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섹션6 23년 1회 JAVA 출력값 작성하기 문제 질문 드립니다.
st.b 가 11이라고 하셨는데 0 아닌가요? 왜 11인지 궁금합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ello 페이지가 안나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뭐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업캐스팅과 다운캐스팅
업캐스팅처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즉, 안전하다 -> 코드를 생략해도 자바가 컴파일과정에서 코드를 추가해준다. 왜? 추가하더라도 안전하니까다운캐스팅처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다. 즉 안전하지 않다 -> 코드를 생략하면 자바가 코드를 추가해주지 않는다. 왜? 추가해서 혹시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자바 책임이 되니까 -> 즉, 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야 한다. -> 명시하지 않으면 컴파일 오류, 명시하면 컴파일 성공 -> 컴파일 성공해서 실행중에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괜찮지만,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면 코드를 직접 명시한 개발자 책임이 된다.이 부분이 헷갈려서 정리해 봤는데,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빌드 오류
이런 화면만 뜨고 빌드가 안돼요.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도와주세요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접근제어자 쇼핑카트 문제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고자 몇가지 질문드립니다.1) 아래 코드의 items[itemCount] = item; 는 item 인스턴스의 참조값을 items[itemCount]에 복사해서 넣어주는 것인가요? public void addItem(Item item){if(itemCount >= items.length){System.out.println("더이상 제품을 담을 수 없습니다."); return; }items[itemCount] = item; itemCount++; }2) displayItems() 메서드와 totalAmount() 메서드의 for문 안에는 모두 공통적으로 Item item = items[i]가 사용됩니다. 이 부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2-1) Item item 부분을 일종의 배열 참조값 저장을 위한 임시 변수라 생각하면 될까요? 참조값을 인스턴스에 저장하는 것은 아닌지 질문드립니다.2-2) 다른 메서드의 for 문 안에서 Item item을 두 경우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한 메서드가 실행 종료되면 해당 변수가 사라지기 때문인가요?public void displayItems() {System.out.println("장바구니 상품 출력"); for (int i = 0; i <= items.length; i++) {Item item = items[i]; System.out.println("상품명:" + item.getName() + ", 합계:" + item.getPrice()); }System.out.println("전체 가격 합:" + totalAmount()); }private int totalAmount(){int totalPrice = 0; for (int i = 0; i <= itemCount; i++) {Item item = items[i]; totalPrice += item.getPrice(); }return totalPrice;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섹션7 영상 업로드 관련 문의
선생님, 안녕하세요?올려주신 강의들 매일 꾸준히 보면서 준비 중인 수강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섹션7 이론문제 학습 카테고리에 강의명만 만들어져있는 강의들이 있습니다. (섹션7 1강, 3강, 6강, 7강, 8강, 9강)혹시 해당 내용 강의들도 추후 업로드 계획이신지 궁금하여 문의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이론 통합 PDF가 훑어보니 정리가 상당히 잘 되어있다는 느낌을 받기는 했습니다만, 제가 비전공자이고 직장 생활하느라 시간이 충분치 않은 입장이다보니 ^^: 선생님께서 원포인트로 중요한 부분만 조금씩 찍어만 주셔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서요.염치 불구하고 혹시나 계획이 있으신지 여쭈어봅니다. 모쪼록 확인 한번 해주시면 너무나도 감사하겠습니다!오늘도 좋은 일들만 가득한 하루 되시기 바라겠습니다 (--)(__)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고급강의
