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팩토리] [입문] Dart 언어 4시간만에 완전정복
toSet(), Set.of(), Set.from() 차이점
toSet(), Set.of(), Set.from() 차이점이 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버젼 오류...
h2database 버젼은 동기화했는데도 오류가 뜨네요.. 미치겠어요 ㅠ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에셋 매니저에 버그인지 제 기존 weapon 데이터 에셋을 못찾습니다.
왼쪽에 Weapon1 이 예전부터 실습하던 데이터 에셋인데요.weapon 박스가 생성이 안되길래 디버그로 확인해보니 에셋 매니저가 이 weapon1를 못 찾아서 에셋 목록에 없었습니다. 리로드 다시 해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data asset을 ABWeaponItemData기본으로 만들어서 같이 테스트 해보니, 오른쪽 새로 만든 건 또 에셋 매니저가 찾아서 목록 안에 있더라구요..... 이게 버그인지 아니면 제가 뭘 잘못한 건지 잘 모르겠는데 혹시 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H 13144
등차수열의 합이 등장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교안에도 공식만 나와있고 언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안 담겨 있어서요.그냥 직접 세 보니까 어라? 등차수열의 합 공식의 결과랑 동일하니까 이걸로 가자!라는 논리로 등장한 것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세션 STATELESS 일때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강사님 정말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SecurityContext에 대해서 강의를 듣던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을 남깁니다 세션 방식일때 SecurityContext(authentication)를 세션에 저장하고, 인증이 완료된 후에는 세션에 있는 SecurityContext를 꺼내어 SecurityContextHolder에 저장하여 stateful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근데 세션 stateless 일때는 , 세션 또한 존재하지 않을것이고, 여기서 spring security는 인증이 완료된 후에 SecurityContext에 인증객체를 담는 과정도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stateless한 즉 rest api를 이용해서 통신을 할 경우에는 매 요청마다 인증 과정을 거칠텐데 SecurityContext에 인증객체를 담아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이원 분산 분석 링크가 동작하지 않아요.
이원 분산 분석의 아래 링크가 없다고 나옵니다.노트북(빈칸): https://bit.ly/3ZFv4IZ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주차 개념 #10. 구현과 문제를 푸는 방법의 기초(질문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같은 경우에는 배열 메서드를 까먹었다 싶으면 MDN 사이트를 들어가서 찾아보잖아요? C++도 비슷한 사이트가 있나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자료 부탁합니다.
intratel@naver.com
-
미해결
react input창 입력 후 button클릭 시 초기화 하는 방법 질문
댓글 기능 창에서 input에 작성자 비밀번호 내용을 입력하고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댓글이 잘 생성이 되지만 input창이 비어지지 않습니다. container와 presenter 코드입니다.import CommentWriteUI from "./BoardComment.presenter"; import { FETCH_COMMENTS } from "../list/BoardCommentList.queries";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type { ChangeEvent } from "react"; import type { IUpdateBoardCommentInput } from "../../../../../commons/types/generated/types"; import type { ICommentWriteProps } from "./BoardComment.types"; import { useMutationCreateComment, useMutationUpdateComment, } from "../../../../commons/hooks/mutations/useMutationBoardComment"; export default function CommentWrite(props: ICommentWriteProps): JSX.Element { const [createBoardComment] = useMutationCreateComment(); const [updateBoardComment] = useMutationUpdateComment(); const [writer, setWriter] = useState(""); const [password, setPassword] = useState(""); const [contents, setContents] = useState(""); const [star, setStar] = useState(0); const router = useRouter(); function onChangeWriter(event: ChangeEvent<HTMLInputElement>): void { setWriter(event.target.value); } function onChangePassword(event: