 주소 : https://drive.google.com/file/d/1SbgjH5aDY_j_g07r9_Kmz4Uk-uImcC9L/view?usp=drive_link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concat()이 내부적으로 생성하는 String 인스턴스
public class StringImmutable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before = "hello"; String after = before.concat(" java"); System.out.println("before = " + before); System.out.println("after = " + after); } }자바 프로그램 로딩 시점에 문자열 리터럴이 문자열 풀에 보관된다고 알고 있는데요. 위 코드에서 "hello" 뿐만 아니라 " java"도 문자열 리터럴인가요? 그렇다면 " java"도 문자열 풀에 저장되는 것인가요? (제가 자바 기초 지식이 부족한 상태입니다)concat() 내부에서 생성하는 String 인스턴스는 문자열풀에 생성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문자열풀이 아닌 힙 영역에 생성되는 것인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마지막 단에서 공통 처리할 때의 catch 부모 예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5:50에서 공통 처리 catch를 최상위 예외인 Exception으로 잡았는데결국 해결할 수 없는 예외들은 언체크 예외들로 구성되어 있으니깐 RuntimeException으로 잡는게 낫지 않나요?다른 케이스가 있어서 그런건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