자바 고급강의는 언제나오나요?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동기 & 논블록킹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듣다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강의자료 343p 보면 동기 & 논블록킹에 대한 예시 그림이 나오는데요.1) T1이 수행중인 Task4 에서 T2의 Task3, T3의 Task5 의 작업을 기다리고 있어 스레드 T1은 부분적으로 동기처리 된다고 이해했습니다. 이 내용이 맞을까요?2) " Wait and Acknowledge " 부분에서 T1이 T2, T3의 작업결과를 가져와야 다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동기이면서 Blocking이 발생할 것 같은데요. (ex. Future.get 으로 구현할 경우) 그림만 봐서는 Non-blocking방식인 것 같아 생각해보니, T1이 BusyWaiting방식으로 loop안에서 T1, T2의 완료여부를 체크하는 것 같습니다. 이 내용이 맞을까요? 그렇다면, 만약 Future.get처럼 Block되는 방식의 API를 사용하면 T1은 Task4에서 Non-blocking이 아닌 Blocking된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접근 제어자 관련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접근제어자 관련 질문드립니다.1)AccessData와 AccessInnerMain 내용에서,외부인 AccessInnerMain에서 AccessData의 innerAccess()가 호출 될 수 있는 것은 public이기 때문입니다.내부 호출인 inneerAccess()의 내용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은 innerAccess()의 필드가 private int privateField라 하여도 public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인가요?또한 강의 자료 중 , innerAccess()메서드는 자신의 private 필드와 메서드에 모두 접근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private 필드와 메서드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private int privateField와 privateMethod를 의미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innerAccess()메서드는 자신의 필드가 없고 지역변수가 있는 것인가요?추가적으로, 아래 코드의 경우,public void innerAccess(){System.out.println("내부 호출");publicField = 100;defaultField = 200;privateField = 300;publicMethod();defaultMethod();privateMethod();}privateField, publicField나 defaultField를 innerAccess의 지역변수라 말해야 할지, AccessData 클래스의 필드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2) AccessOuterMain에서import access.a.AccessData;를 해주어도 defaultField,defaultMethod나 privateField,privateMethod가 실행이 안되는 것은 private, default 접근 제어자 그 자체의 정의에 의해서 안되는 것인가요?이 사례에서 import는 AccessData클래스와 access.a 패키지에 접근하게 해주지만, 관련 클래스 및 패키지의 필드와 메서드가 private이나 default로 되어 있는 이상 접근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ex2 패키지에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rivate static class NetworkMessage {...}이 정적 중첩 클래스에서 static 을 제거하면private class NetworkMessage {...}내부 클래스가 되는건가요? 근데 뒤에 강의를 보면 내부 클래스는 아닌거 같은데, 정적이 아닌 그냥 중첩 클래스인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jpa 작업 중 오류
작업파일 링크 드라이브에 담아 공유합니다. 어느 점에서 오류가 나는지 잡을 수 없어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UqI2_8bN8k4yq1Zww3OVkDLQ_yS_tsPS/view?usp=drive_link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코드 질문 있습니다.
8.팰린드롬 문제 관련 입니다.String temp = new StringBuilder(str).reverse().toString();이 부분에서 스트링빌더를 문자열로 다시 바꿔주는데문자열을 왜 다시 문자열로 바꿔주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인풋값으로 문자열이 아닌 다른값을 받아왔을때를 위한 코드인지 궁금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3. 컬렉션 프레임워크 - ArrayList 강의 교안 오타 제보
[오타 제보 내용]3. 컬렉션 프레임워크 - ArrayList 교안 pdf직접 구현하는 배열 리스트2 - 동적 배열배열의 크기를 초과할 때(5) 이렇게 증가된 배열에 데이터를 추가하면 된다. 물론 데이터가 추가되었으므로 size 도 하나 증가시킨다.기존 배열( x001 )은 더는 참조하는 곳이 없으므로 GC의 대상이 된다.그림에서는 x100으로 나와있는데, 교안에는 기존 배열의 주소를 x001로 표시하고 있습니다.기존 배열의 주소값 확인 부탁드립니다.직접 구현하는 배열 리스트3 - 기능 추가주제 내용 맨 첫 부분에 나오는 add(Index, 데이터)와 remove(Index)의 파라미터가 Index라고 I가 대문자로 나와 있습니다.i(소문자) 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기술에 의존적이라는 것에 대해서 조금 질문드립니다.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면, JpaRepository 를 상속한 인터페이스를 보통 정의하게 되잖아요? 이 경우에도 특정 기술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는건가요? 