ChangeEvent<HTMLInputElement>): void { setPassword(event.target.value); } function onChangeContents(event: ChangeEvent<HTMLTextAreaElement>): void { setContents(event.target.value); } const resetFields = () => { setWriter(""); setPassword(""); setContents(""); }; const onClickSubmit = async (): Promise<void> => { const result = await createBoardComment({ variables: { createBoardCommentInput: { writer, password, contents, rating: star, }, boardId: String(router.query.number), }, refetchQueries: [ { query: FETCH_COMMENTS, variables: { boardId: router.query.number }, }, ], }); console.log(writer); resetFields(); }; const onClickEdit = async (): Promise<void> => { const updateBoardCommentInput: IUpdateBoardCommentInput = {}; if (contents !== "") updateBoardCommentInput.contents = contents; if (star !== 0) updateBoardCommentInput.rating = star; if (typeof props.el?._id !== "string") { alert("시스템에 문제가 있습니다."); return; } try { const result = await updateBoardComment({ variables: { updateBoardCommentInput, password, boardCommentId: props.el?._id, }, refetchQueries: [ { query: FETCH_COMMENTS, variables: { boardId: router.query.number }, }, ], }); console.log(result); props.setIsEdit(false); } catch (error) { if (error instanceof Error) alert(error.message); } }; return ( <CommentWriteUI onClickSubmit={onClickSubmit} onChangeWriter={onChangeWriter} onChangePassword={onChangePassword} onChangeContents={onChangeContents} setStar={setStar} isEdit={props.isEdit} onClickEdit={onClickEdit} writer={writer} el={props.el} data={props.data} /> ); } import * as S from "./BoardComment.styles"; import type { ICommentWriteUIProps } from "./BoardComment.types"; export default function CommentWriteUI( props: ICommentWriteUIProps, ): JSX.Element { return ( <> <S.Wrapper> <S.TitleBox> <span>댓글</span> </S.TitleBox> <S.BodyWrapper> <S.InfoWrapper> <S.Writer placeholder="작성자" readOnly={Boolean(props.el?.writer)} onChange={props.onChangeWriter} defaultValue={props.isEdit ? props.el?.writer : ""} /> <S.Password placeholder="비밀번호" onChange={props.onChangePassword} type="password" /> <S.Star onChange={props.setStar} defaultValue={props.isEdit ? props.el?.rating : 0} /> </S.InfoWrapper> <S.ContentWrapper> <S.Content placeholder="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 정보 유포시 모니터링 후 삭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습니다." onChange={props.onChangeContents} defaultValue={props.isEdit ? props.el?.contents : ""} ></S.Content> <S.SubmitWrapper> <span>0/100</span> <S.SubBtn onClick={props.isEdit ? props.onClickEdit : props.onClickSubmit} > 등록하기 </S.SubBtn> </S.SubmitWrapper> </S.ContentWrapper> </S.BodyWrapper> </S.Wrapper> </> ); } 하지만 저 화면에서 등록하기를 누를 시 빈 값이 입력됩니다. 또한 console.log(writer)를 해보면 공란이 나옵니다. 즉, 데이터는 없는데 화면이 리렌더되지 않습니다. 해결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circuitbreaker custom config 관련
강의를 따라하며 circuitbreaker custom config 파일을 만들었는데요. 빈에 주입하게 되실겁니다. 하고 코드에서 별다른 수정이 없는데 적용이 된건가요?빈에 따로 주입하지않아도 만들기만하면 알아서 적용이 되는건가요???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FSoftObjectPtr 함수 질문
IsPending()은 객체정보는 있지만 로딩되지 않았을 때 True.IsValid()는 객체정보있고 로딩도 되있을 때 True 인가요?? 그렇다면,IsPending()은 nullptr 일 때 false.IsValid()는 객체정보는 있고 로딩 전 일때 false 인가요??
-
미해결따라하면서 배우는 고박사의 유니티 기초
사다리 밑으로 이동이 안 돼요
강의 다 따라하고 스크립트도 똑같이 작성했는데 사다리 타고 올라가는 건 되지만 내려오는 것이 안 돼요. 사다리 앞에서 멈춥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DispatcherType ERROR 발생 여부 문의
안녕하세요 존경하는 강사님 서블릿 예외처리 핕터 부분 수강중 궁금한점 문의 드립니다.최초의 클라이언트에서 HTTP 요청이들어오면 DispatcherType이 리퀘스트이고 예외가 발생하여 저희가 등록한 에러페이지를 호출할때는 스프링 내부에서 사용자 모르게 한번 더 호출하는거라 DispatcherType 타입이 ERROR인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단지 스프링내부에서 호출을 두번하면 무조건 DispatcherType이 ERROR인건지 아니면 저희가 등록한 예외처리 관련 컨트롤러를 내부에서 재호출해서 DispatcherType이 ERROR 인건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5-1 강의 내용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5-1 수업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글 남깁니다.이 부분에서 보시면 print 문은 4개인데,결과로 나오는 값은 5개(블럭 표시 되어있는 부분)더라구요..!제가 실행했을 때의 값과 비교해보니 순서대로 정확도(0.96668~), 정밀도(0.94444~), 재현율(0.843511~), F1(0.89112~) 값이 출력된 것 같은데요,마지막 값(0.87169~)은 어떤 문장의 결과일까요?ㅠㅠ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BookLoanRequest 위치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BookLoanRequest 가 도서 대출에 관련된 기능이기 때문에패키지 위치가 dto > book > request 에 위치하게 됩니다. 내부에서 로직을 수행하는 도메인은 유저에 관련된 도메인이기 때문에domain > user > loanhistory 패키지에 도메인이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이해한건 기능은 책 대출과 관련되어 있지만, 내부 로직에서는 책과 유저 사이 중간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이고도메인 user 패키지내에 있는건 유저가 책을 빌리는 서비스이기 때문이고 만약 서비스가 책이 대출되었는지 안되었는지 검색하는 기능이였다면loanhistory가 도메인 book쪽에 가는거라고 생각이 되는데 제대로 이해한게 맞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주말일 경우 "주말"로 표시되게끔 하고 싶어요.
df['is주말'] = df['DateTime3'].dt.dayofweek >= 5 이 다음에 주말일 경우 "주말"로 표시되게끔 하려면 어떻게 함수를 만들어야 할까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폴더, 파일, 함수 생성시 s붙이는 기준
product vs products 와 같이파일 및 폴더 생성시 s를 붙이는 기준이좀 해깔리는데,어디에서 설명해주셨는지 기억이 안나서질문 드립니다~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1.apis 아래 1depth 폴더에는 s를 붙임apis/products 2. entities 폴더 내부 파일 s 안붙임entities/product.entity.ts 3.module.ts, resolver.ts, service.ts 에는 s붙임src/products/products.module.tssrc/products/products.resolver.tssrc/products/products.service.ts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y_train은 왜 필요한거예요? ㅠㅠ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라이브러리 및 데이터 불러오기 강의에서 X_train, X_test는 왜 필요한지 알겠습니다. 근데 y_train은 왜 필요한거예요? target(label)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즉, 이게 맞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미해결ARM Cortex-M 프로세서 프로그래밍
s524 테일체이닝 강의 질문
안녕하세요! s524 테일체이닝 강의를 보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강의에 보면 systick ISR에 delay함수와, 버튼 인터럽 ISR에 printf(".")을 쓰지 않으면 테일 체이닝을 관측하기 어렵다 하셨는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delay함수는 테일체이닝 관측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선점현상 관측에만 영향을 끼칠 것 같습니다.systick ISR의 런타임이 짧아도 버튼 ISR 런타임 동안에만 발생하면 pend되기 때문에 버튼 ISR이후에 테일체이닝 된다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틀린걸까요??제가 이해 못한 것이 있는지 다시 한번 설명 부탁 드립니다ㅠㅠ 그리고 인터럽의 priority 선정은 어떤 기준으로 하는 것이지도 궁금합니다!! 이전 강의들을 보면 systick priority를 15와 같이 낮은 우선순위를 할당해 주시던데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정수론 강의 관련 질문입니다.
정수론의 22분 경의 문제가 이해가 안되어서 질문드립니다. 176~177 사이라는 조건에서는 176은 16으로 완전히 나누어떨어져서 16 + 소수(1) = 17은 이해했는데,22분~ 즈음에 4같은 경우에는 2가 두번이라 4라는 뜻이 이해가 안됩니다. 176과 같은 논리면 4는 2로 나누어떨어지니 2가 나와야 되는거 아닌가 생각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위의 연장선으로 27분 즈음에 2^0 은 1 이니 82로 나누어지는 숫자들의 수 만큼 + 1*(8/2)4로 나누어떨어지는 숫자들의 수 만큼 + 2*2여기까지는 이해8로 나누어떨어지는 숫자들의 수만큼은 + 4*1여기서는 4*1 이 아니라 3*1 이 아닌지1,2,4,8 이 약수가 되는데 1은 이미 처리 했으니 1은 제외해서 3 * 1 더해져야될 것 같은데 ㅠ 수학을 못해서 좀 어렵네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