이런 경우, 실질적으로 spring data jpa 와 관련된 import 구문이 들어오기는 하지만, 구현체의 내용이 없기 때문에 코드 변경에 따른 여파가 없다고 느껴지긴 하거든요.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라는 책에는 이를 persistence layer 로 분류하고 있더라구요. 이 인터페이스는 어떤 레이어에 속한다고 보시나요?질문을 드린 이유는 실제 헥사고날 아키텍처나 이런 것들을 다루는 곳에서 보면, 비즈니스 레이어에 인터페이스를 선언하고 이를 상속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실제 구현내용이 없는데 persistence layer 라고 봐야하나?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예시:// business layer 에 선언interface BusinessRepository {}// persistence layer에 선언interface DataAccessRepository: JpaRepsitory<생략>, BusinessRepository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클래스 필드 레벨에서의 객체 생성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기존에는 PaymentService 클래스의 prepare 메서드 내부에서 provider 객체를 생성했었습니다.강의 중간에 토비님께서 provider를 클래스 필드로 변경하시고, 생성자에서 객체 생성을 하셨습니다.변경 이후에 Provider는 PaymentService와 생명주기를 함께합니다.(생명주기라는 단어가 올바른지 모르겠네요.) PaymentSerivce가 메모리 해제되지 않으면, Provider도 계속 메모리를 차지하게 됩니다.하지만 메서드 레벨에서 객체 생성을 한다면, Provider는 GC에 의해 비교적 일찍 메모리 해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클래스와 메서드의 호출 패턴에 따라서 선택이 달라질 것 같은데,토비님께서는 클래스 필드 레벨 선언과 메서드 레벨 선언을 정하시는 룰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3년 2회 킬러문항
2023년 2회 킬러문항 해설 이해가 안갑니다초록색 색연필로 표시했는데35분 30초 쯤 해설 중 1 출력인데 출력값은 2라고 하고 넘어가시더라구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ㅠ몇 번을 반복해서 들어도 전체적 이해가 안되네요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ttp://www.thymeleaf.org 가 실행이 안되는 것 같아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gradle에도 있고build.gradle에도 있는데hello.html을 실행하면 저렇게 에러 페이지가 뜹니다.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의존성 방향과 관련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토비님.OrderRepository 인터페이스가 application layer에 있고,이걸 구현한 구현체가 persistence layer에 있는데요. 일반적인 layered 아키텍처라고 하면, 의존성의 방향이 아래로 향해야하는데, 이 경우라면 의존성이 application 으로 향하게 되는거 같은데요. 만약에 이런식으로 구성한다면 port & adapter 같은 개념을 별도로 두지 않더라도, 의존성방향에 의하면 헥사고날 (혹은 클린 아키텍처) 라고 부를 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그럼에도 layered 아키텍처라고 부르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자바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강의를 보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강의 시간 기준 약 8분대에 println("a = " + a + ", b = " + b)라는 코드가 있습니다. 이 때 +a+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 " " 안에 ,를 넣고 b를 넣었는지에 대해 물어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윤파고의 정보처리기사 DB/프로그래밍 All-In-One
04. DB 파트 기출 해설(실기 4번)
해당 강의는 무료 제공 강의이기에 별도의 강의 내용 코칭은 제공해드리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단, 내용 오류 신고는 지속적으로 받고 있으며, 기존에 신고 받았던 내용은 영상 상세 설명란에 참조 내용으로 적혀있습니다)수익을 내지 않는 무료 제공 강의다보니 내용 오류나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내용 오류는 dbswjdgkssla@naver.com 으로 신고해주시면 주기적으로 검토해서 반영하고 있습니다.(단순 오탈자는 건당 100원, 단순 오탈자가 아닌 내용 오류 신고는 건당 1000원의 신고 포상금을 드리고 있습니다)강의에 오류가 있는 부분은 강의 내용에 사전 안내가 되어 있습니다, 해당 오류는 유튜브에서 이미 인지한 오류이며, 올인원 교재 업데이트(24년) 전까지 한 강씩 차례로 수정 반영될 예정입니다.04번 해설에서SELECT COUNT(COL2) ....이니깐 개수를 셀 때는 COL2에서 NULLL 값을 제외하고 계산하니깐 4개인거 아닌가요?강의에서는 COL1에서 NULL 값을 제외하고 4개를 세시는데 헷갈리네요.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는거라면 그 부분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